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재무적인 효과의 화폐가치화를 위한 IT ROI 평가 시스템 구축

        김영운,정기원,Kim, Young-Woon,Chong, Ki-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4 No.1

        IT 투자는 기업의 일반적인 투자와는 달리 직접적인 효과를 계량화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경영자가 IT에 투자 의사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 IT 투자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정보 제공자와 수혜자가 공감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 체제의 수립과 신규 IT 투자에 대한 경제적 효과에 대한 계량적인 척도 및 측정 방법을 포함한 정량적인 분석 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투자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모델들의 장점을 수용하고 단점을 보완한 IT 투자와 그 투자에서 얻어지는 IT 효과를 분석하여 투자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IT ROI 방법론을 개발하여 5개 업종 21개 기업에 적응한 결과를 반영한 IT ROI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에 의해 정보시스템이 기업의 활동에 기여하는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타당성을 확보하여 IT 투자 의사결정을 도와주고, IT 투자를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인 IT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한다. When it tomes to IT investment, it's a challenge for the management to make the right decision. Unlike investment in other business area, it's hard to measure direct cost vs. effect in IT business. To validate the investment in I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objective assessment system that both provider and beneficiary of information can accept, and it is also required to suggest an assessment tool of fixed quantity that includes measuring standards and method for the economic effect of new investment. This study, therefore, has developed IT ROI Methodology that can prove investment validity by accepting the strong points of the existing models while complementing their weak points and by analyzing IT Investment and IT Efforts. It also has built an IT ROI System that reflects the methodology which is applied to 21 companies of 5 business categories. This system is designed to provide effective and objective decision-making tool for IT investment by proving what positive impacts IT could have on business activities.

      • KCI등재

        도재라미네이트 접착용 레진시멘트의 색조 안정성에 관한 연구

        김영운,박하옥,방몽숙,양홍서,박상원,Kim, Young-Woon,Park, Ha-Ok,Vang, Mong-Sook,Yang, Hong-So,Park, Sang-W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5 No.2

        Statement of problems: Long-term success of esthetic restorations, depends on various factors, especially on color stability of the restorations. The color stability is affected by resin cements beneath the porcelain laminate veneer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color stability of resin cements by comparing with 4 different kinds of resin cements (Choice, Variolink II, Nexus 2, Rely-X). Material and methods: Porcelain laminate disk samples were luted with resin cements. After thermocycling of each 1000, 2000 and 3000 cycle, specimen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s and the color differences were. Results: 1. After thermocycling of 1000, 2000 and 3000cycle, color difference, $({\Delta}E^*)$ of all specimens were incresed, but were not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2. In the Choice of A1 shade and the Nexus 2 of A3 shade, color difference$({\Delta}E^*)$ after thermocycling of 3000cycl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an after thermocycling of 1000cycle. However, other group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3. After thermocycling of 3000cycle, color difference$({\Delta}E^*)$ between A1 shade and A3 shade of Nexus 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other groups (P<0.05). 4. The mean of color difference$({\Delta}E^*)$ is 1.0-2.06 after 3000 thermocycling and the data were ranked in the ascending order of Variolink II, Nexus 2, Choice and Rely-X in A1 shade group and Choice, Rely-X, Variolink II and Nexus 2 in A3 shade group. Conclusion: Above results revealed that, after 3000 thermocycing, the color difference $({\Delta}E^*)$ of experimental resin cements was with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s. Color stability of 4 different resin cements was comparatively excellent.

      • KCI등재

        0.18${\mu}m$ CMOS 공정을 이용한 새로운 고속 1-비트 전가산기 회로설계

        김영운,서해준,조태원,Kim, Young-Woon,Seo, Hea-Jun,Cho, Tae-Won 한국전기전자학회 2008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2 No.1

        최근 급진적으로 반도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집적회로(VLSI)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및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세서들이 개발되고 있다. 전가산기는 디지털 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전가산기 설계 시 전력소비와 스피드의 개선은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Ratioed 로직과 패스 트랜지스터 로직을 이용하여 새로운 구조의 전가산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전가산기는 일반적인 CMOS, TGA, 14T에 비해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제안된 회로는 지연시간의 경우 기존회로의 평균값에 비해 13%우수하였고 PDP(Power Delay Product)비율은 약 9% 정도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실측 회로의 크기 평가를 위해 0.18um CMOS공정으로 레이아웃을 하고 HSPICE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portable system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Full adders are important components in applications such as digital signal processors and microprocessors. Thu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ower dissipation and operating speed for designing a full adder. We propose a new adder with modified version of conventional Ratioed logic and Pass Transistor logic. The proposed adder has the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CMOS, TGA, 14T logic. The delay time is improved by 13% comparing to the average value and PDP(Power Delay Product) is improved by 9% comparing to the average value. Layouts have been carried out using a 0.18um CMOS design rule for evaluation purposes. The physical design has been evaluated using HSPICE.

      • KCI등재

        폐암환자에게 발생한 기침실신 3예

        김가영 ( Ka Young Kim ),차선아 ( Seon Ah Cha ),김영운 ( Young Woon Kim ),유효경 ( Hyo Kyeong Yu ),임예지 ( Ye Jee Lim ),류시영 ( Si Young You ),김성경 ( Sung Kyoung Kim ),김치홍 ( Chi Hong Kim ),김훈교 ( Hoon Kyo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2 No.2

        Cough syncope is characterized by the loss of consciousness occurring after vigorous coughings. There are approximately 90 reported cases of cough syncope within the medical literature. Most cases involving middle aged, overweight and chronic bronchitic male smoker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the medical literature, the mechanism and pathophysiology for cough syncope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Cough syncope is treated by correcting the underlying cause when identified, or by avoiding conditions that may cause the cough syncope. In addition, cough suppression modalities can also be used. We herein report 3 cases of cough syncope presenting in lung cancer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현행 가곡의 사설시조 가창 양상

        김영운(Kim, Young-Woon)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3 No.-

        시조는 조선 후기 한국의 문학작품 중 단형시가를 대표하는 문학 장르이다. 시조의 기본형식은 3장 6구 12음보의 형식을 갖춘 평시조로, 평시조 한 수의 노랫말은 45자 내외의 길이를 지닌다. 그러나 시조의 한 종류인 사설시조는 노랫말의 글자 수가 많이 늘어나 100여 자를 넘는 작품도 있다. 이 같은 사설시조 중에는 한문 어휘를 많이 사용하고, 심지어는 한시에서 몇몇 구절을 차용한 ‘엄숙하고 우아한 느낌’의 작품도 있으나, ‘외설스럽고 노골적인 내용’의 작품도 많이 있다. 문학작품인 시조는 가곡과 시조창이라는 성악곡의 노랫말로 사용되는데, 동일한 시조시가 가곡과 시조의 노랫말로 활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그러나 성악곡인 가곡 중에서 사설시조를 노랫말로 사용하는 악곡 중에는 ‘외설스러운 작품’은 거의 부르지 않고, ‘엄숙한 느낌’의 노래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전승되는 가곡 중에서 사설시조를 노래하는 악곡은 대부분 ‘엄숙하고 우아한 느낌’의 노랫말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외설적이고 노골적인 내용’의 사설시조를 가곡에서 노랫말로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러한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불규칙하게 늘어나는 노랫말과, 그에 따르는 반주 때문으로 보인다. 가곡은 악보에 기록되어 전하는 정해진 선율을 다수의 악기가 반주 한다. 따라서 사전에 선택된 노랫말에 따라 일정하게 만들어진 노래선율과 반주선율에 의하지 않으면 연주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문학작품의 감상은 개인적인 독서활동을 통하여 사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가곡은 다수의 인원이 열린 공간에서 공개적인 연주를 통하여 연행하는 것이다. 특히 조선 후기의 사회적 제도와 관습 속에서 신분이 다른 남녀가 함께 모여 외설스럽고 노골적인 노래를 부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 글을 통하여 사설시조의 문학적 특성으로 일컬어지던 서민적이고 통속적인 성격은 가곡으로 불려진 사설시조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Shijo (Korean poetic form) is a representative literature genre of a short poem among the literary works of Korea in the late Chosen Dynasty. The format of Sijo is Normal-Shijo in the form of 3 verses, 6 sections and 12 sound, and the lyrics of one Normal-Shijo has within or without 45 words. But Saseol-sijo, a type of Sijo, there is a work that has more than 100 letters due to the number of lyrics were a lot increased. Among those Saseol-sijo there is a work with ‘solemn and elegant feeling’ borrowing some verses even from Chinese poem, using a lot of Chinese vocabulary, but there are a lot of works with ‘salacious and explicit contents’. Literary work, Shijo, is used for lyrics of vocal music as Gagok (a genre of Korean vocal music for mixed female and male voices) and Sijochang,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same Sijo poem is used as lyrics of Gagok and Shijo. But those music that use Saseol-sijo as lyrics among Gagok, the vocal music, are mainly songs with ‘solemn feeling’ rather than ‘salacious work’.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ason why the Saseol-sijo with ‘salacious and explicit contents’ are hard to be used as lyrics in Gagok, confirming the fact that most music singing Saseol-sijo among Gagok that are being handed down till now use lyrics with ‘solemn and elegant feeling’.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ose reasons seems to be irregularly increasing lyrics, and in accordance with accompaniment. Gagok accompanys a number of instruments the fixed melody recorded and delivered in score. So it’s almost impossible to play unless it depends on the steadily made song melody and accompaniment melody according to the chosen lyrics in advanced. Also,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is usually made privately through a private reading activity, but Gagok is conducted through public performance in an open space for many people. Especially, it would have been hard to sing a salacious and explicit song gathered together with men and women of different social status in social system and custom of the late of Chosen Dynasty.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 that folksy and popular character that was praised for literary characteristic of Saseol-sijo can’t be easily found from Saseol-sijo that was called Gagok.

      • 詩唱과 時調唱의 比較 硏究

        金英云(Kim Young-Woon)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한국전통음악학 Vol.- No.6

        한시는 전통사회 지식인의 보편적인 문학 작품이었고, 시조는 일부 사대부와 중인계층 작가들에 의이 지은 한글 정형시이다. 한시와 시조는 노래로 부렸는데, 이 글은 한시를 노래하는 음악인 시창과, 시조를 SFO하는 음악인 시조창을 비교해 그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 결과 두 가지 성악곡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① 악곡의 한배(tempo)가 매우 느리다. ② 선율형은 길게 끄는 음이 많고, 일자다음(一字多音, melismatic style)의 가락이 많다. 장식음(裝飾音)과 요성(搖聲)도 즐겨 사용한다. ③ 종지형(終止形)은 도를 길게 끌다가 4도 아래인 솔로 급히 하강(下降)하여 짧게 마친다. ④ 단소나 대금 등 관악기의 수성(隨聲)가락으로 반주(伴奏)하기도 한다. ⑤ 음역(音域, range)이 한 옥타브 반 쯤 되어, 민요 보다 넓다. ⑥ 음계(音階) 구성음(構成音)이 같다. 즉 솔 라 도 레 미의 5음으로 구성된 솔선법이고, 이는 평조(平調)에 해당하며, 민요의 남부경토리와 닮았다. 반면에 시창과 시조창의 음악양식상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표 참조〉 현재 시조창은 전문 음악인들에 의하여 전승되고, 무대공연이나 음반으로 연주되고 있으나, 시창은 전승이 단절될 위기를 맞고 있다. Chinese poetry was one of the literature genres favored by the literati in traditional society. Sijo is a verse with the regular form and is written in Korean by those from either the noble class called Sadaebu or the middle class. Both texts of Chinese poetry and Sijo were put into singing. This paper compares Sichang, a singing style of Chinese poetry with Sijochang, a singing style of Sijo to find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s the common features both in Sichang and Sijochang as below. ① Tempo of both music is remarkably slow. ② Dragging notes and melismatic melody lines are often used. Ornamentations and vibratos are frequently found. ③ Both pieces end by dragging Do for a while then rapidly falling into Sol, 4th degree lower, as a short ending note. ④ Wind instruments such as Danso, Daegeum are used for accompanying the melody of the songs. ⑤ The range covers one and a half octave, wider than that of folk songs. ⑥ Both scales of Sichang and Sijochang are composed of the same notes. They are in Sol-scale with five notes; Sol-La-Do-Re-Mi falling into Pyung mode. Their tonal structure is very much similar to that of Nambugyeongtori in folk song. The differences in the musical styles of Sichang and Sijochang are as below; 〈표 참조〉 Contemporarily Sijochang is transmitted by professional musicians. While Sijochang is put on the stage or in records, Sichang is in danger of extinction.

      • KCI등재

        1913년 高宗 誕辰日 祝賀宴 樂舞 연구 : 藏書閣 所藏 『朝鮮雅樂』에 基하여

        김영운(Kim Young-Wo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장서각 Vol.0 No.18

        이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자료 인 『조선아악(朝鮮雅樂)』에 기록된 1913년 고종(高宗) 탄신일 축하연에서 연행된 악무에 관한 연구이다. 1913년 9월 8일, 덕수궁(德壽宮) 돈덕전(惇德殿)에서 거행 된 이 연향은 1912년 고종의 회갑(回甲)을 축하하기 위하여 마련되었으나, 사정으로 인하여 한 해 늦추어 거행된 것으로 보인다. 1910년의 을사늑약(乙巳勒約)으로 이미 국권(國權)을 상실한 시기에 열린 이 연향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조선시대나 대한제국 시기의 국연(國宴)과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국권상실기에 마련된 비교적 큰 규모의 왕실 연향인 고종 탄신일 축하연의 형식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 축하연에서 연행된 음악과 무용 및 그 담당층에 관하여 고찰한 다음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의 궁중연향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 을 밝혀 보았다 그 결과 1913년 고종 탄신일 축하연의 형식과 내용은 조선시대나 대한제국기의 국가적인 연향인 진연 · 진찬 등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의례 자체가 전혀 달라졌기 때문에 이들 행사에서 연행된 음악과 무용의 내용도 크게 달라졌다. 이처럼 왕실의 의례가 변화를 보이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이미 국권을 상실한 이후이기 때문에 고종에게 한 국가의 군주에 해당하는 예우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겠으나, 의례의 형식과 내용이 큰 변화를 보이는 또 하나의 요인은 왕실 의례의 서구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축하연의 준비과정에서부터 전통적인 진연이나 진찬과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였으며, 외빈이 참석하는 잔치는 서양식 연회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장소와 음식이 모두 서양식으로 준비되었고, 연회의 주악도 서양음악이었다. 대부분의 전통 악무는 '여흥(除興)'의 위치로 밀려나게 된 점은 당시 의 정치-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조선아악』의 관련기록을 통하여 당시 국가적으로 중요한 행사에서 비록 여흥의 절차에서이지만, 다양한 민간음악이 공연되었다는 사실을 통하여 이 시기 문화계의 인식 변화를 엿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music and dance performed at the royal birthday celebration banquet for King Gojong (Gojong Tansinyeon) in 1913 based on written records included in 『Joseon A-ak(朝鮮雅樂)』, a file of various documents compil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urrently housed in Jangseogak,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banquet was given on September 8, 1913 at Dandeak-jean(惇德殿), Deoksugung Palace(德壽宮). Though the 60th birthday anniversary of King Gojong reached in 1912, celebration event was delayed by one year for some reasons and conducted in 1913. The banquet was held when the Josean dynasty had lost its sovereignty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called 'Eulsal Neugyak' (a coerced treaty of Korea's annexation to Japan) in 1910 and therefore revealed much difference in many aspects from the royal banquets held during the period of Joseon or the Korean Empire. In this paper, formalities and contents of the large-scale royal celebration banquet for King Gojong's 60th birthday anniversar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in Korea was dealt with. The repertoire of music and dance and the performers for this banquet were identified. Finally, comparative study with the royal banquet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Jaseon or the Korean Empire was carried out to find differences. The results show much difference in formalities and contents between the royal celebration banquet for King Gojong's 60th birthday and a number of Jinjeon or Jinchan (national banquet of the Joseon dynasty or the Korean Empire). It can be concluded that complete reformation of royal banquets from earlier period naturally linked to great change in repertoire of music and dance performed for a banquet. The most primary background of significant change in royal ritual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royal influence of King Gojong was greatly dwindled after he had lost his sovereignty and so it was not possible to offer King Gojoing the royal privileges earlier granted to him as the king of a country. The other major reason is closely related to westernization of royal rituals. From the initial organizing processes of the banquet,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s were applied from those used for preparing Jinyeon and Jinchan. Feasts for foreign guests were held in western style. Accordingly, banquet hall and dishes were arranged in western style. So was for music and dance. It was from such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t that time that most of traditional music and dance was ousted into the position of entertainment. The related records compiled in 『Joseon A-ak』 also reveals that diverse kinds of Minganeumak (non-royal music) were performed, though as entertainment, for the events with national significance. Through this fact,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might have been some changing perspective on Minganeumak (non-royal music) among the people of cultur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