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온에 따른 넙치의 특이 항체 반응

        위식 ( Wi Sik Kim ),장민석 ( Min Seok Jang ),정성주 ( Sung Ju Jung ),석렬 ( Seok Ryel Kim ),박명애 ( Myoung Ae Park ),이정호 ( Jeong Ho Lee ),명정인 ( Jeong In Myeong ),오명주 ( Myung Joo Oh ) 한국어병학회 2011 한국어병학회지 Vol.24 No.1

        The specific antibody respons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different water temperature were tes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In the rearing temperature of 15℃, first anti-bovine serum albumin (BSA) antibody titer was appeared after 14 days of immunization, whereas 24∼48 days post-immunization (PI) resulted maximum antibody titer in all 5 experimental fish with optical density (OD) values 1.94∼3.04.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84 days), 0.03∼1.28 OD values were observed. In the rearing temperature of 12∼13℃, first antibody titer was found 28 days PI in 2 out of 5 fish. Three fish shown high OD titer (1.88∼2.68) between 56 and 70 days and OD values of 0.49 to 2.35 were observed at 84 days. However, the anti-BSA antibodies of two fish showed less than 0.8 OD values until 84 days. In the rearing temperature of 10℃, specific antibody appeared at 56 days, maximum antibody titer was observed at 70 days in 2 out of 5 fish (OD values: 1.37∼1.53) and 1.00 to 1.11 OD values were observed at 84 days. Rest 3 fish showed OD values of 0.12 to 0.68 much below to that of other 2 fish,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In conclusion, specific antibody response of olive flounder at high temperature was much faster, higher and longer than that at lower temperature.

      • KCI등재

        선거교육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연구 -내용요소, 교수-학습자료, 기대효과 인식을 중심으로

        김명정 ( Myung Jung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시민교육연구 Vol.39 No.4

        It is a serious problem that school have few influence on political socialization. But It can be better if a teacher deals with public issues in the class more frequently. Because public issues have many social scientific facts, contradict values. and moreover it reflects authentic social life. The presidential election is a effective subject to instruct controversial public issue. But the result of survey, many social studies teacher have difficulties to deal with the subject. It is partially owing to students` indifference toward political issues, and political neutrality of teachers` attitude. Politics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sofar as we want student to be a more effective, reflective and skillful citizen, provide various public issues and encourage to discuss each other more often in class.

      • KCI등재

        사회과교육학의 연구사(硏究史)적 접근 -1963년부터 2010년까지

        김명정 ( Myung Jung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1

        This study intends to systemize the research history of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field. To produce a general overview of research history, this study analyzes 1,509 research literatures which have been publicized on academic journal of Korean Social Studies Association and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in Korea from 1963 to 2010. We can find several trait by retrospective analysis, objective and teaching-learning method researches have been a mainstream theme in the field. From a research contents perspective, papers to deal with general social studies have been a tidal wave but specific contents such as geograph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economic education, sociocultural education, law-related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have been studied in a balanced way. A theoretical approach has held a majority part of the research method but various empirical research methods were introduced in the field since 1990s. Professors, researchers and lecturers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research meanwhile teachers also have took a important role which is crucial factor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subject field.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more globalized for adapting to general trend of whole academic society.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법과 정치 -1차 교육과정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의 분석-

        김명정 ( Myung Jung Kim ) 한국법교육학회 2010 법교육연구 Vol.5 No.1

        사회과 교육과정은 1955년부터 2007년까지 모두 8차례 개정되었다. 개정과정에서 사회과는 교과의 특성 상 사회상황의 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그러나 종종 정치권력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이 악용되는 경우도 있었고, 잦은 개정으로 인해 학교 현장의 혼란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법과 정치도 사회과의 중요한 내용 영역으로서 8차례의 개정과정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다. 변화의 양상을 일반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기술하면 첫째, 법이 정치교육의 내용 요소로서 다루어졌다. 둘째, 나선형 구조에 따라 조직되었다. 셋째, 외형적 통합을 지향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분과형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기본적으로 사회과가 학문체계를 중시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학문중심-분과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반영되면 교사주도의 강의식 수업, 가치나 태도함양보다는 지식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진다. 문제는 교육과정 상에서 추구하는 목표가 이러한 현장의 실천과 충돌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예컨대 학습부담의 경감, 가치태도의 교육,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교과목 수의 축소와 같은 목표들은 지식중심-강의주도형 교실 수업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사회과 교육과정이 학문중심-분과형 체제를 유지하는 한 목표와 실천의 괴리는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or 8th times during 1955 to 2007. In the process of revision the curriculum was deeply effected by sociopolitical situations around us. Sometimes government has exercised political power on the curriculum overtly and it has caused chaos in the field in consort with frequent revisions. As core contents of social studies, law and politics have undergone considerable changes. The primary patterns of changes are follows first, law took a share minor portion in politics, second it organized spiral structure from primary to secondary education and moved toward integration formally but separated substantially.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main tradi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discipline-centered approach. The discipline-centered and separated curriculum invoke teacher-directed instruction and knowledge-based learning. This tradition might make some troubles between curricular aim and enacted practice. In fact, relief of overburdening learning tasks, education for developing value-attitude, fostering of problem-solving ability, reduction of total requirements are incompatible with current teacher-directed and knowledge-based school education. As the discipline-centered and separated curriculum would not be changed, this inconsistencies may last for a long time.

      • KCI우수등재

        수능 선택률과 고등학교 정치교육

        김명정(Kim, Myung-Jung)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2

        정치교육은 사회과의 내용 영역으로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가르쳐진다. 그런데 선택과목 체제가 운영되고 있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정치는 학생들의 선택 여부에 따라 전혀 배우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수능 사회탐구 영역의 과목선택 체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지난 10여 년간 수능 사회탐구 영역에서 정치는 전반적으로 선택률이 하락하는 추세이다. 특히 ‘정치’ 과목이 ‘법과 정치’로 통합된 최근 3년 동안 선택률이 10% 미만으로 떨어질 정도로 학생들의 기피 과목이 되었다. 현장의 사회과 교사들은 학생들이 ‘법과 정치’ 과목을 기피하는 주된 원인으로 과도한 학습량과 학습 내용의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현행 수능 선택과목 체제가 유지되는 한 크게 변화하지 않을 전망이다. 학생들이 수능 과목으로 선택하지 않으면 사실상 학습하지 않는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 때문에 정치교육은 심각한 학습결손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정치교육의 부재는 단순히 학습 결손의 문제가 아니라 민주시민 양성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다행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통합사회가 신설되어 정치교육의 결손을 조금이나마 만회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vity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political education in high school. Politics subject is taught or not according to the students’selection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main reason for the students’selection is a easy of learning and a possibility of higher scoring at CSAT. The selection percentage of politics subject in social studies has been falling regularly, particularly less than 10% during the past three years. In other words politics is one of the subjects which most students avoid getting into. According to a survey of 21 social studies teachers in high school, many students do not like the Law and Politics because of its excessive amounts and difficulties.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unless CSAT system have change. High School students will not learn politics subject till they select the politics at CSAT. So the problem of politics learning deficits become intensified. The lack of political education is not merely a learning deficits, it is a sign of a serious crisis of democratic citizenship. Despite many things, it’s fortunate that ‘Integrated Social Studies’which including politics unit subject is developed in the 2015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특집논문 : 동반,중도입국 자녀들을 위한 다문화교육

        김명정 ( Myung Jun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2

        우리 학교의 다문화교육은 주로 결혼이주가정 자녀들의 교육에 치우치고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가정 자녀들과 다른 교육을 필요로 하는 동반·중도입국 자녀들의 교육적 여건은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무엇보다 언어적·문화적 적응교육이 시급히 요구됨에도 불구하고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이 부족할 뿐더러학교를 다닌다 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수업을 이수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동반·중도입국 자녀들의 특별한 교육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문화 대안학교의 운영을 제안한다. 다문화 대안학교는 입국 초기 학생들의 조기적응 교육은 물론 보통 교육과정으로의 편입을 통해 정규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학교를 의미한다. 모든 이주민들이 필요한 교육을 받고, 동등한 지위경쟁이 보장될 때 우리사회의 다문화적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s overly weighted toward student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But the educational conditions for immigrant students are relatively poor. In many par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practices there are shortages in teachers, materials and funds for immigrant students who need lingual-cultural supports urgently. Sometimes they can not keep with classes even they manage to enter a school. This article suggests alternative schoo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proper to immigrant students. This school should operate two-different educational tracks. The one track is a Korean-cultural education for there early adaptation in our society and the other track is a formal education for general certificate of primary or secondary education. A desirable multicultural society has to provide the proper education that immigrants really need and to ensure fair competition in social life.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교육 목표와 내용의 변천 -고등학교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김명정 ( Myung Jung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2

        사회과교육은 시민성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과이다. 그런데 시민성은 시대와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과교육의 목표는 사회적 배경의 맥락 속에서 설정될 수밖에 없으며 추구하는 시민의 모습 또한 과거와 현재가 다를 수밖에 없다. 사회과 교육과정은 그러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왜냐하면 교육과정 속에는 당시의 사회적 상황들이 교육목표와 내용을 통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교육이 시작된 이래 우리나라에서는 모두 9차례의 교육과정 개정이 있었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에는 이념적 갈등, 경제 성장, 정치권력의 교체, 민주주의의 발전과 같은 우리 사회의 변화가 자리잡고 있다. 사회과 교육과정을 통해 살펴본 시민교육의 목표는 국민으로부터 시민으로, 수동적 시민성으로부터 능동적이고 참여지향적인 시민성으로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도 사회과교육은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을 양성하고 미래 지향적인 시민교육의 목표를 탐색하는 노력을 계속해나가야 한다. Developing citizenship is a main purpos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Citizenship involves different meaning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Thus,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to set a goal in a social context and a citizenship which is a result of education must be different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National curriculum is the most apparent reference what we can examine the changes of the purpos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Because national curriculum reflects the social situation in each times through the educational purposes and content. There are 9 times revisions of national curriculum since 1950 in Korea. Several factors such as ideological conflict, economic growth, transfer of political power and development of democracy are behind this revisions. This study find a notable change in the purpose of citizenship education. From ``people`` to ``citizen`` and from ``submissive`` to ``active-participatory`` citizenship is a main feature of change. To foster the citizen what society needs in present time and to set up a new educational goals for coming time are most important task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의 변천 과정 분석

        김명정(Kim, Myung-jung),송성민(Song, Seo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3

        1994학년도에 처음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현재까지 국가 수준 대입 시험으로 운영되고 있다.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한다는 명목 하에 수능 시험은 사고력과 탐구력을 강조하는 적성 검사로서의 성격을 지향하게 되었다. 이후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수능 시험은 평가의 방향, 영역 및 과목, 문항 형식 등에서 많은 변화를 거치게 된다. 태동기의 실험평가를 통해 수능 시험이 대입 시험으로서의 위상을 갖추게 되었고, 형성기, 성장기, 안정기를 거치면서 문항의 내용과 형식 측면에서 한층 완성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사회탐구 영역 일반사회 문항 역시 이러한 변천 과정 속에서 문항의 성격, 내용, 형식에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법과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선택과목 체제로 유지되고 있는 현행 일반사회 영역 수능 문항은 과거에 비해 대체적으로 완성도가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여전히 변별도 등을 제고하여 수능 시험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e CSAT is operating as a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t national level since 1994 academic year. The CSAT emphasizes higher order thinking and more aptitude-oriented test than mere memory test. The purpose of test, the organization of subjects and the type of item have changed continuously over 20 years. A preliminary tests in 1986~1992 provided the foundation needed to actual applying, and through each successive wave of change, the CSAT has developed to be a much better test. The social studies test items which include 「Law & Politics」, 「Economics」and 「Society & Culture」have experienced a lot of changes in contents and format. It is certain that social studies test items have developed than they used to be but still have room for improvement in discrimination.

      • KCI등재

        사회과 검정 교과서의 내용 오류 문제

        김명정(Kim, Myung-Jung),전훈(Jeon, H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2

        교과서의 내용 오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대한 검정심사를 근거로 오류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심사본의 내용 오류에 대한 분석 결과 표기·표현 오류가 전체 오류의 68%를 차지하였고, 내용 오류는 32% 수준이었다. 내용 오류 중에는 기술 내용의 정치적·문화적 공정성과 관련한 오류, 사실이나 개념, 이론의 정확성과 관련한 오류 그리고 독도 표시, 동해 표기 등 지도와 관련한 오류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사회 교과서의 내용 오류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기초조사의 영향력 강화, 연구위원의 증대, 기간본의 질 관리 강화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조사의 운영 방식 변화와 인력 확대에 따른 예산 증액과 같은 행·재정적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오류의 가능성을 수용하고 그것을 바로잡는 과정을 통해 교과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다. Textbook of content error is increasing in the social interes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2009 revised curriculum of middle school textbook on social studies to content error.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notation and representation errors and content error was 68% and 32% in submitted for authorization textbook. Content error were related to the political and cultural fairness and errors of description Some error, the correctness of the theory. Especially, an error occurred East sea and Dokdo mark. The primary strategies for reducing content errors of social studies should be enhancing in the first review and increasing research committee members, the quality management of publication textbook. in addition, for changing the first review and manpower enlargement, we need support to administration and expend the budget. Above all things, we should be share the recognition of accommodates the possibility of error and revision process textbooks.

      • KCI등재

        우리나라 학교 선거교육의 시기별 내용 비교 -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김명정 ( Kim Myung-jung ),송성민 ( Song Seong-min ) 한국법교육학회 2021 법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선거교육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시기별 장점과 특징에 입각한 선거교육 개선 방향의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정치 교과서를 분석하여, 선거 관련 내용에 대한 시기별 비교ㆍ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요목기의 선거교육은 선거의 원칙과 선거구제, 선거권과 피선거권 등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는데 오늘날의 선거교육에 비해서 양적ㆍ질적으로 더 풍부한 진술을 특징으로 한다. 제1차 교육과정 시기까지 이러한 특징을 유지하던 선거교육은 제2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내용이 축소되기 시작했고, 유신 헌법 시기였던 제3차 교육과정 때 대폭 간소화되기에 이르렀다. 제4차 교육 과정 시기는 선거교육의 암흑기로 볼 수 있고, 그 영향은 제5차 교육과정 시기로 이어진다. 제6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시민의 정치 참여가 강조되면서 선거교육이 다시 비중을 회복하여 제7차 교육과정 시기에 정점을 이룬다. 이후 2007/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부터 현재까지 학습자 중심, 참여 중심의 선거 교육이 이어지고 있지만, 개념 중심의 서술 경향에서 근본적으로 탈피하지 못하는 한계 역시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election education from The Course of Study to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high school politics textbooks were selected for each curriculum peri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ourse of Study, the principles of election, Electoral District system, and the right to vote and the right to be elected are described in detail. These characteristics led to The 1st national curriculum, but the content began to be reduced during The 2nd national curriculum. And in The 3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the content was greatly reduced. The 4th and 5th national Curriculum, which have inherited such a trend, can be seen as ‘the dark ages’ of election education. Then, during The 6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civic participation in politics was emphasized as an educational goal, and the weight of election education was restore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election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is markedly improv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ince then, from the time of The 2007/2009 national curriculum to the present, learner-centered and participation-centered election education has continued, but there is still a limit that can not escape from the concept-oriented narrative tr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