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상복합 건물에서 열교환기 적용에 따른 실내공기질 개선 및 에너지 절약효과 분석

        김상민(Sangmin Kim),김수영(Sooyoung Kim) 한국생활환경학회 2009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6 No.3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a heat recovery ventilator (HRV) on energy saving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IAQ) in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Fiel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actual residential units of apartment complex during summer, and computer sim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measurement data and standard weather data in Korea. Results indicate that the HRV was an effective contributor to improving IAQ with necessary ventilation rates and efficient energy savings. Validation between computer simulation and measurement results was acceptable under a lower significance level. Predicted and measured energy consumption for an entire year indicates that HRV effectively contributed to saving energy in winte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outdoor and exhausted ai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RV would be effectively applied in winter than summer when sensible heat is primarily exchanged in the HRV.

      • 확장된 Hierarchical Task Analysis 를 적용한 가전제품 접근성 평가 방법론

        김상민(Sangmin Kim),오희라(Heera Oh),임승빈(Seungbin Yim),전정언(Jeongeon Jeon),홍진의(Jineui Hong),이재형(Jaehyung Lee),이태우(Taewoo Lee),이성일(Seongil Lee)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현재 국내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장애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전제품 사용에 있어 일반인 사용자와 장애인 사용자의 격차는 줄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가전제품들의 접근성 평가와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며, 기존의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중심의 접근성 평가 연구는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과업분석(Task Analysis)방법 중 하나인 HTA(Hierarchical Task Analysis)기법을 적용한 선행연구 역시 몇 가지 보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HTA 를 활용한 가전제품의 접근성 평가 방법론을 확장하여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한 새로운 평가방법론을 제안한다. 확장된 HTA평가방법론은 다양한 사용자 유형의 과업 패턴을 반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HTA 의 각 Task behavior 에 대응하는 제품의 접근성 요소를 평가지표로 활용한다. 결과적으로 확장된 HTA 를 통해 독립적이었던 장애인의 가전제품 사용패턴을 포괄하고, 산술적으로 산출된 접근성 평가결과를 통해 종합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사례와 대비하여, 다양한 사용유형을 포괄하는 확장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확장형 HTA 를 통해 새롭게 얻어지는 접근성 평가 결과를 제시하여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한다. Nowadays, In both overseas and domestic areas,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handicapped people, gaps arises between handicapped users and normal users. However, Estimation and Analysis of accessibility of home appliances are in insignificant steps, and existing guideline and research with standard that is consisted of checklist are just subjective and qualitative. The precedent research that applied "HTA(Hierarchical Task Analysis)" solution which is known as one of ways of "Task Analysis" also has a few points that have to change. In this paper, by expanding a methodology of handicapped accessibility evaluation that is based on p recedent " HTA" , We offer a more analytical evaluating methodology. That expanded "HTA" is compromised to show a physical pattern of various users. Expanded "HTA" uses a offered Task behavior and product"s interface that follows with Task behavior. With expanded HTA, We can detect the accessibility condition of product and can get a quantifiable result. And that can derive a accessibility evaluation and evaluating barometer.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Using offered methodology in this research conducts accessibility evaluation that considers a various user members and quantifiable derives interface"s components that needs to be solved and changed.

      • KCI등재

        슬롯머신 회계 프로토콜 (SAS-G2S) 컨버터의 설계 및 구현

        김상민(Sangmin Kim),박현준(Hyunjoon Park),안희준(Heejune Ahn) 한국산업정보학회 2015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카지노 슬롯머신의 회계관리에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SA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기들을 근래에 정의된 인터넷기반의 G2S 프로토콜 서버와 연동하기위한 SAS대G2S 변환 미들웨어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두 프로토콜이 갖는 차이점, 폴링방식과 메시지방식, 바이너리 포맷과 XML 포맷, 매칭되지 않는 메시지 등의 문제들을 해결한다. 소프트웨어 구조는 브리지 패턴을 바탕으로 하고 프로토콜을 커넥터 패턴을 바탕으로 하고, 리눅스환경에서 C++와 Python 언어로 구현하였다. 1GMHz-512MB 정도의 사양의 임베디드 시스템의 시작품으로 제품화되어, 2015년 공인 정합성 및 안정성을 테스트를 시험을 통과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design and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SAS-G2S slotmachine accounting protocol middleware system that converts the legacy binary format SAS (Slot Accounting System) protocol with servers with recent standards G2S protocol. The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of two protocols such as link control, message format, and parameters. The converter architecture uses bridge and connector patterns and implemented in C++ and Python mixed language on Linux environment. The prototype system uses a 1GMHz-512MB linux machine and has passed Korean official protocol compatibility and performance test in 2015.

      • KCI등재

        지역 사회혁신 촉진을 위한 참여적 지역 거버넌스의 역할 : 서울시 성북구와 충남 홍성군을 사례로

        김상민 ( Kim Sangmin ),이소영 ( Lee So Yo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0 地方行政硏究 Vol.34 No.1

        최근 사회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혁신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 중, 지역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공동의 의제를 발굴하고, 협력적 숙의과정을 통해 혁신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으로서의 참여적 지역 거버넌스 체계에 초점을 맞춘다. 실제로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경제적 정책(사업)을 추진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민관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강조한다. 즉 지역사회내 주요 주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함으로써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참여적·협력적 정책(사업) 추진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문제해결, 즉 사회혁신을 위해 추진하는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정책들은 내용적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참여적·협력적 지역 거버넌스의 구축은 절차적 측면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그 거버넌스의 구조 및 전략이 사회혁신을 촉진시킬 수 있는, 즉 사회혁신 친화적 형태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논의를 통해 사회혁신과 지역 거버넌스의 관계를 설정하고, 서울시 성북구와 충남 홍성군 사례를 거버넌스 구조와 사회혁신적 전략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양사례 모두 참여적 거버넌스 구조를 마련하고, 다양한 지역 주체의 참여를 확대하려는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확한 목표의 설정을 통한 사회적 요구 충족, 새로운 아이디어의 실천, 사회의 실천 역량 증진, 부문 간 교차, 그리고 개방적·협력적 네트워킹 등의 사회혁신적 전략의 측면에서도 두 사례는 다양한 실험들을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거버넌스 구조 및 사회혁신적 전략의 활용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한계점도 동시에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 사회혁신 플랫폼으로서의 참여 거버넌스의 역할을 모색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long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innov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aspects, from what social innovation is and how to realize it in practice. This study understands participatory local governance from a procedural aspect for local social innovation, where diverse local actors are involved to set common agendas at the local level and find innovative solutions through collaborative deliberation. In reality, local governments promote various socio-economic policies (projects) to solve diverse local problems. In this process, they emphasize to build collaborative governance. Therefore, these various socio-economic policies pursued for solving local problem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contents, while participatory and collaborative local governance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the structure and strategies of such participatory and collaborative local governance should have a social-innovation-friendly form that can promote social innovation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a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ance and social innovation, and conducts case stud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ance structure and social innovative strategies in Seongbuk-gu and Hongseong-gun. The study finds that the two cases both establish a participatory governance structure and try to make efforts to expand participation of various local actors. In addition, the two cases have developed various experiments in terms of socially innovative strategies such as meeting social need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lear goals, implementing new ideas, promoting social practice capacities, cross-sectoral interaction, and open and collaborative networking. At the same time, the study also finds several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two cases. Based on this case analysis, finally, this study seeks the role of participatory local governance as an enabling environment for social innovation, and provides future policy suggestions.

      • KCI등재

        직무지도원의 중증장애인 취업지원에 관한 경험연구

        김상민 ( Sangmin Kim ),정희경 ( Heekyong Ch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 지원고용에 참여한 직무지도원의 지원경험의 본질을 밝히고 이 사업에 대해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광주광역시에서 직무지도원으로 3년 이상 근무경험이 있는 9명에 대해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무스타카스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지도원의 지원경험은 “고단한 훈련생의 목격”, “직무지도원의 의미획득”, “좋지 않은 일자리의 힘겨움”, “수행관리 체계의 미흡함” 등 4개의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직무지도원 및 훈련생에 대한 처우개선, 둘째, 수행기관 담당자의 역량개발, 셋째, 직무지도원을 관리 감독하는 전담기구 설치, 넷째, 지원고용에 대한 예산 증가 및 제도개선의 필요 등이다. 연구제언은 연구 참여자 선정을 일부지역으로 한정하지 말고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하여 연구되어지길 기대한다. As an empirical research on job coaches’ employment support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ssence of support experience and also to make the policy-level suggestions for this projec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nine people with experiences for three years or mor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also used the Moustakas analysis method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upport experience included four keywords such as “Witnessing of exhausted trainees”, “Acquisition of meanings of job coach”, “Difficulties of bad job”, and “Insufficien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job coaches and trainees. Second, Competency developmen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erformance organization. Third, Installation of a dedicated device. Fourth, Budget increase and system improvement.

      • KCI등재

        포용적 균형발전을 위한 EU 지역정책의 최근 특성과 정책적 함의

        김상민(Sangmin Kim) 한국유럽학회 2022 유럽연구 Vol.40 No.2

        최근 메가시티와 초광역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 수도권으로의 인구, 산업, 경제활동의 집중으로 나타난 불균형 현상의 심화와 함께 지방도시의 쇠퇴와 소멸논의가 메가시티, 초광역화 논의를 촉발시켰다. 이러한 논의는 수도권과 지방간의 불균등을 극복하고,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근본적 목적이 있다. 우리보다 좀 더 일찍 역내 균형발전을 모색했던 대표적인 지역은 EU이다. 유럽의 경우 EU 회원국가들 또는 지역간 경쟁력 격차 발생으로 인한 유럽연합 전체의 통합적 결속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고, EU 공동체의 균형적 발전과 지역통합을 위해서는 EU 차원의 대응노력이 꼭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EU 지역정책의 태동으로 이어졌다. 1950년대 이후 현재까지 EU 지역정책은 여러 가지 특성으로 변화, 발전되어왔다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포용적 균형발전을 위한 EU 지역정책의 특성을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특히 최근 EU 지역정책의 특성을 1) EU 공동체 차원의 균형발전과 낙후지역의 포용적 지원, 2) 경제 및 산업혁신과 사회혁신을 함께 고려하는 지역혁신 전략, 3) 다층적 레벨에서의 협력강화 전략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또한 지역간 협력을 통한 혁신과 공동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는 핀란스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지역개발 전략 모색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Recently, the active discussion about mega-cities, mega-regions and regionalization has been increasingly developed. Both the criticism about the deepening of imbalances that have occurred due to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concern about the decline and disappearance of local cities have sparked these discussions. In other words, these discussions have the fundamental purpose of overcoming the inequality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local areas and promoting balanced development at the national level. EU is the typical territory that sought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for a long time, where the concerns about the weakening of the unity of the EU as a whole due to competitiveness gaps between EU member states or regions were raised earlier. Such concerns built a shared consensus that the EU-level efforts were essential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regional integration of the EU community, which eventually led to the birth of EU regional policy. Since 1950s, EU regional policies have change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EU regional policies in three folds; 1) balanced development at the EU community level and inclusive support for underdeveloped regions, 2) regional innovation strategy that considers economic and industrial innovation and social innovation together, 3) strengthening cooperation at multi-level levels. Along with a case study that develops inter-regional co-operation for innovation and joint competitiveness, this paper finally derive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