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저선량 흉부전산화단충촬영의 흡기 영상과 폐기능이 정상인 성인에서 호기 말 폐 감쇄도 증가 정도와 연령 및 흡연과의 연관성

        권성연 ( Sung Youn Kwon ),황용일 ( Yong Il Hwang ),윤호일 ( Ho Il Yoon ),이재호 ( Jae Ho Lee ),이춘택 ( Choon Taek Lee ),이경원 ( Kyung Won Lee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6

        연구배경: 호기말에 흉부 촬영을 시행하면 폐 내의 공기의 부피가 감소되어 폐 감쇄도가 증가한다. 이런 폐 감쇄도의 변화가 국소적으로 저하되는 공기 가둠 현상에 대해서는 일부 연구들이 있었으나 전체 폐의 전반적인 감쇄도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고, 특히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호흡기 질환이 없으며 폐기능 및 흡기 전산화단층촬영이 정상 소견이고 호기 영상에서 국소적인 공기 가둠 현상이 없는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24개의 지점을 정하고, 흡기 및 호기 시 각 지점에서 폐 음영도를 측정한 후 호기말 폐 감쇄도 증가와 흡연량, 연령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연구 대상 100명의 연령은 중앙값 49.0세(범위 25∼71세)였고, 평균 흡연량은 22.5±17.0갑년이었다. 연령과 폐 감쇄도의 증가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흡연의 효과를 보정하였을 때에도 유지되었고, 연령을 기준으로 세 군으로 나누어 폐 감쇄도의 증가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흡연량과 호기말 폐 감쇄도의 증가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나 연령을 보정하였을 때에는 유의성이 감소하였다. 결론: 흡기-호기 시의 폐의 전반적인 감쇄도 변화 정도는 연령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노화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 Background: The attenuation of the lung parenchyma increases on expiration as a consequence of decreased air in the lung. Expiratory CT scans have been used to show air trapping in patients with chronic airway disease and diffuse parenchymal disease and also in asymptomatic smokers.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investigating the regional air trapping on a expiratory CT scan,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ports evaluating the changes of whole lung attenuation with considering its clinical significance, and especially in healthy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an expiratory increase of lung attenuation with age and smoking in healthy subjects. Methods: Asymptomatic subjects who underwent a low dose chest CT scan as part of a routine check-up and who showed normal spirometry and a normal inspiratory CT sca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We excluded the subjects with significant regional air trapping seen on their expiratory CT scan. Lung attenuation was measured at 24 points of both the inspiratory and expiratory CT scans, respectively, for 100 subjects. The correlations between an expiratory increase of the lung attenuation and the amount of smoking, the patient`s age and the results of spirometric test were assessed. Results: There were 87 men and 13 women included in this study. Their median age was 49.0 years old (range: 25∼71). Sixty current smokers, 24 ex-smokers and 16 non-smokers were included. As age increased, the expiratory increase of lung attenuation was reduced at every measuring points (r=-0.297∼-0.487, Pearson correla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maintained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smoking. Smoking wa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of the expiratory increase of lung attenuation. But the significance was reduced after controlling for the patient`s age. The FEV1, FVC, FEV1/FVC and FEF25∼75% were not associated with an expiratory increase of lung attenuation. Conclusion: The expiratory increase of lung attenuation in subjects with a normal inspiratory CT sca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It was also reduced in heavy smokers. It may reflect aging and the smoking related changes. (Tuberc Respir Dis 2008;65:457-463)

      • SCOPUSKCI등재

        혈청학적 방법을 이용한 결핵 진단 방법의 효용성

        김덕겸,권성연,이석영,박계영,정경해,이춘택,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염수,Kim, Deog-Kyeom,Kwon, Sung-Youn,Lee, Suk-Young,Park, Gye-Young,Jung, Kyung-Hae,Lee, Chun-Taek,Yoo, Churl-Gyoo,Kim, Young-Whan,Han, Sung-Koo,Shim, Yong-Soo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7 No.5

        연구배경: 객담 도말 및 배양 검사나 방사선학적 검사 등의 기존의 결핵 진단 방법은 낮은 민감도와 진단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서 결핵의 조기 진단 및 치료에 제한점이 있었다. 최근에 혈청학적 진단 방법의 하나로 개발된 immunochromatographic assay 기구들이 소개되고, 외국에서 비교적 높은 진단율를 보여, 결핵 유병율이 높은 국내에서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 질병 양상에 따른 차이점을 조사하여, 기존의 결핵 진단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환자군을 폐결핵 환자군(36명), 폐외결핵 환자군(3명) 및 두 가지 모두 이환된 군(22명)으로 나누었으며, 대조군은 과거 결핵 병력이 있는 비활동성 결핵환자(17명), 결핵이외의 폐질환자(16명) 및 폐질환이 없는 심장 환자(14명)를 대상으로 38kDa 항체를 포함한 ICT tuberculosis 또는 BioSign$^{TM}$TB를 이용하여 혈청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ICT tuberculosis를 사용한 경우, 환자군 56명 및 대조군 47명에 대하여 64.3%의 민감도 및 91.5%의 특이도를 나타내었으며, 폐결핵만 있는 환자군에서 76.5%의 민감도를 보여, 폐외 결핵만 있는 환자군(33.3%)나 두 가지 모두 이환된 군(47.4%)에 비하여 더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p=0.039). BioSign$^{TM}$TB를 이용한 경우, 환자군 43명 및 대조군 43 명에 대하여 74.4%의 민감도 및 95.3%의 특이도를 보였으며, 폐질환이 없는 환자군에서는 100%의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환자군중에서 초발환자 및 과거 폐결핵 병력이 있는 환자군 사이에는 민감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공동성 폐결핵 환자와 비공동성 폐결핵 환자사이에 검사상 민감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73.3% vs. 69.6%, p>0.05). 결 론: 혈청학적 방법의 하나인 immunochromatographic assay 기구는 높은 특이도와 양성 예측도를 보여 임상적 유용성이 기대되나,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와 음성 예측도를 고려할 때, 단독 사용보다는 기존 방법과의 상보적 사용이 결핵진단에 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Many diagnostic tests have developed to diagnose tuberculosis and other mycobacterial diseases but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relies largely on radiological findings and acid-fast staining of sputum and/or culture. Recently, new serologic diagnostic methods, which are safe and easy to use have been introduced into Korea. In this study, the usefulness of serologic diagnosis for tuberculosis and the disease pattern induced variation of the test were evaluated. Methods: Serological assay was performed upon 108 patients with two test kits, the ICT tuberculosis and the BioSign$^{TM}$TB, which are based upon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technique, capable of being interpreted within 15 minutes. The case groups consisted of 61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36 patients), extrapulmonary tuberculosis(3 patients), or both(22 patients). Control groups consisted of 47 patients with inactive old pulmonary tuberculosis(17 patients), nontuberculous pulmonary disease(16 patients) and nonpulmonary cardiac disease(14 patients). Results :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NPV) of the ICT tuberculosis were 64.3%, 91.5%, 90.0% and 68.3% respectively.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the BioSign$^{TM}$TB were 76.5%, 95.3%, 94.1 % and 78.8% respectively. Differences in sensitivity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patients with previous history of tuberculosis or patients without prior history of tuberculosis. The ICT tuberculosis test showed higher sensitivity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76.5%) than extra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33.3%).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nsitivity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cavitary lesion by chest X-ray. Conclusion: Considering high specificity and PPV, serologic diagnosis using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device is another helpful diagnostic method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when combined with previous diagnostic methods such as chest X-ray, microbiologic study but it has limitation in terms of confirming the diagnosis for tuberculosis as the only diagnostic method because of relatively low sensitivity and NPV.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I{\kappa}B{\alpha}$-SR 유전자이입이 Cisplatin, Paclitaxel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이석영,설자영,박경호,박근민,황용일,김철현,장승훈,권성연,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이춘택,Lee, Seok-Young,Seol, Ja-Young,Park, Kyung-Ho,Park, Gun-Min,Hwang, Yong-Il,Kim, Cheol-Hyeon,Jang, Seung-Hun,Kwon, Sung-Youn,Yoo, Chul-Gyu,Kim, Young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1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1 No.2

        연구배경 : 종양 세포들이 항암제에 대하여 저항을 나타내는 기전인 'apoptosis에 대한 저항'에 NF-${\kappa}B$의 활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되고 있다. 즉, NF-${\kappa}B$가 종양세포의 apoptosis를 억제하는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종양 세포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제시되 고 있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항암 치료의 내성에 대하여 외부 자극으로 분해되지 않는 $I{\kappa}B{\alpha}$-SR의 삽입으로 NF-${\kappa}B$의 활성을 억제시키고 이로 인해 항암제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결 과 : 비소세포폐암 세포주로 NCI H157, NCI H460 세포주를 이용하였고, Ad-$I{\kappa}B{\alpha}$-SR를 transduction 한 후 cisplatin을 처치한 군에서 NF-${\kappa}B$의 핵 내로의 이동이 억제되었으며 대조군과 비교시 $IC_{50}$이 2-3배 정도 유의하게 낮아짐을 관찰하였다. 또한 paclitaxel의 경우에도 Ad-$I{\kappa}B{\alpha}$-SR로 감염된 폐암세포주는 대조군과 비교시 IC50이 2배 정도 유의하게 낮아짐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의 기전으로 cisplatin의 경우는 $I{\kappa}B{\alpha}$-SR의 이입이 NF-${\kappa}B$의 활성을 억제 함으로 인한 apoptosis의 증대 때문인 것으로보인다. 결 론 : 폐암세포주에서 Ad-$I{\kappa}B{\alpha}$-SR transduction은 Clsplatin, paclitaxel에 대한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 앞으로 폐암을 치료하는데 있어 새로운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 Some chemotherapeutic drugs induce NF-${\kappa}B$ activation by degrading the $I{\kappa}B{\alpha}$ protein in cancer cells which contributes to anticancer drug resistance. We hypothesized that inhibiting $I{\kappa}B{\alpha}$ degradation would block NF-${\kappa}B$ activation and result in increased tumor cell mortality in response to chemotherapy. Methods : The "superrepressor" form of the NF-${\kappa}B$ inhibitor was transferred by an adenoviral vector (Ad-$I{\kappa}B{\alpha}$-SR) to the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NCI H157 and NCI H460). With a MIT assay, the level of sensitization to cisplatin and paclitaxel were measured. To confirm the mechanism, an EMSA and Annexin V assay were performed. Results : EMSA showed that $I{\kappa}B{\alpha}$-SR effectively blocked the NF-${\kappa}B$ activation induced by cisplatin. Transduction with Ad-$I{\kappa}B{\alpha}$-SR resulted in an increased sensitivity of the lung cancer cell lines to cisplatin and paclitaxel by a factor of 2~3 in terms of $IC_{50}$. Annexin-V analysis suggests that this increment in chemosensitivity to cisplatin probably occurs through the induction of apoptosis. Conclusion : The blockade of chemotherapeutics induced NF-${\kappa}B$ activation by inducing Ad-$I{\kappa}B{\alpha}$-SR, increased apoptosis and increasing the chemosensitivity of the lung cancer cell lines tested, subsequently. Gene transfer of $I{\kappa}B{\alpha}$-SR appears to be a new therapeutic strategy of chemosensitization in lung cancer.

      • SCOPUSKCI등재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뇌나트륨이뇨펩티드와 폐동맥압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황용일 ( Yong Il Hwang ),박근민 ( Geun Min Park ),권성연 ( Sung Youn Kwon ),윤호일 ( Ho Il Yoon ),이춘택 ( Choon Taek Lee ),한성구 ( Sung Koo Han ),심영수 ( Young Soo Shim ),이재호 ( Jae Ho Lee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4

        연구 배경: 폐동맥 고혈압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중요한 심혈관계 합병증이다. 뇌나트륨이뇨펩티드는 허혈성 심질환과 심부전의 경우에서 진단적 효율성과 예후 예측인자로서의 효율성이 잘 알려져 있고 우심에 압력 과부하가 있는 상황에서도 증가된다. 뇌나트륨이뇨펩티드의 측정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폐동맥 고혈압의 진단에 유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폐동맥압과 뇌나트륨이뇨펩티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의무 기록 분석을 통하여 뇌나트륨이뇨펩티드, 심초음파, 폐기능 검사를 모두 실시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뇌나트륨이뇨펩티드(NT-proBNP), 폐동맥압(PAP), 1초간 노력성 폐활량(FEV1)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1명의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폐동맥 고혈압이 동반된 환자는 9명(26.7%)이었다. 폐동맥압과 뇌나트륨이뇨펩티드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0.589, p=0.002). 결론: 뇌나트륨이뇨펩티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에서 동반된 폐동맥 고혈압의 진단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Pulmonary hypertension is one of the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of in COPD. However, a diagnosis of pulmonary hypertension requires an invasive test, such as right heart catheterization. NT-proBNP is a cardiac hormone that is elevated when a cardiac volume or pressure overload is present. It was hypothesized that NT-proBNP might play a role in detecting of pulmonary hypertension in COPD patients. Method: The 31 COPD patients, who underwent all of NT-proBNP, echocardiography, and spirometr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2003 to July 2005,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 Of the 31 COPD patients, 9 patients had pulmonary hypertension.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T-proBNP and pulmonary arterial pressure (r=0.589, p=0.00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he FEV1 and NT-proBNP and FEV1 and pulmonary arterial pressure. Conclusion: NT-proBNP might indicate the presence of pulmonary hypertension in COPD patients. (Tuberc Respir Dis 2007; 63: 346-352)

      • SCOPUSKCI등재

        폐암세포주에서 IGF-1R 억제를 이용한 TRAIL 및 gefitinib에 대한 감수성 증가를 위한 연구

        이윤진 ( Yoon Jin Lee ),박미영 ( Mi Young Park ),강영애 ( Young Ae Kang ),권성연 ( Sung Youn Kwon ),윤호일 ( Ho Il Yoon ),이재호 ( Jae Ho Lee ),이춘택 ( Choon Taek Lee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1

        배경: 폐암의 새로운 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는 TRAIL은 암에 선택적으로 apoptosis를 일으킨다고 알려진 cytokine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gefitinib (Iressa)는 폐암의 적용된 최초의 표적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의 암세포에서는 이에 대한 저항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에서 외부의 apoptotic 자극에 저항성을 보이는 IGF-1R를 억제함으로 TRAIL 및 gefitinib의 항암작용을 증가시키고자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암세포주는 TRAIL 및 gefitinib에 민감한 NCI H460와 두 약제에 중등도의 저항성을 보이는 A549의 폐암세포주로 시행하였으며 IGF-1R의 억제는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던 IGF-1 pathway를 dominant negative inhibition을 할 수 있는 adenovirus-IGF1R(482 ST, 950ST) 및 IGF-1R tyrosine kinase inhibitor인 Tyrphostin AG1024를 사용하였고 gefitinib에 대한 실험에서는 RNA interference를 이용하여 IGF-1R의 발현을 억제하는 adenovirus- shIGF-1R을 이용하였다. 결과: TRAIL에 저항성을 보이는 폐암세포주(A549)에서 adenovirus-IGF1R(482ST, 950ST) 및 AG1024로 IGF-1R를 억제한 후 TRAIL을 투여한 경우 항암효과가 증대되었다. A549에 adenovirus- shIGF-1R을 감염시켜 IGF-1R의 발현을 억제한 결과 gefitinib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었다. 결론: 여러 기전을 이용한 IGF-1R의 억제는 TRAIL 및 gefitinib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던 폐암세포주의 감수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폐암의 임상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향후 여러 종류의 암세포주에서의 검증 및 in vivo 실험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TRAIL is a cytokine that selectively induces apoptosis in various cancer cell lines. Gefitinib is new targeted drug applied in lung cancer that selectively inhibits EGFR tyrosine kinase. However, lung cancers have shown an initial or acquired resistance to these drug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GF-1R and its blockade on enhancing the sensitivity of lung cancer cell lines to TRAIL and gefitinib. Methods: Two lung cancer cell lines were used in this study. NCI H460 is very sensitive to TRAIL and gefitinib. On the other hand, A549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TRAIL and gefitinib. The IGF-1R blockade was performed using adenoviruses expressing the dominant negative IGF-1R and shRNA to IGF-1R and AG1024 (IGF-1R tyrosine kinase inhibitor). Results: The adenovirus expressing dominant negative IGF-1R(950st) induced the increased expression of defective IGF-1R on the lung cancer cell surface, and the adenovirus-shIGF-1R effectively decreased the level of IGF-1R expression on cell surface. The genetic blockade of IGF-1R by the adenovirus-dnIGF-1R and AG1024 increased the sensitivity of A549 cells to TRAIL. The reduction of IGF-1R by transduction with ad-shIGF-1R also increased the sensitivity of the A549 cells to gefitinib. Conclusion: The blockade of IGF-1R through various mechanisms increased the sensitivity of the lung cancer cell line that was resistant to TRAIL and gefitinib. However, further studies using other cell lines showing acquired resistance as well as in vivo animal experiments will be needed. (Tuberc Respir Dis 2007; 63: 42-51)

      • SCOPUSKCI등재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열량섭취와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

        윤호일 ( Ho Il Yoon ),박영미 ( Young Mi Park ),조여원 ( Ryo Won Choue ),강영애 ( Yeong Ae Kang ),권성연 ( Sung Youn Kwon ),이재호 ( Jae Ho Lee ),이춘택 ( Choon Taek Lee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5

        연구배경: 이전의 연구에서 섭취의 제한은 폐기종과 유사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갖는 의미는 밝혀진 적이 없다. 저자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영양섭취량과 폐기능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2006년 3월부터 1년 동안 진료받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폐활량검사, 확산능검사, 폐용적검사와 함께 영양섭취상태평가를 시행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총섭취열량과 1초간노력호기량이나 최대노력호기량(%예측치)과는 아무런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반면 폐확산능의 지표인 DLCO (%예측치), DLCO/VA (%예측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총폐용량(%예측치)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섭취한 열량 중 단백질섭취열량과 폐확산능 DLCO (%예측치), DLCO/VA(%예측치)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탄수화물 및 지방섭취에 의한 열량과 폐기능지표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하루 섭취 열량은 그 환자의 폐확산능과는 양의 상관관계, 총폐용량과는 음의 상관관계에 있어 섭취열량과 폐기종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ere are reports that food deprivation causes emphysematous changes in the lungs of rats and humans. However,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has not been evalu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aloric intake and parameters of the lu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ethods: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ho had visited the respiratory clinic from March, 2006 for one yea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underwent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a dietitian evaluated their nutritional intake using a food record method.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caloric intake and forced vital capacity (FVC, %predicted) or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predicted). The total caloric intak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iffusing capacity of carbon monoxide (DLCO %predicted, DLCO/VA %predicted),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lung capacity (TLC, %predicted). Of the calories taken, only calories from protein intake correlated with the diffusing capacity of carbon monoxide (DLCO %predicted, DLCO/VA %predicted). Conclusion: The total caloric intake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iffusing capacity of the lu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otal lung capacity. Further study on the linkage between the caloric intake and severity of emphysema is needed. (Tuberc Respir Dis 2008;65:385-38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