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과 체성분 인자와의 연관성

        은영(Eun Young Kim),최윤선(Youn Seon Choi),선미(Seon Mee Kim),최선영(Sun Young Choi),은혜(Eun Hye Kim),정은(Jung Eun Kim),김이연(E Yeon Kim),정재훈(Jae Hoon Jeong),진로사(Rosa Jin),정상아(Sang Ah Jung)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4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5 No.1

        연구배경: 수면부족은 당 대사조절 등 체내 생리적 시스템에 영향을 주면서 비만의 유병률을 높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국내외적으로 수면시간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다룬 연구는 많이 있으나 체지방량의 분포 등 체성분과의 연관성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 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시간과 체성분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방법: 제 4기(2008∼2009)와 제 5기(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고령, 미측, 갑상샘 질환, 신부전, 임신을 제외한 총 98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성분인자로 BMI, 허리둘레, 총체지방률, 몸통체지방률, 제지방률, 몸통제지방률, 근량을 사용하였고, 수면시간에 따른 체성분 분석의 연관관계를 보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나이, 흡연, 운동, 음주 등의 교란변수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BMI, 허리둘레, 몸통체지방률, 근량에서 수면시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만 관련 위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BMI≥25 kg/㎡, 허리둘레(남자≥90 cm, 여자≥85 cm), 체지방률과 제지방률, 근량의 상위 25%값의 비율에 대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는, 남성에서만 유의한 교차비를 보였다. 남성에서 수면시간이 1시간 증가할수록 BMI 25이상의 위험은 0.89배, 허리둘레 90 cm이상 위험은 0.90배, 몸통 체지방률과 근량도 각각 0.93배, 0.89배 감소하였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의 수면시간은 체성분인자 중 BMI, 허리둘레, 몸통 체지방률, 몸통 제지방률, 근량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남성에서는 수면시간이 부족할수록 BMI 25 kg/㎡ 이상, 허리둘레 90 cm이상 될 위험이 증가하고, 몸통체지방률이 증가할 위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면부족이 몸통에 체지방량의 분포를 증가시켜 중심비만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뒷받침하며, 적절한 수면관리를 통해 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Background: Despite the large numb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linking obesity and short sleep duration, there is paucity of data carefu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sleep duration. So, through national undertak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BMI, waist circumference, and percent body fat in Korean adults. Methods: From the data of KNHANES in the year of 2008∼2010, over 19 years old 4337 men and 5543 women,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indices of body composition was examined. Anthropometric and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measures of body composition were used. Sleep duration was measured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study results reveale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most of body composition variables -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truncal fat percentage, muscle mass -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truncal lean mass percentage. In men, increasing sleep duration 1 hour, prevalence of obesity (BMI≥25 kg/㎡) is decreasing (OR=0.89, CI:0.837-0.939), risk of waist circumference over 90 cm is decreasing (OR=0.90, CI:0.851-0.966), truncal fat percentage (OR=0.93, CI:0.869-0.992) and muscle mass (OR=0.89, CI: 0.835-0.949) are also decreasing. Conclusion: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tha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obesit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body composition may be stronger in men than in women. Short sleep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truncal fat. And it supports that short sleep duration may increase prevalence of central obesity in Korean men.

      • KCI등재

        일개 상급종합병원 완화의료 병동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Objective Prognostic Score의 타당도 조사

        박희진(Hee Jin Park),최윤선(Youn Seon Choi),선미(Seon Mee Kim),정은(Jung Eun Kim),은혜(Eun Hye Kim),김이연(E Yeon Kim),조윤정(Youn Jung Cho),정원(Jeong Won Kim),오연희(Yeon Hee Oh),정지훈(Ji Hoon Jung),윤동진(Dong Jin Yo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6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7 No.2

        Background: OPS (Objective Prognostic Score) have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3-week survival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from six training hospitals in Korea based on an integrated model using symptoms, performance status, and routine blood tests for inpatients in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OPS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a tertiary hospital of Korea. Methods: 163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at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OPS was calculated from the sum of partial scores obtained from following seven significant predictors: anorexia, dyspnea,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scale, white blood cell (WBC) count, total bilirubin, creatinine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The accuracy of the OPS was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survival was 15 days (95% confidence interval 12∼18 days). The predictors that validated significant by the multivariate analysis were low performance status (HR=1.62; P=0.0295), leukocytosis (HR=1.46; P=0.0265), elevated serum bilirubin (HR=1.57; P=0.0164), elevated serum creatinine (HR=1.71; P=0.0258), and elevated serum LDH (HR=1.49; P=0.0320). The cutoff point for the prediction of survival time shorter than 3 weeks was set at 3.0 (sensitivity 82.1%, specificity 52.6%). Conclusion: OPS has been validated in this population and was useful to predict the 3-week survival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a tertiary hospital of Korea. It may help in making decisions about hospice car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정지훈,최윤선,정은,김이연,Jung, Ji Hoon,Choi, Youn Seon,Kim, Jung Eun,Kim, E Ye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3

        치료 불가능한 암환자들은 전신적 쇠약 이외에 피로와 에너지 상실, 무력감, 식욕부진 및 통증 등이 주요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들과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부신기능부전으로 인한 증상들은 가벼운 증상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신기능부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난다. 완화의료병동에 입원 중인 말기암환자들 중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 조절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은 부신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 및 비암성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대상으로 여러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마약성 진통제로 인해 부신기능의 저하가 나타났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아직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마약성 진통제로 인한 부신기능의 저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드물다.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 조절을 받고 있는 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들의 부신기능을 측정함으로써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 사용기간 및 용량과 부신기능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증치료 및 호르몬 보충 요법은 환자들의 예후 및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jor symptom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re fatigue, loss of energy, feeling of helplessness, poor appetite and pain as well as general weakness, which are very similar to symptoms of adrenal insufficiency. Adrenal insufficiency-induced symptoms widely vary from mild symptoms to life-threatening conditions and may be resulted from variable medical causes.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for palliative care, opioid agents are prescribed to control moderate to severe pain. The use of acute or chronic opioid agents is believed to negatively affect adrenal gland function. In most studies of opioid effects (preclinical/clinical with animal subjects or and patients suffering non-malignant pain, adrenal insufficiency and hormonal abnormalities were observed as side effects. However, opioid-induced adrenal insufficiency has been rarely reported in studies with patients with malignant cancer pain.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treatment period, dosage of opioid agents and hormonal abnormalities can be examined by measuring the functional level of the adrenal glands. We hope to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by indicating hormone substitution to treat symptoms of adrenal insufficiency.

      • KCI등재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Cortisol 및 DHEAS와의 관계

        정지훈,최윤선,선미,이준영,은혜,정은,김이연,박희진,윤동진,Jung, Ji Hoon,Choi, Youn Seon,Kim, Seon Mee,Lee, June Young,Kim, Eun Hye,Kim, Jung Eun,Kim, E Yeon,Park, Hee Jin,Yoon, Dong J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2

        목 적: 치료 불가능한 암환자에서는 암으로 인한 전신적 쇠약 이외에 피로와 에너지 상실, 무력감, 식욕부진 및 통증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부신 기능 부전이 있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한 점이 많다. 또한 말기암환자의 통증은 중등도 이상이기 때문에 대부분 마약성 진통제로 조절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마약성 진통제와 부신 기능 부전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3년 1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7개월 동안, 만 18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55명을 대상으로 혈장 cortisol, DHEAS 등을 측정하였다. 또한 환자의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 및 용량도 함께 조사하였고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 및 용량과 부신 기능을 대표할 수 있는 혈장 cortisol, DHEAS의 농도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Cortisol의 평균값은 $20.24{\mu}g/dL$, DHEAS의 평균값은 $44.41{\mu}g/dL$였으며, 상관 분석 결과 DHEAS와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 및 용량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관련성이 없었고, Cortisol의 경우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으나, 진통제의 사용 용량이 많을수록 Cortisol의 수치가 유의하게(P-value 0.0322) 상승되었다. 결론: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기간 및 용량에 따른 부신 기능의 저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진통제를 사용하고 있는 말기암환자들의 부신 기능을 대표할 수 있는 지표인 DHEAS 값은 대부분 정상 이하로 낮아져 있는 모습을 보였다. Purpose: Fatigue, energy loss, feeling of helplessness, poor appetite, pain besides general weakness are major symptoms presented to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These symptoms are similar to those that appeared with adrenal insufficiency. Also,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for palliative care, opioid agents are prescribed to control moderate to severe pain. We studied the relationship of opioid agents and adrenal insufficiency. Methods: From November 2013 through June 2014, we monitored the serum level of cortisol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serum) in 55 cancer patients who were over 18 years old and were treated at a hospice center. We also checked the treatment period and dosage of opioid agents. Results: The DHEAS level, treatment period and dosage of opioid agents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cortisol level and the opioid agent treatment period was not significant either, but the serum cortisol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osage of opioid agents (P value 0.0322). Conclusion: This study did not identify a novel link between treatment period, dosage of opioid agents and adrenal insufficiency. But, the DHEAS level was mostly below the normal level in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pioid agents.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신체활동상태와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정재훈(Jae Hoon Jeong),최윤선(Youn Seon Choi),선미(Seon Mee Kim),최선영(Sun Young Choi),정은(Jung Eun Kim),김이연(E Yeon Kim),은영(Eun Young Kim),이희열(Hee Yuel Lee),정지훈(Ji Hoon Jung),진로사(Rosa Ji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4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5 No.1

        연구배경: 혈중지질성분 개선을 위해 신체활동의 역할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신체활동상태와 이상지질혈증 유병율, 그리고 이상지질혈증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2010년 한국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의 데이터에 근거했다. 조사에 응한 19세 이상 전체 6740명 중, 공복상태 8시간이 안 된 647명, 무응답 355명을 제외해 총 5,738명(남자 2,480명, 여자 3,258명)을 대상으로 했다. 신체 활동 상태(Physical Activity Status)는 걷기, 중등도 신체활동, 격렬한 신체활동, 중등도 또는 격렬한 신체활동 이렇게 4개 군으로 분류했다. 다변량 로지시틱 회귀분석으로 신체 활동 상태와 이상지질혈증 연관성을 교란변수 보정 후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으로 제시했다. 결과: 본 연구에서 한국 성인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35.3%였고 평균 나이는 51세였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진 않았지만 강도와 무관한 모든 신체활동상태의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던 사람들보다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다양한 강도의 병합운동, 즉 특정 강도과 무관하게 수행한 신체 활동 종류의 총 수가 많을수록 이상지질혈증의 지표들 중 중성지방, 비 고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고밀도 콜레스테롤 비율 및 총 콜레스테롤/고밀도 콜레스테롤 비율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P<0.05).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진 않았지만 수행한 신체 활동 종류의 총 수가 많을수록 전체적으로 모든 혈중지질성분도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그리고 혼란변수 보정 후 각 신체 활동 종류에 따른 특정 이상지질혈증 지표들과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혈중지질성분 개선에 있어 신체 활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 했고, 신체 활동 중 특정 신체활동보다 신체 활동의 총 양이 더 중요하고 걷기와 같은 가벼운 신체활동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나라에서 특징적으로 많은 고 중성지질혈증에서 혈중지질성분의 개선과 그 위험성을 낮추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 준다. Background: Physical Activity Status (PA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blood lipid components.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among PAS,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and parameters of dyslipidemia among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5738 Korean adults. PAS was classified into 4 groups; walking, moderate, vigorous, and moderate-vigorous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PAS and dyslipidemia was presented in odd ratios and 95% confidential interval wit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potential confounders. Results: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dyslipidemia was 35.3% among Korean adults with the average age of 51. Despite the lack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dults performed any physical activities regardless of its type showed lower prevalence of dyslipidemia than those who did not. Increased total amount of performed PAS regardless of certain typ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creased parameters of dyslipidemia (Triglyceride, non HDL-cholesterol, TG/H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adjusting potential confounder, each level of PAS is positively involved in certain parameters of dyslipidemia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Our findings provided support for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in improving blood lipid component. In addition, our study offers insight that the total amount of physical activities is more important than their certain profiles, and light physical activities like walking will bring beneficial effects in improving blood lipid component in hypertriglyceridemia and lowering its ri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