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정보구조의 초점

        김민국(Kim, Min-Gook) 한국어학회 2021 한국어학 Vol.91 No.-

        본고에서는 ‘초점의 개념과 성격’, ‘초점의 실현 수단’, ‘초점과 형태․통사․의미 층위의 상호 작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한국어 정보구조의 ‘초점’과 관련한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정보구조의 초점은 관계적 신정보인 가로초점으로 대안집합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세로초점과 구별된다. 하지만 두 초점은 겹칠 수 있으므로 세로초점의 성격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 등을 파악해야 한다. 둘째, 운율적 돋들림은 가로초점을 표시하는 필수적 수단이자 그 유형을 변별하는 수단이다. 가로초점의 형태적 표지는 초점 주어에서의 ‘이/가’가 될 것이다. ‘S-것은 X-이다’ 형식의 분열문은 초점 표시보다 전제를 화제로 바꾸어 주는 것이 더 주된 기능으로 보인다. 후보충 구문도 초점을 나타내는 특수 구문의 후보가 된다. 셋째, 초점의 무표적 특성은 문장 형식으로 이어져 문장초점은 기본문과 유사하다. 초점은 무표적이므로 별도의 초점 표지 없이 격표지가 초점 표지로 활용된다. 그러나 주어에서의 초점은 유표적이어서 ‘이/가’는 초점 표지로서 필수성을 띤다. 문장초점의 존재 구문은 화제 제시 기능이 더 강해서 화제 표지로 문법화되기도 하고 주어 표지로 발달할 단초를 제공하기도 한다. 부정문에서 가로초점은 의미 해석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대체초점, 판정의문문의 초점은 극성 연산자의 세로초점과 늘 겹쳐 의미 층위에 일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issues concerned focus in information structure from three points that is ‘notion and characteristic of focus’, ‘realization of focus’ and ‘interaction between focus with other grammatical levels’. First, focus in information structure is syntagmatic focus that is relational new inform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paradigmatic focus that occurs in the relations with alternative set. Second, focus involves prosodic prominence. Focus marker in every true sense of the word is nominative i/ka. The main function of cleft-sentence of ‘S-gesun X-ita’ seems re-forming presupposition to topic. After-thought constructions are candidate for focus marking construction. Third, basic sentence and nominative i/ka as a focus marker reflect unmarked property of focus. As existential construction which has sentence focus can introduce new topic it can grammaticalize topic marker or subject marker. Replacing focus and focus in yes-no question can affect semantic level by overlap with paradigmatic focus of polarity operator.

      • KCI등재

        개인 SNS 특성이 대학의 팀 프로젝트 진행에서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민국 ( Min Gook Kim ),고일상 ( Il Sang Ko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5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4 No.1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진행이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SNS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유희성, 자아표현, 학습동기, 팀워크 지향성, 유행성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이들 변수들이 매개변수인 정보공유 및 협업에 미치는 영향과 궁극적으로 종속변수인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들 독립변수들과 매개변수 그리고 종속변수들을 바탕으로 설문지가 개발되었으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214부의 자료들은 SPSS19.0을 이용하여, 신뢰성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과 등을 실시하였다. SNS 특성 중에 팀워크지향성, 자아표현, 유행성 등은 SNS 활용을 통한 팀 프로젝트 수행에서 학습자들의 정보공유와 협업을 증가시키며,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대학에서 SNS를 활용하는 팀 프로젝트의 수행이 적극적으로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실증되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mpact of SNS characteristics on learning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team project implementa-tion. During performing a team project, playfulness, self-representation, learning motives, team-work orientation, and fashion a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are defined as mediating variables, and learning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re defined as dependent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varia-ble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19.0 on the collected 214 response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we verified the positive influence of team-work orientation, self-representation and fashion on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We also confirmed that increased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performance and that collaboration highly affected learning satisfaction by utilizing SNS during implementing a team project.

      • KCI등재

        한문목적 한국어 교육용 어휘와 연어 추출 -키워드 개념의 활용을 중심으로

        김민국 ( Min Gook Ki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9 문법 교육 Vol.11 No.-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abstract the academic vocabulary for Korean learner to use the concept of the `keyword` which is based on corpus and to abstract its collocations. At the same time, to use this we search the plan of the education for Korean leaner. It seems that the methodology which is suggested in this study is suitable to use academic writing in Korean. Above all, the methodology which is suggested in this study is very valuable since this methodology has a wide use for the methodology of the abstraction of academic vocabulary for Korean learner.

      • KCI등재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김민국 ( Kim Min-gook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연구에서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의 의미ㆍ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그 실현과 비실현 양상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시하는 동시에 ‘주제-초점’ 구조에서의 신정보인 가로초점을 표시한다. ‘이/가’와 ‘을/를’은 세로초점의 실현과도 관계가 있다. 하지만 ‘이/가’와 ‘을/를’에 의한 세로초점은 발화 맥락에 따라 수의적이고 가로초점에 늘 겹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초점의 본질은 결국 가로초점이다.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가로초점에 세로초점이 겹쳐 나타나면 다양한 의미가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는 ‘이/가’와 ‘을/를’에 관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들 조사의 의미로 볼 수는 없다. ‘이/가’와 ‘을/를’이 세로초점만을 표시하는 경우는 이른바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에서 나타난다.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이 나타내는 ‘강조’의 의미는 세로초점의 핵심인 대안집합과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가’와 ‘을/를’은 그 실현을 통해 초점을 표시해 주지만 초점의 유무에 따른 필수적 실현 여부에는 차이가 있다. ‘이/가’는 주어에 초점이 놓이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지만 ‘을/를’은 목적어에 초점이 놓이더라도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 주어의 문법화 정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격과 대격의 비대칭적 실현 양상은 주격과 대격의 비실현형이 서로 다른 문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말해 준다. 주격의 비실현은 주격과 대립 관계를 이루므로 Ø 표지의 실현으로 해석되지만 대격의 비실현은 단순한 격표지의 비실현으로 볼 수 있다. 주격의 대립형으로서의 Ø 표지는 ‘이/가’의 이형태보다는 ‘이/가’, ‘께서’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주격 표지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나 주격 표지로서의 Ø는 그 기능이 ‘이/가’와의 대립을 통해서 소극적으로만 드러나기 때문에 주격 조사로서의 지위는 불완전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aim to find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in Korean focusing at focus and to argue the issues concerning their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i/ka and ul/lul mark case and syntagmatic focus. It seems that i/ka and ul/lul have relevance to paradigmatic focus which is so-called contrastive focus. However paradi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marker is optional and always involves syntagmatic focus. Thus the essential function of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is syntagmatic focus. There are several meanings when synta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pluses paradigmatic focus. But these meanings are not conventional meaning of i/ka and ul/lul and 'emphatic' function of i/ka and ul/lul comes form contrast in alternative set. Thus i/ka and ul/lul have in common in that focus marking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at their obligation. i/ka must occur in focus subject but ul/lul does not have to occur in focus object. This aspect seems to result from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subject. Asymmetric occurrence of i/ka and ul/lul shows that non-occurrence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has difference grammatical status. Non-occurrence of nominative can be interpreted zero marker but non-occurrence of accusative is simply non-occurrence of case marker.

      • KCI등재

        Lecithin/LiCl 유기젤의 펜탄올 영향에 대한 유변학적 연구

        김민국 ( Min-gook Kim ),추은애 ( Eun-ae Chu ),이희영 ( Hee-young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21 공업화학 Vol.32 No.6

        양친매성 인지질의 한 종류인 레시틴은 데케인과 같은 비극성 유기용매상에서 구형의 역마이셀을 형성한다. 염화리튬과 같은 이온이 레시틴용액에 첨가될 때, 유기졸이 역실린더형 마이셀의 얽힘으로 인해 유기젤로 변환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레시틴과 염화리튬 혼합물의 유변학적 성질에 대한 보조계면활성제로서의 펜탄올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유변학 연구를 통해, 유기젤에 펜탄올이 첨가될 때, 유기젤의 점도와 탄성 성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는 역실린더 마이셀의 길이의 감소가 그 원인이며, 엑스선 소각 산란분석기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Lecithin, a zwitterionic phospholipid, forms spherical reverse micelles in nonpolar organic solvents such as decane. The addition of monovalent ions like lithium chloride (LiCl) to lecithin organosols induces the transformation of organosols into organogels due to the entanglement of reverse cylindrical micell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entanol acting as co-surfactant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lecithin/LiCl mixtures. From rheological studies, we find that the viscosity and elastic property of organogels decreased upon the addition of pentanol to organogels. The decrease in viscosity and elastic property can be attributed to the shortening of reverse cylindrical micelles confirmed by small angle X-ray scattering (SAXS).

      • KCI등재

        부사격 조사 `로서` 주어에 대한 연구

        김민국(Min Gook Kim)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60 No.-

        In this article, we argue that grammatical function of oblique case ``roseo`` argument which seems to be subject is not oblique argument but syntactic subject and consider grammatical conditions on appearance of ``NP-roseo`` subjects, emergence of ``NP-roseo`` subjects. To sum up our discussion, i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ince ``NP-roseo`` argument in questions which seems to be subject is satisfied subjecthood test well, it`s grammatical function is not oblique argument but syntactic subject. Second, ``NP-roseo`` subjects mostly appear in the constructions has deontic modality or dynamic modality expressions by the meaning of ``position`` or ``status`` which oblique case ``roseo`` has. But if the meaning of ``position`` or ``status`` is weaken for various reasons, ``NP-roseo`` subjects can occur in the psychic predicate constructions. Third, ``NP-roseo`` subjects occur in the psychic predicate constructions are similar to dative subjects in various reasons. Fourth, ``NP-roseo`` subjects emerge in the particular constructions in which original subjects can omit or delete. Such a particular construction is like the construction in which other non-nominative subjects in Korean emerges. Given the fact mentioned above, we conclude that ``NP-roseo`` subjects are quirky case subjects in Korean as ``NP-eseo`` subjects would be.

      • KCI등재

        ‘에서’ 주어의 통사와 의미

        김민국 ( Kim Min-gook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이 연구에서는 ‘에서’ 주어와 관련된 통사 현상과 의미 현상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상호 작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어성 검증 결과 ‘에서’ 주어는 통사적 주어이다. 둘째, 숨은 주어가 외현적으로 상정된 ‘에서’ 주어 구문은 이중주어 구문으로서 숨은 주어가 나타나지 않은 ‘에서’ 주어 구문과 명확히 구분된다. 셋째, ‘에서’ 주어는 ‘처소’ 명사구가 환유나 은유를 통해 유정물로 추론 가능할 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환유에 의해 추론된 유정성은 ‘에서’ 주어의 통사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데 숨은 주어의 상정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넷째, ‘에서’ 주어는 의미역 위계가 높은 행위주나 경험주일 때에 나타날 수 있다. 다섯째, ‘에서’ 주어는 ‘이/가’ 주어에 비해 특정 개체와 관련된 해석을 더 쉽게 함축한다. 이러한 함축의 차이는 통사 현상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책임성 약화’의 화용적 효과를 가져 오기도 한다. 여섯째, ‘에서’ 주어는 명사구의 의미, 격 표시의 측면에서 비전형적 주어이다. 이러한 비전형성이 ‘에서’ 주어에 일정한 의미적 제약을 가하게 되는데, ‘에서’ 주어의 통사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유정성’ 제약과 ‘의미역’ 제약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약의 핵심은 비전형적 격 표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syntax and semantics of eyse subject and argue their interactions. Discussion of this articl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bjecthood test, eyse subject can be seen as a syntactic subject. Second, eyse subject construction in which understood subject appeared explicitly is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 and in this respect it is different from eyse subject construction in which did not explicitly. Third, eyse subject can appear when its noun phrase which means location can be inferred animate entities through a metonymy or metaphor. Especially, animacy which is inferred by metonymy concerns the understood subject of eyse subject construction. Fourth, eyse subject can appear when its thematic role is Agent or Experiencer, which are high in thematic hierarchy. Fifth, eyse subject has more implicature of specific entity compared with i/ka subject and this implicature influences syntax of eyse subject or causes an pragmatic effect of ‘weakening of responsibility’. Sixth, eyse subject is non-cannonical subject in that its meaning and case marking. These atypicalities have effect on semantics of eyse subject, that is constraints of animacy and thematic role which affects syntax of eyse subject can be accounted for through these atypicalities. And in semantic constraints of eyse subject, of the two atypicalities non-cannonical case marking is considered more essential than its meaning.

      • KCI등재

        근대 계몽기의 격조사 목록과 기능 연구

        이지연 ( Lee Ji-yeon ),김민국 ( Kim Min-gook ),윤정원 ( Yun Jung-won ) 국제어문학회 2008 국제어문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st and functions of case marker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n one side, the Korean of the enlightenment period succeed to the modern Korean, however, the Korean of the enlightenment period serves as a base to show the process of forming contemporary Korean. The characteristics of case markers in the Korean of the enlightenment period could be summarized into two. First of all, as the Korean language advances from the modern Korean to the Korean of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case marker goes through processes of extinction and transitions in terms of its functions or it even transforms itself into another case marker. The case markers carry varieties of allomorph by these characteristics. This phenomena is showing a transitional interruptions as the modern period approaches the contemporary period, and as the various allomorph reaches the modern Korean it settles as the particles forms of the present day. This paper examines case markers of the Korea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especially on the particles that is going through a transition of its forms and functions. Changes in functions of case marker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such as `를>로`, `에>에서`, `로>와` is occurred on many case marker systems, however the research has made effort to examined the changes of particles diachronically by making a comparison of the Korean in the modern period and the contemporary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made an effort to discover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case marker forms through the actual corpus data, and also examining the lists of case markers of the Korea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n general.

      • 중간범주와 문법 교육 -불구어근의 자유어근화를 중심으로-

        유현경 ( Hyun Kyung Yoo ),김민국 ( Min Gook Ki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7 문법 교육 Vol.7 No.-

        A bound-root, which is a floating category between morplological and syntactical categories and also with limited distribution, shows various aspects as it becomes free-rooted. Thus in actual language usage, the bound-root reveals various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also appears as a mixture of characteristics of various parts of speech. As a result, the intuition for these grammatical categories appears differently to each individual. This article includes a description of various aspects considering the process of a bound-root becoming a free-root based on a corpus, and proves how their characteristics apply to the intuition. There was no consideration of floating category including bound-root in the previous grammar teaching comparing to the proportion that bound-root has in Korean. In other words, the previous grammar teaching has been focusing solely on teaching grammar knowledge that it did not consider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language itself and failed to notice the constituents that is beyond the contemporary grammar system. Based on this,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he goal of grammar teaching should be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of the nature of a language. Further, this article suggests that floating categories such as bound-root should be applied to grammar teaching through using materials that vividly show the nature of a language and demonstrates that language is always chan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