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문법” 영역 내용 제시 순서 고찰

        김억조 ( Eok Jo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통해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구체화 실태를 고찰하였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살펴본 후 구체화된 교과서 실태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성취 기준에 따른 교육 과정의 내용 제시 순서에 관해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교육과정 ‘문법’영역의 11개 성취기준이 교과서로 구체화된 순서는 각 출판사마다 달리 나타났다. 이렇게 만들어진 교과서를 활용하여 일선 현장의 교사들은 순서대로 수업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의 창제 원리와 가치는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6권에 배치하였는데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을 약간 보완하여 제시한 것으로 연구 결과 1권이나 2권 정도에 배치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음운 영역의 교육과정은 1,2권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나 이전 교육과정의 내용 등을 검토한 결과 상위 학년으로 배치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셋째, 성취기준 9와 10처럼 서로 관련이 있는 성취기준은 선·후 관계를 비교하여 구성해야 하는데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교사들이 교과서를 선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교사들이 교과서를 재구조화하여 학생을 지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또한 차후에 교과서를 편찬하는 분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about the present order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contents about Grammar. It was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2009 revised version. The textbook is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that embodies the inten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It takes an important role in the domain of education.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16 kinds of Korean textbooks last year. And. we will use first-year-student in this year. I studied the grammar domain that is a part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9 revised version in Chapter Ⅱ. Second. in chapter Ⅲ. I am researching about the contents presentation order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about Grammar. As a result. I found it was very different in every textbook. So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select very carefully the textbook for teaching students. And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t each teacher stud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9.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눈’ 관용구의 문자적 · 비유적 의미 인식 실태 연구

        김억조(Kim, Eok-Jo)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50

        이 연구의 목적은 ‘눈’ 관용구의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의 인식 실태를 살펴보는 데 있다. 신체어 ‘눈’ 관용구의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를 인식할 때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사이에는 문자적 의미 구성 과정과 비유적 의미 구성 과정에서 차이가 난다. 모국어 학습자는 언어 습득 과정에서부터 두 의미를 명확하게 구별하여 인식하지만 외국인 학습자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두 의미의 차이를 인식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론적 배경으로 2장에서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의 의미 구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구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사전에 등재된 ‘눈’ 관용구 96개 중 고빈도로 사용되는 관용구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눈을 감다, 눈(을) 뜨다, 눈에 차다, 눈을 돌리다, 눈에 띄다, 눈에 보이다’가 고빈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눈을 감다, 눈(을) 뜨다, 눈에 차다’는 기본의미 ‘눈’이 결합한 관용구이고, ‘눈을 돌리다, 눈에 띄다, 눈에 보이다’는 1차적으로 확장된 의미인 ‘시선’의 의미를 가진 ‘눈’이 결합한 관용구임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기본의미 ‘눈’ 관용구와 확장의미 ‘눈’ 관용구로 나누어 두 집단의 인식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본의미 ‘눈’ 관용구 인식에서 한국인 학생은 문자적 의미와 비유적 의미의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베트남인 학습자는 두 의미의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확장의미 ‘눈’ 관용구 인식에서는 한국인 학생과 베트남인 학습자 간 인식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literal and figurative meanings of the idiomatic phrase "eye(s)(눈)" in Korean native speakers and Vietnamese Korean learners. Recognition of the literal and figurative meanings of the idiomatic phrase for the body part "eye(s)" differs between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Vietnam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is due to the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literal meaning and figurative meaning. Since learners of their native language recognize the two meanings, clearly distinguishing them from the process of their language acquisition, while foreign learners do not, it was expect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m to recognize the difference. For this purpose, Chapter 2 investigates the processes of the semantic construction of literal meaning and figurative meaning. Chapter 3 analyzes a spoken corpus to select high frequency idiomatic phrases out of 96 idiomatic phrases with "eye(s)" included in the dictionary. It was found that “눈을 감다 (close the eyes),” “눈(을) 뜨다 (open the eyes),” “눈에 차다 (satisfy the eyes),” “눈을 돌리다 (turn one’s eyes),” “눈에 띄다 (meet the eyes),” and “눈에 보이다 (appear to the eye)” are used at high frequencies. Also, “눈을 감다 (close the eyes),” “눈(을) 뜨다 (open the eyes),” and “눈에 차다 (satisfy the eyes)” are the idiomatic phrases with which "eye(s)" in the basic meaning are combined while “눈을 돌리다 (turn one’s eyes),” “눈에 띄다 (meet the eyes),” and “눈에 보이다 (appear to the eye)” are those combined with "eye(s)" in the primarily extended meaning of "sight". Chapter 4 divides the idiomatic phrases into those with "eye(s)" in the basic meaning of ‘sight’ and those with "eye(s)" in the extended meaning of "sight"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cognition in the two groups. It was determined that for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diomatic phrases with "eye(s)" in the basic meaning of ‘sight’, Korean students clearl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teral meaning and figurative meaning while Vietnamese learners did not clearly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literal meaning and figurative meaning. Next,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idiomatic phrases with "eye(s)" in the extended meaning of "sigh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Korean students and Vietnamese learners.

      • KCI등재

        2018년 국어 새말의 의미 형성에 관한 연구

        김억조(Kim, Eok-jo) 국제언어문학회 2020 國際言語文學 Vol.- No.45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국어 새말의 의미 형성에 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지금까지 새말에 대한 연구는 생성 원인과 구성에 대한 연구나 유형을 분류한 연구로 결과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새말의 의미를 형성하는 과정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8년 새말은 은유에 기초한 새말, 환유에 기초한 새말, 개념적 혼성에 기초한 새말로 나눌 수 있었다. 은유에 기초한 새말은 형태적 은유에 기초한 새말과 내용적 은유에 기초한 새말로 나눌 수 있다. 형태적 은유에 기초한 새말은 모양이나 소리의 유사성에 근거한 것으로 나눌 수 있었고 내용적 은유에 기초한 새말은 선행어가 은유인 경우, 선행어와 후행어 간의 관계가 은유인 경우, 후행어가 은유인 경우, 선행어와 후행어가 나누어지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둘째, 환유에 기초한 새말은 형태적 환유에 기초한 새말과 내용적 환유에 기초한 새말로 나눌 수 있었다. 형태적 환유는 한 형태소나 단어의 일부가 전체 단어를 대표하는 것으로 한 단어의 어근이나 일부가 전체를 대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내용적 환유는 선행어가 환유인 경우, 선행어와 후행어의 관계가 환유인 경우, 후행어가 환유인 경우, 환유가 겹쳐 나타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개념적 은유나 개념적 환유로 설명 되지 않는 경우 개념적 혼성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도 나타났다. 이 연구는 2018년 한 해 동안 만들어진 새말의 의미 형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새말에 관한 논의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새말의 의미 형성 방식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새말 의미 형성 방식에 관한 연구를 누적하여 일상적으로 만들어지는 새말의 인지적 경향성을 분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construction of 2018 new words, from the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Among studies on new words,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most of them examined the sources or construction of new words or categorized the types of them. As such, the existing studies did not deal with the meaning construction of new words,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characteristics of new words, from the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First, 2018 new words can be categorized into metaphor-based, metonymy-based, conceptual blending-based ones. Second, metaphor-based new words can be divided into formal metaphor-based and content metaphor-based ones. Formal metaphorbased new words can be grouped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of shapes or pronunciation, while content metaphor-based new words can be grouped based on some cases: prior words are metaphor; back words are metaph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elements are metaphor. Third, metonymy-based new words can be divided into formal and content metonymy-based ones. The former is the process in which a morpheme or parts of a word represent the whole word, the case in which the root or parts of a word represents the whole world. The latter can be divided into five cases: prior words are metonymy; back words are metonym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elements is metonymy. Finally,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may be useful, if conceptual metaphor or metonymy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meaning construction of new word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examined the meaning construction of new words created in 2018, which has not been adequately discussed, though data collected during just one year were not sufficient, and an quantitative analysis could not explain metaphor"s and metonymy"s portions in constructing new words.

      • KCI등재

        초·중등 국어 `문법` 영역 성취기준의 용어 연구

        김억조 ( Kim Eok-jo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6

        이 연구는 초·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 성취기준을 통하여 `문법` 영역의 흐름과 용어 사용에 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국가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1955년 처음 제정되었으며 지금까지 열 차례 정도 개정·고시되었다. 이 중에서 `문법` 영역이 설정된 것은 4차 교육과정부터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4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4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까지 7차례 개정된 국어과 교육 과정의 `문법` 영역의 용어 변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법` 영역의 명칭은 `언어`, `국어지식`, `문법`으로 변해 왔고 `내용`의 용어도 `내용`, `학년별 내용`, `학년군별 세부 내용`, `성취기준`으로 변해 온 것을 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교육과정을 통해 `문법` 영역의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의 흐름은 비슷했으나 행위동사 사용에서 5차와 6차, 2011 개정과 2015 개정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서로 대립되는 흐름이었다. 즉, 초등학교에서는 하나의 성취기준에 하나의 행위동사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최근의 교육과정인 2011 개정과 2015 개정에서 두 개의 행위동사가 있는 겹문장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5차와 6차 교육과정에서 겹문장 형태를 사용하다가 그 이후에는 홑문장 형태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정·고시 되었는데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 `문법` 영역 성취기준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low of Korean grammar area and the use of terms throug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suggest improvements. It observed the flow of grammar education through the contents of `grammar area` of Koran language curriculum, and grammatical terms us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orean text book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1955, and has been revised and notified about 10 times. Among these, it can be said that `grammar` area was established from the 4th Educational Curriculum. Thus, the study from the 4th Educational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conducted. What was discussed in this study can be stated as follows: In Chapter 2, the study inquired into the `grammar` area system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7 times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hanges of terms.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names in `grammar` area have been changed into `language`, `Korean language knowledge`, `grammar, and the terms of `contents` have been changed into `contents`, the `contents by grade`, `detailed contents by grade cluster` and `achievement standard`. In Chapter 3,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contents of `grammar` area, the flows of the curriculum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ere similar, but the flows of the 5th and 6th Curriculums and those of 2011 and 2015 Revised Curriculum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ere in contrast in use of predicates. Namely, in elementary school, a predicate tends to be used by an achievement standard, and in recent 2011 and 2015 Revised Curriculums, two predicates were used in the form of a complex sentence with two predicates. However, in middle school, the form of a complex sentence was used in the 5th and 6th curriculums, and the form of a simple sentence has been used since then.

      • KCI등재

        사전 기술과 말뭉치의 ‘넓다/좁다’ 의미 대립 연구

        김억조(Kim Eok-jo)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3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about the neoldda[wide]/jobdda[narrow]’s description and the meaning opposite aspect in the dictionaries and corpus data. First I looked at eight great korean dictionaries. I found that All dictionaries about neoldda[wide] were a linear structure, and that six dictionaries about jobdda[narrow] were a linear structure and two dictoinaries were a a hierarchical structure. The neoldda[wide] has 6 meanings in the dictionary, and jobdda[narrow] has 6 meanings in the dictionary, too. But it dosen’t have an opposite description. The jobdda[narrow] used with teom[gap] or kumeong[hole]. The neoldda[wide] dosen’t used with teom[gap] or kumeong[hole]. Therefore I suggest that meaning description of antonym must be bilateral symmetry. So I suggest that fixing the meaning structure. And I looked at Sejong corpus data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 made two lists. One was a word list with neoldda[wide]. Another was a word list with jobdda[narrow]. And then I extracted common words in two different lists. It shows that neoldda[wide]/jobdda[narrow] aren’t pairs of antonyms.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dictionary, too. So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describe the antonym description of neoldda[wide] and jobdda [narrow]

      • KCI등재

        열두 띠 동물 비유의 부각 양상 연구

        김억조(Kim, Eok-Jo) 한국어문학회 2021 語文學 Vol.- No.153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람을 열두 띠 동물에 비유한 표현에 나타나는 부각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일상 언어 생활에서 사람의 다양한 속성과 상태, 감정과 심리, 그리고 경험과 행위 등을 동물에 비유하여 표현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상 언어에서 사람을 열두 띠 동물에 비유한 표현에 나타나는 부각 양상을 외형, 행위, 능력, 성품, 상태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동물 비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대부분 속담이나 관용표현을 자료로 한 연구이거나 한국어와 다른 언어를 대조한 연구 등으로, 한국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한 일상 언어 대상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열두 띠 동물 비유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만큼 한국어 말뭉치에서 얼마나,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동일한 동물이라 하더라도 외형, 행위, 능력, 성품, 상태를 비유하는 것이 달리 나타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hiding and highlighting in the expressions that compare humans to twelve zodiac animals. In daily language life, various attributes and states, emotions and psychological states, and experiences and behaviors of humans are expressed in comparison to animals.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highlighting in the expressions that compare humans to twelve zodiac animals in everyday life, dividing them into the aspects of appearance, behavior, ability, character, and state. A lot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igure of speech of animals, but most of them used proverbs or idioms as materials or contrasted the Korean language to other languages, and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aily language with Korean corpus. Since the figure of speech of twelve zodiac animals is often used in daily lif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much and in what way it is used in the Korean corpus.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und that the figure of speech of appearance, behavior, ability, character, and state differ even for the same animal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사자성어 선정과 제시 방안

        김억조 ( Kim Eok-jo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79

        이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어 학습자는 외국인이기 때문에 언어 직관이 모국어 화자와 다르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는 주로 성인 학습자이기 때문에 습득의 관점이 아닌 학습의 관점에서 교재가 구성되고 교육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존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목록 선정과 교육 현황은 뚜렷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목록 선정과 제시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재의 사자성어 목록과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재마다 제시된 사자성어 목록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용 사자성어 목록이 통일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른 제시 방안이 필요하다. 그래서 3장에서는 말뭉치에서 사자성어 빈도를 추출하여 사자성어 목록 선정에 관해 논의하고 공기관계를 파악하여 교육용 사자성어 제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교재 편찬이나 한국어 학습자 사자성어 교육 방안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ur character idiom and educational state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it.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re usually foreigners, and for that reason their linguistic intui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native speakers. Since they are often adult learner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extbooks and establish educational measures not from the perspective of acquisition, but from that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 education of the four character idioms is also confronted with the similar condition: the existing lists of four character idioms are markedly varied depending o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at the selection of the four character idiom lists, and educational improvements are significant to the Korean language 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four character idiom educational state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pter 2 examined the four character idiom lists and the educational state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It verified that the four character idiom lists and the educational measures, suggested by each textbook are prominently varied. Hence,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selection of the four character idioms and educational measures in the field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3 discussed the selection of the four character idioms by abstracting the frequency of the four character idioms from a corpus, and suggested the educational measures b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occurrence. The findings may contribute to edi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stablishing additional updated educational measures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necessary four character idioms.

      • KCI등재

        인지언어학에 기초한 2017년 신어의 의미 구성 연구

        김억조(Kim Eok-j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4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에 기초하여 신어 합성어의 의미 구성과 해석에 관해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신어에 대한 연구는 조어론적 관점이나 통사론적 관점에서 주로 어종에 따른 분류를 하거나 합성과 파생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인지언어학의 기본 입장에 비추어 보면 언어표현의 의미는 언어 단위 자체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사용자의 정신 속에서 구성된다. 신어 합성어의 의미도 구성요소의 개별 의미와 그 합으로부터 결정되지 않으며 인지 과정에서 구성되고 해석된다. 이 연구는 신어 합성어의 구성에 대한 분석이 의미 특히,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신어의 의미 해석기제로 은유와 환유, 개념적 혼성을 통해 신어 합성어를 분석하였다. 은유는 추상적인 개념 영역(목표영역(target domain))을 다른 구체적인 개념 영역(근원영역(source domain))을 통해서 이해하는 것이다. 은유에 기초한 신어는 선행어가 은유인 신어, 선행어와 후행어 간의 관계가 은유인 신어, 후행어가 은유인 신어, 전체가 은유인 신어롤 나눌 수 있었다. 환유는 매체라는 한 개념적 실체가 동일한 이상적 인지모형 내에서 목표라는 또 다른 개념적 실체에 정신적 접근을 제공하는 인지 과정으로 환유는 형식적 환유와 내용적 환유로 나눌 수 있었다. 형식적 환유는 한 형태소나 단어의 일부가 전체 단어를 대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 단어의 어근이나 일부가 합성어의 전체를 대표하는 경우인데 그 예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내용적 환유는(내용적 환유를 기반으로 신어들은) 선행어가 환유인 신어, 후행어가 환유인 신어, 전체가 환유인 신어, 두 구성소의 관계가 환유인 신어로 나눌 수 있다. 은유나 환유만으로는 신어에 나타나는 의미 구성이나 해석이 되지 않는 것은 개념적 혼성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은유와 환유, 개념적 혼성이 신어 구성과 해석의 핵심 기제로 작동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ewly-coined compounds’ meaning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Previous studies on new words have often categorized word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word formation or have otherwise taken a syntactic view, with a focus on synthesis and derivation. In light of cognitive linguistics’ fundamental position, linguistic expressions’ meanings are not embedded in linguistic units themselves, but rather in language users’ minds. Moreover, the meanings of newly-coined compounds are not determined by their components’ individual meanings or the compounds’ conjunction; rather they are constructed and interpreted during cognitive processes, suggesting that their construction can be analyzed based on meanings, especially from the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which analyzes newly-coined compounds through metaphor, metonymy, and conceptual mixture, as the mechanisms of semantic interpretation. The metaphor facilitates understanding abstract concept (target) domains through other specific concept (source) domains. Metaphor-based newly-coined words can be divided into those with metaphor antecedents, those in which the antecedent-consequent relationship is characterized by metaphor, those in which the consequents are metaphors, and those in which both the antecedents and the consequents are metaphors, respectively. The metonymy, which is a cognitive process in which the conceptual substance of media provides mental access to another of the objectives within the same ideal cognitive model, can be either a formative or a content metonymy. The former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a morpheme or a part of a word represents the whole word, and the root or another part of a word represents a whole compound. There are a variety of examples for this. Based on the latter, newly-coined words can be divided into those with metonymy antecedents, those with metonymy consequents; those in which the antecedent-consequent relationship is characterized by metonymy, and those in which both the antecedents and the consequents are metonymy, respectively. The conceptual mixture theory cannot account for why the meaning construction or interpretation of newly-coined words cannot be completed with only metaphor or metonym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etaphor, metonymy, and conceptual mixture act as core mechanisms for the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of newly-coined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