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선천성 기형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다기관 공동연구

        김암 ( Ahm Kim ),김소라 ( So Ra Kim ),양순하 ( Soon Ha Yang ),한정열 ( Jung Yeol Han ),김문영 ( Moon Young Kim ),양재혁 ( Jae Hyug Yang ),조용균 ( Yong Kun Cho ),김성수 ( Sung Soo Kim ),윤보현 ( Bo Hyun Yoon ),고경심 ( Kyung S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1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선천성 기형의 기초 발생률 산출을 위한 다기관 선천성 기형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자 1999년에 시작되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선천성 기형의 발생 추이와 양상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삼성제일병원, 상계백병원 및 봄빛병원 등 6개 병원이 참가하였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전체 65,563건의 분만 중, 1,143건의 선천성 기형사례를 확인하고 해당 기형산모에 대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establish a birth defects monitoring system in Korea by multi-center study. This novel study was initiated in 1999, and extended to detect the frequencies and trends of birth defects in Korea. Methods: Six centers participat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상 자궁 동맥 Doppler 파형을 보이는 자궁내 성장지연 임신에서 양수내 Nitric Oxide 및 제대혈액 내 태아 성장인자의 농도 측정

        김소라 ( So Ra Kim ),김종수 ( Jong Soo Kim ),정지윤 ( Ji Youn Chung ),원혜성 ( Hye Sung Won ),이필량 ( Pil Ryang Lee ),이인식 ( In Sik Lee ),김암 ( Ahm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2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3 No.2

        목적:정상자궁동맥 Doppler 파형을 보이는 자궁내 성장지연 임신에서 양수 내 nitric oxide(NO) 농도 및 제대혈액 내 태아 성장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1999년 7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임신 32주에서 40주 사이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초음파상 측정을 통해 추정 태아 체중이 10 percentile 미만인 경우를 자궁내 성장지연으로 정의하고 연구대상군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중 태반부전으로 인한 자궁내 성장지연을 배제하기 위하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정상자궁태반 혈류를 보이는 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대조군은 추정 태아 체중 25 percentile 이상인 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에는 각각 18명 씩의 산모들이 포함되었고, 이들의 양수 내 NO의 값과 제대혈 내 IGF-Ⅰ, IGFBP-1, cortisol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NO는 자궁내 성장지연군에서 대조군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나 두군간의 통계적인 의의는 없었다(p=0.14). 자궁내 성장지연을 보인 태아에서는 태아 성장에 관여하는 IGF-Ⅰ 값이 정상임신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고, cortisol과 IGF-Ⅰ의 bioavailability를 조절하는 IGFBP-1의 경우 자궁내 성장지연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본 연구의 결과, 자궁동맥이 정상 Doppler 파형을 보이는 자궁내 성장지연의 경우, 양수 내 NO의 값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제대혈 내 태아성장인자들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IUGR 환아의 예후 및 처치에 대한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Our purpose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mniotic fluid nitric oxide(NO) and fetal blood IGF-I, IGFBP-1, and cortisol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IUGR), but showing normal uterine artery doppler waveform. Methods:From July 1999 to March 2000, 18 pregnant women with IUGR and 18 normal pregnancies were studied. Both group showed normal uterine artery doppler waveform. Amniotic fluid samples were collected to measure NO, and fet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umbilical vein to measure fetal growth factors. The definition used to identify cases of IUGR depended on three criteria: clinical evidence of suboptimal growth, ultrasonographic evidence of deviation from an appropriate growth percentile, and individualized birth weight ratios <10th percentile. Results:Overall median NO values in amniotic fluid were lower in IUGRs than in control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IUGR newborns showed significantly lower(p<0.05) concentrations of IGF-I, and greater(p<0.05) concentrations of IGFBP-1 and cortisol than did controls. Conclusion:These result suggest that cord blood IGF-I, IGFBP-1, and cortisol, but not amniotic fluid NO may act major regulating factor in idiopathic IUGR without placental insufficiency.

      • KCI등재

        한국 선천성 태아기형 발생양상에 관한 다기관 공동연구

        고경심(Kyung Sim Koh),김암(Ahm Kim),양순하(Soon Ha Yang),한정열(Jung Yeol Han),김은성(Eun Sung Kim),김문영(Moon Young Kim),양재혁(Jae Hyung Yang),박교훈(Kyo Hoon Park),김성수(Sung Soo Kim),윤보현(Bo Hyun Yoo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9

        N/A Objective : Our aim was to establish a multi-center birth defects monitoring system for evaluating the prevalence and serial occurrence of birth defects in Korea. Methods : Seven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monitoring system. Trained nurses actively collected the 42,015 delivery records obtained from delivery units and pediatric clinics in the participating hospitals every month. Results : We observed 722 birth defects among 42,015 births including live births and stillbirths. The prevalence of birth defect was 1.7%. About one thirds of birth defects were terminated. The most frequent congenital anomalies were cleft lip and Down syndrome. The highest proportion of birth defects was 20.1% in urogenital system. The proportion of birth defects in cardiovascular system and gastrointestinal system were 17.1% and 14.1% respectively. Chromosomal anomalies and genetic syndromes represent 13.4% and 3.3% among birth defects respectively. Among chromosomal anomalies Down syndrome was at the first rank. Conclusion : We could establish multi-center active monitoring system for birth defects successfully. To check serial occurrence of birth defec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articipating hospitals and to launch the nationwide multi-center study.

      • KCI등재

        중증 자간전증을 예측하기 위한 임신 중기 양수내 8 - isoprostane 농도 측정의 효용성

        김소라(So Ra Kim),이필량(Pil Ryang Lee),구본상(Bon Sang Koo),김종수(Jong Soo Kim),정지윤(Ji Youn Chung),원혜성(Hye Sung Won),김암(Ahm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0

        목적 : 자간전증 산모에서 어느 특정물질을 측정하여 자간전증의 임상증상이 발생되기 전에 미리 예측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까지의 대개의 연구들이 횡단적 연구 단계일 뿐 아니라, 측정상의 어려움들로 인하여 보고자에 따라 그 민감도와 특이도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8-isoprostane은 지질 과산화반응의 산물로 생체 내 대부분의 체액에서 검출될 뿐 아니라, 화학적으로 상당히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최근 체내 산화적 긴장을 정량화 할 수 있는 특이적이고 신뢰할 만한 지표로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신 중기 양수 내 8-isoprostane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후 중증 자간전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임신 중기에 양수 천자를 시행한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이후 정상 임신경과를 보인 산모 22예와 중증 자간전증으로 진행된 산모 22예에서 EIA방법을 이용하여 8-isoprostane의 농도를 측정하는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임신 20주 이후에 중증 자간전증으로 내원한 22예에서 양수 천자를 시행하여 8-isoprostan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여러 비모수적 검정 방법들과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분석법을 적절히 이용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 각 대상군 별 임상적 특성은 연령이나 출산력 및 분만 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신 중기 양수 천자를 시행한 두 군을 비교하였을 때, 양수 천자를 시행한 적응증과 당시의 재태연령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후 중증 자간전증으로 진행된 군에서 정상 임신 경과를 보인 군에 비해 조기분만의 빈도와 저체중아의 동반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8-isoprostane의 농도는 중증 자간전증의 증상이 나타난 이후 양수 내에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으며 (p<0.05), 임신 중기 양수 내에서도 이후 자간전증으로 진행된 군에서 정상 임신 경과를 보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 (p<0.05). 저체중아를 분만한 중증 자간전증 산모의 양수 내 8-isoprostane의 농도는 정상 체중아를 분만한 중증 자간전증 산모에서보다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으나 (p<0.05), 이후 중증 자간전증으로 진행된 임신 중기 양수 내 8-isoprostane의 농도는 저체중아 분만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후 중증 자간전증으로의 진행을 예측하기 위한 임신 중기 양수 내 8-isoprostane의 농도는 170 pg/ml에서 72.7%의 민감도와 63.6%의 특이도를 보였다. 결론 : 임신 중기 양수 내 8-isoprostane의 농도는 이후 중증 자간전증으로의 진행여부를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양수 내에서 8-isoprostane의 농도를 최초로 측정하였으며, 자간전증을 예측하기 위한 8-isoprostane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중증 자간전증 산모에서 태반이나 혈액 내 8-isoprostane의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는 기존의 보고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양수 내 8-isoprostane의 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자간전증 산모에서의 8-isoprostane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mniotic fluid 8-isoprostane levels at the time of genetic amniocentesis is a marker for severe preeclampsia. Methods :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mid-trimester concentrations of amniotic fluid 8-isoprostane in women with normal pregnancies (n=22) and in those who subsequently developed severe preeclampsia (n=22). Amniotic fluid was also obtained by amniocentesis from another women who already developed severe preeclampsia (n=22) after 20 weeks of gestation. The 8-isoprostane levels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assay. For statistical analysis, nonparametric tests and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were used where appropriat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sidered when probability was <0.05. Results : The levels of midtrimester amniotic fluid 8-isoprostan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women who subsequently developed severe preeclampsia in comparison with those who underwent normal pregnancies (p<0.05). The levels of 8-isoprostane in preeclamptic amniotic flui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respect to that in midtrimester amniotic fluid (p<0.05).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midtrimester amniotic fluid 8-isoprostane levels and preeclampsia with small-forgestational-age. After the onset of severe preeclampsia, however, the amniotic fluid 8-isoprostan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women with small-for-gestational-age. The midtrimester amniotic fluid 8-isoprostane level of 170 pg/ml had a sensitivity of 72.7% and a specificity of 63.6% in the prediction of severe preeclampsia. Conclusion : The midtrimester amniotic fluid 8-isoprostane levels may predict the later occurrence of severe preeclampsia. This study not only presents a new information that 8-isoprostane is detected in human amniotic fluid, but also provides a convincing evidence that a subclinical process from faulty placentation in early gestation is important for the occurrence of preeclampsia.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determine which mechanism causes such decrease in amniotic fluid 8-isoprostane in preeclampsia.

      • KCI등재

        융모막 융모채취술의 임상적 분석

        김지선 ( Ji Sun Kim ),원혜성 ( Hye Sung Won ),백수진 ( Su Jin Baek ),최은선 ( Eun Sun Choi ),심재윤 ( Jae Yoon Shim ),김성훈 ( Sung Hoon Kim ),김정훈 ( Jung Hoon Kim ),이필량 ( Pil Ryang Lee ),김암 ( Ahm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아산병원에서의 8년간 융모막 융모채취술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술의 적응증과 적응증에 따른 염색체 이상의 양성예측율을 알아보고, 시술 성공률과 배양 성공율을 분석하고, 시술에 따른 태아 손실의 위험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배양실패의 위험인자들을 찾아내고 경복식과 경질식의 시술방법에 따른 임상적 효용성 및 안전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융모막 융모채취술에 의해 산전 세포유전학적 검사가 이루어진 총 461예 중 429명의 임신부들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1) 융모막 융모채취술의 적응증은 태아 목덜미 투명대의 증가 등 비정상 초음파 소견을 보인 경우와 이전에 염색체나 유전자 이상이 있는 아이를 분만한 기왕력이 있는 경우가 각각 153예(35.7%)와 125예(29.1%)로 가장 많았고, 고령 산모의 경우가 100예(23.3%), 친척 중에 유전 질환이 있는 경우가 22예(5.1%), 부모가 염색체 이상이 있는 경우가 11예(2.6%)였다. (2) 융모막 융모채취술의 적응증에 따른 염색체이상의 양성 예측률은 태아 목덜미 투명대 증가를 포함한 비정상 초음파 소견을 보인 경우에서 28.3%로 가장 높은 양성 예측률을 보였다. (3) 시술 성공율은 429예 중 427예에서 성공적인 융모막 융모채취술이 이루어져 99.5%를 나타내었다. 검체 채취에 성공한 427예 중 8예에서 세포배양에 실패하여 배양 실패율은 1.9%를 보였다. (4) 검체 채취에 성공한 총 427예 중 349예 (81.7%)에서 정상 염색체 핵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66예(15.2%)에서 비정상 염색체 핵형이 확인되었고, 모체세포오염이 6예(1.4%), 가성모자이시즘 및 Confined placental mosaicism (CPM)의 결과가 6예(1.4%)에서 나타났다. (5)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 중 태아 손실률(fetal loss rate)은 1.6% (7/419)였다. (6) 시술에 따른 태아 손실의 위험인자로는 시술 전 질 출혈의 주소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7) 배양 실패의 위험인자로는 채취된 조직의 양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8) 경복식과 경질식의 시행 방법에 따른 비교에서는 시술 시 재태 연령이 경질식에서 의미있게 짧았으며, 태반의 위치가 자궁 기저부에 있었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경복식에서 많았다. 결론: 융모막 융모채취술을 이용한 태아 염색체 검사법은 숙련된 시술자와 양질의 유전학 검사실에 의해 시행될 경우, 매우 안전하고 진단에 신뢰성이 있는 염색체 이상 및 유전질환을 진단하는 유용한 시술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evaluate the indications of chorionic villus sampling CVS and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for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 2)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CVS at Asan Medical Center, 3) to find out the risk factors of procedure-related fetal loss, 4) to find out the risk factors of culture failure, and 5) to compare transabdominal with transvaginal approaches. Methods: Medical records of the 429 out of 461 patients in whom the CVS for prenatal cytogenetic diagnosis were performed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the period of June 1998 to June 2006. Results: (1) The most common indications of CVS were abnormal ultrasonic findings including increased nuchal translucency (153/429, 35.7%), a previous history of cytogenetically abnormal baby (125/429, 29.1%), old maternal age (100/429, 23.3%), family history of genetic disease (22/429, 5.1%), and parental abnormal karyotype (11/429, 2.6%). (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abnormal karyotyping according to the indication of CVS was highest in the cases showing abnormal USG findings, including increased fetal nuchal translucency (28.3%). (3) The trial success rate of CVS was 99.5%(427/429). Culture failure rate was 1.9%. (4) Of the 427 cases, normal karyotype was revealed in 349 cases (81.7%), abnormal karyotype in 66 cases (15.2%), maternal cell contamination in 6 cases (1.4%), and pseudomosaicism and confined placental mosaicism (CPM) in 6 cases (1.4%). (5) Procedure-related fetal loss rate was 1.6% (7/419). (6) The significant risk factor of fetal loss was presence of preprocedure vaginal bleeding. (7) The significant risk factor of culture failure was a small amount (less than 10 mg) of tissue. (8) The gestational age at proced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ansabdominal and transvaginal methods. In the transabdominal approach group, the incidence of fundal location of placenta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Conclusion: If CVS is performed by an expert operator and at a good quality of genetic laboratory, CVS is a very safe and reliable procedure for prenatal genetic diagnosis.

      • KCI등재
      • KCI등재

        태아간 체중 차이가 큰 쌍태 임신의 주산기 예후

        김금재(Keum Jae Kim),김미경(Mi Kyung Kim),유혜경(Hye Kyung Yoo),오혜은(Hye Eun Oh),원혜성(Hye Sung Won),이필량(Pil Ryang Lee),이인식(In Sik Lee),김암(Ahm Kim),남주현(Joo Hyun Na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체중 불일치가 불량한 주산기 예후의 위험 예측 인자가 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출생시 임신 주수가 28주 이상이었던 쌍태 임신 375 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는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쌍태아간 체중 불일치 정도에 따라 2 군으로 분류하였다.(I 군: 25% 미만, II 군:25% 이상) 쌍태아간 체중 불일치의 정도는 (큰 쌍태아의 체중 - 작은 쌍태아의 체중)/큰 쌍태아의 체중 x 100(%) 으로 계산하였다. 2 군간의 주산기 및 신생아 예후를 비교하였으며 II 군에서는 체중이 큰 신생아와 작은 신생아를 서로 비교하였다. 체중 불일치가 불량한 주산기 예후의 독립 변수가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이 시행되었다. 결과: 37 예의 쌍태 임신이 II 군으로 분류 되었으며 II 군은 의미있게 전자간증, 전치 태반 그리고 저출생 체중아의 발생 빈도가 높았다.(각각 p<0.01, p<0.05, p<0.001) 신생아 호흡부전 증후군, 폐렴, 기관지폐 이형성증, 동맥관 개존증, 뇌실내 출혈, 조산아 망막병증, 괴사성 장염, 패혈증 및 선천성 기형의 빈도와 신생아 사망률이 p<0.01로 II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II 군중에서 체중이 큰 신생아와 작은 신생아의 비교에서는 저출생 체중아의 발생 빈도(p<0.005)를 제외하고는 의미 있게 다른 결과는 없었다. 그러나 체중 불일치는 불량한 주산기 에후를 예측하는 독립 변수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25 % 이상의 체중 불일치는 쌍태 임신에서 불량한 주산기 예후의 위험 인자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태아 체중 불일치의 소견 그 자체가 독립적으로 임신 예후를 결정해 주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twin discordancy is a risk factor for adverse perinatal and neonatal outcomes. Methods: Three hundred and seventy-five twin gestations over 28 weeks of gestation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Medical records of mothers and infants were reviewed. Pregnanci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birth weight discordancy(%) between twin neonates(group I;less than 25%, group II;25% or more). Birth weight discordancy was calculated from following formula; (birth weight of larger twin-birth weight of smaller twin)/ birth weight of larger twin x 100. Perinatal and neonatal outcomes in group I and II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lso, difference in the outcomes between the smaller and larger twins of group II was evaluated. To evaluate whether birth weight discordancy is an independent variable in predicting poor perinatal and neonatal outcom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Results: Thirty-seven gestations(9.9%) were documented to belong to group II. Group II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preeclampsia, placenta previa, and small for gestational age infants(p<0.01, p<0.05 and p<0.001, respectively). The group also showed higher incidence of adverse neonatal outcomes(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neumonia, bronchopulmonary dysplasia, patent ductus arteriosu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retinopathy of prematurity, necrotizing enterocolitis, sepsis, congenital anomaly, neonatal death, p<0.01). Outcomes of the larger and smaller twins of group I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each other except small for gestational age infants(p<0.005). However, birth weight discordancy was not an independent variable in predicting adverse perinatal and neonatal outcomes. Conclusion: Fetal growth discordancy of 25% or more should be regarded as a risk factor for adverse perinatal and neonatal outcomes in twin gestations. However it is not an independent factor in predicting adverse perinatal and neonatal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