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치국론(治國論)과 의미 -상소문(上疏文)을 중심으로-

        김강식 ( Kim Kang-sik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조선중기의 성리학 체계화 과정에서 사상에서는 의리와 실천을 강조하고, 정치에서는 현실의 모순에 대해 타협을 거부하며 적극적인 개혁을 주장한 南冥 曺植은 비판적 지식인이자 전형적인 處士였다. 이에 16세기의 현실 모순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현실정치에 대한 개혁책이 적극적으로 담겨 있는 남명의 4차례의 上疏를 토대로 남명의 정치 현실에 대한 治國論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남명의 치국론을 정치의 영역을 크게 지방정치와 중앙정치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남명의 치국론의 중요성은 지방정치에서 찾을 수 있다. 남명은 현실 정치에 나아가지 않았지만, 16세기의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자신이 거주하던 지역사회의 안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재지사족이 향촌통제책을 행사할 수 있는 향촌자치론이 남명에게도 필요하였다. 남명의 문인들에 의해서 일어났던 毁家黜鄕은 이런 모습을 보여준다. 아울러 재지 지주였던 양반의 입장에서 농경지의 경작을 위한 농민 계층의 안정이 필요하였는데, 이것은 조세제도의 공정성을 유지하고 부정을 방지하여 향민의 안정을 꾀해야 한다는 향민보호론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명은 조선중기의 절대군주제를 인정하고 君臣共治를 통해서 중앙의 정치가 안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남명은 먼저 군주의 수신과 덕치를 이상으로 하는 성학군주론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군주의 정치가 원활하게 집행되기 위해서 수령과 향리의 엄정한 선택과 부정·비리를 막을 수 있는 장치가 작동할 수 있는 행정체계론을 지지하였는데, 특히 인재의 등용을 중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남명의 치국론은 지방과 중앙 정치의 영역에 맞게 주장되었다. 먼저 중앙정치에서는 위정자의 올바른 처신과 역할, 위정자의 수신과 솔선수범, 위정자와 신료들과의 소통의 중요성, 제도 시행의 엄정성, 국방의 자위성 확보와 주체적인 외교 문제였다. 지방정치에서는 향촌자치, 목민관의 솔선수범, 백성의 민생 안정, 관료의 부정부패와 비리 척결, 상하의 소통문제였다. 남명은 시대정신에 따라 만들어진 정치형태를 부정과 편법을 통해 왜곡시키지 않고 올바른 방향으로 시행해 나가는 것이 현실 개혁의 방향이라고 보았다. Confusion scholar culture emerged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which was at ransition period for this new social system. The political and social mainstream considered rule by Neo-Confucianism to be ideal and suggested measures for its practice. Nammyeong Jo Sik(1501~1572) lived in a time of faction politics and purge of scholars during which Neo-Confucian political order was being established. Although Nammyeong Jo Sik did not enter political reality, he did not turn away from realistic politics (realpolitik). He was an active reality reformer, which was evident by his four public appeals for the reform of realistic politics. Nammyeong claimed through his appeals that fundamental adaptations to circumstances, rather than temporary stopgap measures were necessary for the reform of reality.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in central politics emphasized political initiatives,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exactness in implementation of policies, securing autonomy in self-defense, and independent diplomacy. In regional politics, he emphasized regional autonomy, the leading by example of governors, security of the livelihood of commoners, eradication of corruption of bureaucrat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ranks.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transcends time as it still carries importance today.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can be divided into the local politics and central politics.

      • KCI우수등재

        가축에 대한 볏짚사료이용 증진에 관한 연구 제4보 볏짚의 소화율을 지배하는 구조 탄수화물의 영향

        김강식,아부량,굴정청,구강훤일 ( Kang Sik Kim,Akira Abe,Satoshi Horii,Kenichi Kameoka ) 한국축산학회 1976 한국축산학회지 Vol.18 No.3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suppressing the digestibility of rice straw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searching the effects influencing the digestibility of structural carbohydrates in roughages. Employing Italian ryegrass, oat hay, rice straw and alkali treated rice straw as basic materials for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 vivo digestion trial by goat, in vitro digestion study by unification of the nitrogen level, and the hydrolysis experiment with 5% sulfate solution were conducted.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crystalization rates of hexosan in experimental materials by dilute acid hydrolysis were very high, those in rice straw, Italian ryegrass and oat hays were similar each other and that is alkali-treated rice straw showed 6% more than those in the others. 2. The relationship between crystalization rate of hexosan (X) and L-cellulose content in structural carbohydrates (Y) showed the equation of X=1.365Y. 3. The crystalization rate by dilute acid hydrolysis, L-cellulose contents, and the other factors as the polymerization quality of structural carbohydrates did not affect the digestibility of roughages, however it was considered that those influenced the initial reaction rate. 4. The content of L-cellulose in rice straw was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hays. Especially the content of L-cellulose in alkali-treated rice straw was higher by nearly 7% than those in the others. 5. The high correlationship between in vivo NDF digestibility and NDF-lignin content in material and between the former and NDF-lignin+NDF-ash remained were recognized.

      • KCI등재

        독일 노사관계 모델의 변화

        김강식 ( Kang-sik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8 질서경제저널 Vol.21 No.1

        본 연구는 독일 노사관계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고 전통적 독일 노사관계 모델이 현재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독일 노사관계 모델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검토하고, 이어서 ‘독일 노동시장 및 직업연구를 위한 연구소(IAB)’의 사업장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독일 노사관계 모델은 많은 연구자들이 독일 노사관계의 핵심적인 두 기둥으로 주장해 왔었던 단체교섭/단체협약과 경영참가/직장협의회(Betriebsrat)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독일 노사관계의 두 기둥인 단체협약의 적용과 직장협의회를 통한 근로자대표제도가 공공 부문을 제외한 전부문에서 전반적으로 크게 약화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단체협약 미적용 기업들 중 많은 수가 소속 산업에서 체결된 단체협약의 내용에 의거해서 자체적으로 임금과 근로조건을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법으로 규정된 직장협의회 대신 이와 상이한 다양한 유형의 근로자 대표제도가 다수 기업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독일의 전통적 노사관계 제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공식화 정도가 낮고, 또 영향력이 약한 제도들이 기업에 확산되어 왔으며, 이러한 현상은 독일 노사관계 모델의 전반적 침식을 야기해온 것으로 보인다. 단체 협약과 직장협의회 둘 다 존재하는 전통적 독일 노사관계 모델은 주로 대기업, 오래된 기업들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으며, 반면 소유경영 기업, 단일 기업, 외국인 소유 기업, 개인 기업, 파트너쉽 기업, 수출기업에서는 전통적 독일 노사관계 모델, 즉 단체협약과 직장협의회를 찾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현재 독일 기업의 60% 이상이 단체협약에 직접 적용 되지도 않고, 또 그렇다고 해서 간접적으로 단체협약 내용을 따르지도 않고 있으며, 또한 직장협의회 등의 어떠한 유형의 근로자대표제도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규모 기업, 서비스업종 기업, 동독지역 소재 기업들의 대부분에서는 전통적 독일 노사관계 모델의 주요 제도적 특성들이 사라져 버린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paper describes changes in the two main pillars of the German model of industrial relations over the last 20 years. It shows that collective bargaining coverage and worker representation via works councils have largely outside the public sector. Less formalized and weaker institutions such as voluntary orientation of uncovered establishments towards sectoral agreements and alternative forms of employee representation at the workplace have partly attenuated the overall erosion in coverage. Multivariate analyses indicate that the traditional German industrial relations model (with both collective agreements and works council presence) is more likely to be found in larger and older firms, and it is less likely in firms managed by the owner, in single and foreign-owned firms, in individually-owned firms or partnerships, and in exporting firms. In contrast, more than 60 percent of German firms did not exhibit bargaining coverage or orientation or any kind of worker representation in 2015. Such a complete absence of the main institutional features of the German industrial relations model is predominantly found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 particular in the service sector and in eastern Germany, and its extent is increasing dramatically.

      • KCI등재

        사회적 대화의 주요 이슈

        김강식 ( Kang-sik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2 질서경제저널 Vol.15 No.1

        우리나라의 사회적 대화는 1987년 이후 정치ㆍ사회적 민주화과정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길게는 25년, 가까이는 1996년 발족된 노사관계개혁위원회, 그리고 1998년 노사정위원회의 활동 이래 현재까지 15년에 이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사회적 대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사회적 대화의 성과에 대한 상이한 평가가 존재해 왔다. 즉, 비판론과 옹호론이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현실은 대화와 타협의 문화 그리고 민주적 토론의 토양이 일천한 우리 사회에서 그만큼 사회적 대화체제에 대한 기대와 함께 현실적 도전요인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대화의 성과는 그동안 결과 중심, 가시적 양적성과 중심, 단기적 성과 중심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는 사회적 대화의 다양한 성과 차원 중 일부 측면에만 치우친 불균형적 성과평가라 할 수 있다. 사회적 대화의 종합적ㆍ균형적 성과평가를 위하여 기존의 성과평가에서 특히 중시되었던 합의 이외의 사회적 대화의 다른 모든 활동들도 성과의 한 부분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대화의 종합적ㆍ균형적 성과평가를 위한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사회적 대화의 결과 및 과정의 균형평가, 유형성과 및 무형성과의 균형 평가, 단기성과 및 장기성과의 균형 평가, 내부고객 및 외부고객의 균형 평가, 전략적 평가. This paper analyzed major issues of social dialogue in Korea. Social dialogue in Korea has been developed gradually through the process of political and social democratization since 1987. Nevertheless there has been controversial evaluations about the performance and contributions of social dialogue. That is, critics against social dialogue and advocates for social dialogue have coexisted. This phenomenon means that both expectations and challenges about social dialogue are big in Korean society that has yet not enough experiences of dialogue, compromise and discussion. Meanwhile in the tripartite commission the important discussion themes did not reach in many cases to agreement in spite of numerous meetings and discussions. Along with it, in many cases even the agreed themes have not been carried on. The insufficiency of visibl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has contributed to the negative evaluation of social dialogue. The performance of social dialogue has been evaluated until now result-oriented, visible quantitative performance-oriented and short time-oriented. For the total and balanced performance evaluation of social dialogue all other activities of social dialogue besides until now serious considered agreement should be recognized as a part of performance of social dialogue. The conditions of total and balanced performance evaluation of social dialogue can be suggested as follows; balanced evaluation of results and processes, balanced evalu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performance, balanced evaluation of short time and long time performance, balanced evalu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ustomers.

      • KCI등재

        근로시간면제제도의 실태와 과제

        김강식 ( Kang-sik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20 질서경제저널 Vol.23 No.4

        근로시간면제제도 시행에 따라 대부분의 기업에서 근로시간면제자라는 법적 지위가 새롭게 탄생하였고, 그간 관행이었던 노조전임자 급여 지급은 중단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시간면제제도 도입 이후 10년이 지난 현재 실증분석을 통해 이 제도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조사결과 기업들은 근로시간면제제도에 대해 전체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현재의 면제한도는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상의 면제한도 외에 단체협약으로 추가 유급 시간을 보장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 외에도 다음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먼저 제도적 문제점으로 근로시간면제제도는 노사관계의 자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노사갈등을 유발하기도 하며, 또 면제한도의 적정성 여부에도 문제가 있다. 또 근로시간면제자 적용기준의 문제가 있는데 구체적으로 노동조합 규모변경에 따른 면제한도 변경의 문제, 타임오프 배분의 문제, 조합원 이중가입 관련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근로시간면제 대상 업무의 문제, 근로시간면제 한도를 초과한 금액의 급여지급 문제가 있다.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근로시간면제한도 외 단체협약에서 보장하는 추가 유급시간의 문제, 근로시간면제 대상 업무가 아닌 다른 업무에 시간을 사용하는 문제, 근로시간면제시간의 사용이 관리되지 않는 문제 등이 있다. 근로시간면제제도의 개선방안으로 근로시간면제 한도의 합리적 조정, 근로시간면제 대상 업무 범위의 명확화, 근로시간 사용방법의 제도화, 근로시간면제제도 관련 노조의 부당노동행위제도 도입, 근로시간면제제도 관리체계의 법제화를 들 수 있다.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time-off(working time exemption) system, the legal status of time-off employer was newly born in most companies, and the payment of wages for full-time union workers, which was a practice so far, was stopped.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time-off system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targeting current companies, 10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time-off system. Companies are generally positively evaluating the time-off system. Most companies assessed that the current exemption hours limit is sufficient, and nonetheless, the collective agreement guarantees additional hours beyond the exemption hours. However, the time-off system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of all, as an institutional problem, the time-off system can negatively affect the autonomy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induce labor-management conflict, and also have problems with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emption hours limit.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of the standards for applying exemption from working hours. Specifically, there is a problem of changing the exemption hours limi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union, the problem of allocating time-offs, and the problem of multiple membership. In addition to this, there are problems with the work subject to the time-off system and the payment of wages in excess of the working hours exemption limit. Due to the operational problems of the time-off system, the problem of additional exemption hours guaranteed by collective agreements other than the time-off limit, the problem of using time for work other than those subject to time-off, and the use of off-time is not managed. As a measure to improve the time-off system, rational adjustment of the time-off limit, clarification of the scope of work subject to time-of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method of using working hours, introduction of unfair labor practices system of unions related to the time-off system, and the legalization of management of the time-off system can b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개인성과의 관점에 대한 이론적 검토

        김강식 ( Kang-sik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0 질서경제저널 Vol.13 No.2

        개인성과는 성과행위 당사자뿐만 아니라 개인이 일하고 있는 조직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개인성과는 행동 측면의 성과와 결과 측면의 성과로 구성되며 다차원적이고 동태적인 개념이다. 이 논문은 성과의 관점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검토하고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과 관련 이론연구의 검토 결과 성과는 다음의 세 가지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째, 성과 차이의 원천으로서 개인 특성에 초점을 둔 개인차 관점, 둘째 성과의 지원 및 자극으로서의 상황 측면에 초점을 둔 상황 관점, 셋째 성과과정에 초점을 둔 성과통제 관점. 본 연구에서는 이들 관점 각각에 대해서 그 내용을 정리하고 관점들간 상호 비교를 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조직내 직무의 변화가 성과 컨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오늘날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변화, 지속적 학습 및 인적자원개발, 주도성의 중시, 팀작업의 증대, 기술진보, 세계화 등이 성과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과연구의 향후 과제를 검토하였다.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research on individual performance. Individual performance is highly important for an organization as a whole and for the individuals working in it. Performance comprises both a behavioral and an outcome aspect. It is a multi- dimensional and dynamic concept. This paper presents three perspectives on performance: an individual differences perspective with a focu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sources for variation in performance; a situational perspective with a focus on situational aspects as facilitators and impediments for performance; and a performance regulation perspective with a focus on the performance process. The paper describes how current changes in the nature of work such as the focus on continuous learning and proactivity, increase in team work, improved technology, and trends toward globalization have an impact on the performance concept and future performance research.

      • KCI등재

        조선후기에 해항도시 부산에서의 문화교섭 양상

        김강식(Kim, Kang-Sik)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6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4

        조선후기에 해항도시 부산에 있었던 초량왜관은 조선 내에 존재한 유일한 일본인 거주공간이자, 동북아시아 최대의 외국인 거주공간이었다. 때문에 500명 내외의 일본인이 상시 거주했던 초량왜관은 대표적인 문화 접촉지대였던 해항도시 속의 경계지대였다. 이에 초량왜관에서는 조선과 일본은 문화교류와 접촉이 제한적인 각종의 조처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조선후기에 초량왜관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의 문화교류와 접촉은 양국인의 접촉 과정에서 나타났는데, 정상적인 경우와 불법적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일반인의 경우 朝市참여, 왜관 작업 참여, 密貿易, 欄出, 交姦등을 통해서 일본인과 접촉하면서 다양한 일본 문화를 접촉하고 수용해 나갔다. 그리고 초량왜관에서의 문화접변과 혼종화는 이국문화의 수용 단계 이후 지역사회를 거쳐서 전국으로 전파되어 나갈 수 있었다. 초량왜관에서 문화교류와 접촉을 통한 문화접변과 혼종화 양상은 중앙 정부의 입장에서는 불법, 탈법, 범법의 행위였지만, 초량 왜관과 주변의 공간에서는 자연스럽게 다양한 방법으로 지속되었다. 특히 음식문화와 생활문화는 조선과 일본에 많은 영향과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때문에 초량왜관은 조선인과 일본인이 각자의 문화를 전달하고 수용하여 문화접변이 진행되었던 동북아시아 최대의 경계지대이자, 문화 혼종화가 진행된 상생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Located in Busan, the seaport city, Choryang Waegwan was the only Japanese residential are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ut also an expatriate residential area, the largest one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Choryang Waegwan, was ‘an open stage in a closed space’. The official contact between Joseon and Japanese citizens happened in Choryang Waegwan through open market trading, receptions for diplomats, banquets and participation in works such as repairing the Waegwan. The cultural hybrid and embracing of foreign cultures occurred in Choryang Waegwan spread beyond the local society, out across the country. From central government’s perspective, it was illegal, evasions of law and criminal activities, but diverse contacts and exchanges naturally occurred in Choryang Waegwan and its neighboring areas. Given all of that, Choryang Waegwan served as the largest venue of co-existence in Northeast Asia, where cultural exchanges and adaptations between Japan and Joseon occurred, creating a cultural hybrid.

      • KCI등재
      • KCI등재

        李邦翼 『漂海錄』 속의 漂流民과 海域 세계

        김강식(Kim, Kang-Sik) 효원사학회 2019 역사와 세계 Vol.- No.55

        조선후기에 청나라의 福建省 澎湖島에 표류했다가 돌아와서 『漂海錄』을 남긴 李邦翼의 가문은 星州李氏로 제주도에 세거해 온 武人 가문이다. 이방익은 충장장으로 있을 때인 1796년 9월 제주 앞바다에서 풍랑을 만나 표류하여 청나라의 복건성 팽호도에 표착하여 臺灣·廈門·浙江·江南·北京·義州를 거쳐 1797년 윤6월 20일에 한성에 도착하였다. 그는 국문으로 「漂海歌」를 지었으며, 『漂海錄』을 남겼다. 현재 이들 기록과 관련되는 다양한 자료들이 남아 있다. 이방익 일행은 복건성 팽호도에 표착한 이후 청나라에서 問情을 받은 후 인도적인 구호조처를 받으면서 북경으로 이송되었다. 이 과정에서 현지인들과 접촉하면서 청나라의 이국문화를 접할 수 있었다. 대화는 이방익이 한자를 알고 있어서 가능했는데, 그는 귀국 후에 正祖의 관심으로 그동안 기록해 두었던 자료를 토대로 표류 과정을 기록으로 남겼다. 이방익이 표류한 해역은 제주에서 臺灣에 이르는 동아시아해역이었는데, 그의 일행은 대만을 거쳐 복건성 하문으로 건너가 청나라에 상륙하였다. 이후 청나라의 대륙을 거쳐 北京에 도착하여 머물다가 의주를 거쳐 귀국할 수 있었다. 이방익은 귀국 과정에 의주에서 받은 심문에서 표류 과정에 대해서 진술하였으며, 이때 소지품도 검열당하였다. 당시의 소지 품목은 대부분 청나라에서 구호품으로 받은 것이었지만, 자신들의 물품과 교환한 것도 있었다. 이방익 일행의 표류민 송환은 청나라와 조선의 송환체제가 작동하여 원활하게 이루어졌다. 이방익이 남긴 「漂海歌」와 『漂海錄』을 통해서 조선에서 동아시아해역에 속한 대만으로 표류하는 경우 청의 육로를 통해서 송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표류를 통해서 대만과 청의 江南에 대한 문물을 알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도 했다.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Lee Bang-Ig left after drifting in the of the Qing Dynasty and leaving Drifting record(漂海錄) is the family of Lee who had been living in Jeju Island. In September 1796, when he was a chief of Chungjang, he drifted in the sea off Jeju Island and arrived at Hansung(漢城) on June 20, 1797 via Penghu Island, Taiwan, Xiamen, Fujian, Zhejiang, Beijing, Uiju(義州), Hansung. He wrote Song of the Sea(漂海歌) in Korean and left Drifting record(漂海錄). Currently, various data related to these records remain. After landing on Paengho Island, Lee Bang-Ig and his party were taken to Beijing for humanitarian relief after asking for a favor in the Qing Dynasty. During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encounter the foreign cultures of the Qing Dynasty while contacting the locals. Conversations were possible because Lee Bang-Ig knew Chinese characters. He recorded the drifting process based on the interrogation process and the data he had kept on record after returning home due to Jeongjo(正祖)"s interest. The Sea area where the Lee Bang-Ig drifted were the Sea area of East Asia, from Jeju to Taiwan, which then crossed to the Xiamen of Fujian and landed on land in the Qing Dynasty. After that, he arrived in Beijing via the mainland of the Qing Dynasty and stayed there before returning home via Uiju. Lee Bang-Ig testified about the process and drift in the interrogation he received in Uiju on his return home, and his belongings were also censored. Some of the items were received as relief goods from the Qing Dynasty, but others were exchanged for their own. The repatriation of Lee Bang-Ig and his party was smoothly carried out due to the operational repatriation system of the Qing Dynasty and Joseon Dynasty. Lee Bang-Ig"s Song of the Sea and Drifting record indicate that he had been repatriated via Qing Dynasty if he drifted from Joseon to Taiwan, which is part of East Asian Sea area. Through these seals, it was a valuable opportunity to learn about Taiwan and the culture of Q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