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lationship between hot gas halo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early-type galaxies

        김은빈,최윤영,김성수,박창범,Kim, Eunbin,Choi, Yun-Young,Kim, Sungsoo S.,Park, Changbom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We present an investigation of X-ray hot gas halo in 21 early-type galaxies(ETGs) from cross-matched sample of XMM-Newton(2XMM-DR3 catalog) and SDSS DR 7(0.025 < z < 0.085 and Mr <-19.5). It has been controversial whether or not the environment affects X-ray luminosity of ETGs. In this research, we mainly considered how dense the surrounding galaxies of the target galaxy are and how isolated the target galaxy is from the nearest neighboring galaxy. It appears that the second environmental factor has more effects on X-ray luminosity (0.5-2 keV) of hot gas halo than the first one. We found that the closer a galaxy is to the nearest neighboring galaxy, the brighter it is when the galaxy is located within the neighbor galaxy's virial radius. However, when a galaxy is located outside the neighbor's virial radius, the luminosity does not show any trend. In this poster, we report preliminary results from our study.

      • KCI등재

        칭찬-격려 선호에 따른 언어적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은빈(Eunbin Kim),김정섭(Jungsub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2

        언어적 피드백으로써 칭찬과 격려는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모두 가지므로, 칭찬-격려 선호도에 따라 언어적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내재적 동기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증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적(칭찬-격려)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내재적 동기 변화에 미치는 효과가 칭찬과 격려 선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하는 3개 초등학교 5, 6학년 각 9개 학급 434명을 대상으로 칭찬·격려선호도 설문과 내재적 동기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에서 칭찬 선호도가 뚜렷한 상위 10%의 학생 40명과 격려 선호도가 뚜렷한 상위 10%의 학생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을 위한 인터뷰는 점심시간과 재량활동 시간,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10분에 걸쳐 학생 개인별로 실시하였고, 인터뷰 직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지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전·사후검사는 내재적 동기 검사였고, 내재적 동기 변화량을 이원변량분석 하였다. 그 결과 칭찬-격려 선호와 언어적 피드백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였지만, 칭찬-격려 선호가 내재적 동기 변화에 미치는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언어적 피드백이 내재적 동기 변화에 미치는 주효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칭찬을 선호하는 학생은 칭찬 피드백을 받을 때만 내재적 동기가 향상되었고, 격려를 선호하는 학생은 격려 피드백을 받을 때만 내재적 동기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칭찬-격려 선호도가 뚜렷한 초등학생에게 언어적(칭찬-격려)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는 학생의 선호도와 일치하는 언어적(칭찬-격려)피드백을 전달해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aise-encouragement preference and verbal feedback(praise-encouragement) on intrinsic motivation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as: Does praise-encouragement preference and verbal feedback have any impact on intrinsic motivation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pre-test and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to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ifth and sixth grade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one preferring to be praised(n=37) and the other preferring to be encouraged(n=37) after taking the test on clarifying praise or encouragement preference, 18 participants from the praise-preference group were praised while the other 19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Similarly, 18 participants from the encouragement-preference group were praised, while the other 19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analyze the data, Two-way ANOVA were adopted, The results showed that praise-encouragement preference and verbal feedback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enhancing intrinsic motivation, But both praise-encouragement preference and verbal feedback did not have any main effects on enhancing intrinsic motivati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who preferred for praise over encouragement increased only when they received praise feedback, not encouragement, And the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who preferred for encouragement over praise increased only when they received encouragement feedback, not prai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each student’s preference and give appropriate feedback coupled with either praise or encouragement.

      • KCI등재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

        김은빈(Eunbin Kim),허승희(Sunghee Hu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개발을 위해 경력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국내 전체 산업체 근로자 수를 기준으로 상위 10개 산업군을 선발하고 그 중에서 5인 이상 기업에 재직 중인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직의도, 경력만족,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관한 설문도구를 바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최종 50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4. Program을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최종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무직 근로자의 경력만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발달할수록 경력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경력에 만족하더라도 주도적으로 경력을 개발하려고 할 때 이직의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늘날 경력환경은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그 속에서 개인은 경력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자신의 경력에 만족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고용가능성을 개발하기 위해 개인은 조직 내부에서 자신의 직무를 확장하는 것은 물론 새로운 산업이나 직업으로 이동을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의 가치에 근거하여 주도적으로 경력을 개발하려는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함양하여 이직을 준비하고 새로운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office worker.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05 participants working at the ten different industry sector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5.0. Results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protean career attitude, and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turnover. Second, the higher office worker’ career satisfaction,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Specifically, the value-driven attitude showed a moderating effect but the self-initiated attitude didn’t show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hat the higher office worker have protean career attitude, the higher turnover intention, even if you are satisfied with carrier.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improving the personal career development as well as the employability.

      • KCI등재SCOPUS
      • 전산해석을 통한 1MW급 베벨기어가 장착된 변속유체커플링의 유동 특성 평가

        김은빈(Eunbin Kim),정승훈(SeungHun Jung),유찬욱(ChanUk Ryu)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In this study, computation fluid dynamics (CFD) was used to perform load-specific variations of shift fluid couplings equipped with 1MW bevel gear. Flow analysis each case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by the results of this data, will evaluate the structural stability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

        김은빈(Kim Eunbin),김정섭(Kim Jung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 동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부산·울산 광역시 남녀공학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21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율성지지 방식은 학생의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통제적 동기부여 방식은 외재적 동기를 향상시켰다. 둘째, 학생의 내재적 동기는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외재적 동기는 자기조절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생의 자기결정 동기는 교사의 동기부여 방식과 자기조절학습을 부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 방식이 자기조절학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결정 동기에 의해 매개되어 간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교사의 자율성지지 방식을 지지하고 자기조절 학습을 도울 수 있는 내재적 동기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teachers’ motivating style, self-regulated learning,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dopt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the mediating roles of the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21 high school students in first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ive style predicted intrinsic motivation and controlling style predicted extrinsic motivation positively. Second, in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affect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extrinsic motivation had negative affect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functioned as mediators between the perceived teachers’ autonomy supportive sty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Fourth,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functioned as mediators between the perceived teachers’ controlling style and self-regulated learning.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need to motivate students by using autonomy supportive style to increase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식사 전후의 사진 비교를 통한 스마트폰 앱의 영양소섭취량 타당도 평가

        이혜진(Hyejin Lee),김은빈(Eunbin Kim),김수현(Su Hyeon Kim),임하은(Haeun Lim),박영미(Yeong Mi Park),강준호(Joon Ho Kang),김희원(Heewon Kim),김진호(Jinho Kim),박웅양(Woong-Yang Park),박성진(Seongjin Park),김진기(Jinki Kim),양윤정(Yoon Jun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3

        본 연구는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남녀 9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앱인 Gene-Health을 이용하여 식사 기록을 통해 분석된 영양소섭취량과 동일한 날의 식사 섭취 전과 후의 사진비교를 통해 섭취량을 추정하여 분석된 영양소섭취량을 비교함으로 Gene-Health의 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ene-Health의 영양소섭취량과 사진을 통해 추정한 영양소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에너지, 탄수화물, 지방, 지방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섭취량과 단백질로부터의 에너지 섭취 비율은 Gene-Health가 높았고, 탄수화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은 사진추정군이 높았다. 둘째, Gene-Health와 사진을 통한 영양소섭취량의 상관성은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섭취량과 탄수화물 비율, 단백질 비율, 지질 비율은 모두 상관계수 0.382–0.708로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Gene-Health와 사진을 통한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섭취량과 탄수화물 비율, 단백질 비율, 지질 비율의 가중 카파 계수는 0.588–0.662로 상당히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에너지와 다량영양소, 다량영양소 섭취비율의 same agreement는 41.8%–48.0%이며 adjacent agreement는 75.5%–88.8%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Gene-Health는 에너지와 다량영양소 섭취량을 추정하기 위한 타당한 도구라고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과 여성 참가자를 확대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Gene-Health의 타당도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Gene-Health application in terms of estimating energy and macronutr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98 health adults participating in a weight-control intervention study. They recorded their diets in the Gene-Health application, took photographs before and after every meal on the same day, and uploaded them to the Gene-Health application. The amounts of foods and drinks consumed were estimated based on the photographs by trained experts, and the nutrient intakes were calculated using the CAN-Pro 5.0 program, which was named ‘Photo Estimation’. The energy and macronutrients estimated from the Gene-Health applic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a Photo Estimation. The mean differences in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between the two methods were compar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 mean energy intakes of Gene-Health and Photo Estimation were 1,937.0 kcal and 1,928.3 kcal,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akes of energy, carbohydrate, fat, and energy from fat (%) between two methods. The protein intake and energy from protein (%) of the Gene-Health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Photo Estimation. The energy from carbohydrate (%) for the Photo Estim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Health.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ighted Kappa coefficients, and adjacent agreements for energy and macronutrient intakes between the two methods ranged from 0.382 to 0.607, 0.588 to 0.649, and 79.6% to 86.7%, respectively. Conclusion: The Gene-Health application shows acceptable validity as a dietary intake assessment tool for energy and macronutrients. Further studies with female subjects and various age groups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