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양에서 분리된 Chitin 분해성 Pseudomonas acidovorans KM-3의 분리 및 특성

        이찬용(Chan-Yong Lee), 김광엽(Kwang-Yup Kim) 대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8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Vol.3 No.-

        For the production of potent chitinolytic enzyme from bacteria. screening was carried out. Of 100 samples from soil of Kyung-gi and Chung-cheong area. 7 strains of chitinolytic bacteria were isolated. Among them KM-3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acidovorans KM-3 which showed the higher chitinolytic activity than others. Culture conditions of Pseudomonas acidovorans KM-3 for the production of chitinolytic enzyme were inverstigated and the enzyme was partially purified by the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Maximum production of chitinolytic enzyme was obtained at pH 7.0 and 30℃ with chitin concentration between 0.2% and 1.0%. Conditions for the enzyme production were optimized using Jar-fermentor. Maximum enzyme activity was shown as 4.25 units/ml at the 24hours cultivation. Optimum temperature and pH of crude enzyme was 40℃ and pH 7.0. respectively. It could be applied to waste-treatment for the chitinous substrate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구노트 : 무 절임 제조 시 천일염과 스타터 첨가에 따른 품질특성 비교

        나종민 ( Na Jong Min ),김영섭 ( Yong Xie Jin ),김세나 ( Se Na Kim ),김정봉 ( Jung Bong Kim ),조영숙 ( Young Suk Cho ),김광엽 ( Kwang Yup Kim ),김행란 ( Haeng Ryan Kim ),김소영 ( So Young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6

        본 연구는 국내산 천일염(장판염, 토판염)의 성분 비교와 이를 이용하여 무 절임을 제조할때 첨가한 스타터와 함께 발효기간 동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소금간의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차이를 보였지만 회분함량은 그룹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생산시기가 동일한 점을 고려할 때천일염 생산방식에 따른 차이라고 판단된다. 이들의 무기성분 함량은 소금의 주성분인Na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a, K 그리고 Mg 함량은 장판염이 높게 측정된 반면, Fe 그리고 Zn 함량은 토판염이 높게 측정되었지만, Ca 함량을 제외하고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천일염의 당도 측정 결과 10.70 Brix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어떤 종류의 당으로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정성분석 연구가 요구된다. 무 절임 중 천일염과 스타터 첨가에 의한 발효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스타터를 첨가한 그룹이 스타터를 첨가하지 않은 그룹보다 활발하게 유리당, 유기산 등 2차 대사산물을 생성하여, 우점종으로서 초기 미생물조절에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실험에 사용된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 균주의 스타터 첨가가 발효과정 중 미생물 균총 변화에 큰 영향을 주므로, 발효식품 제조 시 초기미생물 조절자로서의 명확한 역할 구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use of a starter on radish soaked at 4℃ for 28 days using two kinds of domestic sun-dried salt (white and gray salt) were determined. As a result,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radish soaked with white and gray salt were 7.93 and 4.50%, respectively. The salinity levels were found to be equal (90%).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mineral contents of the salts therein (37812.41±1922.95 and 39755.13±1205.70 mg/100 g, respectively). However, iron and zinc contents of gray salt were higher than those of white salt while the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cont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white salt. After the addition of the starter, the sugar content increased, the pH decreased, and the total acidity rapid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non-starter group during fermentation. The total microorganism count of the two groups increas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of 28 days. From the initial fermentation for 7 days, the lactic acid bacteria in the non-starter group increased while those in the leuconostoc starter group steadily increased within the whole fermentation period. The Leuconostoc spp. in non-starter group increased, but that in the starter group decreased to pH 4.0 on day 14.

      • SCOPUSKCI등재

        Listeria monocytogenes 신속 검출을 위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의 개발

        최진길(Jin-Gil Choi),심원보(Won-Bo Shim),제정현(Jung-Hyun Je),김지영(Ji-Young Kim),이규호(Kyu-Ho Lee),김민곤(Min-Gon Kim),하상도(Sang-Do Ha),김근성(Keun-Sung Kim),김광엽(Kwang-Yup Kim),김철호(Cheol-Ho Kim),정덕화(Duck-Hwa Chung)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에서는 L. monocytogenes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L. monocytogenes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FKLM-3B12-37)를 개발하여 직경 40㎚로 제작된 colloidal gold와 합성한 후 conjugate pad에 처리하였고 nitrocellulose membrane 상의 test line과 control line에 단크론성 항체와 anti-mouse IgG를 각각 처리하여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의 검출한계는 10? cell/㎖ 수준까지 검출이 가능했으며 다른 식중독 세균과는 교차 반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으로 오염시킨 식품시료의 경우 증균과정 없이 10⁴ cel1/25 g까지 바로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24시간의 증균과정을 거친 후에는 10⁴ cel1/25 g까지 검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은 24시간의 증균 만으로 식품에 오염되어있는 L. monocytogenes를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고, 기존의 식중독균 진단방법에 비해 신속하고 간편하게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immunochromatography (ICG) for the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Here, monoclonal antibodies (MAb) were conjugated with 40 ㎚ colloidal gold particles, where the conjugate was used as the detection reagent in the ICG. The ICG was composed of three pads (sample, conjugate, and absorbance pads) and one nitrocellulose membrane. The colloidal gold-MAb conjugate was applied to the conjugate pad, and the test line and control line on the membrane were treated with MAb (FKLM-3B12-37) and anti-mouse IgG, respectively. The detection limit of the ICG was 10? cell/㎖ and it showed no cross-reaction to food borne pathogens. We inoculated meat and lettuce samples with various counts of L. monocytogenes, and analyzed them by ICG. All the inoculated meat samples gave positive results after enrichment for 24 h in LE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CG was able to serve as a primary screening tool for L. monocytogenes in various foods and agricultural products within 20 min after enrichment.

      • SCOPUSKCI등재

        유화제를 이용한 계육 표면에서 Campylobacter jejuni의 부착 제어

        오도건,김광엽,Oh, Do Geon,Kim, Kwang Yup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6

        본 연구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균인 C. jejuni의 주 감염원인 계육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된 식품첨가물 중 유화제를 이용하여 계육에서 C. jejuni의 부착을 제어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8종의 유화제를 200 mg/mL의 농도에서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로 C. jejuni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등 4종의 유화제에서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를 25, 50, 100, 200 m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농도가 작아질수록 생육억제환의 크기도 줄어들었으며, 유화제 중 L-1695 샘플이 200 mg/mL에서 가장 큰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pH 및 열에 대해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pH 및 열에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다른 유화제 L-7D,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샘플과 비교하였을때 L-1695 샘플이 1.56 mg/mL에서 가장 좋은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냈다. 최소살균 효과는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접촉표면의 부착제어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stainless steel과 ceramic에서 실험한 결과, 두 접촉 표면 모두에서 L-1695 샘플 처리 시 가장 적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앞선 실험의 종합적인 결과에 따라 L-1695 유화제를 최종적으로 선별하고, 계육 피부에 부착된 C. jejuni에 영향을 주는지 CLSM으로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conventional spray 및 electrostatic spray를 처리하였을 때 모공에 부착된 균이 대다 수 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균수를 확인해 본 결과 conventional spray와 electrostatic spray 처리 시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C. jejuni KCTC 5327에 대하여 L-1695 유화제는 생육을 억제시키지만, 살균효과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L-1695 유화제는 식품접촉표면에서 캠필로박터균의 부착을 저해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계육 피부에 인위접종된 C. jejuni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볼 때, 실제 도계공정에서 세척수에 포함시켜 C. jejuni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prevent contamination by Campylobacter jejuni during chicken carcass processing, the effect of emulsifiers on C. jejuni inoculated on chicken skin was investigated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Among the 8 emulsifiers (SWA-10D, L-7D, M-7D, S-1670, L-1695, P-1670,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by the paper disk method, 4 emulsifiers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were screened further. Emulsifier L-1695 showed the largest clear zone at a concentration of 200 mg/mL. The 4 emulsifiers subjected to primary screening were screened for heat and pH stability. In the contact surface test, emulsifier L-1695 showed the lowest log CFU/㎠ value on both stainless steel and ceramic surfaces. When emulsifier L-1695 was applied via general and electrostatic spray methods, the number of C. jejuni entrapped inside chicken skin follicle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methods. In conclusion, the emulsifier L-1695 could be employed as a microbial detachment agent in the chicken carcass processing industry.

      • KCI등재

        몇 가지 식품의 이화학적 특성 및 균증식 억제에 대한 점토광물 처리의 영향

        정옥진,우관식,김광엽,이희붕,정헌상,Jeong, Ok-Jin,Woo, Koan-Sik,Kim, Kwang-Yup,Lee, Hee-Bong,Jeong, Heon-Sang 한국식품과학회 200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7 No.1

        국내산 점토광물들의 식품 잠재적 가치를 알아보고, 그 활용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점토광물에 대한 항산화성, 항균성, 물성에 대한 영향, 고미취 흡착능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 공여능에 의한 항산화력 측정 결과 bentonite가 20.6%로 가장 우수하였다. 과산화물가에 의한 항산화력 측정결과 저장 7일째의 POV가는 control 310 meq/kg이었으며, vermiculite가 100 meq/kg로 가장 우수한 산패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고, TBA가에 의한 항산화력은 zeolite가 가장 우수하였다. 향균활성 측정결과 illite, vermiculite, zeolite를 첨가한 배지에서 E. coli, .S. aureus의 균주에 대해 증식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식 속도가 지연되었다. 응력완화와 파손강도 측정으로부터 각 점토광물은 무의 조직과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의 취반시 kaolin, vermiculite를 첨가하였을 때 pentanol, hexanal, nonanal, linoleate, stearic acid, oleic acid 등 고미취의 원인이 되는 대부분 화합물의 peak area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산 여러 점토광물은 항산화력 및 유지 산패 지연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향균활성 및 물성 변화 억제 그리고 고미취의 원인이 되는 여러 화합물들을 흡착하는 등 여러 가지 각종 부수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potential characteristics of clay minerals (illite, kaolin, zeolite, vermiculite, and bentonite) for food industry application, antioxidative properties of clay minerals,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bituric acid (TBA) were measured,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were evaluated by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method. Changes in components by cooking clay minerals added to stored rice were measured by GC-MS.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alysis results revealed bentonite has strongest EDA at 20.6%. Antioxidant activities measured based on POV were similar to DPPH results. Induction period of linoleic acid with vermiculite was longest among. TBA results revealed zeolite hasstrongest antioxidant ability. Growth inhibition against E. coli and S. aureuswas observed in illite, vermiculite, and zeolite. Aroma components indicated decrease in hex anal, pent anal, non anal, linoleate, stearic acid, and oleic acid when clay minerals were added to stored ri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veral clay minerals hav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bilities and improve flavor profiles in stored rice.

      • SCOPUSKCI등재

        저분자 해양성 콜라겐과 γ-Aminobutyric Acid 생성 Lactobacillus brevis CFM20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캡슐의 제조 및 특성

        김선영,오도건,김광엽,Kim, Sun-Yeong,Oh, Do-Geon,Kim, Kwang-Yup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7

        본 연구는 저분자 해양성 콜라겐과 GABA 생성 L. brevis CFM20의 섭취 시 다양한 인체 장내 조건에 의한 유산균의 사멸과 콜라겐의 분해를 최소화하고자 진행되었다. 유산균과 저분자 해양성 콜라겐의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alginate와 chitosan을 이용하여 이중코팅캡슐을 제조하였다. L. brevis CFM20의 온도별 생육특성을 분석하여 캡슐화에 유리한 배양온도를 조사한 결과 $37^{\circ}C$에서 배양한 균의 대수기가 가장 빠르고 GABA양 또한 $400{\mu}g/m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생육속도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Calcium-alginate bead 법으로 캡슐을 제조한 결과 1~2 mm 사이의 일정한 구형의 캡슐을 제조하였으며, chitosan을 이용하여 이중코팅캡슐을 제조한 결과 캡슐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외형적으로도 더욱 단단해짐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이중코팅캡슐을 CLSM과 S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chitosan 코팅을 한 이중코팅캡슐의 표면이 alginate와의 가교결합에 의해 더욱 치밀해짐을 확인하였다. 체내 위와 장내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이중코팅캡슐의 L. brevis CFM 20 생균수를 분석한 결과 캡슐화한 경우 균의 감소가 더디어 더 안정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중코팅캡슐을 체내 위와 장내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GABA와 hydroxyproline의 용출량을 분석한 결과 두 경우 모두 위 조건에서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장내 조건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동물실험 결과 콜라겐 섭취군이 비섭취군에 비해 체중증가량, 혈청 지질 농도 등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고, 혈액 내 hydroxyproline 함량, 진피의 피부조직 밀도가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중코팅캡슐을 섭취하는 경우 위에서는 안정한 상태였다가 장에 도달한 후 붕해됨으로 인하여, 유산균, GABA, 콜라겐 및 키토산의 작용으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capsulate low molecular weight marine collagen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to inhibit degradation and improve survival rate during exposure to adverse condition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Calcium-alginate method was used for the manufacture of a double-layered coated capsule. The inner core material was composed of collagen and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coating materials were alginate and chitosa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double-coated capsule were affected mainly by centrifuge speed and pH. Manufactured capsules wer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o confirm the micromorphological changes of capsules and bacterial cells. As a result, double-layered coated capsules were not degraded at pH 1.2, whereas degradation occurred at pH 7.4. In addition, GABA and collagen were maintained in stable state at pH 1.2. Therefore, double-layered coated capsules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not be degraded in the stomach and could be stably delivered to the small intestine to benefit intestinal and dermatic health.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