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인체의 난관수종액이 생쥐의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II. 포배기내의 세포 수에 미치는 영향

        궁미경,전진현,송상진,송지홍,홍수정,유근재,손일표,김정욱,강인수,Koong, Mi-Kyoung,Jun, Jin-Hyun,Song, Sang-Jin,Song, Ji-Hong,Hong, Soo-Jeong,Yoon, Keun-Jae,Song, Il-Pyo,Kim, Jeong-Wook,Kang, Inn-Soo 대한생식의학회 199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6 No.2

        In our previous study, we observed that hydrosalpingeal fluid (HSF) adversely effect mouswe embryo development and hatch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HSF as assessed by the blastocyst development rate (BDR) and by cell counting in vitro. HSF was collected from ninie patients undergoing salpingoneostomy to correct hydrosalpinx. Two-cell embryos were obtained from superovulated ICR mice. T6 medium and $T6{\pm}0.4%$ bovine serum albumin were used as control media. T6 medium containing 10% or 50% HSF and 100% HSF from each patient were used as test media. Nine to 15 embryos were cultured in micro drops prepared from each of these media. To assess the total cell number within each blastocyst, the blastocysts were fixed and stained with Hoechst 33342 to facilitate cell counting. The mean BDR in two control media were 88.89% and 85.40%. The mean BDR in media containing 10%, 50%, 100% HSF were 85.87%, 89.58% and $75.57%^*$, respectively ($^*$: p<0.05). The overall mean cell count $({\pm}SEM)$ in control media were $87.6{\pm}9.65\;and\;90.12{\pm}11.38$. The BDR was affected adversely only by 100% HSF and not in media containing 10% or 50% HSF. Mean cell cou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blastocysts cultured 100% HSF ($63.8{\pm}13.66$; p<0.01) but not in blastocysts cultured in 10% or 50% HSF ($91.3{\pm}12.44\;and\;82.9{\pm}18.27$, respectively). Thus, it is concluded that HSF has no embyotoxic effect but has a mildly negatively effect on embryonic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생리혈내 탈락된 자궁내막세포의 유착력에 관한 연구: 자궁내막증의 병인 연구를 위한 실험 모델

        궁미경(Mi Kyoung Koong),전진현(Jin Hyun Jun),김은수(Eun Soo Kim),고경남(Kyoung Nam Ko),홍수정(Soo Jeong Hong),송지홍(Ji Hong Song),유근재(Keun Jai Yoo),강인수(Inn Soo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아직도 잘 밝혀지지 않았으나, 역류된 자궁내막세포 및 조직이 복강 내로 전이, 착상되어 형성된다는 가설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복강 내에서 어떤 과정에 의해 자궁내막세포 및 조직이 복막에 유착되고 침윤되어 병변이 발생되는 가에 관하여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막을 이용하여 생리혈에 존재하는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이 상피층에 유착될 수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정상적인 생리주기를 갖는 20명의 여성으로부터 생리주기 제2일이나 제3일에 자궁으로부터 Wallace catheter를 통해 흘러나오는 생리혈을 채취하였다. 양막은 합병증이 없는 만삭분만시의 태반으로부터 채취,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채취된 생리혈은 Ham's F-10 배양액으로 2회 세척한 후 준비된 양막조각 위에서 배양액과 함께 5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양막에 자궁내막조직이 유착된 부위를 해부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고, 유착부위가 관찰되면 이를 고정하여 조직절편으로 만들어 염색, 관찰하였다. 결과: 생리혈에 존재하는 자궁내막조직의 유착부위는 양막의 세포외 기질층 뿐 아니라 상피층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유착부위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여 현미경적 크기부터 육안 확인 가능한 크기까지 관찰되었다. 결론: 생리혈에 존재하는 자궁내막조직은 이미 탈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유착력은 자궁내막증을 일으키는 데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hed endometrial tissues in menstrual fluid (MF) have adhesive potentials, using human amniotic membrane (AM). Methods: The MF from 20 patients with regular menstruation was collected with Wallace catheter by aspiration from the uterine cavity on the second or third day of the menstrual period. The AM was obtained from the placenta of term delivery without any complication. The MF was washed and diluted fivefold with Hams F-10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The cell suspension was placed on either epithelial layer (EP) or extracellular matrix layer (ECM) of the AM. After 5 days of culture, the adhesion sites were observed under a stereomicroscope. For histological observation, each cultured AM was prepared for the serial paraffin section. Results: The adhesion sites of endometrial tissues in MF were found both ECM (20/20) and EP (11/20) of the AM. The size of adhesion sites in each AM were highly variable from microscopic to macroscopic size.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shed endometrial tissues in MF have adhesive potential to epithelial layer in addition to extracellular matrix layer of amniotic membrane. This adhesive potential may be related to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We suggest that this culture system can be useful as an in-vitro model for endometriosis.

      • SCOPUSKCI등재

        Effect of Hydrosalpingeal Fluid on the Implantation in-vitro in a Murine Model

        전진현,궁미경,임천규,김수경,강인수,Jun, Jin-Hyun,Koong, Mi-Kyoung,Lim, Chun-Kyu,Kim, Soo-Kyung,Kang, Inn-Soo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7 No.2

        연구목적: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난관수종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과 착상률이 감소된다는 보고들이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배아를 이용한 체외 착상모델에서 인간의 난관수종액(HSF)이 착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난관수종액은 난관수종으로 수술을 받은 8명의 환자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생쥐의 포배기 배아는 2-세포기배아를 3일 동안 배양하여 그 중 상태가 양호한 포배기 배아만을 선별하여 투명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기본 배양액으로는 Ham's F-10을 사용하였으며, 배양 시 기본 배양액만을 사용한 경우를 group Ⅰ으로 하였고, 기본 배양액에 0.5% FBS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Ⅱ, 0.5% FBS와 50% HSF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Ⅲ , 100% HSF에 0.5% FBS를 첨가한 경우를 group Ⅳ,100% HSF만을 사용한 경우를 group Ⅴ로 하였다. 투명대를 제거한 포배기 배아를 각각의 HSF에 대한 5종류의 배양액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체외 착상 유무는 부착 부위에서 크기가 커진 영양세포들을 관찰하여 판정하였으며, 착상 부위의 표면적은 화상분석기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결 과: 생쥐 배아의 체외 착상률은 group Ⅰ, Ⅱ, Ⅲ, Ⅳ, Ⅴ에서 각각 0%, 98.9%, 77.5%, 40.4%, 10.0%로 나타났으며, 착상 부위의 평균 표면적은 group Ⅱ, Ⅲ, Ⅳ, Ⅴ에서 각각 $74,675{\pm}25,201{\mu}m^2$, $59,024{\pm}25,877{\mu}m^2$, $45,156{\pm}22,654{\mu}m^2$, $38,254{\pm}17,115{\mu}m^2$이었다. 체외 착상률과 부위의 표면적은 HSF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결론:인간의 난관수종액(HSF)은 생쥐 배아의 체외 착상과 영양배엽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원인이 난관수종을 갖는 환자에서 임신율이 낮은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폐쇄성 무정자증과 비폐쇄성 무정자증에서 체외수정시술 후의 임신 결과 비교

        박찬우,궁미경,양광문,김진영,유근재,서주태,송상진,박용석,강인수,전진현,Park, Chan-Woo,Koong, Mi-Kyoung,Yang, Kwang-Moon,Kim, Jin-Young,Yoo, Keun-Jai,Seo, Ju-Tae,Song, Sang-Jin,Park, Yong-Seog,Kang, Inn-Soo,Jun, Jin-Hyun 대한생식의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0 No.3

        Objective: To compare the pregnancy outcome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ith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VF-ICSI) between obstrucvtive and non-obstrucvtive azoospermia. Methods: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2002, 524 patients with obstructive azoospermia (886 cycles) and 163 patients with non-obstructive azoospermia (277 cyc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icrosurgical epididymal sperm aspiration (MESA) or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in obstructive azoospermia and TESE in non-obstructive azoospermia were perfomed to retrieve sperm, which was used for ICSI and then fertilized embryos were transferred. The results of ICSI - fertlization rate (FR), clinical pregnancy rate (CPR), clinical abortion rate (CAR) and delivery rate (DR) - were statistically analysed in obstructive versus non-obstructive azoospermia.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injected oocytes for ICSI and oocyte maturation rate. F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bstructive than non-obstructive azoospermia (71.7% vs. 61.1%, p<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CPR per embryo transfer cycle. After pregnancy was established, however, C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obstructive than obstructive azoospermia (25.6% vs. 12.5%, p=0.004). DR per clinical pregnancy cyc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bstructive than non-obstructive azoospermia (78.0% vs. 64.4%, p=0.012). In the karyotype ananlysis of abortus, abnormal karyotypes were found in 75.0% (6/8) of obstructive and 55.6% (5/9) of non-obstructive azoospermia. Conclusion: Our data show significantly higher FR in obstructive than non-obstructive azoospermia. Though there was no differrence in CPR, C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obstructive than obstructive azoospermia. The abortion may be related to the abnormal karyotype of embryo, bu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cause of clinical abortion in azoospermia.

      • SCOPUSKCI등재

        Poor Responder 환자에서 Clomiphene Citrate 주기와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주기의 체외수정 결과 비교

        송지홍,궁미경,Song, Ji-Hong,Koong, Mi-Kyoung 대한생식의학회 199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e IVF cycle outcome in poor responders between clomiphene citrate (CC) stimulated and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protocol. A total of 94 patients responding poorly in previous IVF cycles (estradiol<600 pg/ml or less than 3 oocytes retrieved) subsequently underwent either COH (COH group: 122 cycles, 68 patients) or CC-stimulated cycles (CC group: 43 cycles, 26 patients). CC was administered for five consecutive days starting on cycle day 3 at a dose of 100 mg daily. Serial transvaginal ultrasound examination was done from cycle day 8. Urine was collected $3\sim4$ times before hCG injection for the detection of LH surge. The hCG was administered when serum estradiol reached greater than 150 pg/ml and mean follicle diameter>16 mm. In COH group, ovarian stimulation was done using short protocol (GnRH-a/FSH/HMG/hCG). No difference in age or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was found between CC group and COH group. COH group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mean peak level of $E_2$ ($810{\pm}112$ vs $412{\pm}55$ pg/ml) and greater number of retrieved oocytes ($3.0{\pm}0.2$ vs $2.0{\pm}0.2$) than CC group. CC group had transferred embryos $(1.8{\pm}0.2)$ compared with $(2.1{\pm}0.2)$ in COH group. However, CC group had higher pregnancy rate than COH group per retrieval [26.9% (7/26) vs 6.2% (6/97)], or per transfer [31.8% (7/22) vs 7% (6/86)]. Although cycle cancellation rate in CC group (48.8%) was higher than that of COH group (21.3%), the pregnancy rate per cycle in CC group was still higher (16.3%) than COH group (4.9%). In addition, implantation rate in CC group was 17.5% (7/40), which was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3.9% (7/180) in COH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oocyte and embryo quality are lower in COH cycles of poor responders than CC cycles. We suggest that clomiphene citrate stimulated IVF cycle may be more efficient than COH IVF cycle in poor responders in terms of lower costs and higher pregnancy performance.

      • SCOPUSKCI등재

        Endometrial Cell Culture: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Immortalization

        홍인선,김석현,궁미경,전진현,이영순,강경선,Hong, In-Sun,Kim, Seok-Hyun,Koong, Mi-Kyoung,Jun, Jin-Hyun,Lee, Yong-Soon,Kang, Kyung-Su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0 No.4

        목 적: 본 실험의 목적은 자궁내막세포를 분리 및 배양법 확립과 함께 불멸화 시키는 것이다. 방 법: 자궁내막에서 상피세포(epithelial cells)와 기질세포(stromal cells)의 분리는 Satyawaroop 등(1979)의 방법에 기초를 두었다. 자궁내막에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의 순수 분리도를 확인하고, 불멸화된 기질세포에서 SV40 large T antigen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형광 염색(immunocytochemistry)과 Western blot 기법을 이용하였다. 정상 기질세포의 경우 subconfluence (60%) 상태에서 transfection을 진행하였다. 순수 분리된 plasmid DNA와 Qiagen 사의 superfect를 이용하여 transfection을 실시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 우리는 두 가지 형태의 자궁내막 세포의 분리 및 배양에 성공하였다. 상피세포는 다면체의 형태를 띠며, 선(grandular)조직의 조각으로부터 나선형으로 자란다.기질 세포는 길쭉한 형태를 띠며, 상피세포에 비해 오래 살고, 빠르게 증식하여 나란한 형태로 배열된 세포 다발(cell bundle)을 형성한다. 이렇게 분리된 세포들은 95%의 균질성을 보였으며, 면역형광염색과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 하였다. 한편 SV40(Simian Virus 40) large T 항원을 암호화 하고 있는 염기 서열을 포함한 플라스미드 벡터로 안정적인 트랜스펙션을 시킴으로써 불멸화 된 자궁내막의 기질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불멸화 된 세포는 그 세포가 유래한 정상의 세포와 동일한 표현형을 가지고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우리는 자궁내막에서 상피세포(epithelial cells)과 기질세포(stromal cells)를 분리하여 배양법을 확립하였다. 동시에 SV40 large T antigen을 이용하여 불멸화된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이렇게 확립된 세포주는 자궁의 생리작용 연구 및 자궁내막증(Endometriosis)과 자궁암(Endometrial cancer) 등과 같은 여러 자궁관련 질병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생리혈에 존재하는 자궁내막조직에서 자궁내막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

        박찬우,전진현,궁미경,송인옥,Park, Chan-Woo,Jun, Jin-Hyun,Koong, Mi-Kyoung,Song, In-Ok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4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생리혈에 존재하는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에서의 자궁내막증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과 자궁내막증 병태생리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 (n=16)와 정상 대조군 (n=26)에서 생리주기 2$\sim$3일째 Wallace catheter로 채취한 생리혈로부터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을 분리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12종류의 자궁내막증 관련 유전자들의 mRNA 발현 양상을 semi-quantitative RT-PCR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생리혈에서 분리한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은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자궁내막조직임을 확인하였다. 총 12가지 종류의 자궁내막증 관련 유전자에 대한 RT-PCR 분석에서 telomerase, c-kit, aromatase등의 mRNA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사멸 (apoptosis)과 관련성이 있는 fas, fas ligand, bcl-2, bax 유전자와 stem cell factor, ER-$\alpha$/$\beta$, endometriosis protein-I, secretory leukocyte protease inhibitor 등의 mRNA 발현 양상은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결론적으로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생리혈에 존재하는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에서 분석하였지만 의미성이 있는 유전자를 동정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자궁내막조직의 생리학적 특징인 생리주기에 따른 유전자 발현의 역동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s of endometriosis related genes in shed endometrial tissues from menstrual blood of patients with or without endometriosis. Methods: The shed endometrial tissues were collected on 2$^{nd}$ or 3$^{rd}$ day of menstrual cycle with Wallace catheter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n=16) and without endometriosis (n=26). The mRNA expressions of twelve kinds of endometriosis related gen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using semi-quantitative RT-PCR. Results: The collected shed endometrium was confirm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 Expressions of telomerase, c-kit and aromatase mRNA were not detected by RT-PCR in shed endometrial tissues. The mRNA expressions of apoptosis related genes (fas, fas ligand, bcl-2, bax), stem cell factor, estrogen receptor-$\alpha$/$\alpha$, endometriosis protein-I and secretory leukocyte protease inhibitor gene were similar between shed endometrial tissues with endometriosis and without endometriosis. Conclusion: We could not find the difference of mRNA expressions of tested endometriosis related genes between shed endometrial tissues with or without endometriosis by semi-quantitative RT-PCR analysis. It may be related to the dynamical changes of gene expressions in the endometrium with menstrual cycle.

      • KCI등재후보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세포에서 MACS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한 세포의 특성에 대한 연구

        조재원,임천규,신미라,방경희,궁미경,전진현,Cho, Jae Won,Lim, Chun Kyu,Shin, Mi Ra,Bang, Kyoung Hee,Koong, Mi Kyoung,Jun, Jin Hyun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3

        목 적: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재생 의학이나 조직공학에 있어서 큰 잠재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다양한 growth factors 처리나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켜 특정 세포로 유도 분화 및 분리가 가능하지만 그 효율성은 아직까지 낮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비특이적으로 분화된 세포들을 특정 세포 표면 항체를 이용한 magnetic cell sorting (MACS) 방법으로 분리, 배양하여 그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미분화 배아줄기세포주(Miz-hESC4)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계대 배양하였으며, 부유 배양법으로 배아체 형성을 유도하였다. 배아체의 자발적인 분화를 위해 DMEM에 10% FBS를 첨가하여 2주 동안 배양하였다. 이렇게 분화된 세포들을 CD34, human epithelial antigen (HEA), human fibroblast (HFB)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MACS system으로 각각의 항체에 대한 양성 또는 음성 세포를 분리하였다. 이러한 MACS 분리 세포를 4주 동안 배양하면서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특이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분리 배양한 CD34 양성 세포들은 배양 초기에는 둥근 형태를 나타내다가 배양 후기에는 작은 다각형의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HEA 양성 세포들은 큰 다각형의 형태를 나타내었고, HFB 양성 세포들은 전형적인 방추체 형태로 관찰되었다. 특이 유전자에 대한 RT-PCR 결과에서, CD34 양성 세포들과 HFB양성 세포들에서는 내배엽과 중배엽 관련 유전자의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HEA 양성 세포들에서는 외배엽 관련 유전자인 NESTIN과 NF68KD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CD34 양성 세포의 특이 유전자 발현 양상이 변화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는 비특이적으로 분화된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특이 세포를 MACS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MACS 방법과 특이 세포에 대한 항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유도 분화와 특이 세포의 분리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Human embryonic stem (ES) cells have a great potential in regenerative medicine and tissue engineering. The human ES cells could be differentiated into specific cell types by treatments of growth factors and alterations of gene expressions. However, the efficacy of guided differentiation and isolation of specific cells are still low.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d isolated cells from differentiated human ES cells by magnetic activated cell sorting (MACS) system using specific antibodies to cell surface markers. Methods: The undifferentiated hES cells (Miz-hESC4) were sub-cultured by mechanical isolation of colonies and embryoid bodies were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with DMEM containing 10% FBS for 2 weeks. The differentiated cells were isolated to positive and negative cells with MACS system using CD34, human epithelial antigen (HEA) and human fibroblast (HFB) antibodies, respectively. Observation of morphological changes and analysis of marker genes expression were performed during further culture of MACS isolated cells for 4 weeks. Results: Morphology of the CD34 positive cells was firstly round, and then it was changed to small polygonal shape after further culture. The HEA positive cells showed large polygonal, and the HFB positive spindle shape. In RT-PCR analysis of marker genes, the CD34 and HFB positive cells expressed endodermal and mesodermal genes, and HEA positive cells expressed ectodermal genes such as NESTIN and NF68KD. The marker genes expression pattern of CD34 positive cells changed during the extension of culture time.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isolation of specific cells by MACS system from undirected differentiated human ES cells. Thus, MACS system and marker antibodies for specific cell types might be useful for guided differentiation and isolation of specific cells from human ES cells.

      • KCI등재

        생리혈에 존재하는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의 체외배양 시 나타나는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전진현(Jin Hyun Jun),궁미경(Mi Kyoung Koong),강인수(Inn Soo Kang),양광문(Kwang Moon Yang),홍수정(Soo Jeong Hong),김문규(Moon Kyoo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

        목적: 자궁내막증의 체외 모형에 적합한 생리혈 내의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을 체외배양하면서 나타나는 변화와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정상적인 생리주기를 갖는 10명의 여성으로부터 Wallace catheter를 이용하여 생리혈을 채취하였다. 원심분리 방법으로 생리혈을 세척한 후, 수획한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은 10% fetal bovine serum이 첨가된 Ham's F-10배양액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자궁내막조직 세포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cytokeratin과 vimentin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생리혈의 평균 양은 0.7ml이였으며, 세척 후 혈액세포와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이 포함된 침전부위의 평균 양은 0.3ml 이였다. 체외배양 한 자궁내막조직의 15% 정도가 배양접시 표면에 부착된 후 증식하였다. 일차적으로 상피세포와 섬유아세포가 배양접시의 표면에 부착하여 증식하였으며, 기질세포들은 상피세포 위에서 증식하였다. 면역조직학적 염색에서 상피세포, 기질세포, 섬유아세포 등이 확인되었으며, 공촛점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체외배양된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의 3차원적인 구조 관찰에서 외부에는 상피세포가, 내부에는 기질세포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생리혈 내의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의 체외배양 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가 밀접한 연관성을 유지하면서 증식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체외배양 체계는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대한 연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체외 모형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via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hed endometrial tissues obtained from menstrual fluid during in-vitro culture. Methods: The menstrual fluids were collected using Wallace catheter from uterine cavity in 10 women with regular menstruation. The menstrual fluids were washed twice, and the pellets, containing blood cells and shed endometrium, were collected and diluted fivefold with Ham's F-10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The cell suspension was placed on culture dishes, and cultured for 7 days in an incubato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d endometrial cells,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anti-cytokeratin and anti-vimentin antibody. Results: The mean volume of menstrual fluids and pellets were 0.7ml and 0.3ml, respectively. Only 15% of the shed endometrial tissues were attached and proliferated in culture dishes, which was considered to have viability. Initially,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and fibroblasts were attached and proliferated, and the area of these cells was increased according to prolong the culture time. Stromal cell colonys were located and proliferated on the epithelial cells. IHC staining showed strongly positive for cytokeratin in epithelial cells and for vimentin in stromal cells. In the confocal microscopic observation of 3-dimensional structure of cultured endometrium, cytokeratin-positive cells (epithelial cells) were located in the pheriphery and cytokeratin-negative cells (stromal cells) inside of the structure. Conclusion: From our study, shed endometrial tissues in menstrual fluid showed meaningful viability and closed relationship between epithelial cells and stromal cells during in-vitro culture. Thus, we suggest that the in-vitro culture system of shed endometrium is a suitable model for researches of endometriosis.

      • SCOPUSKCI등재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atients with Old Age or Non-Pregnant in Fresh ET Cycles

        최수진,이선희,송인옥,궁미경,강인수,전진현,Choi, Su Jin,Lee, Sun Hee,Song, In Ok,Koong, Mi Kyoung,Kang, Inn Soo,Jun, Jin Hyu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4

        목 적: 동결-융해 배아이식은 보조생식술에서 환자들에게 보다 많은 임신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후가 좋지 않은 환자들에서 동결-융해 배아이식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나이가 많은 고령 환자군 (38~44세)과 신선주기 배아이식에서 임신 실패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과배란 유도를 통해 채취한 난자를 일반적인 체외수정 또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하여 수정을 유도하고, 잉여의 전핵 또는 난할 시기의 배아를 완만동결법으로 동결하였다. 동결보관 배아는 급속융해법으로 융해하여 호르몬요법을 시행한 환자의 자궁에 이식하였다. 신선 배아이식과 동결-융해 배아이식 과정에서의 배아 상태, 임신율, 착상률 등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나이가 많은 고령군에서 신선 배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과 동결-융해 배아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0.0{\pm}1.8$세 (n=206)와 $39.9{\pm}1.9$세 (n=6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적인 임신율과 착상률은 동결-융해 배아이식에서 29.0%와 11.2%로 신선 배아이식의 16.5%와 7.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첫 번째 신선 배아이식에서 임신 실패군의 연속되는 신선 배아이식 환자군 ($31.2{\pm}2.3$, n=40)과 동결-융해 배아이식 환자군 ($31.9{\pm}3.1$, n=119)에서의 평균 연령은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적 임신율 (42.5% vs 40.3%)과 착상률 (22.6% vs 18.8%)도 유사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동결-융해 배아이식이 고령 환자들에서 효과적으로 임신율과 착상률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배란 유도에 따른 자궁의 착상 환경 변화가 고령 환자들에서 임신율과 착상률을 저하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oor prognosis patients such as the old age (38~44 years; OA group)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achieve clinical pregnancy with the first fresh ET cycle (non-pregnant patients; NP group). Methods: Laboratory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fresh and frozen-thawed ET cycles of OA and NP group.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and conventional insemination or ICSI, in vitro culture and ET were performed by routine procedures. Supernumerary embryos were frozen by the slow freezing method, and frozen embryos were thawed by the rapid thawing method. Embryo development,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tudent t-test and chi square test Results: Mean ages were similar between fresh ET ($40.0{\pm}1.8$ years, n=206) and frozen-thawed ET ($39.9{\pm}1.9$ years, n=69) cycles in OA group. However,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 of subsequent frozen-thawed E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 ET cycles (29.0% and 11.2% vs. 16.5% and 7.0%, p<0.05). In NP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etween fresh ET ($31.2{\pm}2.3$ years, n=40) and frozen-thawed ET ($31.9{\pm}3.1$ years, n=119) in subsequent cycles.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imilar between the subsequent fresh ET (42.5% and 22.6%) and the frozen-thawed ET (40.3% and 18.8%). Conclusion: In old age patients, higher pregnancy rate of frozen-thawed ET compared to fresh ET cycles in this study. It may be related that better uterine environments for implantation in frozen-thawed ET cycles than that of non-physiological hormonal condition in uterus of fresh COH cy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