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필암서원(筆巖書院)과 울산김씨(蔚山金氏)

        김봉곤 ( Kim Bong-gon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필암서원은 호남 지역에서 문묘에 유일하게 종향된 河西 金麟厚(1510~1560)와 그의 문인인 鼓岩 梁子澂(1523~1594)을 모신 서원으로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으로 신청된 유서 깊은 건축물이다. 서원에 모셔진 김인후는 조선 인종과 명종 대의 인물로서 문장에 조예가 깊었을 뿐만 아니라 을사사화 이후 인종에 대한 절의를 다하였고, 주자학 연구를 깊이 하여 호남 사림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전라도 관찰사였던 윤두수(尹斗壽)의 발의로 정철(鄭澈) 등 서인계 호남 사림들이 협력하여 1590년 필암서원을 건립하였다. 왜란으로 불에 타기도 했으나 1624년 중건되었고, 이어 전라도 유생들의 상소로 1662년(현종 3)에 ‘필암서원’의 사액을 받았다. 그러나 이곳에 홍수가 나자 1672년 현 위치인 필암리에 서원을 옮겨 세웠다. 이때 송준길, 송시열, 송시도 등의 서인들이 적극 협력하였다. 필암서원은 이후 당대의 노론계 인물을 원장으로 모시고 지방관과 사림들의 유기적인 협조하에 호남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부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필암서원의 건립과 존치에는 김인후 후손들의 공로가 크다. 김인후의 후손은 김인후의 시호를 따라 문정공파(文正公派)라고 하는데, 손자인 김남중의 아들 대에 분파가 시작되어 지금은 모두 9개 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김인후의 문집 간행, 필암서원의 사액, 김인후의 증직 및 시호, 문묘종향을 위해 중앙의 서인 내지 노론의 협력을 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이들의 노력으로 송시열(宋時烈)이 김인후의 신도 비명을 지었는데, 송시열은 김인후를 도학과 절의, 문장을 완전하게 겸한 인물로 추앙하였다. 이러한 송시열의 평가는 이후 김인후의 평가지침이 되어, 이재와 김원행 같은 노론계 학자들도 김인후를 문묘에 배향해야 한다고 하였다. 정조(正祖) 역시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김인후를 해동의 주자(周子)이며 호남의 공자(孔子)로 칭송하고, 문정(文正)이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김인후의 문묘종향을 통해 숭정학 벽이단(崇正學闢異端)의 정신을 고양하였다. 필암서원은 오늘날에도 울산김씨 문중 조직, 지역 유림들의 강학 모임인 산앙회, 그리고 행정기관인 장성군청과의 유기적인 협력 체제 아래 김인후의 도학과 절의정신을 끊임없이 계승해가고 있다. Pilam Seowon is a memorial hall where Haseo Kim, rinhoo(河西 金麟厚(1510~1560)), who was solely enshrined in the Confucian shrine in Honam region and his literary person Goam Yang, jajin(鼓岩 梁子澂(1523~1594)) were shrined, which is a historic building, currently applied as tentative list of UNESCO World Heritage. Kim, inhoo, who was shrined in Seowon, who was a person between Injong and Myungjong of Joseon dynasty, had a profound knowledge of sentence, also, was loyal to Injong since Ulsa massacre of scholars, also, greatly influenced Honam Confucianism by deeply studying neo-Confucianism. Here, Pilam Seowon was established in 1590 by cooperating with Seoin(西人) affiliate Homan Confucianists, e.g. Jeong cheol(鄭澈), etc. at Yun, doosu’(尹斗壽)s suggestion, who was a governor of Jeolla-do. Though it was burnt down due to Japanese Invasion, it was reconstructed in 1624, after that, it received the academy title of ‘Pilam Seowon’ in 1662(Hyunjong reign 3 years) at the appeal of Jeolla-do Confucian scholars. However, when it got flooded, Seowon was relocated in Pilam-ri, current location, in 1672. Here, Seo-in, e.g. Song, junguil, Song, siyeol, Song, sido, etc., positively cooperated. Henceforth, Pilam Seowon was highlighted as the representative Seowon in Honam, under the organical cooperation of local governors and Sarim, by taking the person of Noron(老論) field of that time as the director. Kim, inhoo’s descendents greatl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is Pilam Seowon. Kim, inhoo’s descendents are called as Munjeonggongpa(文正公派), according to Kim, inhoo’s siho, division began in Kim, namjoong’s son, the grandchild, presently total 9 divisions are formed. They exerted efforts to get cooperation with central Seoin or Noron, for Kim, inhoo’s literary collection publication, academy title of Pilam Seowon, promotion and siho of Kim, inhoo, and Munmyojonghyang. Particularly, due to their efforts, Song, siyeol created Kim, inhoo’s Memorial stone title, here, Song, siyeol revered Kim, inhoo as a person who perfectly combined ethics, fidelity, and sentence. This way, Song, siyeol’s evaluation became the evaluation guideline of Kim, inhoo henceforth, Noron scholars as Yi, jae(李縡), Kim, wonhaeng(金元行), etc. also insisted that Kim, inhoo should be enshrined in the Confucian shrine. Jeongjo, also, complimented Kim, inhoo as Juja(周子) of Haedong and Confucius of Honam, based on this evaluation, assigned siho, Munjeong(文正), also, enhanced the spirit of Sungjeonghak Byukridan(崇正學 闢異端) through Kim, inhoo’s Munmyojonghyang. Still today, Pilam Seowon is constantly succeeding Kim, inhoo’s ethics and fidelity under the organical cooperative system with Ulsan Kim family organiztion, regional Confucian scholars, Sananghoe of regional Confucian scholars’ study pursuit meeting, and Jangseong County Office, administrative agency.

      • KCI등재

        최부(崔溥)의 중국표해(中國漂海)와 유학사상(儒學思想)

        김봉곤 ( Bong Go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0

        본고는 금남(錦南) 최부(崔溥)(1454년~1504년)의 『표해록(漂海錄)』을 통해 중국에 표류한 최부 일행이 어떻게 살아 돌아왔으며, 중국에서 그의 사림의식과 유교적 경세론이 어떻게 펼쳐졌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최부는 나주출신으로서 처가를 따라 해남으로 이거하였다. 상경하여 김종직(金宗直)이나 김굉필(金宏弼) 등 사림파 지식인들과 교유하였고, 과거에 급제한 이후에는 성균관이나 사헌부, 홍문관 등 학문과 언론 기관에서 봉직하였다. 그는 성종 18년 9월 제주도의 추쇄경차관(推刷敬差官)으로 파견되어 업무를 수행하였는데, 부친상을 당해 성종 19년 1월 3일 나주로 돌아오던 중 바다에서 태풍을 만나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표착하였다. 14일 동안의 사투 속에서도 배가 크고 튼튼하였고, 선원들의 항해 능력이 뛰어났으며, 최부의 지리에 대한 지식과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뛰어나 생존할 수 있었다. 그는 절강성의 도저소(都渚所)와 소흥부(紹興府), 항주부(杭州府)를 거치면서 3차례에 걸친 조사를 받았다. 왜구가 아니라 표류민이며, 조선의 관인임을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이 과정에서 호송관을 비롯한 많은 지식인들과 접촉하여 자신의 유학사상과 경세론을 전개하여 깊은 감동을 주었으며, 북경(北京)을 거쳐 귀국하였다. 최부는 성균관에서 수학한 이후 김종직과 그의 문인들과의 교유를 통해 사림으로서의 의식과 유교적 정통론을 확립하였다. 그는 『소학(小學)』의 실천을 중시하고 음사(淫祀)를 배격하였으며, 『동국통감(東國通鑑)』의 사론(史論)을 통해 군신간의 의리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개찬에 참여함으로서 박학의 기풍을 함께 갖추었다. 최부의 의리에 바탕을 둔 실천적 학풍은 표해와 송환과정에서도 그대로 표출되었다. 그는 유교적 예속을 중시하여 송환과정 내내 상복을 입었으며, 일행들에게 상하존비(上下尊卑)의 읍양진퇴(揖讓進退)하는 예절을 갖추게 하였고, 사장보다는 경학을 중시하였다. 중국인들에게도 조선은 기자조선 이후 유교이념에 따라 통치되고 있으며, 향교를 세워 백성들을 교화하고 있고, 일상생활도 주자가례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곳곳에서 이단관을 표출하여 중국인들이 숭배하는 불교와 도교, 민간신앙에 대해 비판을 가하였다. 이는 성종 대 사림으로서의 최부의 유학사상을 잘 드러내 주는 것이었다. 또한 최부는 표해와 송환과정에서 유교적 경세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표해에 대한 대비책으로서 선박 제조기술을 개선하고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신표를 발급해야 하며, 외국인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통사(通事)를 설치하자고 건의하였다. 그리고 강남지방의 풍속의 순후함은 경제적 번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아, 상업 활동이나 부의 축적을 긍정하는 사고를 보였다. 그는 특히 중국의 대운하 운행과 수차 이용에 감탄하였는데, 당시 조선이 논이 많아지고 있는 사실을 고려하여 수차 제작기술을 적극적으로 익혔다. 그리고 정치적으로는 국왕은 경연에 힘써 학문과 덕행에 힘쓰고 널리 여론을 청취해야 하며, 환관이나 권신의 정치 참여를 배제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백성의 교화를 위해서는 향촌사회의 안정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사림의 견지에서 훈구 세력의 권력남용을 비판하는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이처럼 『표해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사림으로서의 의식을 갖고 있었던 최부는 연산군 대에 이르러 훈구세력이나 외척, 환관 등의 권력남용과 폐해를 적극적으로 비판하였다. 그리고 『표해록』은 호남 지역의 학풍에도 끼친 영향이 적지 않아서 중종 이후 호남지역 사림들이 절의와 유교적 경세론을 동시에 추구하는 경향을 갖게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by examining Geum-Nam Choi Bu`s 『Pyohaerok (Record of a Cast Away)』, how Choi Bu and his entourage survived and was brought back after being cast away on the coast of China. In addition, a closer look will be taken at how his Confucian ideas and theories of governing fared in China. Choi Bu, a native of Naju, would later follow his in-laws to Haenam. After moving to the seat of the government, he would form close ties with intellectuals of the Sarim faction such as Kim Jong Jik and Kim Goeng Pil. When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he would be appointed to academic, or public relations departments like Seonggyungwan, Saheonbu, and Hongmungwan. In the 18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while Choi was dispatched to Jejudo as an administrator he tries to make his way back to Naju, on January third in the 19th year of King Seongjong, on account of his father`s death. However, he was met with a fierce storm out at sea which caused him to be washed ashore on the coast of Zhejiang Province of China. He was able to survive the fourteen day ordeal battling the storm in that the ship proved to be strong enough with competent crew on board together with Choi`s geographical knowledge and his ability to improvise. In Zhejiang he was handed over to three different jurisdictions, Taizhou, Shaoxing Fu, and Hangzhou Fu, during which he was interrogated three times. The object of these inquiries were to confirm his status as an official of Joseon who had been cast away and that he is not in any way associated with Japanese pirates. During these proceedings Choi came in contact with many Chinese intellectuals including his escort. Choi conveyed his Confuician ideas and his theories of governing to those who came before him which, effectively made a lasting impression. He would later return home via Beijing. Choi Bu was associated with Kim Jong Jik, and he shared Sarim`s ideas. He was all for putting principles of 『Sohak』 into practice while denouncing Eumsa and promoted the sense of honor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citing historical treaties such as 『DongGukTongGam』. He would also participate in reissuing 『DongGukYeoJiSeungRam』 further demonstrating the range of his erudition. Choi`s insistance on practicality of academic tradition based on sense of honor is displayed to the full in his repatriation proceedings. His regard for Confucian proprieties were such that he would wear the sackcloth and ashes all through the repatriation proceedings while instructing his entourage to observe courtesy of the highest standards. Moreover, he was wholly favourable to studying the Confucian classics than pursuing literary activities. Choi would have the Chinese believe that Joseon was governed based on Confucianism since the time of the Gija Joseon and that it was edifying the masses through setting up HyangGyos while everyday life was governed under the auspices of JuJaGaRye. Furthermore, at various quarters, he would criticize China`s tendency of worshipping not only Buddhism but Taoism and folk beliefs. Such incidents reveal Choi`s Confucianist disposition as Sarim during the King Seongjong`s reign. Also Choi Bu would relate his views on Confucian theory of Governing during repatriation proceedings. He would argue that initiatives concerning castaways were needed. In particular, he stressed that enhancement of shipbuilding skills was called for and that personal identification should be issued. He also suggested that interpretation services should be established to enable communications with foreigners. Additionally, Choi recognized that generosity of the Gangnam region had a lot to do with economic prosperity of the place, thus taking note of the commercial activities and accumulation of wealth in positive terms. Notably, he marvelled at China`s use of canals and waterwheels. As he was well aware of the fact that the rice paddies in Joseon at the time were starting to expand, he was committed to learning how to construct waterwheels. On the subject of politics he stated that the sovereign should be dedicated to furthering academics and civic virtues while keeping his ear to the ground. He further stressed that eunuchs and powerful courtiers should be banned from setting their foot in politics. He insisted that for the edification of the masses to take place, stability of country districts was a prerequisite. These thoughts directly reflected Sarim`s standpoint of criticizing Hungu coalition`s abuse of power. As we can surmise from 『Pyohaerok』, Choi Bu, who shared Sarim`s temperament, would condemn the abuse of power and its consequences brought on by the likes of Hungu faction,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 and eunuchs. 『Pyohaerok』 also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academic traditions in the Honam region. Thus, after the King Jungjong`s reign, Sarims of the Honnam region would put emphasis on fidelity to one`s principle while aspiring to become more erudite.

      • KCI등재

        기획논문 : 송산(松山) 권재규(權載奎)의 로사학(蘆沙學) 계승(繼承)과 영남지역(嶺南地域)에서의 활동(活動)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4 No.-

        본고는 19세기 말 이후 영남지역 노사학파의 모습과 송산 권재규의 노사학파의 모습과 영남지역에서의 활동을 분석한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 이래 당색이 약화되고 유학층(幼學層)이 성장하면서 학문 활 동이 활발해지게 되었다. 이에 많은 학자들이 조야에 학문적 명성이 높았던 기정진(奇正鎭)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영남의 노사학파는 남인 출신도 있었지만 대체로 노론 위주의 인물들이었다. 영남의 노사학파는 정재규를 중심으로 활발한 강희 활동을 통해 성리학이나 기정진 학설의 심화를 도모하였다. 이에 기정진의 주이논(主理論)이나 위정척사사상(衛正斥邪思想)이 영남지역에 널리 보급되게 되었다. 1890년 간행된 『답문유편(答問類編)』이나 1901년 기정진(奇正鎭) 문집의 목판본 간행 역시 이러한 과정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러나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이나 간재(艮齋) 전우(田愚) 둥의 기호학계에서는 기정진이 지은 「외필(猥筆)」이나 「납량사의(納凉私議)」의 내용이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학설과 다르다고 문제 삼았으며, 노사학파에서는 기정진의 학설을 변호하면서 이들과 활발한 학술토론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정진 학설을 비판하였던 연재나 간재 학파, 변호하였던 영남지역 노사학파 모두 성리학 이해 수준이 깊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정재규의 문인 권재규 역시 이러한 학술토론에 참여하여 노사학을 철저히 계승하게 되었다. 권재규는 어려서는 최숙민(崔琡民)에게서 배우고, 1888년부터는 정재규(鄭載圭)에게 급문 하였다. 그는 정재규로부터 주자학과 기정진의 학설을 전수받고, 노사학을 주리설에 기반한 이일분수(理一分殊)와 심성일치열(心性一致說) 둥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에 그는 정재규가 「외필(猥筆)」과 내량사세(奈凉私說)를 변호하였을 때,이주기복(理主氣僕)의 관점과 이기심성에 관해 철저히 이일 분수를 관철하는 의견을 개진하여 정재규에게 모두 수용되었다. 이후 권재규는 정재규의 뒤를 인물로 지목되었으며, 정재규가 타계한 이후에는 이천(夷川) 남창희(南昌熙)에 제기된 심설의 반론에 대해 농산(農山) 정면규(鄭冕圭)의 동의를 받음으로서 권재규의 학설이 영남지역 노사학의 정통설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어 1916년 정면규가 1918년 명호(明湖) 권운환(權雲煥)이 타계함으로서 권재규는 영남지역 노사학파를 실질적으로 이끌어 가게 되었다. 기정진과 정재규로 이어지는 노사학을 계승한 권재규는 일제치하에서 영남지역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노사학파가 영남지역에 계속적인 성세를 구가할 수 있게 하였다. 그는 기정진 문인들의 문집 간행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동문들 과의 교유를 통해 성리학이나 예학, 노사학설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으며, 향사 등을 통해 노사학파의 명맥을 유지해갔다. 또한 활발한 강학활동을 통해 단성지역을 비롯한 경상 우도 지역에 많은 문인을 배출하였는데, 문인들에게 노사학파의 위정척사의 주지를 강론하고 그 자신 솔선수범하여 실천하였다. 그는 일제치하(日帝治下)를 노예의 상태로 규정하고 우리의 예의와 정신을 잃지 않아야 강토를 회복할 수 있다고 하였고, 해방이 되자 예와 덕에 기반한 유도가 실현되기를 기대하였다. 서양의 정치나 기술을 배울 수는 있으나, 우리 강토와 유학에 기반한 정신을 다시는 그들에게 빼앗겨서는 안 된다고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권재규는 기정진과 정재규의 학설을 계승하고 동문들과의 활발한 교 유와 문인들에 대한 강학활동을 통해 노사학을 전파하고 위정척사사상을 철저 히 실천하였다. 이에 의리와 도덕에 기반을 둔 노사학이 일제 치하와 해방 이후 줄곧 영남지역에 계승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tate of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region and how Gwon Jae Gyu carried on the tradition of the Nohsa discipline while concentrating on his activities throughout Yeongnam province in the late 19th century. Since the 19th century, when political dissension began to die down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younger Confucian scholars with their vibrant academic activities started to expand. Subsequently, many flocked to join Nosa Ki Jeong un, who was the most revered scholar at the time, to study under his tutelage, Nohsa scholars` faction in Yeongnam mostly consisted of people with Nohron background although there were a few from the Namin side as well. With Jeong Jae Gyu as the central figure, Nohsa scholars` faction of Yeongnam sought to intensify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Ki Jeong Jin through series of rigorous lectures. Thereupon, Jun philosophy and Wi-Jeong-Cheok-Sa doctrine were to become widely prevalent in the Yeongnam region. These events led to the publication of 『Dapm.upyeon』in 1890 and the collection of Ki Jeong Jin`s writings issued in xylograph in 1901. However, scholars from the Kiho faction such as Yeonjae Song Byeong Seon and Ganjae Jeon Wu would take issues with Ki Jeong Jin`s rOepilj and rNabryangsaulj claiming that they are at odds with Yi Yi`s theory. Nohsa scholars` faction, while defending Ki Jeong Jin`s theory, would engage in ardent academic debate over the matter with the opposing Kiho faction. Such exchanges would eventually deepe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for Nohsa scholars` faction of Yeongnam region as well as for those on the opposing side, who criticized Ki Jeong Jin`s theory, such as those from the Yeonjae and Ganjae factions. Gwon Jae Gyu, a scholar under Jeong Jae Gyu, would come to participate in one of these debates, eventually carrying on the tradition of the Nohsa discipline. Gwon Jae Gyu had learned a Confucian classic from Choi Suk Mm, but after 1888 he would affiliate himself with Jeong Jae Gyu. He would learn the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and Ki Jeong Jin from Jeong Jae Gyu, with further studies of Nohsa doctrine based on Jun philosophy by way of Yi-ll-Bun-Su and Shim-Seong-Il-Chi theories. When the time came for Jeong Jae Gyu to defend FOepili and rNabryangsauij, Gwon would offer suggestions regarding Yi-Ju-Gi-Jong and Yi-Gi-Shim-Seong that these should be realized by Yi-Il-Bun-Su, and they were wholeheartedly embraced by Jeong Jae Gyu. Henceforth, Gwon Jae Gyu would be named as Jeong Jae Gyu`s successor. After Jeong`s death, Gwon`s Shim-Seong-Il-Chi theory would be disputed by a former colleague Nam Chang Hui. However, Jeong Myeon Gyu, who was Jeong Jae Gyu`s successor, would step in and give his approval cementing Gwons theory as being legitimate within Nohsa discipline in the Youngnam region. Following Jeong Myeon Gyu`s death in 1916 and Gwon Yun Hwan, shortly after, in 1918, Gwon Jae Gyu would be left, in effect, to lead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region. Gwon Jae Gyu, who had succeeded the line descending from Ki Jeong Jin to Jeong Jae Gyu, under Japanese rule, saw to it that Nohsa scholars` faction continue to flourish in the Yeongnam region by staying active. Gwon devoted himself to issuing collected works of Ki Jeong un`s disciples, while refining Neo-Confucianism, Yehak, and Nohsa doctrines by maintaining close association with many of his alumni. He also sought to keep the tradition of Nohsa scholars` faction alive by holding series of commemoration ceremonies. He has successfully produced many disciples from Danseong and Gyeongsangwudo region through his persistent pursuit of study. Gwon would expound on the significance of Wi-Jeong-Cheok-Sa, while personally setting art example to his scholars. He denounced the state of the Japanese rule as no better than being under the yoke of slavery. He insisted that never losing our civility and sense of honor, we can recover our country. When the country was liberated, Gwon placed his hopes on the realization of a Confucian based world founded on civility and fidelity. Gwon stressed that although we might learn from Western politics, or technology, we should never again let our land and our convictions based on Confucianism taken from us. Gwon Jae Gyu carried on the doctrine of Ki Jeong Jin and Jeong Jae Gyu, while propagating the discipline of Nohsa and Wi-Jeong-Cheok-Sa by way of active interaction with fellow colleagues and ongoing studies. Accordingly, Nohsa discipline based on sense of honor and morality was able to survive in the Yeongnam region ev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long after the Korea`s liberation.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조성가(趙性家)와 최숙민(崔琡民)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蘆沙學)의 전개양상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19세기 경상우도 학풍 속에서 趙性家(1824-1903) 와 崔琡民(1837-1905)의 활동을 분석하여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에 새로운 성관집단이 성장하면서 학파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고, 각 가문에서는 과거 급제나 학행에 뛰어난 인물 배출을 위해 노력한 결과 진주 일대의 학문 수준은 그 이전시기보다 훨씬 높아지는 결과를 갖게 되었다. 각 가문에서는 書齋를 지어 학문에 몰두하였으며, 지리산과 덕천강의 풍경이 뛰어난 곳에는 樓亭을 지어 문장을 통해 당색을 뛰어넘어 교제하였다. 문장 외에도 경학이나 성리학에 뜻을 둔 학자들은 호남의 기정진과 같은 저명한 학자 들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경상우도의 기정진의 문인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을 따라 이어진 길을 따라 호남으로 나아갔는데, 곳곳에 숙박할 수 있는 객점과 시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족들이 분포되어 있어서 여행이 용이하였다. 또한 장성의 김인후나 함양의 정여창의 후손 등 영,호남을 대표하는 사족들 간에 혼인도 이루어지고 있어서 호남 지역을 왕래하는데 정서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정진의 명성이 높아지자 많은 학자들이 기정진을 찾아와서 수학하게 된 것이다. 조성가와 최숙민은 19세기에 성장한 가문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상우도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이다. 그들은 河達弘(1809-1877)등에 의해 전개된 시단에 참여하여 다수의 시를 남겼으며, 장성의 기정진을 찾아가서 주리론에 바탕을 둔 성리학에 잠심하였다. 조성가는 호남지역 문인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하달홍 이후 이 지역의 시단을 이끌었으며 영, 호남간의 노사학파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그는 崔益鉉이나 宋秉璿, 李震相 등이 찾아올 정도로 명망이 높았으며, 관찰사나 목사 등 지방관과 함께 향약을 실시하여 향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계서원의 원장이 되어 강규를 새롭게 정하거나 조식의 신도비의 일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다. 또한 최숙민은 남인 출신이지만 기정진에게 수학한 인물로서 이항로나 이진상의 문인들과도 교제하면서 기정진의 학설을 심즉리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정진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한 이후 동문들과 강회를 자주 개최하였으며, 조식을 숭상하여 山川齋에서 德山講約의 강규를 정하는 등 강학에 힘써 산청과 단성, 진주 일대에 다수의 문인을 배출하였다. 그의 학문은 기정진의 학설을 추종하여 매사에 천명 즉 천리를 구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를 중시하고, 의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체 행동을 배격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1895년 단발령이 내리자 도에 어긋난다고 반발하여 직접 언문을 지어 단성의 吏民들을 효유하여 결국 단발령을 철회하게 하였다. 이처럼 조성가와 최숙민은 각각 이 지역의 문단과 학계를 주도하면서 경상 우도 지역에 의리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의 학설이 굳게 뿌리내리게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dvancement of Nohsahak studies within the Gyeongsangwudo`s academic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o Seong Ga(1824-1903) and Choi Suk Min(1837-1905).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relatively tolerant environment began to take shape owing to the rise of the newly established clans. It became possible to pursue a doctrinal faction of one`s own choosing. With every family clan vying to produce their own promising prodigy, who would make a name for themselve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r becoming a respected scholar, academic standards of the Jinju region rose higher than ever before. Every clan would set up their own "Seojae(study hall)" to dedicate themselves to learning. While building "Rujeong(pavilion)" in scenic spots, mostly in the Jirisan mountains or along the Deokcheongang river, to promote wide-ranging exchange of opinions through "Munjang(handwritten manuscripts)" even to the point of transcending political affiliations. Those keen on "Gyeonghak(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 "Seonglihak(Neo-Confucianism)" would study under renowned scholars like Gi Jeong Jin in the Honam region. Followers of Gi Jeong Jin living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would make their way to the Honam region taking the trail winding through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Jirisan mountains. Along these paths, lodging facilities like "Gaekjeom," and "Sajok(distinguished family`s household)" where you can exchange "Shimun(literary writings)," would be found scattered about, making traveling less of a chore.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Kim In Hu of Jangseong or the descendants of Jeong Yeo Chang of Hamyang, marriage between the leading families of the two regions was not an uncommon practice, thus canceling out any concerns of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All of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scholars flocking to study under Gi Jeong Jin as his reputation continued to grow.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o had the financial backings of the newly-risen clan in the 19th century, became notable figures among Gyeongsangwudo scholars. They had been closely involved in a poetry group fostered by Ha Dal Hong(1809-1877), contributing many compositions. They also went to Gi Jung Jin in Jangseong region delving into Seonglihak based on Ju-Ri philosophy. Jo Seong Ga kept close ties with literati of the Honam region, and eventually took over the reins from Ha Dal Hong to lead his poetry group, effectively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and the Honam region. Jo was held in such high esteem that scholars like Choi Ik Hyeon, Song Byeong Seon, and Lee Jin Sang sought him out. Working closely with governors and local officials, Jo would implement "Hyang-Yak(Confucianist village code)," as a means of establishing order in provincial districts. Later, he was to head "Namgye Seowon(lecture hall)," exercising his influence in newly enacting academic code of conduct and erecting a stone monument dedicated to Jo Shik. Choi Suk Min though he was from the Namin faction, chose to study under Gi Jeong Jin establishing close ties with the likes of Lee Hang Ro and Lee Jin Sang. He was to interpret Gi Jeong Jin`s theories in terms of "Shim-Jeuk-Lee(心卽理)" philosophy`s perspective. After studying "Seonglihak" under Gi Jeong Jin, he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with his alumni. As a sign of utmost reverence for Jo Shik, Choi would institute academic code of conduct called "Deoksangangyak" in Sancheonjae. His commitment to education has turned out many scholars from Sancheong, Danseong, and Jinju region. Choi`s philosophy, which follows in the footstep of Gi Jeong Jin`s theories, is in realizing the truth in everything. In line with this logic is to place the utmost importance on ethical order according to "Sam-Gang-Oh-Ryun(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denouncing any behavior contrary to righteousness and reason. On this account, when "Danbalryeong(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proclaimed in 1895, Choi personally wrote a written protest using Korean alphabets in opposition, asserting that it ran counter to reason. This incited the citizens of Danseong, and Danbalryeong was soon called off.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ile leading the learned circles of this region, made doctrines of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righteousness take root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의령의 인물과 학문 (2) : 立巖(입암) 南廷瑀(남정우)의 交遊關係(교유관계)와 學問世界(학문세계)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7 No.-

        이 글은 한말과 일제시대에 주리론과 위정척사사상을 고수하였던 의령의 입암 남정우의 교유관계와 학문세계를 분석한 것이다. 입암은 영남의 盧沙 학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로서 寒洲 학파의 인물과 교유가 깊었기 때문에, 한말 유학계를 대표하는 두 학파의 상호교류나 학설의 발전을 살피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입암은 노사학맥에서는 노백헌 정재규, 農山 鄭冕圭, 한주 학맥에서는 면宇 郭鍾錫, 弘窩 李斗勳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에 그의 성리설은 노사학설과 한주학설이 종합되어 나타난다. 그는 노백헌과 농산의 학설을 한주의 학설과 동일한 心卽理와 理體理用으로 이해하였다. 한주의 심즉리설은 본래 노사의 리주재와 이일분수의 관점을 보다 발전시킨 것이기 때문에 노백헌이 한주의 설을 수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었다. 입암은 허령도 아예 리로 이해하여 노백헌의 심설에서 논란이 되었던 리의 작용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에 입암의 심성론은 곧바로 기의 작용을 중시하였던 夷川 南昌熙 등에 의해 심은 기로 보아야 한다는 반박을 받기도 하였으나, 노백헌의 뒤를 이었던 농산이나 송산 등의 지지를 받아 심즉리설이 노백헌의 정통설로 굳어지게 되었다. 또한 입암은 심을 리의 차원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에 敬을 통해 인심을 억제하고 도심을 온전히 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매사에 선악을 구분하여 절대선을 지향하고자 하였으며,예설에서도 명분이 바르지 않으면 의리에 부당하다고 하여 명분에 입각한 예설을 따랐다. 이러한 입암의 학문은 주자와 노사, 노백헌의 학풍을 계승하여 이기, 심성에서의 주리설과 경을 통한 수양을 중시하였으며, 사상적으로는 衛正斥邪를 고수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Ipahm Nam Jeong-Wu from Eui- ryeong with an investigation into his social intercourse and his literary world. He firmly adhered to the doctrine of Ju-li(主理) and Wi-jeong-cheok-sa(衛正斥邪), at the tailend of Joseon Dynasty and during Japanese occupation. Since his place in Yeongnam`s Nohsa line of scholars is more than secure, along with his forming close ties to the Hanju line, it would contribute greatly to understanding interactions and advances in theories between these two most notable schools representing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pahm would be influenced by the likes of Nobaekheon Jeong Jae-Gyu and Nongsan Jeong Myeon-Gyu from the Nohsa line, while from the Hanju shool Myeonwu Gwak Jong-Seok and Hongwa Lee Du-Hun`s influences would weigh heavily upon him. Consequently, his theory of Xing-li(性理) brings to light both Nohsa and Hanju line of thought. He perceived that theories by Nobaekheon and Nongsan, as did Hanju`s theories, were arrived at by way of Xin-ji-li(心卽理) and Li-ti-li-yong(理體理用). It was in no way difficult for Nobaekheon to accept Hanju`s theories since Hanju`s theory of Xin-ji-li was inherently an extension of Nohsa`s position on Li-zhu-zai(理主宰) and Li-yi-fen-shu(理一分殊). Ipahm sough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workings of Li(理), which had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Nobaekheon`s Xin theory(心說), by apprehending even Xu-ling(虛靈) as Li. Ipahm`s Xinxing(心性) doctrine which advocated the Xin-ji-li standpoint would be refuted by the likes of Yicheon Nam Chang-Hui who argued that Xin should be regarded as Qi(氣). However, support by Nongahm along with Songsan and others would cement Xin-ji-li theory as being the orthodox theory of Nobaekheon. Furthermore, since Ipahm perceived Xin in terms of Li, he strived to suppress Renxin(人心) by way of Jing(敬) and sought manifestations of a well-balanced Taoxin(道心). Accordingly, he sought after the absolute good by way of distinguishing virtue from vice in everything. Even in Yeseol(禮說: Theoretic studies on propriety) he adhered to it emphasizing moral obligations by insisting that if justification cannot be provided it was unacceptable to one`s sense of duty. Ipahm, by carrying on the academic traditions of Nohsa and Nobaekheon, would lay emphasis on self-discipline by way of Jing(敬) along with Ju-li doctrine based on Li-qi(理氣) and Xinxing(心性). Adhering to the Wi-jeong-cheok-sa doctrine constitutes his ideological background.

      • KCI등재

        愚山 李鉉五(1868~1923)의 蘆沙學脈 계승과 主理論의 전개

        김봉곤(Kim, bong G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2 No.-

        영남의 의령지역에서는 18세기 영조 이후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기 시작하여 19세기에 이르면 남인이나 노론계열에서 학자들이 대거 배출되었다, 그 중에서도 노론(老論) 계열로서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ㆍ노백헌(老栢軒) 정재규(鄭載圭)로 이어 지는 노사학맥(蘆沙學脈)을 계승한 입암(立巖) 남정우(南廷瑀)와 이천(夷川) 남창희(南昌熙) 등이 크게 두각을 나타내었고, 안악 이씨 가문의 우산 이현오도 노사학의 전파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의령의 안악이씨는 일찍이 노사 기정진으로부터 서문을 받아 족보를 간행함으로써 일찍부터 노사와 인연이 있었다. 우산의 부모 역시 아들의 학문성취를 위해 당대노사학의 종장 노백헌에게 보내 수학하게 하였고, 노백헌 역시 우산이 자신과 호남 의 대곡(大谷) 김석구(金錫龜)를 계승할 인물로 기대하고서 학문에 대한 정밀성과 사변의 폭이 깊어지도록 지도하였다. 노백헌의 가르침을 받은 우산은 이후 영남이나 호남지역의 동문은 물론, 멀리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 등 화서학파(華西學派) 와도 관련을 맺게 되었다. 그는 노백헌으로부터 수학한 공부를 바탕으로 위정척사(衛正斥邪)에 대한 신념을 높여 갔으며, 노백헌 사후 강학과 학문활동에 전념함으로서 노사학이 의령지역에 널리 퍼져가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우산이 이해한 노사학은 노사의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에 기초를 둔 이기론이었다. 다만 심성론에서는 1870년대 이후 노백헌이 한주문인과 토론을 거쳐 수용한 심즉리설을 수용한 형태였다. 노사는 기호학의 전통에 따라 심의 기 측면을 중시하였 지만, 노백헌은 노사의 이일분수설을 확장하여 심성론에서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수용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에 영남지역에서는 노사학맥과 한주학맥과 관계가 깊어지게 되었고, 노사ㆍ노백헌을 정점으로 하는 도통의 계보도가 그려지었는데, 우산의 경우도 의령에서 그러한 학설의 대표적인 인물로 자리매김 되었던 것이다. Ever since the 18th, the reign of King Yeongo, a great number of scholars were from Yeuryeong, Yeongnam and in the 19th, many of them were in the Namin or Noron party. Among them, Ipam(立巖) Nam Jeong-Woo(南廷瑀) and Leecheon(夷川) Nam Chang-Hee(南昌熙), succeeding Nosahakmaek(蘆沙學脈), which had been continued from Nosa(蘆沙) Ki Jeong-Jin(奇正鎭) to Noh Baek-Hun(老栢軒) and Jung Jae-Gyu(鄭載圭), distinguished themselves and Woosan Lee Hyeon-Oh, from the family of Ahak Lee, made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dissemination of the Nosahak. The family of Anak Lee had a relationship with Nosa(蘆沙) Ki Jeong-Jin(奇正鎭), by receiving a preamble from him for its genealogy. The parents of Woosan also sent him to Noh Baek-Hun, the head of the Nosahak of the time, to study, and Noh Baek-Hun also believed that Woosan would be the one succeeding the academic accomplishments of his and Daegok(大谷) Kim Seok-Gu(金錫龜) and guided him to deepen his scope of thoughts and knowledge. Woosan, received teaching from Noh Baek-Hun, later came to get connected with his alumnus in Yeongnam and Honam as well as scholars of Hwaseohakpa(華西學派) including Myeonam(勉庵) Choi Ik-Hyeon(崔益鉉). He raised his belief about Wijeongchuksa based on the teachings of Noh Baek-Hun and since the decease of his teacher, he dedicated to educational and academic activities, contributing to the dissemination of the Nosahak in Yeuryeong. Woosan’s understanding of the Nosahak was the theory of reason based on the theory of Li-YlFen-Shu(理一分殊說) of Nosa, but accepting the theory of heart of Hanju Lee Jin-Sang. Following the tradition of semiology, Nosa emphasized the aspect of mind, Noh Baek-Hun expanded Nosa’s theory of Li-Yi-Fen-Shu and integrated the theory of heart of Hanju Lee Jin-Sang with the Simjeukrisul(心卽理說). Thus, in Yeongnam, a relationship between Nosahakmaek and Hanjuhakmaek got deepened and the genealogy with Nosa – Noh Baek-Hun at the center were established. In case of Woosan, he was also considered to be one of representative figures for the aformentioned academy in Yeuryeong.

      • KCI등재

        연구논문 : 15, 16세기 지리산권(남원,함양) 사족의 혼인관계와 정치, 사회적 결속

        김봉곤 ( Bong Gon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49 No.-

        본고는 지리산권 사족층이 형성되어갔던 15·16세기를 중심으로 혼인관계를 통해 지리산권 사족의 경제적 기반형성이나 정치적, 사회적 결속의 측면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남원과 함양 지역은 토지가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하여 15세기 후반 이후 많은 시족들이 이곳에 진출하였다. 그 중에서도 남원의 삭녕최씨, 순흥안씨, 남양방씨, 순창의 남원양씨, 함양의 하동정씨, 풍천노씨 등은 세조 대에 공신을 배출한 가문으로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혼인관계를 통해서 깊이 연결되었다. 이들 가문은 16세기 이후 점차 사림가문으로 전환되어 갔다. 이 지역에도 성리학적 가피관이 중시되고, 증종 대 이후 지방에서도 사림세력들이 크게 확산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남원과 함양을 연결하는 교통로인 운봉을 통해서 서로 간에 왕래하고 혼인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이들 가문은 각 지역에 서게하였던 가문과의 혼인관계를 통해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후손들이 계속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유력한 가문과 혼인하였으며 서로간의 협력으로 새로운 근거지를 개척할 수 있었기 때문에 대대로 경제적 기반이 크게 줄지 않았다. 이들 가문은 16세기에 혼인을 통해 영·호남의 저명한 사림가문도 결속되었다. 특히 남원의 안처순의 딸과 혼인하였던 함양의 노진은 중앙이나 지방에서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크게 두각을 나타내었기 떄문에, 두 지역 사족들과 깊은 유대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그가 타계하자 두 지역 사족들은 노진을 모시는 서원을 각각 건립하기에 이르었다. 이후 당쟁이 격화되어 남원은 대체로 서인, 함양은 북인 또는 남인이 많았으나 혼인관계에 있었던 가문간에 교류가 계속되고 당색이 바뀌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이들 가문은 왜란이 일아나자 의병에 다수 가담하여 국가에 공을 세웠고 이후에도 사족간의 혼인을 통하여 혈통의 순수성이 유지되었으므로 대부분 향안에 입록할 수 있게 되어 17세기 지리산권(남원·함양) 사족의 혼인관계와 정치·사회적 결속(김봉곤)에도 남원과 함양 등의 지리산권의 향촌질서를 주도하였다.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distinguished noble families of the Jirisan region and their establishment of economical, political and social solidarity through matrimonial relationships during the 15th and 16ht century when noble families of the Jirisan region began to take shape. Namwon and Hamyang with its fertile land and abundant produce proved to be than enough to lure in prominent families to the region during the late 15th century. Saknyeong Choi Sunheung Ahn, Namyang Bang clan along with Namwon Yang of Sunchang, Hadong Jeong, and Pungcheon Noh of Hamyang had been families that had produced meritorious retainer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erefore, they were closely-knit not only in the political sphere but in the marriage sphere as well. After the 16th century, factions. Gradually transformed into Pro-Sarim factions. In that, Neo-Confucian values began to be regarded most highly even in the Jirisan region and the influence of the Sarim faction had been gaining momentum in the provinces in the wake of the king Jungjong`s reign. These families came in contact with each toher and even entered into matrimonial relationships mainly through Wunvong thoroughfare which connected Nawon and Hamyang. These families tried to gain a financial foothold by forming matrimonial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roughout the region. Even though the descendents continued to swsll, their financial status remained mostly stable due to the practice of exchanging marriage vows with economically secure families which even enabled them to settle new territories. These families bond with distinguished Noble Families in Hamyang and Yongnam through marriage. Notably, Noh Jin of Hamyang who married the daughter of Ahn Cheo-Soon of Namwon, concluked political, social, academical relations with Noble Families in Honam and Yongnam outside Namwon and Hamyang. After Noh Jin`s death, they emulously builded Seowons in Namwon and Hamyang. Also even though the intensification of the party strife, These families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through marriag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families would organize resistance forces and through the matrimonial relationships they preserved pure bloodoines, thereby enabling the inscripition of Hyangan. Accordingly, During the 17th century took the initiative of the local social order in the Jirisan regions of Namwon and Hamyang.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후기(朝鮮後期) 보성사인(寶城士人) 박형덕(朴馨德)의 생애(生涯)와 향촌교화책(鄕村敎化策)

        김봉곤 ( Bong Gon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6

        본고는 수령권이 강화되고 재지사족들의 향촌지배력이 약화된 조선 후기 특히 정조 연간과 순조 초에 보성출신의 士人 박형덕이 어떻게 사족으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향촌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는가를 살펴본 글이다. 박형덕은 선조 때의 보성의 유명한 학자였던 朴光前의 후손으로 태어났으나, 그가 살았던 시기는 사족들의 향촌지배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었던 때였다. 이에 그는 향교를 출입하고 수령과 교유하면서 향촌사회에서 사족의 위상을 높이려고 하였고, 同姓村落을 새롭게 마련하여 족적 결속과 문중세의 확산에 노력하였다. 그는 우선 농촌에서의 농업생산력 증대에 주력하였다. 그는 불규등한 토지 소유나 三政의 문란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각종 농법을 보급하거나 개선하여 농업 생산력의 증대를 꾀하였다. 당시 빈부격차가 극심한 현실에서 사족이나 농민들이 어느 정도 농지를 갖고 생산 활동에 종사하여 부가 축적되어야 부모를 봉양하거나 유교적 예속을 실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1796년에 寶城 鳴鳳洞으로 동족들의 거주지를 옮긴 이후에 새로운 정착지에서 유교적인 윤리를 통해 동족들의 결석을 도모하는 하편, 보성지역을 유교적으로 교화하고 유교적인 예속을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는 수령에게 건의하여 鄕校-面訓長-書堂의 敎育體系를 보성지역에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小學』교육을 통해 올바른 심성의 도야를 꾀하였다. 또한 향약을 실시하여 부모나 부자, 친척, 붕우, 이웃 간에 孝悌나 和睦 등 유교적 도덕을 확립하고 관ㆍ민간에 기강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鄕飮酒禮 등의 유교적 예속을 널리 보급하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향촌 교화책은 정조 대 이후 정학을 숭상하고 이단을 배척하려고 하였던 국가의 정책에 사족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족의 역할을 증대시키려고 하였던 것과도 관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실제 『소학』을 교육하거나 향음주례에도 직접 참여하였으며, 鄕約長이 되어 향약을 지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서원이나 사우에 배향된 인물에 대한 총절과 효행을 찬양하거나, 수령들에게 많은 충절 인물에 대한 표창이나 지원을 부탁하였다. 이러한 그의 명망이 크게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그가 옮겨간 마을이나 보성 지역에 유교적 예속과 기풍이 크게 장려되었다. 19세기에 이르면 보성 지역은 다른 어느 자역보다 효자나 열녀가 다수 배출되었으며, 한말에는 일제의 부당한 국권 침탈에 맞서서 의병운동이 크게 일어나게 되었는데, 박형덕과 같은 향촌 지식인의 교화활동과 관계가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s the life of Park Hyeong-Deok, an aristocrat who was from Boseong, and his scheme through which he helped the local nobility raise its status and have an influence on the community in the late Chosun period when county magistrates(守令)`s power was becoming bigger, and on the other hand, the local aristocrats were losing their influence. Park was a descendant of Park Gwang-jeon, who was a renowned scholar in Boseong when the king was Seon-jo. When he lived, the local aristocrats were losing their control over the community. So, he tried to regain their authority by joining Hyangyo(鄕校 County School) and mixing with the county magistrates(守令), and he also made efforts to strengthen family ties and increase the clout of lineages by establishing new communities consisting of same family names. He first paid attention to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on. He was critical of the inequality of landownership and the breach of Sam-Jung(three administrative policies) and he attempted to disseminate and refine various agricultural techniques to increase production. At the time,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was very huge, and people needed land to make a living by farming so that they could support their family and implement Confucian obligations. He moved the residence of his relatives to Myeongbongdong in Boseong in 1796, and promote the domestic union in the new location. Furthermore, he tried to reclaim the Boseong area through Confucianism. He suggested to the local official an idea to build an educational system in Boseong, and gave efforts to help people to develop their mind by teaching them Sohak. Besides, he practices Hyang-yak to raise Confucian morality such as order and harmony, and tried to spread the Confucian manners. His scheme for the community reclamati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aristocrats` efforts to strengthen their influence by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s policy to pursue the originality of Confucian and exclude heterodoxy. He taught Sohak(小學) and took part in Hyang-eum-ju-lae(鄕飮酒禮), and he was the head of Hyang-yak(鄕約). He also praised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of the figures who were enshrined in Seowon(書院) or Sawoo(祠宇), and suggested to the officials providing support and commendation to them. Thanks to all of his efforts, he earned high reputation in the community, and the Confucian manners were promoted through the areas where he was staying. By the 19th century, there were lots of filial sons and daughters in Boseong, and there were the resistance of the loyal troops against Japanese invasion,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efforts of the local literati like P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