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관령에서 옥수수 품종별 생육특성과 건물수량에 기후변화의 영향

        김맹중,서성,최기춘,김종근,이상학,정종성,윤세형,지희정,김명화,Kim, Meing Jooung,Seo, Sung,Choi, Ki Choon,Kim, Jong Geun,Lee, Sang Hack,Jung, Jeong Sung,Yoon, Sei Hyung,Ji, Hee Chung,Kim, Myeong Hwa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2

        고랭지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출현상태와 초기생육은 품종간 차이는 없었으나 년차별 기후변화에 따라 습해 및 서리 피해가 발생하였다. 2010년도는 6월 1일 서리가 내렸고, 2011년도는 파종 후 강우가 지속되어 발아 및 초기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초기생육이 안정적인 품종은 국산품종으로 광평옥, 도입종은 P3156 품종이었다. 옥수수의 출사일은 년차 간 평균 5.5일의 차이가 있으며 국산종은 8월 8일부터 8월 12일까지 출사기간이며 도입종은 8월 5일부터 8월 11일까지 출사하여 도입종과 국산종의 출사일은 3~4일 차이가 있었다. 광평옥의 출사일은 8월 8일, P3156 품종은 8월 5일로 비교적 빨리 출사하는 품종이고 평안옥과 DK729 품종은 출사기가 늦은 품종이었다. 옥수수 평균 초장은 231 cm 정도이며 국산품종 광평옥은 236 cm, 평안옥 237 cm로 초장이 큰 품종이 건물생산량도 많았다. 줄기의 굵기는 전체 평균 23.2 mm, 착수고는 94 cm이었다. 착수고가 낮아 내도복성인 품종은 청안옥 86 cm, 33J56 품종 80 cm이었고 강다옥은 101 cm로 착수고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고랭지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이삭비율은 전체평균 39.3%이었으며 국산종보다 도입종이 다소 높았다. 국산품종 중에서 광평옥은 40.1%로 이삭비율이 높았으며 도입종 중에서 P3394 품종이 42.2%로 대등한 이삭비율을 보였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초중은 평균 59.6톤/ha이었으며 국산품종보다 도입품종의 생산성이 다소 높았다. 평균 건물수량은 16,653 kg/ha이며 건물수량이 많은 품종순으로 32P75, P3156, 평안옥, P3394, 광평옥이며 건물수량은 각각 18,901 kg/ha, 17,997 kg/ha, 17675 kg/ha, 17194 kg/ha, 17188 kg/ha 이었다. 옥수수의 당도는 발효과정에서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고랭지에서 평균 당도는 8.1이었다. 국산품종이 8.69로 도입품종 7.42에 비해 평균 1.2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DN 수량에서 32P75 품종은 13,381 kg/ha, P3156 품종 12,590 kg/ha, P3394 품종 12,532 kg/ha이며 국산품종은 평안옥 12,140 kg/ha, 광평옥 12,036 kg/ha로 이들 국산품종은 도입품종과 대등한 TDN 수량을 생산할 수 있었다. 고랭지에서 도입품종과 국산품종의 사료가치는 평균 CP 7.8%, 소화율74.2%, NDF 42.4%, ADF 23.5%, TDN 70.3%로 대차 없었으며 청안옥의 TDN 함량은 73.3%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s of silage corn hybrids in fields of forage crops of 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Apr. 2009 to Sep. 2011. Corn hybrids were cultivated in Daegwallyeong of Gangwon Province, at an altitude of 760 m. Corn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5 domestic varieties and 5 foreign varieties. Differences of silk days according to years occurred at an average of 5.5 days. The silk periods of domestic varieties occurred from Aug. 8 to 12, while that of overseas varieties was from Aug. 5 to 11. Silk days of domestic varieties occurred approximately 3 to 4 days earlier than those of oversea varieties. Silk days of Kwangpyeongok and P3156 belonging to the early varieties were Aug. 8 and 5, respectively. Kwangpyeongok and P3156 were Aug. 8 and 5, respectively. Pyeonganok and DK729 belonged to late varieties. The mean plant height of corn was approximately 231 cm, while those of Kwangpyeongok and Pyeonganok were 236 cm and 237 cm, respectively. The mean stem diameter and ear height of corn were approximately 23.2 mm and 94 cm,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tem diameters, those of Cheonganok and 33J56 were 86 cm and 80 cm, respectively, while Gangdaok grew to a greater height (enter height) than other varieties. Dry matter yields of Kwangpyeongok and Pyeonganok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varieties. The mean leaf ratio of corn was 39.3%, while that of domestic varieties increased as compared to foreign varieties. The average DM yield of corn was 16,653 kg/ha, while those of 32P75, P3156, Pyeonganok, P3394 and Kwangpyeongok were 18,901, 17,997, 17,675, 17,194, 17,188 kg/ha, respectively.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s of 32P75, P3156, P3394, Pyeonganok and Kwangpyeongok were 13,381, 12,590, 12,532, 12,140 and 12,036 kg/ha, respectively. Corn crude protein (CP),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DN were 7.8%, 74.2%, 42.4%, 23.5% and 70.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nutritive values of cor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f corn varieties of domestic and foreign origin.

      • KCI등재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별 파종량이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김맹중(Meing Jooung Kim),서성(Sung Seo),김종근(Jong Geun Kim),최기준(Ki Jun Choi),김기용(Ki-Yong Kim),이상훈(Sang-Hoon Lee),장선식(Sun Sik Chang),김태일(Tae Il Kim),권응기(Eung Gi Kwon),전병수(Byoung Soo Jeon),최기춘(Ki Choon Choi)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3

        본 시험은 국내육성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확대 보급을 위한 종자생산 시험으로 국내육성 품종인 화산 101호 및 코그린의 파종 량별 종자수량 구성요소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9월부터 2007년 6월까지 3년간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 포장에서 수행 되었다. 파종 재식거리는 20 cm 세조파로 파종 하였고, 시험구 면적은 12 ㎡ (3 × 4 m), 파종량은 5, 10, 20, 30, 40 ㎏/㏊ 품종별 5처리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채종시기는 조생종 “코그린”은 6월 16일, 중만생종 화산 101호는 7월 3일에 수확하여 조생종과 중만생종간의 채종일은 조생종이 15일 정도 빨랐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화산 101호의 종자수량 구성요소에서 평균 이삭수는 471개/㎡, 이삭길이 28.5 ㎝, 등숙률 71% 이었으며, 코그린의 평균 이삭수는 633개/㎡, 이삭길이 24.0 ㎝, 등숙률 82%이었다. 화산 101호의 평균 종자 생산량은 1,631 ㎏/㏊이며, 20 ㎏/㏊ 파종구에서 유의성이 인정 되었고 (p<0.05), 40 ㎏/㏊ 파종구에서 1,971 ㎏/㏊으로 가장 많은 종자생산량을 보였다. 코그린은 20 ㎏/㏊ 파종구에서 3,079 ㎏/㏊으로 종자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파종량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5). 종자의 탈립은 품종 고유의 특성으로 파종량별 차이는 없었으나 화산 101호가 40.3%로 코그린 2.6%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산 101호의 채종량이 코그린에 비하여 감소되는 원인은 탈립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채종된 종자의 화산 101호는 채종 직후부터 발아하여 81.8%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코그린은 채종 직후에는 발아율이 낮아 저온 저장 후 발아율이 79.4%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화산 101호는 탈립에 의해 파종량을 30~40 ㎏/㏊으로 증가시켜야 하고 코그린의 파종량은 20 ㎏/㏊이 적정량으로 권장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rate of newly developed Italian ryegrass varieties, “Kogreen” and “Hwasan 101”, on those seed production in Cheonan for three years (2005 to 2007). Two Italian ryegrass varieties were seeded at experimental fields of Grassland and Forag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on late September, and harvested at seed shattering stage.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by each variety. The treatments was consisted of five seeding rates (5, 10, 20, 30, 40 ㎏/㏊). The average heading date of “Kogreen” was 9 May and “Hwasan 101” was 25 May. The harvesting date of “Kogreen” was on 16 June when the rainy season should not set in. In the case of “Hwasan 101”, the harvesting date of seed production was 3 July, because of rainy season. The number of ear per square meter, ear length, spikelet number, seed yield per ha and ripening rate of “Hwasan 101” were 471, 28.5 ㎝, 24.8, 1,631 ㎏ and 71%, respectively. and those of “Kogreen” were 633, 24.0 ㎝, 20.8, 2,676 ㎏ and 82.1%, respectively. The shattering property rate of “Hwasan 101” 40.3% was higher than that of “Kogreen” 2.6%. The germination rate of harvested “Hwasan 101” seed was 81.8% and that of “Kogreen” was 79.4%,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optimum seeding rate of Italian ryegrass for seed production are recommended 20㎏/㏊ in both “Hwasan 101” and “Kogreen”.

      • KCI등재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파종방법이 월동,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맹중(Meing Jooung Kim),최기준(Gi Jun Choi),육완방(Wan Bang Yook),임영철(Young Chul Lim),윤세형(Sei Hyung Yoon),김종근(Jong Geun Kim),박형수(Hyung Soo Park),서성(Sung Se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논에서 월동사료작물로 재배되고 있는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Kospeed)의 입모율 향상과 건물수량 증대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알맞은 파종방법을 구명하고자 본시험을 수행하였다. 파종시기는 총체벼 수확 후 9월 25일에 파종하였으며 파종방법은 로타리-조파-진압, 로타리-산파-진압, 로타리-산파, 로타리-산파-가벼운 로타리, 무경운산파-가벼운 로타리) 5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파종방법별 입모율은 조파에 비해 산파는 12.0% 감소하며, 월동율에 있어서도 17.0% 감소하였다. 특히 관행 호밀 파종법으로 사용하는 로타리-산파-가벼운 로타리 파종법은 다른 산파방법 보다 입모율이 65.2% 수준으로 낮아지며, 월동율도 6.7% 감소하였다. 파종방법별 건물수량에서 산파는 6,281 ㎏/㏊로 조파 8,151 ㎏/㏊에 비해 71%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산파방법 중 “로타리-산파-진압” 파종방법은 7,166 ㎏/㏊로 조파 대비 87.9% 건물수량을 높일 수 있는 파종방법이었다. 그러나 관행 파종법인 “로타리-산파-가벼운 로타리” 파종방법은 조파에 비해 건물수량이 68% 수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그러나 사료가치에서 파종 방법별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후작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시 “로타리-산파-진압” 파종방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추천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ding method on winter survival and dry matter yield of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Lam. “Kospeed”) in paddy field for two years.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 consisted of four different seeding methods, R-LS-P(rotary-line sowing-packing), R-BS-P(rotary-broadcast seeding-packing), R-BS(rotary-broadcast seeding), R-BS-TR(rotary-broadcast seeding-trifling rotary), BS-TR (broadcast seeding-trifling rotary). The emergence ratio of broadcast was decreased by 12% and winter survival was decreased by 17% compared with line sowing. The R-BS-TR treatment which was practical seeding method of rye was decreased seeding stand ratio by 65.2% and winter survival by 6.7% compared with others seeding methods. Dry matter yield of line sowing(8,151 ㎏/㏊) was higher than that of broadcast(6,281 ㎏/㏊) and R-BS-P treatment was the highest DM yield as 7,166 ㎏/㏊. There was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eeding method in forage qualit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R-BS-P(rotary-broadcast seeding-packing) was recommendable the best seeding method after harvested whole crop rice in paddy field.

      • KCI등재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별 파종시기가 월동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맹중(Meing Jooung Kim),최기준(Ki Jun Choi),김종근(Jong Geun Kim),서성(Sung Seo),윤세형(Sei Hyung Yoon),임영철(Young Chul Lim),임석기(Seok Ki Im),권응기(Eung Gi Kwon),장선식(Sun Sik Chang),김형철(Hyeong Cheol Kim),김태일(Tae Il Kim 韓國草地學會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4

        논에서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조중 만생 숙기별 Kospeed, Kowinmaster, Hwasan 101호 3품종을 파종시기별로 9월 30일부터 5일간격으로 10월 20일까지 5처리 파종하여 이듬해 5월 17일에 수확하였고 단위면적당 입모수, 월동률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시험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수원에서 수행하였다.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조생종(Kospeed)의 출수기는 5월 7일에서 5월 13일이며 파종일이 늦으면 출수일도 늦어졌다. 또한 조생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개화최성기에 수확할 수 있어 건물수량이 높고 모내기를 적기에 할 수 있었다. 중생종(Kowinmaster)은 5월 16일에 출수하였고, 만생종(Hwasan 101)은 생육시기가 늦어 출수 전에 수확하여 모내기를 5월 20일에 마쳤다. 중부지방에서 적기 모내기를 위해 5월 17일 수확한 건물수량은 9월 30일에 파종한 시험구의 조생종 Kospeed는 7,909 ㎏/㏊이며, 중생종 Kowinmaster 6,398 ㎏/㏊, 만생종 Hwasan 101호 5,204 ㎏/㏊이었다. 건물수량이 높은 조생종(Kospeed)의 논에서 적정 파종시기는 9월 30월에서 10월 5일까지이며 중 만생종은 파종시기가 빨라도 조생종보다 건물수량이 감소하였다. 파종시기에서 9월 하순에서 10월 5일까지는 건물수량이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후는 월동률도 급격히 떨어져지고 건물수량도 감소하였다. 또한 중 만생종은 숙기가 늦어 수분함량이 많아 사일리지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중부지방에서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논 재배는 조생종 품종으로 10월 5일 이전에 파종해야 건물수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ivar and seeding date on the winter survival rate, quality and DM yield of Italian ryegrass on paddy field for three years in Suwon. Seeding started from 30th Sep. 2003. at intervals of five days and finished 20th Oct. New varieties of Italian ryegras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Kospeed”, “Kowinmaster” and “Hwasan 101”. The winter survival average rate of 5th Oct. seeding plot was 89.8% and it de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The heading date of “Kospeed” was 7th~13rd May, “Kowinmaster” was 16th May, but “Hwasan 101 ho” didn’t show heading until 17th May. Dry matter (DM) yields of 30th Sep. seeding plot were Kospeed 7,909 ㎏/㏊, Kowinmaster 6,398 ㎏/㏊ and Hwasan 101 ho 5,204 ㎏/㏊. DM yield was de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was also de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Crude protein (CP) content was the highest in Kospeed. seeding plot as 18.3%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as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eeding dates.

      • KCI등재

        Festulolium 교잡종의 연차간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김맹중(Meing Jooung Kim),성병렬(Byung Ryeol Sung),최기준(Gi Jun Choi),김기용(Ki Yong Kim),임근발(Keun Bal Lim),지희정(Hee Chung Ji),정기백(Ki Beak Ju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8 No.1

        새로 도입된 목초 Festulolium (Festuca pratensis × Lolium multiflorum) 3개 속간교잡종의 한해, 출수기, 도복, 재생력과 수량성 및 사료가치의 지역적응력과 생산력을 검정하여 국내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2005년 9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수원과 남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교잡종의 내한성은 내한 다수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화산101호에 비하여 Perun은 다소 강한 편이었으며 Boxer와 Fleurial은 대등하게 나타남에 따라 국내 재배 시 한해 문제는 전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장 및 도복은 표준품종과 비슷하나 Fleurial은 86㎝로 다소 짧고 도복도 15%로 가장 적게 발생되었으며, 재생력은 모든 품종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출수기는 화산101호가 5월 24일에 비하여 Fleurial은 같았으나, Perun과 Boxer는 1~3일 늦은 중만숙성 교잡종들이었다. 화산101호의 청예 및 건물 평균수량은 85,910 ㎏/㏊, 13,642㎏/㏊이었으나, 이에 비하여 시험교잡종들의 청예수량은 3~11%가 증가하였다. 건물수량은 Perun이 18%로 가장 많이 증수되었으며, Boxer와 Fleurial은 화산101호와 대등하였다. 사료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화산101호가 12.1%인데 비해 Perun이 16.6%로 가장 높았으며 Boxer와 Fleurial이 각각 14.7%와 14.3%이었다. 시험 품종들의 NDF와 ADF는 모든 품종에서 각각 55.5%와 31.5% 미만으로서 양질 조사료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소화 건물소화율에서도 표준품종의 65.1% 보다 시험품종들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들 품종은 모두 내한 중만숙 다수성 교잡종들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winter hardiness, heading date, quality, and yields of Festulolium hybrids, Festuca pratensis and Lolium multiflorum, which were cultivated during September 2005 to July 2006 at Suwon and Namw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Perun, Boxer, and Fleurial showed stronger or same level of hardiness than Hwasan 101, which is one of the strongest hybrids in winter hardiness. Therefore, we did not detect any problem in winter hardiness when these hybrids were cultivated in Korea. These are turned out to be mid and late maturing hybrids. The average heading date of three hybrids were 24 to 27 May in Suwon and Namwon. These date are same or 3 days later than Hwasan 101. The average fresh yields of 3 hybrids were increased by 17~29% than that of Hwasan 101. And the dry matter yields of Perun, Boxer, and Fleurial were increased by 39%, 26%, and 29%, respectively, than that of Hwasan 101. We could not detect any difference in the average fresh and dry matter yields between region,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ybrids(p<0.05). Crude protein contents of 3 hybrids were higher to 14.3~16.6% than that of Hwasan 101. The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were decreased by 3.9 and 7.0%, respectively, comparing to Hwasan 101. Therefore these hybrids have turned out to be excellent feed quality hybrids.

      • KCI등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코윈어리'의 봄철 1회 및 2회 이용에 따른 수확적기 구명

        서성,김맹중,김원호,이상학,정민웅,김기용,지희정,박형수,김종근,최기준,Seo, Sung,Kim, Meing Jooung,Kim, Won Ho,Lee, Sang Hak,Jung, Min Woong,Kim, Ki Yong,Ji, Hee Chung,Park, Hyung Soo,Kim, Jong Geun,Choi, Gi J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국내 개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IRG)의 봄철 1회 및 2회 이용 시 수확적기를 구명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수원)에서 조생종 'Kowinearly' 품종을 공시, 2009년 9월 30일에 파종하여 2010년 6월까지 수행하였다. 처리내용은 1차 수확시기로 출수시(T1), 출수기(T2), 출수후기~개화초기(T3), 개화기~개화후기(T4), 등숙기(T5) 및 등숙후기(T6) 등 6처리였으며, 2차 수량조사는 6월 11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Kowinearly'의 출수시는 5월 4~5일, 출수기는 5월 14일, 도복은 개화 이후 많이 관찰되었다. 건물률은 T1 14.8%에서 T6 35.0%로 생육진행에 따라 높아졌으며, 조단백질, RFV, 건물 소화율 등 사료가치는 생육 지연에 따라 낮아졌다. 건물수량과 가소화 건물수량은 T4에서 ha당 각각 8,984 kg과 5,728 kg으로, 조단백질 수량은 T3에서 795 k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0.05), 재생초의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가소화 건물수량은 T1과 T2에서 차이 없이 각각 5,425 kg, 596 kg, 3,204 kg(T1)과 4,811 kg, 589 kg, 3,143 kg (T2)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총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가소화 건물수량은 T2 와 T3에서 차이 없이 각각 11,089 kg, 1,254 kg, 7,669 kg(T2)과 10,354 kg, 1,225 kg, 6,915 kg (T3)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일당 건물생산량과 일당 가소화건물생산량은 1차 생육은 T2, T3, T4에서, 재생초는 T2, T1에서 높았으며, 전 기간 일당생산량에서는 출수기인 T2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T3, T4, T1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IRG 'Kowinearly'를 봄철에 1회 수확하여 이용할 경우 단위면적당 생산량과 사료가치를 고려한 수확적기는 출수후기~개화기이며, 봄철 2회 수확하여 이용할 경우 재생과 단위면적당 총 생산량을 고려한 1차 수확적기는 출수기가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stage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 for maximum forage production during the spring season in Suwon, 2010. The variety of IRG was the early maturity type, 'Kowinearly', and six harvest stages (treatments) were first heading (T1), heading (T2), late heading to early bloom (T3), bloom to late bloom (T4), ripeness (T5), and late ripeness stage (T6). The dates of the first heading and heading of 'Kowinearly' were seen on 4 to 5 May, and 14 May, respectively. Plant length and dry matter (DM) percentage at first harvest were from 69 cm and 14.8% at T1 stage to 103 cm and 35.0% at T6 stage,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P) and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of T1, T2, T3, T4, T5 and T6 at first harvest were 15.6%, 10.6%, 10.1%, 8.1%, 7.3% and 5.4%, and 81.8%, 72.1%, 64.8%, 63.8%, 61.4% and 59.0%, respectively. The content of neu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were increased continuously with delayed harvest. A significantly higher yield of DM, CP and in vitro digestible DM (IVDDM) were observed for T3, and T4 (p<0.05). DM yield of 3,526 kg, 6,278 kg, 7,842 kg, 8,984 kg, 8,346 kg and 8,008 kg/ha, CP yield of 549 kg, 665 kg, 795 kg, 725 kg, 608 kg and 430 kg/ha, and IVDDM of 2,883 kg. 4,526 kg, 5,083 kg, 5,728 kg, 5,124 kg and 4,722 kg/ha at first harvest were recorded in T1, T2, T3, T4, T5 and T6, respectively. Regrowth yield of DM, CP and IVDDM were shown to be higher at T1 and T2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stages. Daily DM and DDM production of regrowth IRG were higher at T2, followed by T1. The total yield (at first and at regrowth) of DM, CP and IVDDM were significant higher for T2, followed by T3, T4 and T1 in order. At T2 stage, the yield was 11,089 kg, 1,254 kg, and 7,669 kg/ha in DM, CP, and IVDDM. In conclusion, the late heading to bloom stage was determined to be the optimum harvest stage for a single harvest, while the heading stage was a suitable stage of first harvest of 'Kowinearly' where two harvests were sought in a single year.

      • KCI등재

        갈대 생육지에서 질소 시비가 사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성,박진길,김원호,김맹중,이상학,정종성,박형수,성하균,이종경,Seo, Sung,Park, Jin Gil,Kim, Won Ho,Kim, Meing Jooung,Lee, Sang Hak,Jung, Jong Sung,Park, Hyung Soo,Sung, Ha Guyn,Lee, Joung Kyo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질소(N) 시비가 부존 조사료자원인 갈대(Phragmites communis)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2년에 충남 천안과 경기 안산지역에서 실시되었다.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갈대 재배지에서는 N 무시비구, N 50 kg/ha구, N 100 kg구 등 3처리를 두고 4월 30일 시비, 6월 21일 수확하였으며, 안산 시화간척지 갈대 자생지에서는 N 무시비구, N 60 kg/ha구 등 2처리를 두고 5월 1일 시비, 8월 1일 수확하였다. 갈대의 초장과 엽색은 N 시비구에서, 그리고 N 시비수준이 높을 때 양호하였다. 건물률은 N 시비구에서 약간 낮아지는 경향으로 천안지역은 무시비구 39.8%, N 시비구 37.6%, 36.7%, 안산지역은 무시비구 39.4%, N 시비구 37.6%였다. 천안지역의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및 가소화 건물수량은 무시비구에서 ha당 각각 4,026 kg, 235 kg, 1,850 kg, N 50 kg 시비구는 각각 4,658 kg, 306 kg, 2,388 kg, N 100 kg 시비구는 각각 5,622 kg, 446 kg, 3,143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안산지역은 무시비구에서 각각 2,802 kg, 177 kg, 1,288 kg, N 60 kg 시비구는 각각 3,876 kg, 294 kg, 1,853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천안지역의 조단백질 함량, 건물 소화율 및 상대사료가치 (RFV)는 무시비구에서 각각 5.85%, 45.96%, 64.0 (품질 5등급), N 50 kg 시비구는 각각 6.58%, 51.27%, 72.3 (5등급), N 100 kg 시비구는 각각 7.94%, 55.91%, 72.7 (5등급)로 높아졌으며, 안산지역도 무시비구에서 각각 6.30%, 45.98%, 70.2 (5등급), N 60 kg 시비구는 각각 7.59%, 47.80%, 78.3 (4등급)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대 생육지는 시비가 가능한 조건이라면(하천변이나 강변 등 수질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이 아닌), ha당 N 60~100 kg을 생육기에 시용해 주는 것이 생산량과 사료가치를 크게 개선시켜줄 수 있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trogen (N) fertilization on the forage growth, production and quality of native reed (Phragmites communis) grasses.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Cheonan and in Ansan, 2012. Treatments were control (no N fertilization), 50 kg/ha and 100 kg/ha in Cheonan plots (fertilization on April $30^{th}$, and harvest on June $21^{st}$). Treatments in Ansan plots were control (no N fertilization) and 60 kg/ha (fertilization on May first, and harvest on August first). Forage growth and leaf colors were improved in N fertilized plots. However, the drymatter (DM) percentage was slightly decreased with N fertilization. Forage yields, in terms of DM, crude protein (CP) and digestible DM (DD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N fertilization in both sites. In Cheonan, DM, CP and DDM yields per ha were 4,026 kg, 235 kg and 1,850 kg,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were 4,658 kg, 306 kg and 2,388 kg, respectively, in the N 50 kg plot, and 5,622 kg, 446 kg and 3,143 kg, respectively, in the N 100 kg plot. In Ansan, DM, CP and DDM yields per ha were 2,802 kg, 177 kg and 1,288 kg,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were 3,876 kg, 294 kg and 1,853 kg, respectively, in the N 60 kg plot. Forage quality in terms of CP content,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ere also increased with N fertilization in both sites. In Cheonan, the CP content, IVDMD and RFV were 5.85%, 45.96% and 64.5 (grade 5),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6.58%, 51.27% and 72.3 (grade 5), respectively, in the N 50 kg plot, and 7.94%, 55.91% and 72.7 (grade 5), respectively, in the N 100 kg plot. In Ansan, the CP content, IVDMD and RFV were 6.30%, 45.98% and 70.2 (grade 5),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7.59%, 47.80% and 78.3 (grade 4), respectively, in the N 60 kg plot. In conclusion, N fertilization of 60~100 kg/ha was desirable for greater forage production, with a higher quality of native Phragmites communis achievable. This should only be applied if the fertilization area is not located at a riverside/streamside or in riparian land where there is a high risk of water pollution by fertilization.

      • KCI등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지에서 제초제 사용에 의한 광대나물 방제

        김기용(Ki-Yong Kim),최기준(Gi Jun Choi),이상훈(Sang-Hoon Lee),이기원(Ki-Won Lee),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서성(Sung Seo),김맹중(Meing Jooung Kim),지희정 (Hee Chung Ji)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4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effective weed control method of henbit deadnettle (Lamium amplexicaule L.) on cultivating field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using herbicide in Grassland and Forag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from 2008 to 2009. When Onehof was treated two times of spray, weed control ratio was most high as 90%, but this method can not be used because of much damage to Italian ryegrass. When MCPP was treated two times of spray, weed control ratio was high as 82%, and damage to Italian ryegrass was very insignificant. Especially, when the spray of MCPP was treated two times, dry matter yield of Italian ryegrass was 11, 427 kg/ha, but that of non treatment was 1, 668 kg/ha. That is to say, forage harvest was impossible in non treatment field. According to these results, to control henbit deadnettle on cultivating field of Italian ryegrass using herbicide, you need to treat with two times of spray of MCPP in mid-March. If you do, you can get regular harvest as much as 11, 427 kg/ha. 본 논문은 국내육성 IRG 신품종 "코윈어리" 재배지에서 광대나물의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연구한 결과이다. 잡초 억제율은 원호프 2회 처리구에서 90%로 가장 높았으나, IRG 피해도 커서 사용할 수 없으며, 그 다음으로 MCPP 2회 처리구에서는 잡초 억제율이 82%로 방제효과가 높고 IRG 피해도 적으며 잡초방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대나물 방제를 위해 MCPP를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경우, 건물생산량은 ha당 11, 427 kg으로서 무처리구의 1, 668 kg에 비해 698%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서 MCPP를 처리하지 않으면 조사료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포장에서 월년생 잡초 광대나물을 방제하려면 3월 중순에 MCPP를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되며, 조사료 생산량도 ha당 11, 427 kg으로서 정상적인 수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사일리지용 옥수수 'Cap 444NG'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지희정(Hee Chung Ji),김맹중(Meing Jooung Kim),이상훈(Sang Hyun Lee),최기준(Gi Jun Choi),김기용(Ki Yong Kim),박형수(Hyung Su Park),김원호(Won Ho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1

        본 시험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충남 천안, 경북 영주, 전북 김제에서 여름 사료작물인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파종하여 국내 육성품종인 광평옥과 도입품종간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입품종 사일리지용 옥수수 중에서 Cap444NG 품종이 녹색도가 우수하고 생초수량이 61,111 ㎏/ha이고 건물수량이 20,635㎏/ha로 최고의 수량을 보였다. 또한 사료가치에 있어서도 조단백질 함량이 7.9%로 양호한 생육특성을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know adaptability,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corn hybrid for silage at three regions during 2007 to 2008. Among agronomic characteristics, 'CAP444NG' hybrid was somewhat strong for good stay green and higher stem height as 294㎝. The fresh and dry matter yield of 'CAP444NG' hybrid were the highest 61,111 ㎏/ha and 20,635 ㎏/ha,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of 'CAP444NG' hybrid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hybrids as 7.9%.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AP444NG' hybrid could be recommended as having good characters according to forage production and stay green and for silag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