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친환경건축의 매개공간에 있어서 공간체험에 관한 연구

        김선직 ( Sun Jick Kim ),도규환 ( Kyu Hwan Do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2011 地域社會開發硏究 Vol.36 No.1

        건축공간에서 인간은 생활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체험·경험을 한다. 이 공간은 3차원적으로 구성된 공간으로 4차원적인 시간 개념과 함께 이동에 따른 연속적인 경험을 통해 인간은 극적인 공간감을 체험한다. 특히 이 체험은 도시와 건물, 인간의 접하는 매개공간에서 아주 활성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본 개념에 따라 매개공간에서 보이는 친환경 설계 사례를 들고 이곳에서 표현되는 공간성의 심리적 요소의 변화와 건축물에 사용된 수법, 공간성 요소의 관계를 파악, 공간성 변화를 일으키는 주된 논제에 대한 분석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다. The architectural space is the involuntary place where man lives and experiences, and as a 3 dimensional space through the continuous experience with the concept of 4th dimension of time, it provides the observers with the dramatic space imagery. These kinds of space experiences are experienced mentally and perceptively through the physical elements of inner and outer space. There is a possibility of seeing 16 kind types of the places. These changing processes of inner and outer space, space versus space, and unit space, are perceived by the observer. It``s way to help in architectural design and wishes.

      • 도심 밀집시가지에서 마을 만들기 수법적용에 관한 제안 -인천시 동구 만석동(아카시아 촌)을 사례로-

        김선직 ( Sun Jick Kim ),신창훈 ( Chang Hoon Shin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2011 地域社會開發硏究 Vol.36 No.2

        밀집시가지는 오래된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가 좁으며, 공원도 부족하여 방재 측면과 주거 환경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법적인 규칙을 동반하지 않은 지구에서는 지구전체에 정비개선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밀집시가지의 정비개선은 주민·전문가·행정의 협동과 참여의 지침이 되는 마을 만들기의 수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밀집시가지에서 거주자가 풍요로운 생활을 하고, 커뮤니티를 유지 향상 시키는 마을 만들기 수법으로 소규모의 지속적인 계획적 방법론에 대해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아카사키 촌을 대상으로 마을 만들기 수법 적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built-up areas crowded with old housing lots have many problems in the aspect of disaster protec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uch as narrow roads and insufficient parks. Out of these massed areas some districts prove fruitfulness in improvement and strengthening urban infrastructure by means of land replotting or residential redevelopment, while it takes longer time to be effective in the districts not prescribed by law, With regard to this situation there are needs for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Planning method to advance by easy stages of betterment and to build a livable place where the inhabitants including the aged live with a sense of relief and security. The method is also anticipated to be guidelines for the participation and governance of residents, professionals, and administrations. This study aims to seek a better application of the Community Planning to Akasaki village in Inchon-city as the sustainable and systematic ways to affluent life and desirable community on a small scale.

      • 마을 만들기 연구의 정량적 접근에 관한 소고 - 마을 만들기 사업규모와 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동윤,김선직,강래천,Kim, Dong-Yoon,Kim, Sun-Jick,Kang, Rae-Cheon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2011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Vol.11 No.2

        Skeptical responses to urban design based on the Physical Planning theory assuming the existence of social agreement and the absolute authorities of planners bring about alternatives such as Participatory Planning and Community Design derived from Harbermas' Communicative Rationality. But the normative contentions do not progress any more to the stage of presenting practical strategies. This is the cause why there should be systematic approaches to reveal the relationships among various concepts or variables. With regard to the Community Design this study intends to take a statistical approach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project scale and its accomplishment. The hypothesis that the smaller scale of project begets the better outcomes was tested to be reje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variance. But the result also shows that appropriate density in relatively large area makes residents' expected satisfaction high. Although this discovery has its own meaning the tryout is anticipated to laying the cornerstone of quantitative analyses in the following studies.

      • 마을 만들기의 계량적 접근에 관한 연구 -안양시 주민자치센터 활용 용도에 따른 주민의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신창훈 ( Chang Hoon Shin ),김선직 ( Sun Jick Kim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2013 地域社會開發硏究 Vol.38 No.2

        마을 만들기가 활발히 진전되어감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측면에서는 정책의 타당성 및 효율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측면에서는 참여의 적극성 및 사업에 대한 만족도 등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인식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마을 만들기 연구에 대한 정량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그 가능성과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민들의 마을 만들기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주민의「자치센터 활용」에 대한 의견을 정량적으로 접근하여 검토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기반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현재 상태에서 획득 가능한 또는 가공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정량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마을 만들기 연구의 새로운 단계로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민자치센터의 활용에 따른 주민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정성적 연구와 병행한 정량적 접근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 방향을 모색할 수 있으며 실천적 전략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Analysing regulations on the Community Building in the literature to propose a practical system for the rules is an important focus of attention of this study. A new paradigm of Community Design in the areas such as policies, planning and administration in cities has become a central subject of local governments. From now on they have to concentrate on the municipal ordinance including practical acts, for example, on the citizens` cooperation and their self-administration in the process of the Community Building to be feasible and to be nation-wide campaign. The distinction of this study follows a comparative review of various researches in the field, and a content study of regulations in Korea and Japan leads to finding of the essential composition which should be a framework for the feasible ordinance.

      • 한국과 일본의 마을만들기 관련조례 분석연구

        신창훈 ( Chang Hoon Shin ),김선직 ( Sun Jick Kim )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구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2013 地域社會開發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원활한 마을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일환으로 “마을만들기 관련조례”를 분석하여 각 지역의 마을만들기 관련조례 구축 시에 조례의 체계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마을만들기가 도시정책, 도시계획, 도시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지자체의 중심과제로서 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시민운동으로 확대 발전할 수 있도록 도시계획차원에서 각 지역에서 조례를 구축하는 것이며,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필요사항을 규정하고 주민의 협동과 단결을 통하여 주민자치기능을 강화하며 마을만들기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사항을 분석하여 주민이 참여하는 마을만들기를 활성화하여 지역주민의 생활 및 거주환경을 개선하고자 함이다. 연구의 범위는 일차적으로 선행 연구된 논문들을 분석하고,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하고 한국과 일본의 마을만들기 관련조례의 분석을 통한 관련조례의 구성 등을 분석한다. 연구의 방법은 마을만들기 조례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보고서, 저서, 외국번역서, 논문, 사례집, 발표자료 등 다양한 문헌들을 수집하고 조사,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기관에서 수시로 개최한 토론회, 포럼, 세미나, 심포지엄 등에서 발표한 자료도 수집하여 분석하여 결론을 유도하였다. Analysing regulations on the Community Planning in the literature to propose a practical system for the rules is an important focus of attention of this study. A new paradigm of Community Planning in the areas such as policies, planning and administration in cities has become a central subject of local governments. From now on they have to concentrate on the municipal ordinance including practical acts, for example, on the citizens` cooperation and their self-administration in the process of the Community Planning to be feasible and to be nation-wide campaign. The distinction of this study follows a comparative review of various researches in the field, and a content study of regulations in Korea and Japan leads to finding of the essential composition which should be a framework for the feasible ordi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