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06 식품의약품안전처 SESSION : GC-NP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유기인계 농약의 동시분석법 확립

        안경근 ( Kyung Geun Ahn ),김경하 ( Gyeong Ha Kim ),김기쁨 ( Gi Ppeum Kim ),김민지 ( Min Ji Kim ),김슬아 ( Seula Kim ),강련웅 ( Ryeon Woong Kang ),김정은 ( Jeong Un Kim ),황영선 ( Young Sun Hwang ),이영득 ( Young Deuk Lee ),정명근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유기인계 농약 중 제초제 anilofos, 살균제 iprobenfos, 살충제인 chlorpyrifos-methyl,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및 tebupirimfos 등 8종 농약의 동시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재 식품공전에 수록되어 있는 이들 각 농약의 기기분석법은 GC-ECD,GC-NPD 혹은 GC-FPD 분석법이 각각 적용되어 있으므로 고감도 선택성 검출기의 적용이 필요하며, 아울러 기존 분석법은 packed column의 사용 및 cartridge 정제에 의해 정제도 및 재현성 불량 등 일상분석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연구는 농축, 유지제거 과정 및 정제과정의 간소화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신뢰성 높은 GC-NPD/MS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부류별 5종(현미, 콩, 배추, 감귤 및 고추)의 대표 농산물을 선정하여 마쇄 후 아세톤으로 추출하고, 포화식염수와 증류수를 첨가한 뒤 n-hexane으로 액-액 분배하여 florisil 흡착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였다. Florisil 정제법은 50 mL의 n-hexane/acetone(99.5:0.5, v/v)으로 세척한 후 150 mL의 n-hexane/ acetone (97:3, v/v)로 용출하여 chlorpyrifos-methyl, 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및 tebupirimfos의 6성분을 분리하였고, 추가적으로 150 mL의 n-hexane/acetone(92:8, v/v)로 anilofos 및 iprobenfos 2성분을 용출하였다. 분석대상 농약의 기기분석 시 resolution을 고려하여 최적의 분석용 GC 컬럼은 DB-17 capillary column으로 선정하였으며, 3수준 3반복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정량한계는 chlorpyrifos-methyl, parathion-methyl 및 tebupirimfos이 0.004 mg/kg, 그외 anilofos, iprobenfos, mecarbam, phenthoate 및 prothiofos는 0.008 mg/kg이었다. 각 대표 농산물에 대해 정량한계, 정량한계 10배 및 5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정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80.7-105.0%의 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반복 간 변이계수(CV)는 최대 5.8% 미만으로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 이내를 만족하였다. 또한 GC/MS를 통해 잔류분을 재확인 하였으며, TIC(Total-Ion Chromatogram)와 mass spectrum을 고려하여 SIM (Selected-Ion Monitoring)을 통해 실제 농산물 시료에 적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GC-NPD/MS를 이용한 유기인계 농약 anilofos, iprobenfos, chlorpyrifos-methyl, mecarbam, parathion-methyl, phenthoate, prothiofos 및 tebupirimfos의 동시분석법은 재현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정밀 분석법으로써, 일상적잔류 농약분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Voxel-based Investigations of Phase Mask Effects on Susceptibility Weighted Images

        황어진,김민지,김혁기,류창우,장건호,Hwang, Eo-Jin,Kim, Min-Ji,Kim, Hyug-Gi,Ryu, Chang-Woo,Jahng, Geon-Ho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3 의학물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상의 화소 간 분석(voxel-based analysis)을 이용하여 자화율 가중 영상(SWI)에 나타난 위상 마스킹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20명의 정상 노인에서 SWI 영상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3차원 경사자장 에코 시퀀스를 이용하여 영상을 얻었다. SWI 영상에서의 위상 마스킹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원래의 경사자장 크기(magnitude) 영상에 위상 영상을 2번 곱한 SWI2 영상, 4번 곱한 SWI4 영상, 영상 내 정맥 혈관을 강조한 양의 위상 마스크 SWI 영상 (PSWI), 그리고 조직 부분을 강조한 음의 위상 마스크 SWI 영상(NSWI)을 만들었다. paired t-test를 이용한 PSWI와 NSWI간 신호강도의 차이, SWI2와 SWI4간의 신호강도의 차이, 그리고 경사자장 크기영상 영상과 위상 마스킹에서 얻은 SWI 영상의 신호강도의 차이를 voxel-based 분석으로 수행하였다. 신호 강도 차이는 magnitude과 SWI4 영상 간의 차이가 magnitude과 SWI2 영상 간의 차이보다 더 크게 나왔다. 또한, 신호강도 차이는 magnitude과 PSWI 영상 간의 차이가 magnitude과 NSWI보다 더 많았다. 그리고 NSWI2와 NSWI4간의 신호강도 차이가 PSWI2와 PSWI4간의 신호강도 차이 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그리고 NSWI4와 PSWI4간의 신호강도 차이가 NSWI2와 PSWI2간의 신호강도 차이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위 실험은 화소 간 분석을 통한 SWI 영상 연구가 뇌 전체의 자화율 효과를 볼 때 매우 유용할 것이라는 사실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위상 마스킹 방법을 응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정맥 혈관 대비, 혹은 뇌 조직 대비를 강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자화율 가중 영상의 화소 간 분석은 많은 임상 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investigate effects of phase mask on susceptibility-weighted images (SWI) using voxel-based analyses in normal elderly subjects. A three-dimensional (3D) gradient echo sequence ran to obtain SWIs in 20 healthy elderly subjects. SWIs with two (SWI2) and four (SWI4) phase multiplications were achieved with positive (PSWI) and negative (NSWI) phase masks to investigate phase mask effects. The voxel-based comparisons were performed using paired t-tests between PSWI and NSWI and between SWI2 and SWI4. Differences of signal intensities between magnitude images and SWI4 were larger than those between magnitude images and SWI2s. Differences of signal intensities between magnitude images and PSWIs were larger than those between magnitude images and NSWIs. Moreover, the signal intensities from NSWI2s and NSWI4s were greater than those from PSWI2s and PSWI4s, respectively. More differences of signal intensities between NSWI4 and PSWI4s were found than those between NSWI2s and PSWI2s in the whole brain images. The voxel-based analyses of SWI could be beneficial to investigate susceptibility differences on the entire brain areas. The phase masking method could be chosen to enhance brain tissue contrast rather than to enhance venous blood vessel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ly voxel-based analyses of SWI to investigate clinical applications.

      • KCI등재

        Wavelet Transform 방법과 SVM 모형을 활용한 상수도 수요량 예측기법 개발

        권현한,김민지,김운기,Kwon, Hyun-Han,Kim, Min-Ji,Kim, Oon Gi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1

        본 연구에서는 Wavelet Transform과 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결합한 Hybrid 상수도 수요량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Wavelet Transform 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스케일이 존재하는 상수도 수요량 시계열을 분해하여 단순한 형태의 시계열로 변환하는데 이용하였으며, 비선형 예측모형인 SVM은 이들 단순화된 시계열을 예측하는데 활용하여 예측성능을 극대화시키는 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수요량 자료에서 내재되어 있는 주기의 특성과 비선형 예측모형의 장점을 서로 연계한 해석이 가능하였으며 시각적인 검토 및 모든 통계지표에서 개선된 예측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존 ARIMA 모형 계열에서 나타나는 자기예측문제를 상당부분 개선한 결과를 보여줌으로서 실질적인 수요량 예측모형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 hybrid forecasting scheme based on wavelet decomposition coupled to a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is presented for water demand series that exhibit nonlinear behavior. The use of wavelet transform followed by the SVM model of each leading component is explored as a model for water demand data. The proposed forecasting model yields better results than a traditional ARIMA time series forecasting model in terms of self-prediction problem as well as reproducing the properties of the observed water demand data by making use of the advantages of wavelet transform and SVM model. The proposed model can be used to substantially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water demand forecasting and utilized in a real operation.

      • KCI등재

        증기화광산란 검출기를 이용한 콩 함유 수용성 탄수화물의 분석

        김경하(Gyeong-Ha Kim),황영선(Young-Sun Hwang),안경근(Kyung-Geun Ahn),김기쁨(Gi-Ppeum Kim),김민지(Min-Ji Kim),홍승범(Seung-Beom Hong),문중경(Jung-Kyeong Moon),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7

        In the present study, a new analytical method was devis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HPLC/ELSD).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for soybean soluble carbohydrates ranged from 5.6~7.6 mg/kg using the HPLC/ELSD method and from 16.2~33.9 mg/kg using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refractive index detection (HPLC/RID) method. Therefore, the HPLC/ELSD method was more sensitive than HPLC/RID. The precision values for retention time and peak area of the HPLC/ELSD method were evaluated by inter-day (n=5) and intra-day (n=10) assays using a standard solution. All precision values (CV<2.5%) for soybean soluble carbohydrates were acceptable and fulfilled international acceptance criteria. All linear calibration curves were obtain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R<SUP>2</SUP>>0.999. The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s for the "Shingikong" (yellow soybean) and "Cheongjakong 3" (black soybean)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HPLC/RID and HPLC/ELSD methods. The difference in carbohydrate contents between the two detection methods was significant. Carbohydrate contents in the HPLC/ELSD method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HPLC/RID method. Overall, the HPLC/ELSD method showed satisfactory resolution with a favorable LOQ and reproducibility.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PLC/ELSD method may be appli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s in soybean seeds and related food stuffs.

      • 오미자 리큐르 제조 연구

        김명곤 ( Myung Kon Kim ),김민지 ( Min Ji Kim ),이원재 ( Won Jae Lee ),정기태 ( Gi Tae Jung ),유남수 ( Nam Soo Ryu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3 No.2

        오미자 리큐르 제조를 위한 최적 침출조건과 조미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오미자의 첨가방법, 알코올의 침출조건 및 조미방법 등을 달리하여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오미자 리큐르 침출기간 동안의 색도와 총산의 변화는 약간씩 있었지만 pH, 당도, 환원당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색도는 침출초기에는 적색도가 후기에는 황색도가 증가하였고 명도는 침출 기간 동안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오미자 리큐르 제조를 위한 오미자의 적정 첨가량은 50% 알코올 농도에 20%(w/v) 첨가수준이 적절하였고 침출용 알코올의 농도 25∼50%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료 오미자의 첨가방법은 오미자 과일 및 오미자 청 모두 가능하였지만 schizandrin 함량은 오미자 과일 직접 침출법에서 높았다. 오미자 리큐르 제조를 위한 적정 감미료로 꿀, 설탕, 고과당, stevioside를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맛과 향기에서는 설탕이 가장 우수한 감미료로 나타났고 설탕의 적정 감미농도는 5% 수준이었다. 숙성기간에 따른 오미자 리큐르의 관능검사 결과 6개월 이상의 숙성이 적당하였다. To establish proper methods in processing of Omija-liquor and determine the optimum processing condition, we studied the changes of main components of Omija and factors which affect on the quality of Omija-liquor during processing. The optimal ethanol concentration for Omija leaching was 50% (v/v) and the amount of Omija should be more than 20% (w/v). Moreover the suitable concentrations of alcohol for liquor processing were 30∼45%. pH and reducing sugar were not changed considerably during the whole leaching period. However, during the leaching time, redness of color was increased slightly in initial stage and yellowness in later stage.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n Omija liquor, indicated that Omija fruits and osmotic extract of Omija could be available for Omija liquor manufacture. Sucrose was excellent as sweetener for Omija liquor compared to other sweeteners and the sugar ratio for liquor processing was 5%. Sensory evaluation test of liquor products from the perspective of appearance, odor and tastes suggested that proper period of aging was six months or more.

      • KCI등재

        실내 환경 개선에 적합한 식물 선발을 위한 온도,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관엽식물들의 생리적 반응

        박신애(Sin-Ae Park),김민지(Min-Gi Kim),류명화(Mung-Hwa Yoo),오명민(Myung-Min Oh),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6

        본 연구는 관엽식물 8종을 선정하여 온도,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식물의 광합성률을 포함한 생리반응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내 환경 개선에 효과적인 식물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헤데라, 벤자민 고무나무, 파키라, 스파티필름, 시서스, 디펜바키아, 스킨답서스, 싱고니움을 사용하였으며, 16℃와 22℃ 온도조건하에서 광도는 PPFD 0, 25, 50, 75, 100, 150, 300, 또는 600μ㏖?m<SUP>-2</SUP>?s<SUP>-1</SUP>의 수준으로, 이산화탄소 농도는 0, 50, 100, 200, 400, 700, 또는 1000μ㏖CO₂?㏖<SUP>-1</SUP>의 수준으로 조절하여 휴대용 광합성 측정기(Li-6400, Li Cor, USA)로 관엽식물들의 광합성 효율과 증산율을 측정하였다. 광도, 엽육내 이산화탄소 농도변화, 그리고 온도에 따른 관엽식물들의 광합성 반응은 매우 다양했다. 약광(PPFD 0-100μ㏖?m<SUP>-2</SUP>?s<SUP>-1</SUP>)에서의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는 순양자수율은 디펜바키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고광(PPFD 200-600μ㏖?m<SUP>-2</SUP>?s<SUP>-1</SUP>)에서는 헤데라, 벤자민 고무나무, 파키라, 스파티필름이 높은 광합성능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를 고정하는 암반응과 관련된 탄소고정효율은 시서스와 싱고니움을 제외한 6종의 관엽식물들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고농도의 이산화탄소에서 광합성률이 높은 식물은 헤데라와 스파티필름이었으며, 22℃에서 자란 벤자민 고무나무와 파키라도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다. 한편, 헤데라, 스파티필름은 증산율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저광,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낮은 상대습도가 특징인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실내 환경을 고려했을 때 헤데라, 벤자민 고무나무, 파키라, 스파티필름등을 이용하는 것이 실내 환경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efficient foliage plants for improving indoor environment condition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hysiological responses including photosynthetic rate according to temperature, light intensity, and CO₂ level. Eight popular foliage plants used in this study were Hedera helix L., Cissus rhombifolia Vahl, Ficus benjamina L. ‘Hawaii’, Syngonium podophyllum Schott ‘Albo-Virens’, Dieffenbachia sp. ‘Marrianne’, Pachira aquatica Aubl., Spathiphyllum wallisii Regel, and Scindapsus aureus Engler. Photosynthetic rate and transpiration rate of the plants subjected to various light intensities (0, 25, 50, 75, 100, 150, 300, and 600 μ㏖?m<SUP>-2</SUP>?s<SUP>-1</SUP> PPFD), CO₂ levels (0, 50, 100, 200, 400, 700, and 1,000 μ㏖CO₂?mol<SUP>-1</SUP>), and two different temperatures (16 and 22℃) were measured. In addition, various parameters in relation to photosynthesis were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data. As a result, the patterns of photosynthesis varied among 8 foliage plants according to light intensity, CO₂ level, and temperature. Most foliage plants except Dieffenbachia had high levels of apparent quantum yield, which represents the photosynthetic rate under low light intensity (PPFD 0-100 μ㏖?m<SUP>-2</SUP>?s<SUP>-1</SUP>). Hedera helix, Ficus benjamina, Pachira aquatica, and Spathiphyllum wallisii exposed to high light intensity (PPFD 200-600 μmol?m-2?s-1) showed high levels of photosynthesis. Cissus rhombifolia and Syngonium podophyllum were low in CO₂ fixa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other 6 foliage indoor plants. Hedera helix and Spathiphyllum wallisii showed high photosynthetic rate under high CO₂ level and vigorous photosynthesis was also observed in Ficus benjamina and Pachira aquatica grown under 22℃.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indoor environment such as low light, high CO₂ level, and low relative humidity, therefore, Hedera helix, Spathiphyllum wallisii, Ficus benjamina, and Pachira aquatica were efficient indoor foliage plants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 KCI등재

        사양체계 및 NDF 급여 수준이 번식용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병기,안준상,우종민,김민지,손기활,조상래,김병완,권응기,신종서,Park, Byung Ki,Ahn, Jun Sang,Woo, Jong Min,Kim, Min Ji,Son, Gi Hwal,Cho, Sang Rae,Kim, Byong Wan,Kwon, Eung Gi,Shin, Jong Suh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사양체계 및 TMR의 NDF 수준이 번식용 젖소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에너지, 단백질, 지질 및 간 기능 관련 지표 대사물질의 농도를 토대로 영양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번식용 젖소 육성우 5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사양체계에 따라 TMR 처리구(TMR) 및 배합사료 + 혼합 조사료 처리구(CON)의 2처리로 하였으며, TMR의 NDF 수준에 따라 53% 이상(T1), 50 ~ 53%(T2) 및 50% 이하(T3)로 3처리 하였다. 혈중 GLU 농도는 사양체계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NDF 수준이 감소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사양체계가 혈중 단백질 관련 대사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며, NDF 수준이 낮아질수록 혈중 ALB 농도가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혈중 CHOL 농도는 TMR 보다 CON 처리구에서 높았으며(p<0.05), NDF 수준이 낮을수록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혈중 지질 농도는 TMR 보다 CON에서 높았으며, NDF 수준이 낮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혈중 ALT 농도는 T3구가 T1 및 T2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사양체계 및 TMR의 NDF 수준은 번식용 젖소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사료섭취량 및 영양성분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system and NDF levels of TMR on blood metabolites in Holstein heifers. Fifty heifers were assigned to one of five treatments according to feed type and level of NDF: TMR (total mixed ration), CON (concentration + mixed forage), T1 (${\geq}53%$ NDF), T2 (50~53% NDF), and T3 (${\leq}50%$ NDF). Although GLU concentrate was not effected by feed type,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NDF decreased. There was no effect on concentrate of blood metabolite related with protein. As the level of NDF decreased, the blood ALB concentration was increased (p<0.05). The concentration of blood CHOL was higher in CON than those of TMR (p<0.05), and increased as the level of NDF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blood lipid was higher in CON than those of TMR and increased at lower level of NDF. The concentration of blood AL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3 than T1 and T2 (p<0.05).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eeding system and NDF level may affect the blood metabolite concentration; however, the feed intake and other nutrient levels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다섯가지 관엽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력 비교

        박신애(Sin-Ae Park),김민지(Min-Gi Kim),류명화(Mung-Hwa Yoo),오명민(Myung-Min Oh),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5

        본 연구는 실내 관엽식물들의 실내 이산화탄소 제거능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5종의 관엽식물인 헤데라(Hedera helix L.),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 파키라(Pachira aquatica),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사용하였다. 피트모스 배지와 하이드로볼 배지에 이식된 식물을 각각 밀폐 동화상에 넣고, 이산화탄소 500ppm 또는 1,000ppm을 주입하고, 광도는 50과 200μ㏖ · m?² · s?¹ 두 수준으로 하여, 주간과 야간의 이산화탄소 변화량을 1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을 광합성속도(μ㏖CO₂ · m?² · s?¹)로 산출하였다. 주간에 모든 품종의 식물들이 밀폐 동화상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였다. 파키라(Pachira aquatica)와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가 이산화탄소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초기 주입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500ppm일 때보다 1000ppm일때, 광도가 50μ㏖ · m?² · s?¹일 때보다 200μ㏖ · m?² · s?¹일 때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크며, 광합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별로 광합성률을 비교해 보면, 파키라(Pachira aquatica), 헤데라(Hedera helix L.), 인도 고무나무(Ficus elastica)와 같이 엽면적이 넓은 식물들이 상대적으로 엽면적이 작은 테이블 야자(Chamaedorea elegans)와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 L.)와 같은 식물들보다 높은 광합성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품종에서 주간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량에 비해 야간에 식물의 호흡에 의해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배지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광합성률에서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을 통해서 관엽식물을 이용하여 실내 오염물질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주간에 식물이 광합성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거나, 부피가 크고 실내와 같은 저광 조건에서 활발한 광합성이 가능한 식물을 선택함으로써 이산화탄소 제거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liage plants on reducing indoor carbon dioxide (CO₂). Five foliage plants such as Hedera helix L., Ficus benjamina L., Pachira aquatica, Chamaedorea elegans, and Ficus elastica were selected and cultivated in two different growth medium (peatmoss and hydroball). Each plant was placed in an airtight chamber and then treated with the combinations of two different CO₂ concentrations (500 or 1,000 ppm) and two different light intensities (50 or 200 μ㏖ · m?² · s?¹). The change of CO₂ concentration (ppm) in the airtight chamber during day and night was measured and then converted into the photosynthetic rate (μmol CO₂ · m?² · s?¹). As the results, each foliage plant reduced CO₂ level in the airtight chamber for one hour by photosynthesis. Pachira aquatica and Ficus elastica absorbed CO₂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plants. The plants exposed to higher CO₂ concentration (1,000 ppm) and higher light intensity (200 μ㏖ · m?² · s?¹) showed more effective CO₂ elimination rate and photosynthetic rate. The plants that have wide leaves and big leaf areas such as Pachira aquatica, Hedera helix L., and Ficus elastica showed higher photosynthetic rate than the other plants that have smaller leaves. Released CO₂ concentration by respiration of the plants during the night was very low compared to the absorbed CO₂ concentration by photosynthesis during the d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atmoss and hydroball medium on reducing CO₂ concentration and increasing photosynthetic rat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foliage plants can effectively eliminate indoor CO₂. Optimum environmental control in relation to photosyntheis and usage of right indoor foliage plants having lots of leaves and showing active photosynthesis even under low light intensity like indoor light condition would be required to increase the elimination capacity of indoor CO₂.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