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젤엔진부문] 디젤 엔진의 포트 유동 시험 모사

        김도기(Do Ki Kim),임명택(Myung Taeck Lim),박찬국(Chan-Guk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01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11_1

        Due to the simplicity steady port flow rig tests are routinely conducted during cylinder head development process to assess the in-cylinder air motion which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efficiency, and exhaust emissions of the diesel engines. The flow through the intake port and valves of a cylinder head on the rig is numerically simulated in order to firstly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mputational flow dynamic software before attempting to compute the unsteady flow through a running engine and to appreci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ow in the working engine and the flow through the port flow rig. The simulation is found to closely predict the flow coefficient and swirl numbers at low valve lifts. but to underestimate them at high valve lifts.

      • KCI등재

        교장 자격연수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학 지식 기반의 반성과 과제

        김도기(Kim Do-ki),문영빛(Moon, Young-bit),권순형(Kwon Soon Hyoung),문영진(Moon, Young-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1

        교장은 학교교육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장의 자격은 비교적 장기간의 자격연수를 통해 부여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자격연수에 교육행 정학은 상당한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최근의 교장 자격연수 과목과 내용을 살펴보면, 교육행 정학에 포섭되기 어려운 주제, 그리고 포섭되는 주제이지만 실제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행정 학에서 많이 벗어나는 내용들이 다수 발견된다. 이는 교육행정학에서 다루는 지식들이 현장 과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교육행정학의 적절한 변화가 요구되는 시 점인 것이다. 본 연구는 그간 교육행정학에서 다루어졌던 저서들을 통해 교육행정학의 지식 기반을 밝히 고, 최근 4년간(2012∼2015)의 교장 자격연수 교육 내용들을 지식 기반에 맞춰 분류하였다. 이 를 통해 교육행정학의 교장 자격연수에 대한 기여 정도를 확인하고, 교육행정학이 나아갈 발 전적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내용으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기존 교육행정학 지식 기반의 심화 및 세분화, 둘째, 과거에 다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 내용의 행정(교육과정행정) 영역에서의 교육행정학 지식 기반 발굴 및 심화, 셋째, 학교 경영 의 실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내용 전달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 가기 위해서는 교육행정 연구자들의 노력과 더불어 교육행정가들의 관심과 참여도 동반되어 야 할 것이다. A principal takes an important role in school education. That is the reason that principals take a long period of qualification training and that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national qualification trainings. However, a close look at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shows that the contents of it have little connection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implies that the actual conten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o not satisfy that of education field. This shows the need of proper chang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study analyzes the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books of them, classifies the contents of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during the past four years, identifies how much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and sets a progressive direc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and segmentation of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ime; second, find and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 the administrative part of educational contents (administration of curriculum), which is being neglected recently; and third, improvement of content delivery method for the presence of school administration and problem solving. For this, what matters is the effort and participation of the resear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장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김도기(Kim Do-ki),문영진(Moon, Young-jin),문영빛(Moon, Young-bit),권순형(Kwon Soon H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교장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학교장의 역할 및 직무, 그리고 초등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문헌분석 및 전문가 FGI를 통해 기본 역량 17개와 전문 역량 24개, 총 41개의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현직 교장 및 교감 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는 총 1,15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Borich 요구도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형을 종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 역량에서는 대체적으로 상황과 관련된 역량들이 도출되었으며, 전문 역량에서는 관계와 관련된 역량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교장 대상 결과에서는 경영자로서 실제 직무 수행에 있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역량이 도출된 반면, 교감 대상 결과에서는 예비 교장으로서 학교장에게 바라는 기대역량이 도출되었다. 한편 도출된 역량들을 초등학교의 특성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초등학교의 교장은 리더십 발휘에 있어 관계를 중요시하고 있었다. 이는 초등학교 학교장이 교사에게 교육적 측면에서 보다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장의 직무역량들을 파악함으로써 학교장의 역량 함양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rying to understand the job competencies of elementary principals. For this, it explored the roles, jobs and job competencies of them, and drew 41 job competencies(17 basic and 24 professional competenci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FGI with professionals. For understanding the priority of job competencies, it carried out the online survey targeting the whole incumbent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and the respondents were 1,152.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s, generally the competencies about situations were drawn in basic and the competencies about relationships were drawn in professional. Also, the competencies that were important to the actual performances as an administrator were drawn from the principals' survey, whereas the competencies that were expected as a pre-principal were drawn from the vice-principals' survey. Meanwhile, elementary principals made much of the relationships on their leadership looking at the competencies drawn from the results with the features of an elementary school. This could be analyzed that the principals wield strong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side. This study is a signification that suggests the necessity about developing the competencies through understanding the elementary principals' job competencies.

      • KCI등재후보

        일반고등학교의 교육력 제고 정책 분석

        김도기(Do Ki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0 지방교육경영 Vol.23 No.2

        본 연구는 교육력이 무엇인지 그 개념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통해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일반고 교육력 제고를 위한 정책들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들을 통해 살펴본 교육력은 ‘학습과정에서 학생이 다방면의 역량을 함양하고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수 있는 학교교육의 힘’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교육부를 비롯한 3개의 교육청의 정책들을 살펴보았을 때, 정책적 의미에서의 교육력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살펴본 개념과 유사한 맥락에 있었다. 즉 교육력은 ‘학생이 자신의 진로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제공받음으로써 역량함양과 진로 탐색의 두 목표를 달성하는 학교교육의 힘’이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육력의 정의를 기본방향으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일반고 교육력 제고 정책들이 그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educational power through prior studies and examined the policie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power of general high schools. The educational power seen through prior studies can be said to be the power of school education that allows students to develop and continue to develop various skills in the learning process. Based on this concept, the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ree other offices of education were in a similar context to those of the preceding studies. In other words, education is "the power of school education to achieve two goals of competency improvement and career exploration by providing students with diverse education tailored to their career path." We look forward to achieving the goals of the policie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power of general high schools, which are currently being pursued in the basic direction of the definition of educational power.

      • KCI등재
      • KCI등재

        정부보증 학자금 융자제도의 공평성 분석 - 선발 전(前)단계를 중심으로 -

        김도기(Kim Do K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4 No.2

        본 연구는 2005년 2학기부터 새로 시행된 정부보증 학자금 융자제도의 목적과 현황을 살펴본 후, 기존에 사용된 학자금 융자제도의 공평성 분석틀을 좀더 확장하여 즉, 학자금 융자 대상자 선발 이전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이 공평성을 분석해본 후 향후 제도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고등교육 전체 학생 중 약 10% 정도의 학생은 대출신청조차 불가능하여 공평한 고등교육 기회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고, 대학의 학자금 융자 업무 전담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여 공평한 기준에 의한 선정이 이루어지기 힘들며, 연 7% 정도의 대출 금리는 다른 어떤 정부 지원 대출 제도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어서 대출 신청 자체를 기피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선발 이전 단계에서는 새로운 학자금 융자제도가 공평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출 신청 자격 제한 조건보다는 대출 이후의 유인가 마련을 통해 상환 가능성을 높일 것, 둘째, 각 대학의 학자금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인력을 확충할 것, 셋째, 가계 곤란도, 학자금 필요 정도 등을 고려한 차등적 이자율을 적용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quity of the new student loan program guaranteed by government. To do the right analysis for the new program, supplementary equity criteria especially focused before selecting beneficiaries were developed. Namely, the conditions of application requirements, administrative human resources for selecting and the rate of inter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bout 10% of the total students even couldn't apply the new loan program, 2) administrative human resources of each institution are too few and overloaded to handle all the work, consequently dealing only with the GPA of students and the housing incomes, 3) the rate of interest for the loan is about 7% which is the highest among other lending program by government. This prevent students from applying the new program with free. In sum, the new students loan program guaranteed by Korean government is not satisfying equity sufficiently in the light of the stage before selecting beneficiaries.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원칙의 비판적 검토

        김도기(Kim Do Ki),이정화(Lee Jung hwa)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교직의 특성에 비추어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나타난 실시 원칙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교사들이 하는 일의 특성, 학교 조직의 구조적 특성, 교직 문화의 특성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교직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지난 3년 동안 시범 운영되었던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전문적 성장 지향 평가, 수업에 초점을 둔 평가, 다면 평가, 단위학교의 자율적 운영 등 네 가지 평가 실시 원칙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원칙들이 교직의 특성에 부합하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의 특성상 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지향하는 평가는 적합하며 타당해 보인다. 둘째, 평가의 초점을 수업에 두는 것은 교사가 하는 일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교직의 특성상 교사의 개인적 영역으로 남아있던 수업을 평가의 내용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 있는 일로 여겨졌다. 셋째, 다면평가의 도입으로 객관적일 뿐 아니라 참여적이고 개방적인 교사평가가 가능해 졌지만, 이러한 평가 방식은 교직 문화의 여러 특성들과 배치됨으로 인해 교직 사회에 정착하는 데에 적지 않은 어려움에 봉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평가의 운영과 관련하여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을 하는 사항이 많아짐으로써 학교의 개별적 요구가 평가에 반영되고, 교육활동의 맥락성이 고려되는 평가 운영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교직의 특성에 비추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rinciples of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 were explor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itself, the structural features of school organizations, and the cultural traits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principles were elicited from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follows; professional growth-oriented evaluation system, the teaching-focused evaluation, the adoption of the multi-source evaluation, and the autonomous school-based management of teacher evalu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 of the growth-focused evaluation is quit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Second, the classroom-based evaluation is insufficient in evaluating teacher performances on the whole. However, it is meaningful to evaluate teaching itself which has been left as the private area for teachers. Third, the principle of the multi-source evaluation makes the evaluation more precise and participative. But this attempt in evaluating could be incompatible with som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here might be difficulty in establishing the evaluation system. The principle of the autonomous school-based management is also appropriate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profession despite the negative effect of some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교사 컬리그십 개념 구조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현(Kim, Je Hyun),김도기(Kim, Do Ki),권순형(Kwon, Soon Hyo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3

        이 연구는 컬리그십(colleagueship), 협력(collaboration), 동료의식(collegiality) 등 세 가지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점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세 가지 개념의 차이를 문헌 분석을 통하여 논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사 컬리그십의 개념 구조를 탐색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컬리그십의 개념 구조를 탐색하였다. 컬리그십의 개념 구조는 개념적 요소 차원으로서 전문성(professionalism)과 동료성(collegiality), 과정적 동인 차원으로서 협력(collaboration)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컬리그십 개념은 협력이라는 과정적 요소를 전제하기에, 협력의 질적 및 동기 측면을 고려하여 컬리그십(colleagueship)의 개념적 양상(유형[1] ~ 유형[12])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컬리그십의 개념 구조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컬리그십(teacher colleagueship)의 개념 구조를 탐색하였다. 논리적 추론에 근거하여, 교사 컬리그십의 개념 구조는 개념적 요소로서 교사 전문성과 교사 동료성, 과정적 동인 차원으로서 교사 협력으로 이루어짐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행정에서 교사 컬리그십이 갖는 함의를 개념적, 실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컬리그십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 컬리그십의 개념 및 구성요인에 대한 보다 다차원적이고 다방법적인 면밀한 탐색이 필요하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oblem of the fact that three concepts are used interchangeably: colleagueship, collaboration, and collegi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se three concept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demonstration, and to explore the concept of teacher collegia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e explored the conceptual structure of colleagueship. It was found to be composed of professionalism, collegiality, and collaboration as the core elements of the conceptual structure of colleagueship. In addition, since the concept of colleagueship presupposes the process factor of collaboration, the conceptual aspect of colleagueship [ Type [1] ~ Type [12] ] was additionally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quality and motivation of collaboration. Next, we explored the concept structure of teacher colleagueship based on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concept structure of colleagueship. Based on logical reasoning, it was found to be composed of teacher professionalism, teacher collegiality as a conceptual factor, and teacher collaboration as a process factor on the concept of teacher colleagueship structure. Lastly, we presented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colleagueship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erms of conceptual and practical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clear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teacher colleagueship. Second, a more detailed exploration of the concept and composition of teacher colleagueship is needed.

      • KCI등재

        교원 다면평가 시범운영의 효과와 기대 분석

        이경(Kim Ee-gyeong),갑성(Kim Gap-sung),김도기(Kim Do-ki),순남(Kim Soon-nam)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2

        새로운 교원평가제 도입과 같이 고도의 범국민적 관심과 파장을 수반하는 교육 개혁안의 경우, 변화에 대한 두려움이나 이해의 부족 등으로 갈등과 공방을 수반하게 마련이다. 따라서 전면 도입에 앞서 시범학교를 지정, 운영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혁안을 수정, 보완하는 참여지향적, 문제해결적 접근법을 채택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개혁안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향후 제도의 성공적 정착과 확산을 담보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목적으로 구안된 새로운 다면평가형 교원평가제 시범운영의 효과와 교육공동체의 기대를 분석하고자 교원평가 1차 시범학교로 지정된 전국 48개 초·중·고등학교의 교원, 학부모, 학생 등 총1,560명을 대상으로 연구진이 개발한 설문 도구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교원평가 시범운영으로 인하여 교육공동체의 교원평가에 대한 이해도와 교사의 수업 활동에 대한 이해도, 그리고 교육 주체 간의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원의 이해도 증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원평가의 두 모형 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교원평가가 학생의 성적 향상, 수업 개선, 학교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는 전반적으로 높았고, 특히 학부모의 기대치가 높았다. 이러한 분석에 터하여 교원평가 시범운영 확대 및 효과 증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중심으로 제언을 하였다. Educational reform proposals such as teacher evaluation often become the source of conflict among major stakeholder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pilot operations would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the changes, and thereb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uture succe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oriented and problem-finding approache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ose who are impacted,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designat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run the newly proposed teacher evaluation meas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ilot operation of new teacher evaluation as well as expectations towards it of the major stakeho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piloting.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 total of 1,469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 team, in which they were asked to rate the degree of agreement on six major factors.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ree groups on the nature of new system of teacher evaluation were quite high, while teachers marked the highest. However,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wo types of evaluation models. Regarding the expectations of the stakeholders towards the teacher evaluation, parents revealed the highest. It is generally supported that the pilot operations would reduce the resistance towards the newly proposed reform measures. Based on the findings, a few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improve and extend the pilot school operation for teacher evaluation.

      • KCI등재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지선(Kim Ji Sun),김도기(Kim Do Ki),권순형(Kwon Soon Hyoung),윤소희(Yoon So Hee),문영빛(Moon Young Bit)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효능감 제고를 위한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바람직한 운영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경기교육종단연구 5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한 교사 855명의 설문조사 결과이다. 분석 방법은 Enter 방식을 활용한 위계적회귀분석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도움 정도는 수업지도효능감에만 정적 영향을 미쳤고, 운영 개수와 운영 시간은 교사효능감과 그 하위요소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독립변수의 설명력은 교사효능감의 경우 0.3%, 수업지도효능감의 경우 0.6%, 생활지도효능감의 경우 0.1%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교직경력, 연수도움정도, 교사협력정도,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의사결정권한은 교사효능감과 그 하위요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인 이들의 설명력은 교사효능감의 경우 14.7%, 수업지도효능감의 경우 13.4%, 생활지도효능감의 경우 12.0%이었다. 본 연구에 터해 교사효능감을 높이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분명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협력에 기반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는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들의 의사결정권한에 의해 운영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TLC) in school on teacher efficacy and to find out the desirable management plan for running TLC in school to enhance teacher efficacy. The data was from GEPS 2016(5th year, 855 teachers) and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using Enter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rceived help degree of TLC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instructional efficacy, but the number of TLC and the number of times of running TLC in school are not affected. Secondly, teachers education career, the perceived help degree from teacher training, teacher cooperation and the school principal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efficacy and sub-factors(instructional efficacy & student guidance efficacy). And decisional power of teachers has a positive effect only on student guidance efficacy. Based on these, suggestions for enhancing teacher efficacy are as follows. First, TLC should provide substantial help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ism. Second, TLC should be operated on the basis of voluntary cooperation of teachers. Third, TLC needs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decisional power of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