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eurospora crassa rcm-1 돌연변이체의 특성

        김상래,이병욱,Kim Sang-Rae,Lee Bheong-Uk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4

        Neurospora crassa의 게놈 분석을 통하며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부위를 보유할 것으로 추정되는 19중의 단배질을 찾아냈다. 이중에서 한 단백질은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다양한 유전자들의 공통 전사 억제인자로 알려진 Ssn6 단백질에 $60\%$ 이상의 유사도를 보였다. N. crassa의 RIP (repeat-induced point mutation)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돌연변이 균주들은 도두 느리게 성장하였는데, 4가지로 구분되는 돌연변이 표현형을 나타냈다. 첫 번째 돌연변이 표현형은 균사가 ropy돌연변이와 유사한 균사 모양으로 성장하고 밀도가 높아 보였고, 대분생포자는 yellow와 csp 표현형을 보였다. 두 번째 돌연변이형은 늦은 성장을 보였지만 대분생포자를 생산하였다. 세 번째는 매우 느린 균사 성장을 보였고 acon 표현형을 나타냈다. 마지막 돌연변이형은 거의 공기 중으로 균사를 뻗지 못하였으며 acon 표현형을 보였는데, rco-1 RIP 돌연변이체와 유사하였다. 돌연변이체들은 모두 male로서는 수정능을 보였지만 female로서는 교배가 불가능했으며 자낭각을 생산하지 못하였다. 이 결과들은 이 유전자가 N. crassa의 성장은 물론 무성생식 및 유성생식의 여러 과정에 관여함을 나타낸다. 염색체와 cDNA의 서열을 분식한 결과에 따르면, 유전자가 6개의 인트론을 보유하고 있고, 총91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102kDa의 단백질을 암호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유전자를 rcm-1 (regulation of conidiation and morphology)으로 명명하였다. Analysis of the complete genome of Neurospora crassa reveals that at least 19 proteins contain tetratricopeptide repeat (TPR) motifs. One of them shows over $60\%$ homology to Ssn6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 universal repressor that mediates re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various cellular processes. Mutant strains generated by RIP (repeat-induced point mutation) process showed four distinctive vegetative growth patterns and slow growth in various rates. Firstly, a mutant showed denser mycelial growth, yellow, csp, and looked like ropy mutant. Secondly, slower growth, dense mycelial, and conidial phenotype. Thirdly, extremely slower growth and aconidial. And finally, flat, tittle aerial hyphae, acon, and similar with a rco-1 RIP mutant. They are all male-fertile, yet female-sterile and produced little or no perithecium. It seems that various phenotypes were occurred depending upon mostly likely, the degree of RI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s gene may be involved in several cellular possess during vegetative growth, and asexual and sexual development. Therefore it is pleiotropic. Sequence analysis of cDNA shows that it encodes a putative 102 kDa protein composed of 917 amino acids, and has six introns. It is designated rcm-1 (regulation of conidiation and morphology).

      • KCI등재
      • KCI등재

        철학 : 맹자와 순자의 인간이해, 그 윤리적 변별성

        김상래 ( Sang Rae Kim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7

        인간은 다른 생물과 달리, 사회를 구성하여 삶을 영위해 간다. 사회 속에서 인간은 윤리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추구하고자 한다. 동양의 유가사상은 다른 어떤 철학체계보다 이런 문제들에 대해 오래 동안 깊이 있고 수준 높은 논의를 전개 해 온 학문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유학사의 관점에서 볼 때, 맹자와 순자는 둘 다 자신이 윤리도덕에 관한 학설에 있어서 공자 학문의 정통을 계승했다고 자임하고 있다. 하지만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로 대표되는 이들의 철학적 사유방법론, 특히 인간에 대한 이해방식은 공자와 유학의 정통을 이어받은 사상가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이들이 서로 다른 철학체계를 보여주는 근본적 이유는 인간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이해의 이러한 차이는 인간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그들의 견해 차이와 연계되어 있다. 이 논문은 인간의 본성이 본질적으로 착한 것인가 악한 것인가에 대한 맹자와 순자의 견해 차이를 해명한 것이다. 맹자는 기본적으로 덕윤리의 입장에서 도덕성의 근거로서의 인성의 문제에 접근하고 있고, 순자는 규칙윤리의 입장에서의 도덕성 개념에 주목하여 성악설을 전개하고 있다. 이를 다른 말로 맹자-순자의 학문적 경향성을 각각 덕윤리-법윤리, 향내적-향외적 경향의 윤리설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와 학문적 경향성이 그들의 인간에 대한 시각을 달리하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Mencius had taken a step to analysis on the innate emotional mind(良心) for understanding human nature at first. That mind have a moral characteristic of human connected with the goodness.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firstly based on the moral universe. Humans are situated in this moral universe, from which we drive our own morality.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conventions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And in the Mencius` moral theory our human society is a combined intellectual quest. The understanding of one`s moral ess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oral essence of the universe can complement each other. Xunzi develops this point when he questions Mencius` assumption that the moral resources are ready-made or inborn. First, he adopts a deflationary strategy by saying that birth is in itself a process of moving away from any original, simple organic state. In other words, there is no such state. He also reminds us of certain ugly aspects of human nature such as self-interested tendencies and feelings of envy and hatred. Second, Xunzi goes on to expand on the rationale of morality in terms of the necessary regulation of people`s desires so as to bring about social order and the effective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 Xunzi argues that both the original raw material of nature (xing) and human artifice (wei) are mutually necessary to bring about morality. As we shall see, this passage fits very nicely into a certain section of the "Xing e pian," where Xunzi goes on to argue that ritual is required to curb certain desires. At the same time, however, such rituals give rise to the expression of, say, acts of deference. Xunzi describes the rationale of morality in terms of constitutive processes that give rise to ritual behavior. In spelling out these processes, Xunzi in effect denies that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s an organic process of nurturing certain original sprouts, even though he may admit that people have feelings of love and righteousness. Constitutive processes are not just regulatory; they transform raw capacities into refined sensibilities, feelings, and emotions. Mencius` underlying belief in a simple organic state is therefore in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nature of morality, described in terms of the constitutive rationale of the rites.

      • KCI등재

        연구논문 : 구암(龜巖) 이정(李楨)의 윤리(倫理)교육론 -『대학(大學)』 중시(中侍)의 사서관(四書觀)과 교육 기반의 확충-

        김상래 ( Sang Rae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59 No.-

        공자 이후 유학사상(儒學思想)은 교육을 통한 인간의 변화(敎化)와 윤리도덕에 기반한 이상사회를 실현하는 문제에 대하여 폭넓고 깊이 있는 이론을 제공해온 전통을 보여왔다. 유학사상의 근저에는 교육=윤리라는 등식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유학의 전통에서 볼 때 윤리교육에 관한 유학의 기본적 체계는 『四書』가 담당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시대 성리학이 확고한 자리를 잡아가는 시대를 경험한 구암(龜巖) 이정(李楨, 1512-1571)도 이러한 전통적 학문관을 가지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구암선생의 윤리교육사상에 관한 사유의 조각들을 모아 구암의 윤리교육이론의 특징과 의미를 정리하고자 한다. 구암은 이 『四書』 중에서 주로 『대학』과 『중용』에 기반한 윤리교육사상을 피력하고 있다. 주자 이후 이 두가지 유가경전은 다음과 같은 학문적 특징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즉, 『대학』은 유학의 규모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텍스트이며, 『중용』은 四書 중에서 가장 철학적인 면모를 갖춘 것으로 인간의 心性에 대한 설명에 강점을 지닌 텍스트라는 것이다. 그런데 구암은 『대학』 한 책이 『중용』의 핵심 내용을 포괄하는 동시에 유학의 모든 것을 설명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텍스트라고 주장함으로써, 『대학』 중시의 윤리교육이론을 정립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대학』 중시의 학문관은 그의 윤리교육이론의 토대가 된다. 그의 윤리교육이론은 특히 통치자(君主)에 대한 윤리교육의 문제에 강점을 보이고 있는데, 구암은 바로 四書의 하나인 『대학』이야말로 통치자의 교육에 필요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구암은 유학의 서적 중에서 바로 『대학』이 통치자가 자신의 도덕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인간과 세계의 문제(人心과 天理)에 대한 유학적, 성리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정답을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텍스트라고 생각한 것이다. 한마디로 구암 윤리이론 내지 교육사상의 핵심은 『대학』 중시의 학문관과 군주교육론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윤리적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론으로 교육 인프라의 형성에 지대한 관심을 지닌 교육행정가의 면모를 그에게서 발견할 수 있다. 이런 구암의 모습은 서원의 건립과 서적의 간행에 관한 그의 업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암이 간행한 유학 저술들의 목록을 살펴보면 주로 유학의 기본을 중시한 저서들과 성리학 관련 저술들이라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Ever since Confucius Confucianism has shown the tradition that supplying to the change of human through the education and to the deepest and widest theories for developing the ideal society based on Ethics morals. In the root of that thought, there is the definition as education equals ethics. On viewing in the point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the basic system of the Confucianism is mainly expressed through the FourBook(四書). Kuam(龜巖), Lee Chung(李楨, 1509-1571) had thought of these traditional educational ideas. In this Article I would try to inquire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of Kuam`s theory on the ethical education with gathering the pieces are scattered works in his books. In these Confucian Fourbook(四書), Zhong Yong(中庸) and Da Xue(大學) are more important texts of the Kuam(龜巖)`s thought than other books. We can find out that he would stress on the learning for Da Xue(大學) in the many sentences are shown in his works. So I would say that Da Xue(大學) was located as the most important text in his core thought on the study and education. The academic viewpoint of centered on Da Xue(大學) had been the basement for setting up of his theory on the ethics and education. His theory of ethics education, in particular, showing the strength in the matter of ethics education for the rulers, Kuam had insisted upon that Da Xue(大學), of course, including all the content and information required in claim for educating the rulers. Also We can find out that Kuam was a educational administrator keeping the profound atten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infra to make the moral society. The another face from his achievements was made sure that his contributions for builting some private school of Confucianism and publishing various confucian books.

      • KCI등재

        일반논문 : 장자(莊子)의 해체주의적 윤리설

        김상래 ( Sang Rae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2

        이 논문은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철학방법론에 입각하여 장자철학의 윤리적 함의를 해명한 것이다. 莊子와 데리다는 기존의 이분법적 사고의 폐해를 직시하고 어떤 중심과 기준을 설정하는 인식론과 가치론을 배격한다는 점에서 시대를 뛰어 넘어 유사한 철학하기를 시도한 철학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장자는 존재에 대한 인식방법에 대한 문제를 「齊物論을 통해 설명하고 있는데, 그는 이곳에서 주로 존재의 자기 동일성을 해체하고 타자와의 공존의 가능성의 문제들을 언급하고 있다. 특히, 道<=>盜의 말바꾸기 전략은 존재원리로서 道의 성격을 이해하는 관점을 해체하는 동시에 인간중심의 윤리도덕에 대한 회의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逍遙遊」를 통해 莊子는 우리들에게 만물은 언제나 변화의 과정에 있으며, 이 우주는 자유와 놀이의 공간임을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그는 다른 존재(만물, 타자)와의 공존의 세계인 우주 속에서 인간중심주의의 윤리도덕만을 추구하는 것은 是/非, 善/惡의 한쪽만을 선택하게 만들 수 도 있음을 직시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莊子의 이러한 사유는 우리들에게 인간중심주의 윤리학에 대한 비판의 기회를 마련하고, 인류의 문명 발달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위한 철학적 계기를 제공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re are textual similarities between philosophy of Zhuangzi(莊子) and what Jacques Derrida`` concepts such as ``differance``, ``trace``, and ``play``, etc. Through our comparative study, we have established a philosophical affinity between Taoist thinking of Zhuangzi and Derridian deconstructive thinking. Zhuangzi and Derrida deconstruct all kinds of traditional and metaphysical thoughts. Zhuangzi`s saying of "There is Tao(道) for Thievery(盜)". I call this philosophical tendency ``the logic of cohabitation and coexistence`` of the Taoist philosophy. Derrida and Zhuangzi suggest that the logic of cohabitation and coexistence recognizes and affirms differences between opposites. In these thoughts of double affirmation, there is no violence of dichotomous thinking. In other words, their ways of thinking challenge the value system that suggests a single truth, and propose that all human values necessarily carry half-values. They give us to create an enjoyable play-space for human beings in this world. Zhuangzi`s suggestions for moral theory provide us with a chance for making question as what is the better life with the others, with a fresh and new perspectives to understand differently the human beings along the category of universe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