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원불교의 신화적 변용에 대한 연구 -한국 신종교 연구의 방법적 시론-

        권동우 ( Dong Woo K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1 신종교연구 Vol.25 No.-

        신종교 연구는 급변하는 시대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으므로, 신종교 연구의 방향은 항상 새로운 시각과 방법론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에 호응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서 한국 신종교를 ``신화적 변용``으로 보는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신화의 변용이란, 곧 역사를 통해 끊임없이 ``기원(본질)``을 추구하는 운동들이 일어나는데, 그 과정에서 당시의 시대상황과 문화적 토양의 영향을 받으면서 신화는 변형, 변용되었다는 것이다. 기존의 신화연구가 신화의 가치를 원형에 두었다면, 이와는 달리 다양하게 변화, 변용하는 속에 신화의 창조적 가치가 있다는 새로운 평가로부터 본 연구는 출발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역사를 통한 변용은 신화뿐만 아니라 유교, 불교 등의 종교사상을 통해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본고에서는 이를 통칭해서 ``신화적 변용``이라고 하였다. 신화적 변용은 신화, 혹은 종교사상의 본질이 최초의 석가, 공자나 태초의 기원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변용을 통해 나타나는 현실의 본질인식에 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변용은 아류, 혹은 모방이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본질추구로서 중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화적 변용이 동학(東學) 이후 근대 한국사회에 등장하는 한국 신종교를 통해 보이고 있다는 것이며, 본고에서는 이 중에서도 동학, 증산, 초기 원불교의 유·불·선 삼교에 대한 합일사상에 보이는 신화적 변용의 모습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원불교를 중심에 두고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The direction of studies on new religious movements constantly requires new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especially since new religions appear during periods of rapid change and manifest in various forms. As such, this study hopes to proffer a new methodology by approaching Korean new relig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ythical transformation. The transformation of myth occurs when movements arise in constant pursuit of the origin (essence) and through that process are influenced by the cultural aspects of that area and the circumstances of that particular period. Unlike existing studies that focus on the value of mythical transformation, this paper argues that within various transformation and changes there exists a creative value of myth. However, historical changes are not only evident through myth, but are also apparent by examin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other religious thoughts. This paper encompasses these thoughts under the title, mythical transformation. Mythical transformation does not rest on the essence of religious thought nor early religious founders such as Sakyamuni Buddha or Confucius. Rather, mythical transformation is found in the essential awareness of reality that arises through transformation. Consequently, transformation is not an imitation or emulation, but rather has to be recognized as one essential pursuit. This type of mythical transformation is evident in new religions in Korea that emerged during the modern period after the Donghak (東學) revolution.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myth as represented in Donghak, Jeungsan (甑山), and the unity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三敎合一) in early Won-Buddhism. Among these aspects special focus will be placed on Won-Buddhist thought.

      • KCI등재

        예술과 연애, ‘순수’에의 동경

        권동우(Kwon, Dong-woo) 동아인문학회 2014 동아인문학 Vol.27 No.-

        1920년대 전반기 지식인 작가로서 염상섭의 ‘모랄’은 연애 혹은 사랑, 그리고 문학예술에 대하여 일종의 이상향으로써 ‘순수’를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하지만 이 시기 ≪동아일보≫에 연재한 ≪너희들은 무엇을 어덧느냐≫의 경우 당대에 유행한 자유연애와 결혼, 남녀간의 애정 문제를 적극 묘사함으로써 작품의 ‘통속화’ 경향을 보여준다. 이 지점으로부터 염상섭의 작가적 내면은 일종의 양가적 감정에 놓이게 되며 딜레마에 빠지고 만다. 대체로 통속소설이라 함은 ‘본격/순수문학’과 구분되어 대중의 취향에 영합한 흥미 위주의 독서물로 치부된다. 또한 그것은 대중적 저널리즘과 결합하여 작품의 문예미학적 가치와는 다른 차원에서 ‘상업성’과의 결탁을 통해 이루어낸 부정적 결과물로 판단하기도 한다. 염상섭 역시 이러한 인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점에서 주저와 망설임의 태도가 발견된다. 따라서 ‘통속/대중’과 ‘본격/순수’라는 두 관점의 길항을 자각한 그가 두 이념 사이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따져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나아가 그것은 곧 이 시기 염상섭의 내면에 형성되고 있던 ‘근대적 문학 개념’의 일단을 확인해보는 작업으로서도 의미를 지닌다. It was revealed that ‘Moral’, written by an intellectual writer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Yeom, Sang-seop, yearns for ‘pureness’ in romantic relationship or love and literary art as a kind of utopia. However, ≪What Have You Gained≫, published in ≪Dong-A Ilbo≫ during this time period, shows the tendency of ‘popularization’, by aggressively describing the issues of free love and marriage which caught on in those times and love between men and women. From this moment, Yeom, Sang-seop"s was put into an ambivalent state and faced a dilemma. In general, popular novels are distinguished from ‘serious/pure literature’ and considered as entertaining readings which cater to the public"s taste. It is also regarded as a negative result from a collusion with ‘commerciality’ in a different dimension from work"s literary and aesthetic value, by combining with popular journalism. Considering that Yeom, Sang-seop was not also free from this perception, it reveals his hesitating attitud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ee how he deals with between two ideologies, aware of the contention of two perspectives; ‘popular/public’ and ‘serious/pure’. Furtherm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demonstrating the ‘modern concept of literature’ that was being formed in the inner side of Yeom, Sang-seop during this time period.

      • KCI등재

        해방 이후 한국 종교계의 변화와 신종교 -공인교 제도와 영성운동, 그리고 신종교의 대응-

        권동우 ( Dong Woo Kwon ) 한국신종교학회 2013 신종교연구 Vol.28 No.-

        근대 이후 한국의 신종교는 가히 폭발적 증가 현상을 보인다. 동학의 등장으로부터 본격화하는 신종교 운동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도 끊임없이 팽창해 왔다. 또한 일제의 탄압 속에서 해체의 과정을 겪던 신종교들은 해방 후 교단 내적 갈등 혹은 사상적·해석적 차이에 의해 급격한 분열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신종교의 분열은 해방 후 한국사회가 보여 준 격동의 역사 및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해방 후 급격한 분열과 증가 현상을 보이던 한국자생신종교가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기독교(특히 개신교)와 불교계 신종교들의 급속한 팽창에 비해 현저한 도태현상을 보이는 것에 주목하면서, 그 현상의 원인이 국가 혹은 정치권력의 ``공인교(公認敎) 제도``에서 기인함을 밝혀가고자 한다. 나아가 2005년 종교인구센서스를 통해 볼 때 종교인구의 분포 중 불교, 개신교, 가톨릭이 전체 종교인구의 98%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한국종교계의 양극화 현상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대형종교가 신종교 현상을 보이면서 종교시장을 잠식해 들어가는 현상이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Since the modern period, Korean new religions seem to have undergone a significant growth. Starting with the appearance of Donghak, new religious movements continually expanded throughout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Furthermore, new religions endured processes of dissolution in the midst of Japanese suppression and after liberation they experienced rapid divisions in response to internal conflicts or ideological differences and interpretation. Howe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what appeared to be rapid divisions and growth among Korean indigenous new religions after liberation, which upon close examination shows that since the mid-1980s there was a noticeably rapid expansion of Korean Christianity (especially Protestantism) and Buddhism compared to new religions. The origin of that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official religious system" issued by the nation or political authority. Furthermore, if we examine a 2005 census on religious population, the entire religious population for Buddhism,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accounts for 98% of the religious population. Therefor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olarization of Korean religious circles is intensifying and that major religions are seriously encroaching and taking over the religious market.

      • KCI등재
      • KCI등재

        교파신도와 '근대신화' 연구의 가능성 모색 : 한국에 유입된 신도, 짓코교 · 신리교를 중심으로

        권동우(Kwon Dong Woo)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4

        본고는 두 가지의 목적을 지향하고 있다. 하나는 근대국가체제 아래서 탄생한 교파신도 가운데 한국에 유입된 것들이 어떠한 경로에 의해 변화해 왔는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교파신도 가운데 짓코교와 신리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근대시화의 유형을 찾는 것이며, 또한 그로부터 일본제국의 한국통감 설치와 더불어 신리교의 관장이 조선포교를 위해 보낸 건백서에 등장하는 '스사노오'를 통해 신리교의 교리가 어떻게 조선에서 재해석되어 가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에 의해 분명하게 된 것은, 교파신도는 국가신도체제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종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움직여 갔다는 것이며, 또한 한국에 포교해 가기 위해 적극적인 움직여갔다는 것이다. 특히 짓코교의 경우는 근세의 히라타 아쓰타네를 중심으로 하는 국학의 영향을 받아, 『고지키』와 『니혼쇼키』에는 나타나지 않았던새로운 신화창조를 시도하는 등, 근대신화를 창출해 왔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더욱이 그 종교로서의 정체성을 추구해 가는 가운데, 당시의 제국주의에 반하는 평화주의를 지향해 갔다는 점도 주목된다. 신리교의 경우는 니기하야히로부터 유래를 구하는 신화창조를 행하면서도, 조선포교를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여 간다. 특히 신리교에서는 '스사노오'가 조선을 지배했다고 하는 '건백서'를 한국통감에게 제출하였는데, 그 내용과 이 교단의 교리로부터 고찰해 본다면, 일본과 조선을 '현(顯)'과 '명(冥)'의 세계로 인식하고 있다는 경향을 읽어낼 수 있다. 그러므로 명의 세계에 살고 있는 조선인들을 현의 세계로 돌아오도록 해야 할 것이라는 논리가 성립한다. 이것이 침략주의를 지지하는 논리인지, 아니면 아시아주의라고 하는 새로운 움직임의 연장에 서 있는지는 향후의 과제가 될 것이지만, 근대종교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신리교에서는 조선을 '명계'로 인식해 가려고 하였던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 This paper has two objectives. Firstly, it explores how among Sectarian Shinto created under the system of modern nation, the one imported to Korea changed and transformed. Secondly, it looks at the patterns of modern mythology created by Jikkokyo and Shinrikyo, both part of Sectarian Shinto. From there, it analyzes how the doctrines of Shinrikyo were applied to Korea by looking at the name of "Susanowo", which appears in the petition sent out for the propagation of Shinrikyo in Korea by its superintendent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upervision by the Japanese Empire. It has become clear from these analysis that, while being influenced by the structure of State Shinto, Sectarian Shinto sought to establish its ideology as "religion", and assertively moved to propagate itself in Korea. It has also become clear that Jikkokyo was influenced by the Early Modern Kokugaku ideas of Hirata Atsutane and created a new modern mythology, which cannot be seen in the "Kojiki" and "Nihonshoki". Moreover, it can be noted that by seeking to establish themselves as religions, they went against the imperialist ideology of the time and headed for a pacifist ideology. In the case of Shinrikyo, it assertively started to propagate itself in Korea, while at the same time creating a mythology that seeks its origin in Nigihayahi. Even though a petition where "Susanowo" controlled Korea was submitted to the Korea supervision, a trend that sought to perceive Japan as "this world" and Korea as "the other world" can be inferred from its content and religious doctrine. It is from there that the logic which dictates that the Koreans leaving in the other world should be returned to this world becomes reality. Whether this is a logic that supports an aggressive policy or it is an extension of a new movement named Pan-Asianism, is a future issue, however, it is clear that, among religions of the modern period, Shinrikyo perceived Korea as "the other world".

      • 일제강점기 부여신도(扶餘神都) 관념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권동우(Kwon, Dong-Woo)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7 충청문화연구 Vol.18 No.-

        본고는 일제강점기에 형성되는 일선동조론이 단지 근대의 산물이 아니라 고대 이후 일본의 역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행해져 온 신화해석의 역사가 근대라는 시기를 통해 어떻게 재구성되고 또 변화하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일제강점기 부여(扶餘) 신도(神都) 정책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일본서기』에서 스사노오가 신라의 소시모리에 건너갔다는 기록이 있으나, 중세까지 소시모리가 어디인지에 대해 명확한 해석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데 요시다 가네토모(吉田兼倶)는 스사노오가 신라를 시작으로 당(唐)과 천축(天竺)까지 개척했다고 하면서 신국(神國) 일본이 세계의 중심이며, 만국의 근원이라는 인식을 공고히 한다. 이후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는 소시모리가 곧 신을 제사지내는 소도(蘇塗)라고 하였고, 이후 이토 도가이(伊藤東涯)는 구마나리(熊成)가 웅진이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동국통감』의 일본 전래 이후 하야시 가호(林鵞峰)는 스사노오가 삼한의 조상으로 삼아도 된다고 하였고, 도 데이칸(藤貞幹)은 『쇼코하츠(衝口発)』에서 스사노오가 신라의 군장(君主)였던 것이 명백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데이칸과 동시대의 반 고케이(伴蒿蹊)는 『간덴코히츠(閑田耕筆)』에서 조선의 군주 단군이 곧 스사노오라는 얘기가 쓰시마(對馬島)에 전해온다고 하였다. 다만, 고케이의 스사노오와 단군 일체설은 다른 쓰시마(津島)에서 행해지는 시마와타리(島渡) 제사의 기원을 둘러싼 해석 문제로, 이데올로기적 의도는 찾아볼 수 없다. 일선동조론은 일본의 근대 이후 오치아이 나오즈미(落合直澄)와 호시노 히사시(星野恒) 등 근대 역사학자들에 의해 제기되는데, 당시 일선동조론과 반일선동조론의 두 논리가 첨예하게 대립한다. 반일선동조론은 주로 일본의 단일민족주의를 주장하는 측의 주장이며, 이에 대해 혼혈주의 및 일본제국주의를 주장하는 측에서는 일선동조론을 적극 주장하였다. 일선동조론은 이후 일본의 조선침략에 적극 활용되는데, 주로 신문과 같은 언론을 통해 확산된다. 하지만 조선의 일제강점이 본격화하면서 아마테라스는 역사적 인물인데 대해 단군을 비역사적 인물로 규정하는 일본의 식민사학자들을 중심으로 스사노오와 단군의 일체설을 부정하면서도 신무천황(神武天皇)나 신공황후(神功皇后)가 조선의 후예라는 것을 강조하는 등 ‘동조론’은 ‘친족론’으로 변화해 간다. 그런데 이러한 시점에 ‘친족론’을 바탕으로 조선이야말로 일본의 조상이며 더 위대한 민족이라는 논리를 주장하는 역(逆)일선동조론이 등장한다. 친족론은 일제의 내선일체(內鮮一體)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적극 활용되면서도 역일선동조론으로 분화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선일체의 맥락에서 일제는 부여신궁(扶餘神宮)과 부여 신도화(神都化) 정책을 추진하는데, 이 과정에서는 오히려 ‘동조론’이나 ‘친족론’이 배제되고, 조선에 대한 일본의 조선에 대한 지배력을 강조하는 과거 천황들을 제신(祭神)으로 선정한다. 내선일체는 외형적으로 일시동인(一視同仁)을 중시하는 것 같이 하면서도 실제적으로는 주종적 상하관계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개된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theory of homology between Japan and Korea, created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domination, was not just a product of the Modern period. Rather, the history of mythological exegesis which continued from the Classical period, was reconstructed throughout the Modern Period and that change of perception influenced the policy of Buyeo Shin-to. In the Nihonshoki, there is a record of Susanowo crossing to Soshimori in Silla, however until the Medieval Period its exact location was not made clear. Yoshida Kanetomo argued that Susanowo reclaimed Silla, Tang (China) and Cheonchuck (India) and that Japan was the Land of the Gods (Shinkoku), the center of the world where all things are born. After that, Arai Hakuseki argued that Soshimori was Shodo, a ritual for the gods; and Ito Tokai interpreted Kumanari as Woongjin (Korea). Moreover,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Donguktonggamto Japan, Hayashi Gaho states that Susanowo was the founder of the Three Koreas, and Toh Teikan states that Susanowo was clearly the ruler of Silla in the Shokohatsu. Furthermore, Ban Kokei, a contemporary of Teikan, writes in the Kandenkohitsu that the narrative where Dangun, ruler of Silla, is also Susanowo was transmitted to Tsushima. However, Kokei’s view of Dangun/Susanowo was an interpretation of the Shimawatari in Tsushima, Owari, and thus we cannot view it as ideology. The theory of homology between Japan and Korea was raised by Modern historians Ochiai Naozumi and Hoshino Hisashi in a period where both theories of heterology and homology clashed together. The theory of heterology was put forth by adherers of the single-race ideology, whereas homology was stated by Imperial and mixed-race enthusiasts. Thereafter, the theory of homology was spread by newspapers and mass media and actively spurted the invasion of Korea. However, after the concrete colonization of Korea, Colonialist Historians, who denied the historicity of Dangun and affirmed that Amaterasu was a historical figure, repudiated the homology of Susanowo/Dangun. They instead strongly claimed that Emperor Jinmu and Empress Jingu were Korean descendants, thus forming a so-called “kinsfolktheory”. The “theory of homology” thus changed into “theory of kinsfolk”.Interestingly, by claiming that Korea was Japan’s ancestor and thus a greater country, the “theory of kinsfolk” spurted an “opposed theory of homology”. The theory of kinsfolk was actively used to justify the actions of Imperial Japan, but it also ended up forming a contrasting theory of homology. Under the logic of “Japan and Korea as one”, the Japanese Empire promoted the policy for the construction of Buyeo Sin Gung (Jap. Fuyo Jingu) and Buyeo Shin-to, but at that point both theories of “homology” and “kinsfolk” were eliminated to accentuate dominance over Korea by making historical Emperors their worshipped deities. “Japan and Korea as one” was officially a slogan to promote impartiality (Kor. Ilshidongin), however it clearly developed into a master and servant relationship.

      • KCI등재

        『염불요문(念佛要門)』에 대한 오노겐묘(小野玄妙)의 해석 연구

        권동우(Dong-Woo Kwon)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39 No.-

        Many attribute the writing of The Essential Method of Reciting the Buddha's Name (hereafter EMRBN) to the Korean monk of the Goryeo period, Jinul(普照國師知訥, 1158-1210). However, scholars in Buddhist academia still dispute the authorship of this particular work.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ere is lively debate among scholars over whether the EMRBN was written by Jinul himself or considered false pretense. However, an additional argument exists that does not fall under either categories of dispute: A proces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Jinul as the author of the EMRBN. As such, this paper examines the work of Japanese Pure Land Buddhist scholar, Ono Genmyō(小野玄妙, 1883-1939) who was one of the first to argue that the authorship of the EMRBN belonged to Jinul. Ono liv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coupled by militarism. As the Japanese Buddhist community provided an ideological groundwork during this time of war, the emergence of wartime education degenerated this foundation. It is during this time that Ono argues that the EMRBN's authorship to Jinul occurred from the time of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is a descent of a sect of Chinese Pure Land teachings(淨土教) called the Three Sutras of Cimin(慈愍三藏 流). Moreover he argues that Japanese Pure Land teachings, through the Three Sutras of Cimin, 'unify'the Chinese, Joseon, and Japanese Pure Land Teachings. Ono's argument seems fitting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history when the Japanese political slogan, Hakkō ichiu(八紘一宇) became popular. This paper argues that Ono in response to the time, attempted a 'mythical interpretation' by searching the origins of Jinul's work, thereby 'unifying' Japanese Buddhism, Chinese Buddhism, and Joseon Buddhism through The Essential Method of Reciting the Buddha's Name. 『염불요문(念佛要門)』은 보조국사지눌(普照國師知訥, 1158-1210)의 저술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학계의 관점은 아직 논의가 계속되는 상황이다.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통해 볼 때 『염불요문』이 보조의 저술이라는 의견과 보조술로 가탁되었을 것이라는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논의의 과정에서 외면되어 왔던 문제가 있다. 그것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염불요문』이 보조의 저술로 정착되었는가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염불요문』이 보조의 저술이라고 최초로 주장하였던 일본 정토종의 학승 오노겐묘(小野玄妙, 1883-1939)의 의도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노가 살아가던 당시는 일본제국주의가 군국주의를 본격화하고 또 대동아공영권 구축에 열을 올리는 시점이었다. 이에 따라 일본 불교계는 이와 같은 국가의 전시체제에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면서 전시교학(戰時敎學)으로 전락해 가는 때였다. 이러한 시점에 오노는 『염불요문』이 보조의 저술이라고 되어 있는 점에 주목해 조선불교를 중국 정토교의 한 계통인 자민삼장류(慈愍三藏流)로 규정하려고 한다. 나아가 일본의 정토종도 자민삼장류로서 결국 중국과 조선과 일본의 정토교사상이 자민삼장류로 '일원화'된다고 주장하였다. 오노의 이러한 논증이 당시 일본사회에 퍼져가던 '핫코이치우(八紘一宇)'의 연장선상에 서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노는 이와 같은 시대조류에 상응해 『염불요문』을 통해 조선불교를 중국불교ㆍ일본불교와 '일원화' 시키기 위해 보조에게서 그 기원을 구하는 이른바 '신화적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이중언어’ 현실과 이광수의 글쓰기

        권동우(Kwon Dong-woo)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8

        The hegemony which Japan set forth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to take part in all-out war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If so, it was natural for Kwang-soo Lee as a mediator to express the hegemony to perform it through translation. But the translation process of his works was disclosed overtly, or sometimes omitted. In other words, he did not translate predominant discourse, or enclosed all translated words in brackets. Therefore, Two inferences can be drawn in this thesis. First, there are the emergence of national identity which is equivalent for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inner contradictions and cracking spots in the writing method of Kwang-soo Le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ir love” and “The Song of Spring” expressed seemingly pro Japanese thoughts and pursued the identity as a perfect Japanese, but it is clear that the identity as a person of Joseon is also revealed in the poems because of his unique writing method. Second, though Kwang-soo Lee understood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a kind of strategic awareness is included in his continuous attempt to write in Japanese language and translate his works into Japanese language. Therefore, his awareness can be regarded as his desperate efforts to get over ‘relation’ and ‘separation’ of the people of Joseon and the people of Japan to solve ‘difference’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recover. Furthermore, his translation and writing in Japanese language themselves caused identification logic of colonial discourse, which depended on fixed identification of colonialists and subjects, to be weakened by his producing the boundary status which is neither a person of Joseon nor a Japanese. And this thesis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rhetoric to lead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lonial power.

      • KCI등재

        염상섭의 초기 신문연재소설과 "문학저널리즘" 인식 -『진주는 주엇스나』를 중심으로-

        권동우 ( Dong Woo Kwon )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2

        수많은 질적ㆍ양적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염상섭의 문학세계에서 여전히 뚜렷하게 해명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면, 『만세전』 이후 『삼대』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신문연재소설에서 발견되는 작품의 ‘통속화’ 경향에 관한 것이다. 본고가 다루려는 부분은 일련의 신문연재소설에서 흔히 ‘통속성’의 핵심이라고 지적되고 있는 당대 ‘신청년’들의 ‘자유연애’사상과 그에 얽힌 풍속 및 세태를 소재로 채택하고 있는 작가의 ‘감각’과 관련되어 있다. 1920년대 초중반 염상섭이 신문연재소설에 대해 지녔던 감각, 그것은 곧 ‘신문’이라는 매체의 특징을 대변하는 ‘저널리즘’과 그에 대한 지식인 작가로서의 고민, 거기에 더해기자라는 직업이 낳은 생활인으로서의 고민이 결합되어 만들어낸 산물이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통속문학’과 동의어로 인지되던 ‘저널리즘문학’이라는 개념과는 다소다른 ‘문학저널리즘’의 관점으로 이 시기 염상섭의 신문연재소설을 살펴보고자 한다. ‘문학저널리즘’의 개념에는 ‘작가ㆍ작품ㆍ매체ㆍ독자’ 사이에 형성되는 일종의 긴장관계가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문학’과 ‘저널리즘’이 결합하면서 발생하는 작가의 매체에 대한 이해, 매체의 작가에 대한 요구, 그리고 작가의 독자(욕망)에 대한 고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작가의 세계관과 창작방법론이 형성된다는 점에 주목해 볼 수 있다. In spite of a number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something that isn``t yet clearly explained in Yeom, Sang-seop``s literary world, is about the ``popularization`` tendency found in a series of newspaper serial novels ranging from 『Mansejeon』 to 『Three Generations』.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free love`` idea of ``new youth`` of the time, which is commonly regarded as the key of ``popularity`` in a series of newspaper serial novels and ``sensation`` of the writer, who selected the relevant customs and social conditions as materials for his works. Sensation of Yeom, Sang-seop for newspaper serial novels in the early and middle 1920s was a product created by his concern about ``journalism`` that represents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as an intellectual writer and his life as a reporter. Based on this,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Yeom, Sang-seop``s newspaper serial novels of this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journalism``, which is little different from ``journalism literature`` that was recognized as a synonym of ``popular literature``. A kind of strained relationships among ``writers, works, media and readers`` is reflected in the concept of ``literary journalism`` and especially,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at a writer``s world outlook and methodology of creation are formed when there are multiple influences of a writer``s understanding of media, media``s requirements for a writer and a writer``s concern about readers(desires) caused by a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journal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