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중성계 FZ Ori의 측광학적 해와 광시간 모형

        김동빈,송미화,정민지,김천휘,Kim, Dong-Bin,Song, Mi-Hwa,Jeong, Min-Ji,Kim, Cheon-Hwi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접촉 식쌍성 FZ Ori를 CCD 측광 관측하여 BVRI 광도곡선을 얻고, 12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먼저 우리가 구한 극심시각들을 포함한 총 218개의 극심시각 자료를 이용하여 FZ Ori의 공전주기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난 80년 동안 FZ Ori의 공전주기가 영년 증가하면서 동시에 40~50년 주기로 변화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주기적 변화가 제3천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로 나타난다고 가정하고 몬테카를로 기법을 이용하여 $X^2_r$인 자 공간에서 최적의 광시간 해를 탐색하였다. 또 이 방법으로 구한 광시간 궤도요소를 궤도 수치적분 프로그램(MERCURY, S34BODY)에 적용하여 질점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삼중성계에서 나타나는 광시간 효과를 천체역학적으로 구현하여 보았다. 한편 FZ Ori의 4색 광도곡선을 가장 최근에 개정된 2010 Wilson-Devinney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측광학적 해를 구하였다. 기본 시스템 인자 외에 차가운 흑점과 뜨거운 흑점, 그리고 제3광도의 세 요인들을 조합하여 구한 14개의 해 중에서 주성과 반성의 표면에 각각 차가운 흑점과 뜨거운 흑점이 있으면서 제3광도가 검출된 해가 우리의 관측과 가장 잘 맞았다. 그러나 이렇게 구한 제3광도는 광시간 모형으로부터 예측되는 제3천체의 광도에 크게 못 미친다. 추후 분광 관측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면 FZ Ori에 대한 보다 완전한 모형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건설기술자 이미지에 대한 일반 국민과 건설기술자의 인식 비교 연구

        김동빈,김한수,Kim, Dong Bin,Kim, Han 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5

        Construction engineers are the core resour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positive images toward construction engineers give much impacts on recruit and retainment of the young and talented. Although previous studies reported on negative aspects of the image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image of construction engineers has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to date.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ompare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as perceived by general public and construction engineers themselves in order to identify key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The result shows that construction engineers themselves, compared with general public, have more negative tendencies on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critical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oles of construction engineers and their morality in order to improv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construction engineers images. On the other hand, fundamental measures to be taken to restore the environments of construction industry for construction engineers to improve their self-perception on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건설기술자는 건설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자원이며, 건설기술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유능한 인재의 유입과 보유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비록 기존 연구를 통해 건설산업의 이미지는 부정적으로 진단된 경향이 있지만, 현재까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한 현 주소는 정확하게 진단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를 일반 국민과 건설기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고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일반국민 보다 건설기술자 스스로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해 부정적인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자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이해 증진과 도덕성 제고가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나타났으며, 건설기술자의 자기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는 건설산업의 생태계를 회복하는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역주택조합 운영상 조합원의 참여행동 영향요인 분석

        김동빈 ( Kim Dong Bin ),이창석 ( Lee Chang-suck ) 한국부동산학회 2015 不動産學報 Vol.62 No.-

        지역주택조합을 중심으로 주택조합 운영 및 사업추진과정에서 일반 조합원의 참여 필요성을 근거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이러한 요인이 참여행동에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토대로 검증하였다.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원 참여 영향요인을 구성하고, 이들 요인에 대한 조합원들의 실행수준 지각이 실제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지역주택조합 운영에서 조합원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행정적, 제도적 측면이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규범적, 선언적 범주를 넘어서서 실천적이고 질적인 차원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조합원들이 의사결정의 주체가 되어 개방성과 신뢰의 토대 위에, 조합원 간 협력의 연결망을 확장시킬 때 진정한 의미의 지역주택조합 운영이 가능함을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se factors and these factors may affect the local housing associations in building society operations and projects around the process based on the needs of the general membership participation haneude In what ways any effect on behavior verification,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leading research framework. (2) RESEARCH METHOD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by the magnetic writing method for a sample consent for participation in a survey study using the scale structure by the prior research center after cod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3) RESEARCH FINDINGS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ie, you can see that interdependence and mutual existence is the premise, and ultimately the requirements of this interaction is involved, will function as social capital for the involvement of success. In addition, the support due to the scale of confidence and trust with negotiation of the interaction is converted into cooperation. 2. RESULTS In future research this history, explore way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housing associations and social point of view, a change of consciousness accordingly union participation is considered to be a study be made to determine the meaning that the performance of local housing development business combinations.

      • KCI등재

        광고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김동빈 ( Dong Bin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4 No.-

        오늘의 모든 매체에서는 새로움과 충격의 표현을 지향한다. 이 같은 현상은 광고에서도 뚜렷한 특징으로 나타난다. 광고는 소비자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 차별적 표현의 방식으로 ‘새로움’, ‘낯섦’, ‘웅장함’, ‘위압적임’ 등을 사용한다. 이는 미학의 관점에서 숭고(崇高) 체험의 요건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오늘날의 광고에서 나타나는 특성적 요인을 숭고 미학의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사람들은 보편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미지(未知)의 상황, 사건, 사물 등에 대해서궁금증을 갖기 마련이다. 미지의 세계, 미경험의 사물등은 궁금증의 단계에서 두려움의 단계로 나아가기도 한다.‘숭고’는 이 같은 과정을 통해서 경험된다. 이연구를 통해 오늘날의 광고에서 발견된 숭고 미학적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지의 세계나 정보에 대한 신비감, 모호함, 새로움 등에 대한 표현으로 숭고 체험의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숭고 논의가 관조자(觀照者)의 경험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서 광고에서 표현되는 소비자 입장에서의 미경험의 상황은 숭고 체험의 기제가 되고 있다. 셋째, 칸트가 압도적자연의 대상과 현상을 통해 숭고가 경험된다고 했듯이광고에서도 압도적 대상의 표현을 통해서 숭고 체험을 가능케 하고 있다. 넷째, 사건적 상황을 표현함으로써숭고적 특성을 드러내는데 이는 현대적 개념의 숭고논의가 보편의 인식 바깥에 있는 사건성을 기제로 하고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 연구는 오늘날의 광고 표현특성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숭고미학이 주요한 이론적 틀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유의미한 해석의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차별적 의의를 두고 있다. In all the media today directed the expression of novelty and shock. The same phenomenon appears as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advertisements. Advertising is a discriminatory manner of expression to the attention of consumers ‘novelty’, ‘strangeness’ and ‘grandeur’, ‘high-handedness’, etc. use these same phenomenon is appear to distinction of advertisements. It is sublime experience is also the requirements in terms of aesthetics. This study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factors in today``s Advertis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aesthetics sublime. People is not commonly experienced mysterious circumstances, incidents, things and so on is likely to have of these questions. Unknown world, objects such as inexperience will move to the stage of fear prayer at the stage of curiosity. ‘Sublime`` is experienced through the same process. Sublime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today``s advertising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ystery of the unknown world of information is that ambiguity, as a new and sublime representation of experience and provide the opportunity. Second, In experience of the situation of the sublime position expressed in the discussion on the consumer advertising in that it``s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contemplation has become a base of experience. Third, As in advertising sublime that Kant``s sublime experien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argets and the overwhelming nature through the presentation of overwhelming the target and enables the experience. Fourth, It reveals the sublime characteristics by presenting a case situations due to the fact that the modern concept of the sublime and the incidents discussed in the universal recognition outside the castle as a base. This study is today``s advertisement attributes the sublime aesthetic are major theoretical framework of interpreting the find could become the relevant interpretation of results put sense in the near future the fact that discriminatory.

      • KCI등재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몰형식적 표현요인으로서 중첩과 분절의 유희

        김동빈(주저자) ( Dong Bin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5 No.-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표현 경향이 전통적이 표현규범과 관례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이제 일반화된 현상이다. 이 연구는 이 같은 현상의 성격을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몰형식성으로 규정하였는데 이는 미학적 개념에서 차용한 것이다.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몰형식적표현은 특정한 표현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각적 유희 방식으로써 ``중첩과 분절의 유희``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 연구는 현대 그래픽디자인에서 ‘중첩’과 ‘분절’의 표현이 현대 그래픽디자인에서 몰형식성의 경향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와표현 측면과 의미 측면에서 어떤 속성을 가지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래픽디자인이 시각 텍스트의 결합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중첩과 분절의 표현이 언어적 텍스트에서 중첩과 분절의 표현과 본질적인 부분에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결과, 중첩의 유희는 2차적 의미의 파생과 공간 개념의 유기적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분절의 유희는 구조와 기능에 대한 분해와 재배치와 시각 텍스트의 의미 표출 구조의 차이를 이끌어낸다는 측면이 파악되었다. 이는 현대 그래픽디자인의 몰형식성을 강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The expression tendency of contemporary graphic design that departure from traditional norms and relations now represent a generalized phenomenon. The study regulations were the nature of this phenomenon as a formlessness of the contemporary graphic design which is borrowed from an aesthetic concept. Contemporary graphics formless representation of the design is the method used is not a visual method by play, and the play of the superimposition and segmentation, is frequently limited to a particular expression. This study puts its purpose to reveal what kinds of some properties in the ``superimposition`` and the expression of ``segmentation`` that have a formless tendencies and some relevance in contemporary graphic design and presentation aspect and meaning aspects of modern graphic design. Graphic design is a representation of superimposition the seg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assembly of the visual text in the expression and seems to be associated with a substantial part of the segment overlaps the text in the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play of superimposition in terms of organic expansion of the derivative and the spatial concept of secondary meaning, play the segment has been identified is that elicit the difference meanings express the structure of the disassembly and relocation and visual text to structure and function. This has been a major factor to strengthen the formlessness of the contemporary graphic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숭고미학의 관점으로 본 한글의 이미지성

        김동빈 ( Kim Dong-bin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7 No.-

        문자의 본래적 기능은 ‘쓰기와 읽기’에 바탕을 둔 문자성에 있었다. 문자성이란 문자로 형성되는 글의 속성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사고방식 및 일련의 문화를 말한다. 문자성은 글쓰기의 대상과 주체의 분리를 통한 객관성을 중요한 조건으로 하면서 지식을 구조화한다. 타이포그래피는 문자를 질료로 하여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문자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20세기 이후,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범주에서 문자의 역할은 문자성에 국한되지 않고 읽는 문자에서 보는 문자로의 이행현상이 나타나면서 문자의 이미지성이 주목받게 됐다. 이 현상은 21세기에 이르러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더욱 확산되고 심화됐다. 문자의 이미지성은 표현하는 주체의 직관적 감성에 기댐으로 인해 감성적이고 주관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주체와 대상 사이의 객관화를 전제로 하는 문자성과는 대립적 위치에 있다. 문자의 이미지성은 문자를 매개로 하지만 구술성의 감성적이고 유연하며 추상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한글 타이포그래피 표현에 있어서도 읽는 문자에서 보는 문자로의 이행 현상은 예외가 아니다. 한글의 이미지성은 ‘쓰기와 읽기’라는 문자성에 종속되는 규칙이나 방법들에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문자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한글 타이포그래피 표현 방식에 대해서 기법상의 전위와 실험을 철학적으로 전치시켜 표현하는 주체의 방법상의 원리로 삼는다. 한글의 이미지성은 문자성을 완전히 이탈한 것이라 할 수 없으며 문자성 너머에서 문자를 통한 존재 세계와의 교섭의 결과이자 어떤 대상에 대한 인간의 내적 감정과 상태를 포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결과다. 한글은 읽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보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면서 쓰기와 그리기 사이에서 표현의 경계를 자유롭게 오가고 있다. 한글의 이미지성은 우리가 실제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미적 현상이 되었다. 여기서 미적 현상이라 함은 단편적인 시각적 양상이 아니라 표현하는 주체의 관념이나 이념 등을 외적으로 드러낸 결과를 가리킨다. 미적 현상으로서 한글의 이미지성은 문자성의 범주 안에서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표현해 내고 있다는 데서 숭고의 미학을 공유할 수 있다. 숭고는 대상의 양상이나 성질이 아니라 대상과 주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한글의 이미지성의 숭고는 문자성의 전통과 규칙을 넘어서고 있는 대상 혹은 문자에 대한 우리의 경험과 인식의 바깥에서 예기치 않게 나타나는 대상을 통해서 경험되는 감정의 움직임이자 심미적인 체험이다. The original function of letters was in the literacy based on ‘writing and reading’. Literacy refers to the nature of writing formed by letters, the way of thinking derived from it, and a series of cultures. Literacy structures knowledge with objectivity through separation of object and subject of writing as an important condition. The typography is closely related to literacy in that it is part of visual communication activities to convey knowledge and information by using letters as material. Since the 20th century, the role of letters in the category of expression in typography has not been limited to literacy, but to the transition from reading letters to viewing letters, drawing attention to the image of letters. By the 21st century, this phenomenon had become more widespread and intensified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Because the imagery of literacy has emotional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as it is based on the intuitive sensibility of the subject expressing, it is at odds with the character performance based on the premise of objectiv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writing. It is also the result of capturing the inner feelings and conditions of human beings formed through the physical perception centered on vision, which is the constant generation and occurrence that occurs beyond the literacy. The imagery of letters is made by the medium of letters, but they share the emotional, flexible and abstract features of orality. In terms of Korean typography, the phenomenon of transition from reading letters to viewing letters is no exception. Imagery of Hangul is not subject to rules or methods that depend on the character ‘writing and reading’. In addition,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typography of Hangul, which has been centered on letters, is used as the principle of expressing the subject's method by philosophically transposing the technique potential and experiment of the technique. The imagery of Hangul is not completely deviated from its literal nature, and it is the result of negotiations with the world of existence through letters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inner feelings and conditions of human beings on a subject. Hangeul has become the subject of both reading and viewing, and has freely crossed the boundaries of expression between writing and drawing. The imagery of Hangul has become an aesthetic phenomenon that we are actually experiencing. The aesthetic phenomenon here is not a fragmentary visual aspect, but rather a result that reveals externally the ideas and ideologies of the subject. As an aesthetic phenomenon, we can share the aesthetics of the sublime in that the imagery of Hangul expresses things that cannot be expressed within the category of literacy. This is because the sublime is not the aspect or nature of the object, but the emotion that occurs between the object and the subject. As a result, the Sublime of imagery of Hangul is an emotional movement and aesthetic experienced through objects that are beyond the tradition and rules of literacy, or objects that appear unexpectedly outside of our perceptio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미와 도덕성의 관계 개념으로 본 한글의 디자인적 공공성

        김동빈 ( Kim Dong-bin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3 No.-

        우리 주변은 공공디자인이라는 미명하에 외적인 변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공공성에 대한 문제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우리의 대표적인 디자인이라 할 수 있는 한글에서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본질적인 해답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세종을 디자이너로, 한글을 디자인으로 바라보고 있다. 아울러 한글에 나타나는 디자인적 공공성을 파악하기 위해 칸트 미학에서 논의된 ‘미와 도덕성’의 관계 개념을 중심이론으로 연관 짓고 있다. 그 이유는 디자이너로서 세종이 한글을 디자인하는 모든 과정에서 인간을 가장 중심에 놓고 있으며 칸트는 미의 이상을 인간에서 찾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되는데 첫째, 한글은 보편적 소통의 매개가 됨으로써 디자인적 공공성을 갖는다는 점, 둘째, 한글은 사회화의 계기가 됨으로써 디자인적 공공성을 갖는다는 점, 셋째, 한글은 미의 이상을 실현함으로써 디자인적 공공성을 갖는다는 점 등이다. 디자이너 세종은 한글 디자인의 궁극적 지향을 모든 백성의 보편적 삶의 수준을 끌어 올리는데서 찾고자 했다. 이는 윤리적이고 민주적인 군주로서 취하고 있는 내적 상태를 통해 도덕적 차원에서 미의 이상을 실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디자인은 인간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면서 공적 역할을 수행하기에 공공디자인을 포함해 모든 디자인의 과정에 참여하는 주체들은 겉으로 드러나는 외적 양상을 꾸미거나 바꾸는데 급급할 것이 아니라 디자인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으로써 공공성의 문제에 대해 도덕적인 숙고를 반드시 선행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our surroundings are undergoing external changes in the name of public design, the issue of publicity seems not to be treated as important in the process. This study sought to find an essential answer to the publicness of design in Hangul, which is our representative design. To this end, this study sees Sejong as a designer and Hangul as a design. In addition, in order to grasp the design publicity appearing in Hangul,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Morality’ discussed in Kant aesthetics is related to the central theory. This is because, as a designer, Sejong puts human being at the center of all the process of designing Hangul, and Kant is looking for the ideal of beauty in human be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ngul has a design publicity as a mediator of universal communication. Second, Hangul has a design publicity as an opportunity of socialization. Third, And to have design publicity by realizing the ideal of beauty. Designer Sejong wanted to find the ultimate goal of Hangul design in raising the level of universal life of all people.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state that is taken as an ethical and democratic monarch realizes the ideal of beauty in the moral dimension. Design plays a public role by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ing in human life.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all the design process including public design are not urged to change or change the outer appearance exposed, but because of the influence of design on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ecede moral reflection on the problem of public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