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김지훈 작 <풍찬노숙>, 혼혈족의 혁명논리로부터 새로운 질서 찾기

        권경희 ( Kyoung Hee Kwon ) 한국연극학회 2012 한국연극학 Vol.1 No.48

        The primary concerns of this thesis simply stems from the curiosity of how the playwright Kim Jihoon lookouts a peculiar change of our spiritual, physical world. His lately work, <Pungchannosuk>, deals with a tribe of mixed blood who are either not shared by, or excluded from a national system, putting the writer`s emphasis on some hints that informs us his outlook on the world. And these hints summon the following doubt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constituting a national community in this age, particularly in the time when the end of national people is frequently being referred? In strengthening national compositions, can the national identity be a pivotal element and central mechanism? Can the identity be able to exercise the hegemonic functions containing the political rights of decisions? Does the identity still dominate the various collective bodies such as genders, races, regions, professions, generations and classes etc? Finally, as the <Pungchannosuk> manifests, can the national identity be a desirable alternative that may cease both confusions and disorders evoked by the collision of heterogeneity? To find the answer, the study starts from a search for the origin of the complexities immanent in the mixed blood. The terror syndrome and the ambiguous identity, both residing outside the border of normality, will characterise the origin. Then I will focus both on the tribe`s desperation itself and their present hope, in order. A myth of creating a country, making history and nationalism, all these are converged in their resistant ideology. This thesis ends with no clear conclusion, and yet suggesting the three presumptions the text insinuates: nomadism, a new barbarism, and the heterogeneity that awaits for our re-reading, and hoping that the three will lead the ``being-to-come`` of the tribe, as an alternative of thei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60세 이상 고령자의 성별 우울증상 유병률과 영향요인

        권경희(Kwon, Kyoung Hee) 韓國老年學會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60세 이상 고령자에서 성별에 따른 우울 유병률과 우울영향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 (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4차년도 조사(2011-2012)자료 중 60세 이상 고령자 총 5,279명 (남성 2,196명, 여성 3,083명)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과 건강수준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른 영향요인들의 우울기여에 관한 차이를 성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고령자의 우울 유병률(CES-D≧21)은 19.9%였고, 남성 16.2%(경증 5.9%, 중증 10.3%), 여성 23.5%(경증 9.2%, 중증 14.3%)로 나타났다. 우울의 영향요인으로 남성, 여성 고령자 모두 공통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으로는 비취업자일수록, 건강수준별로는 일상 및 사회활동에 제한이 있을수록, 지각된 신체적 건강상태가 매우 나쁠수록 우울의 위험도가 높았다. 특히 여성에서는 연령이 60대에 비해 70대와 80대에서 각각 OR 1.4, 1.8 로 나타났으며, 서울지역에 비해 도 지역 거주자에서 OR이 1.3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으로 성별, 연령대를 고려한 노인대상 우울 예방 정책 및 프로그램이 우울의 주요한 중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affecting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by sex among the elderly. 5,279 subjects(≥ 60)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health level and self-rated health statu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CES-D≧21) was 19.9%, male 16.24%(moderate: 5.9%, severe: 10.3%), female 23.5% (moderate: 9.2%, severe: 14.3%). And the risks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non-economic activity state, worse self-rated physical health state and less daily and social activity in whole elderly. Especially, those were increased in older and living Province area compared to Seoul subjects in female. Therefore, to prevent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t should be considered the health policy and program specified by sex and age as important intervention of depression.

      • KCI등재

        연기의 기술적, 의식적 리미널리티(liminality)와 배우의 아우라의 상관성-물질성 탐색의 한 과정으로서의 개념적 이해-

        권경희 ( Kyoung Hee Kwon ) 한국연극학회 2014 한국연극학 Vol.1 No.53

        연극이 형태 없는 연기(煙氣)로 지어진 신비로운 건축물이라 할 때, 그것을 완성하는 배우의 몸-정신-영혼의 유기적 구성의 층위는 매우 복잡하게 작동하거니와 상당부분 비과학적인 세계에 속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무대 위 배우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뭐라 설명하기 어려운 특별한 기운은 분명히 확인된다. 그것을 에너지의 결, 존재의 뉘앙스 혹은 간단히 배우의 아우라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것은 연극 전체의 의미맥락이나 상황적 해석과는 다른 차원에서, 그러나 무대적 총체성 속에서 어떤 특별한 실재감으로 생생하게 너울대는 배우의 현존적 뉘앙스를 의미한다. 메이어홀드, 그로토프스키, 바르바, 이들은 모두 다름 아닌 ‘배우’의 연극을 최고의 가치로 두었다. 연극의 창조적 표현은 각기 다르나 궁극적으로 배우의 ‘몸 형식의 재발견’이란 유사한 지점에서 이들은 서로 만난다. 무의식적이고 자연발생적이며 경제적인 몸형식에서 벗어나, 완전히 (비)의식적이고 낯설고 비경제적인 몸형식의 기술적 세계에 도달하기 위한 갈망이 기본적으로 같기 때문이다. 그들은 인간적인 몸의 형식보다는 인위적인 몸의 형식을 발견함으로서 배우가 무대적 생명력과 실존의 자질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무엇보다도 중시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리미널리티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상인으로서의 ‘나’를 뛰어 넘어, 시련을 이겨낸 낯선 존재이자 풍부해진 존재로 거듭나게 되는 중간지점을 전이역이라 간단히 규정해 본다. 자연적인 인간존재로부터 배우의 본질로 침투해 들어가는 매순간, 그리고 각 단계에서 겪게 되는 신비적인 힘들의 용해와 결합, 궁극적인 리얼리티의 연금술적인 종합작용은 바로 이 중간지점에서 발생한다. 언급한 세 명의 선구적 실험가들의 경우, 배우의 의식에서 출발해 의식화된 몸에 이르기까지는 이들 모두의 행로가 유사하다. 메이어홀드는 의식과 함께 몸을 부리면서 신체조각성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그로토프스키는 의식화된 몸의 완성 이후 그 의식조차 버리고 낯설게 태어나는 몸의 ‘자율성’을 신뢰한다. 바르바 경우, 관습성을 벗어던지고 몸-정신의 새로운 속성과 생명력으로 거듭 태어난 배우로부터 연극은 출발한다. 이들에게 연기적 전이역은 진정한 ‘배우로 갖춰지기’ 위한 심층적 자기화과정과 다름없어 보인다. 그리고 의식과 몸, 의식의 몸, 의식몸의 유기체적 인식과 상호적 운동원리를 찾아내고 반복, 확장하는 작업은 그 중심을 이룬다. 전이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배우의 자기침투, 자기변형, 자기실현의 심오한 층위는 이때 이루어진다. 심층적 자기화과정을 거친 그것은 마침내 ‘새로이 신체화된 의식과 사유의 리듬(에너지)이 체화된 몸’이자, ‘특유의 생체성/ 아우라를 내장한 몸틀’이 된다. 이 논문은 배우의 아우라의 생성과 필연적으로 관련된 전이역의 물리적 공간성을 특히 주목한다. If we define theatre as an infinite tower piled up by smoke, the strata of the organic composition of an actor``s/actress`` body-mind-spirit, may not only be complicatedly worked out, but it seems to belong to a non-scientific realm. Howev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true that the audience is eager to witness a certain kind of specific vitality from the actor/actress on stage. Of course the vitality is hard to be prescribed. Simply we call it a texture of energy, nuance of existence, or much simpler, an actor``s/actress`` ``aura``. That is, the existential nuance of the actor/actress. The nuance, which is surging from the actor``s/actress`` authentic presence, ultimately comes out of, not the circumstantial interpretation of the production but the power of its integration. We can find from the works of Meyerhold, Grotowsky and Barba the theatrical fact that the actor``s aura can be obtained by a kind of artificiality rather than innate characteristics of existence. These directors commonly regard theatre as the actor``s/actress`` theatre. Respectively choosing his own specific methods of expression, they unexpectedly meet in a same spot in which actor``s/actress`` theatre can be realized by the rediscovery of the actor``s/actress``s body-form. In other words, their approaching methods to theatre look alike, at least in that abandoning reserving any natural, unconscious, economic body-form of an actor/actress, they rather try to discover a certain kind of ``technical`` body-form. The form which is totally non/un-conscious, unfamiliar and non-economical. Their research process explores an ideal body-form, and this thesis focuses on this point. For this work, I bring the notion of ``liminality`` that connotes the praxis for essential presence of the actor/actress as well as the incubating time and space nacessary for his/her rebirth. And for developing this work, I ask: Could not the actor``s/actress`` consciousness and the spatiotemporal dimensions (s)he meets, be possibly defined as the core of liminality, only in case that (s)he requires them in the process of, either exploring the unfamiliar body or familiarising with the unfamiliar body-form?As I mentioned above, the three frontiers`` theatrical journey is similar in part. For example, three all start from the actor``s/actress`` consciousness and then go through the body enlarged with it. Then they continue their journey, but different from one another. Meyerhold still uses the conscious body. But now he transforms it into a kind of mobilized sculptures. In comparison with Meyerhold``s use of the consciousness, Grotowsky puts his emphasis on an autonomous body which, if necessary, cast away even the innate consciousness. Likewise, to Barba, theatre always starts from the actor/actress who has already taken off all kinds of conventions. (Conventions should be re-designed!) The actor/actress therefore recreates him/herself as his/her body-mind wears a new, unfamiliar, readjusted form and vitality. And then this restructured body-mind may unceasingly aim at exploring its vitalized ``positive organism``, that is the waves of self-centering energy, an existential nuance, and an authentic (or maybe behavioral) expressiveness. Now it seems clear that the liminal process for the frontiers`` theatrical journey could be equalized as a profound process of self-penetration, self-transformation, and self-realization. This thesis explores the mystic realm of liminality.

      • SGML에 기반한 하이퍼미디어를 위한 HyTime 엔진 설계

        일정(Il-Jung Kwon),경희(Kyoung-Hee Shin),유재우(Chae-Woo Yoo)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Ⅱ

        HyTime(Hypermedia/Time-Based Structuring Language)는 SGML문서에 하이퍼미디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확장하고, 하이퍼미디어의 논리구조를 기술하기 위한 언어로 1992년 4월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되었다. 기존의 문서들은 각기 다른 플랫폼마다 그들만의 문서포맷이 정해져 있는 이유로 상이한 플랫폼에서도 문서를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SGML 표준을 채택하게 되었다. SGML 환경하에서 많은 문서들은 하이퍼링크와 멀티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로 발전하게 된다. 하이퍼미디어문서의 처리를 위한 표준으로 HyTime이 정의되고 많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이를 적용하고 있으며 하이퍼문서로의 확장을 위한 HyTime 엔진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미디어 문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HyTime 엔진의 설계와 HyTime 엔진의 처리절차에 관해 연구하였다.

      • KCI등재

        ‘단 하나의 공간’에서 몸으로 매개되는 연극적 특유성

        권경희 ( Kwon Kyoung Hee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9

        공간을 범주적으로 분류해보니 자의적 잣대에 따라서 무수히 열거될 수 있는 것이 공간의 개념들이다. 현상학적 사유에 기대어 몸에 대한 인식에 접근하면서 몸이야말로 근원적 공간성의 중심체임을 확인하게 된다. 작은 부분이고 커다란 전체이며, 사물이고 관념인 유한 속 무한을 사는 몸이야말로 궁극에는 특유한 연극성의 건강한 태반이자, 현전의 절대적 강렬도(intensity)를 견인하는 가능성의 모태인 것이다. 감각하고 경험하고 생산하는 몸을 통해 공간은 생생한 의미로 일깨워진다. 특히나 인간이 외부세계에 ‘감기는’ 경험은 무엇보다도 감각을 통해 이루어진다. 몸은 가시적 외적 공간과 비가시적 내재적 공간을 역동적으로 포획한다. 몸적 공간과 연극적 공간의 물리적 융합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작용은 의미심장하다. 그것은 결국 연극을 위한 공간엔 어떤 특이한 성질이 전제 혹은 수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묻게 만든다. 몸은 운동으로서 반복과 차이를 발생시킨다. 섬세하고 긴밀히 연결된 몸의 기관과 조직들이 복잡하게 작동됨으로써 몸이 특별한 표현적 의미를 발산하는 것이 몸짓이다. 몸짓은 본능적이고 반사적이고 가시적인 행위이면서 동시에 상징적 표징으로서의 움직임으로, 주어진 공간 속에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낸다. 즉, 그 몸으로부터 (비)물질적 파동인 에너지가 생성되고, 거기엔 에너지 고유의 주기적 율동이라 할 수 있는 리듬이 동반되는 것이다. 세 요소들 즉, 몸, 에너지, 리듬은 특유의 몸짓을 개성적으로 살려내는 살아있는 질료들이다. 모든 공간이 어떤 것으로도 대체될 수 없고 반복될 수 없는 특유의 연극적 공간으로 변형되는 것은 가능하긴 하지만 현실적으론 그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 특이성으로서 특유한 연극은 무엇보다도 바로 그 살아있는 질료들의 작용으로부터 ‘특이성이 창출되는 공간’이란 관점에서, ‘단 하나의 공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 같다. 연극의 특유성, 혹은 연극적 차이화를 위한 조건으로서 상상력과 뉘앙스와 숭고를 주목해보면, 먼저 상상력은 인간이 가진 그 어떤 역능보다도 인간정신(심리)과 영혼의 생생한 특성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능력이 아니라 지각작용으로 받아들여진 그 ‘이미지들을 변형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모든 생명체는 특유의 존재 밀도와 고유의 생성에너지를 지니는데, 그것들의 미묘한 화학적 결합으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어떤 지속적인 특유성이 뉘앙스다. 비가시적 힘의 율동인 뉘앙스는 그래서 현전의 특유한 현상이자 에너지의 특이한 파동이다. 상상력이 시각에 의존하고 그 시각적인 것이 존재자의 영역에 머무는 것이라면, 뉘앙스는 감각적인 접촉으로 존재자와 존재자를 서로 촉지하게 한다. 한편, 형태나 윤곽은 경계를 한정하는데 그것이 미의 영역이라면, 숭고는 경계를 만들면서 스스로 제거하는 움직임(운동)이며 ‘제시가 발생하는 움직임 그 자체’라 할수 있다. 때문에 숭고는 정신의 작용으로선 그 지점의 실체를 파악하기 불가능한, 이성의 무능함을 드러내는 특이한 기호들의 율동이다. 느낌의 주체가 느낌에서 빠져나가면서 주관적이었던 느낌이 자기의 내면성으로 향하기보다는 오히려 바깥의 무한한 총체성으로 이끌리면서 더 이상 자기의 것이 아니게 되는 상태가 바로 숭고함의 순간이다. 스스로를 앞질러 돌연히 일어서는 상상력, 에너지와 리듬이 몸을 통해 솟구치는 뉘앙스, 미의 경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제시로서의 숭고함이 융합되는 유일성의 연극은, 바로 그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매우 희박한 가능성으로써 ‘단 하나의 공간’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 Considering space categorically, the spatial concepts can be infinitively enumerated according to arbitrary measures taken. As a sourceful core of spatiality, it would be necessary, to approach, amongst many, to an awareness of body, which relies, a great extent, on phenomenological thoughts. The body, not only as minor parts of an organism, but also as enormous wholeness of a living thing, becomes a matrix of possibility with an absolute subtlety and intensity, particularly for reaching a peculiar theatricality. The body per se, dynamically and magically, seizures both tangible external space and invisible internal space. The chemical fusion with both bodily space and theatrical space turns out significant in terms of their physical collision or colligation. This eventually leads to a question whether theatrical space premises a unique quality. On the one hand, the body makes differences and repetitions through its exercises. On the other hand, the body brings about bodily gestures(momgit), from which emits especial expressive meaning, as being complicatedly operated with its organs intimately connected. From the very body, energy as non-material waves can be generated, rhythm as cyclical energy accompanied, likewise, eurythmics as metaphysical motor derived from. Undoubtedly, those three elements, body, energy and rhythm may be authentic substances that possibly make particular gestures more vividly and characteristically alive. Theoretically, it would not be impossible, but tremendously rare, that all the spaces can probably be transformed into a peculiar theatrical space, which can never be replaced by, or repeated by anything. However, the peculiar theatre with its own peculiarity must be indissociable from ‘the only one space’, in the respect that the space creates the peculiarity caused by the effect of those authentic substances. As sine qua non for theatrical peculiarity or theatrical differenciations, it demands imaginations, nuances, and sublimity: imaginations that abruptly rises to its feet, getting ahead of itself; nuances that spurting from both energy and rhythm through the body; sublimity as new presentation crossing boundaries of aesthetics. Theatre of peculiarity which compactly amalgamate those ingredients, that is imaginations, nuances and sublimity, could possibly contract a marriage of ‘the only one space’.

      • KCI등재후보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미치는 효과

        변혜선(Hye-Sun Byun),권경희(Kyoung-Hee Kwon),서부덕(Boo-Deuk Su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고충실도(High-fidelity) Simulator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을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실험연구이며 40명의 간호대학생들이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은 강의, 술기교육, 팀기반 문제중심 학습법과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을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식과 자기 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된 반면 전문심장소생술 관련 문제해결과정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고충실도(High-fidelity) Simulator 를 이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지식, 자기 효능감, 임상상황의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임을 확인해주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간호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regarding care in a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emergency care using high-fidelity simulator in nursing students. Forty nursing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20 nursing stud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nursing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simulation-base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emergency care education included lecture, skill training, problem-solving learning, team-based simulation practice, and debriefing. The results showed that a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high-fidelity simulator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knowledge, self-efficac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learning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emergency care. However, a simulation-based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emergency care education program and research to promot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needs to be more developed.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감 영향 요인

        서부덕 ( Boo Deuk Suh ),권경희 ( Kyoung Hee Kwon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21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among elderlies of activity of daily living,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loneliness, stress in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of 142 elderlies in D city and K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otal mean scores of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3.66±0.52, total mean scores of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was 2.77±0.58, total mean scores of loneliness was 2.09±0.43 and total mean scores of participation of depression was 9.97±4.45. Depression wa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r=0.67, p<0.001), stress (r=0.10, p=0.260). Depression wa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r=-0.49, p<0.001),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y (r=-0.54, p<0.001).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neliness,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 54% of depression. Loneliness was the biggest predictor of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onelines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elderlies in the South Korea community in COVID-19 pandem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