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왕겨/모래/왕겨 회재의 유동 및 혼합 특성 연구

        김보화 ( Bo Hwa Kim ),서명원 ( Myung Won Seo ),국진우 ( Jin Woo Kook ),최희망 ( Hee Mang Choi ),라호원 ( Ho Won Ra ),윤상준 ( Sang Jun Yoon ),문태영 ( Tae Young Mun ),김용구 ( Yong Ku Kim ),이재구 ( Jae Goo Lee ),이영우 ( Young Wo 한국화학공학회 201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4 No.4

        Lab-scale 기포유동층 반응기(D=0.1 m, H=1.5 m)에서 왕겨와 모래를 혼합하여 가스화를 통해 합성가스를 얻고 남은 왕겨 회재는 고부가가치 물질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의 선행연구로서 왕겨/ 유동사/ 왕겨 회재(실리카)의 혼합 및 유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왕겨/유동사를 5:95, 10:90, 20:80, 30:70의 부피비로 유속 범위(0~0.63 m/s)조건으로 수행하였으며, 또한 왕겨 회재는 왕겨를 기준으로 부피비 6%로 결정하였다. 왕겨/유동사, 왕겨/유동사/왕겨 회재의 혼합실험을 통해 왕겨 부피비 0%, 5%, 10%에서는 최소유동화속도가 0.19~0.21m/s임을 확인하였고, 20%일때는 0.3m/s로 증가하였으며, 30%일때는 분리현상이 나타나 최소유동화속도가 측정 되지 않았다. 또한, 실험데이터에 따라 Brereton과 Grace의 mixing index를 이용하여 각 조건 별로 mixing index값을 도출한 결과 왕겨/유동사의 혼합은 0.8~1, 왕겨/유동사/왕겨 회재의 혼합은 0.88~1 사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왕겨/유동사의 혼합과 왕겨/유동사/왕겨 회재 혼합의 최적 조업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운전조건을 결정할 수 있었다. We investigate fluid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of rice husk, silica sand and rice husk ash as a preliminary study for valuable utilization of rice husk ash obtained from gasification of rice husk in a fluidized bed reactor. As experiment valuables, the blending ratio of rice husk and sand (rice husk: sand) is selected as 5:95, 10:90, 20:80 and 30:70 on a volume base. Rice husk ash was added with 6 vol% of rice husk for each experiment and air velocity to the reactor was 0~0.63 m/s. In both rice husk/sand and rice husk/sand/ash mixture, the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Umf) is observed as 0.19~0.21 m/s at feeding of 0~10 vol.% of rice husk and 0.30 m/s at feeding of 20 vol.% of rice husk.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rice husk up to 30 vol. %, Umf can not measure due to segregation behavior. The mixing index for each experiment is determined using mixing index equation proposed by Brereton and Grace. The mixing index of the mixture of rice husk/sand and rice husk/sand/ash was 0.8~1 and 0.88~1, respectively. The optimum fluidization condition was found for the good mixing and separation of rice husk ash.

      • KCI등재

        성폭력 피해의 특성에 따른 피해자의 성폭력 통념 경험

        김보화(Kim, Bo-Hwa),추지현(Choo, Ji-Hyun),이미경(Lee, Mi-Kyoung) 한국피해자학회 2017 被害者學硏究 Vol.25 No.2

        Sexual violence myth has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occurrence/overcoming/signifying of, and response to sexual assault. This study starts from a critical view on how victims of sexual violence experience misconception in different relationships and under different conditions. We surveyed 235 victims and conducted 14 in-depth interviews to look into how they experience sexual violence myth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perpetrators, their age when the incident took place, and whether the incident was rape or not. The results show that victims are more vulnerable to sexual violence myth during investigation or court trial, by people around them and media, especially when the victims are adult women, and they knew/were close with/went on dates with/had drinks with the perpetrators on their own will. Victims of sexual aggression by stranger or rape are relatively less prone to experience rape myth in which their sufferings are questioned, denied, downplayed, and even attributed to them. Damages of sexual violence cannot be measured objectively by its types. It varie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s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cident. Therefore, no one but the victim can define the damage and its significance for each case. Nonetheless, rape myth instigated by family members, acquaintances, and media, often during investigation/trial procedures, assumes that feelings suffered by victims/women such as discomfort, anger, false accusation, and betrayal, can be easily edited and altered. Impacts of sexual assault are not a matter to be accepted based on biased social misconceptions. It should be about how much the society can empathize with the challenges that victims/women face.

      • KCI등재

        실용무용 전공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능력믿음이 무대불안 및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김보화(Kim, Bo-Hwa),민솔비(Min, Sol-Bi),김준(Kim, Jun) 한국체육과학회 201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aims to substantiate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and ability belief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dance on stage anxie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dow ver. 23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standards of perfectionism had nega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and physical anxiety of stage anxiety. Precariousness of performance and anxiety of making mistak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physical, cognitive anxiety of stage anxiety. Second, the individual standards of perfectionis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ance proficiency, cognitive efficiency and resilience of the performance confidence, and anxiety of making mistakes had negative effects of the dance proficiency, cognitive efficiency and resilience of the performance confidence. Third, the fixed belief of ability belief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anxiety of stage anxiety, and the increased belief had a negative effect on physical anxiety. Fourth, the increased belief in ability belief ha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ance proficiency, cognitive efficiency and resilience of the performance confidence.

      • KCI등재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어린이집 보수교육프로그램 평가

        김보화(Bo-Hw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질적 향상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하여 어린이집 유아교사가 이수한 보수교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충남 및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집 유아교사 대상 보수교육은 목표제시와 사전분석과 같은 교육상황은 다른 평가영역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아교사 개인요인과 같은 교육과정은 상대적으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영역으로 평가 되었다. 유아교사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획일적인 교육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교사의 현장과 실태를 고려하여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고 교사의 현장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교사대상 보수교육의 평가를 통해 보수교육프로그램의 실정과 추후 보다 바람직한 어린이집 보수교육이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보수교육 내실화를 위한 유아교사의 자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 CIPP model-based evaluation of day care centers in-service education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fant teachers. This study covered 203 infant teachers of a day care center located in Chungnam and Daejeon 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The education situation, such as a suggestion of a target and pre-analysis, was more positive than other evaluation areas, but the education course, which is a personal variable of infant teachers, was found to require modifications in day care center in-service education. Uniform education that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eacher have limitations to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reflect the requirements of the infant teacher. Finall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a desirable in-service education and qualification improvement program to improve in-service education through an evaluation of day care center in-service education.

      • 학교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학교효과 관련 지표 비교 분석

        김미영(Kim Mi young),김보화(Kim Bo hwa)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문제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조사, 통계청의 사회조사를 기반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을 17개 시ㆍ도교육청별, 고등학교 유형별(일반고, 자율고, 특수목적고)으로 설정하고 교육재정과 관련된 학교 만족도 결정 요인들을 취사선택하였다. 분석 항목은 학교알리미에 제공된 주요 공시 자료에서 학교 수, 학생 수, 교원 수의 현황을 비롯하여 고등학교 교육여건 개선과 관련된 교육활동의 핵심 준거 지표들이다. 이 연구에서 선정한 지표들은 고등학생들의 학습을 포함한 전반적인 학교생활과 그에 대한 성과는 학교 효과성에 관한 기본 조건들과 만족도 요인들에 좌우된다. 학생현황의 학급당 학생 수, 교사 1인당 학생 수, 교원현황의 정규교원의 비율, 교육여건의 교사 1인당 주당 평균 수업 시수와 방과후 학교 학생 1인당 지원액, 교육활동의 급식비 지원 학생 비율인 4개의 대분류와 6가지 중분류 항목이 포함된다. 분석 결과, 학교 수에 있어서 3개의 고등학교 유형중 일반고는 가장 많은 수가 운영되고 있고 특수목적고는 그 수가 가장 적어 학교 수에서 차이가 많으며 특히 자율고와 특수목적고는 도서벽지에 존재하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세부 항목별로도 지역별, 학교 유형별로 차이가 드러났는데 이는 고등학교 다양화 프로젝트를 통해 학교 교육의 선택권을 확대했고 자율화의 방향에 맞춰 고등학교 교육체제를 개편한 것에 기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역 간, 학교 간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낮추고 공교육을 내실화를 기하는 교육투자의 공평성 확보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examines which factors have an effect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based on the data(2004~2007) of 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tion & Training and Social Survey(2010) of Statistics Korea.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argeted by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s despite of the insufficient school status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3 classification of high school(general high school, autonomous high school,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The identifying criteria are selected from the core indicators presented by the web-site(www.schoolinfo.go.kr), relevant factors of school satisfaction especially in respects to the educational finance. The content items are the several major indicators in a government notice, including the number of schools, students and teacher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vestment of education in terms of improving the condition of education. The standard of analysis fall into the subcategories as follows: students per class in the status of students, students per teacher in status of teachers, teaching hours per week and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after school program in the condition of education, and take-up of government benefits for school lunch in the educational activity. The selected indicators for analysis are in collusion with the school effectiveness about how the fundamental conditions affec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verall school life and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outcomes of analysis show that the number of the general high school is the highest among those 3 types of high school and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has the lowest numbers of school, so there is a hug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Also, the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and the autonomous high school do not exist in islands and isolated areas. It causes the characteristics of disparity by provinces and by types of high school. Furthermore, the migration of students to large cities for better education may hinde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s. More specifically, the gaps are great in 6 indicators of analysis is produced between regions and schools of each type mentioned above. That may result from the system reform of high school through the project of high school diversification focused on the level of autonomy in addition to the extension the choice of school sel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ublic education and secure the equity of investment in education to make sure of reducing the gap in education by intra-regional and school to school and easing the burden of educational expenses on students.

      • KCI등재

        2, 30대 비혼 여성의 결혼 전망과 의미

        이재경(Lee, Jae Kyung),김보화(Kim, Bo Hwa)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4

        여성의 결혼지연에 대한 연구들은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노동시장 진출을 그 원인으로 설명해 왔지만, 교육수준과 취업변수는 여성의 초혼연령과의 관계에서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한다. 또한 고학력의 여성이 결혼을 늦게 하고, 저학력의 여성이 결혼을 일찍한다는 과거의 담론도 더 이상 지지되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오히려 높은 결혼 비용과 주거 비용, 불안정 노동시장 등이 결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2, 30대 비혼 여성들이 자신들의 결혼을 어떻게 전망하고 의미화하는지 학력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살펴보았다. 학력이나 대학서열이 사회ㆍ경제적 지위를 유지 재생산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이며, 이후 자신의 지위와 부모의 경제적 자원과 결합하여 결혼이행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결혼을 통해 정서적, 경제적으로 안정적 삶을 얻고자 하는데,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입과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안정적 미래를 기대하지만, 일부 저학력이거나 저소득 여성들은 취업과 결혼 모두 불안정한 미래가 될 수 있음을 고민하기도 했다. 결혼의 계획 시기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 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존재했는데, 연령 규범, 순서 규범 등이 복합적으로 적용되면서 계획된다.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은 경제적 능력, 잠재력, 학력 등 보상이 돌아올 수 있는 배우자를 원했고, 결혼의 결정에 있어 부모에 대한 의존이 크게 드러났다. 반면 저학력, 저소득 여성들은 비슷한 배경의 사람을 만나 예속되지 않고, 부모와도 독립적으로 살기를 원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혼은 개인이 스스로 `선택`하거나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노동, 계층 등의 경험이 역동적으로 갈등하고 협상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결혼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기보다 어떤 조건과 배경의 어떤 여성들이, 어떠한 결혼을 전망하고, 계획하는가의 물음을 통해 기존에 여성을 문제적으로 상정하는 결혼 지연, 저출산 담론이나 가부장적 가족 질서에 균열을 낼 수 있는 시도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spect and meaning of marriage among Korean unmarried women by focusing on educational differ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nty-two unmarried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educational attainment. On the one hand, regardless of educational level, most interviewees expect emotional stability and economic security from marriage. They also generally want to pursue their career after marriag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group differences when it comes to the prospect of marriage. Highly educated women are more likely to be dependent on their parents, who have enough socioeconomic resources, and thus they are more likely to view marriage as a family project. In contrast, less educated women are more likely to be independent of their parents who lack the resources to support their child`s marri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marriage is not a matter of individual choice, rather being constructed as the result of a complex intersection of family background, labor experiences, and socioeconomic structure, implying that marriag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intergenerational persistence of inequality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is study extends the discussions on the link between marriage and the reproduction of social class by analyzing prospects for marriage. Furtherm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dismantling prevailing discourses that blame Korean unmarried women for the current low birth rate and delayed marriage phenomenon.

      • KCI등재

        질적 연구 경험에 대한 협력적 성찰이 가진 방법론적 의미 탐구

        가소만(Suman Jia),허창수(Changsoo Hur),김보화(Bo-Hw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이 연구는 연구자의 질적 연구 ‘경험’에 대해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협력적 ‘성찰’을 하여 그 의미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한 연구자가 질적 연구를 처음 수행했던 경험을 토대로 자기 성찰과 협력적 성찰을 실천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주관성을 드러내는 데에 가장 적합한 글쓰기 방법인 자문화기술지를 연구방법으로 채택했고, ‘연구자의 질적 연구 경험은 어떠하며, 그 경험에 대한 성찰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결과 첫째, 질적 연구는 연구자의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로부터 시작하며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 주제와 대상이 발현한다. 둘째, 질적 연구는 연구 방향의 엄밀하고 타당한 검토를 위해서는 문헌, 현장조사 등 사전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셋째,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실성을 확보하는 동료 검증은 협력과 학습을 위한 과정임을 이해하였다. 결론 질적 연구 경험을 성찰하는 것은 ‘연구자로서 나’와 ‘개체로서 나’에게 모두 의미 있는 전환 학습 차원의 교육적 경험이었다. Objectives This study purports to find the meaning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s on ‘experience’ of a qualitative researcher. Methods In response, a researcher practiced self-reflection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based on a researcher’s first experience in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uto-ethnography, which is the best way to reveal the subjectivity of researchers,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 1) how did a researcher experience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2) what is the meaning of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alitative research begins with a reflection of the researcher s own life, and 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study are expressed through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Second, qualitative research recognized that prior research, such as literature and field investigation, was necessary for a rigorous and reasonable review of the research direction. Third, for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peer debriefing was understood to be a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learning. Conclusions Reflecting on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was a meaningful educational experience for both ‘as a researcher’ and ‘as an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