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거정의 시선 속 15세기 공신의 삶 -묘도문자의 특징적 면모를 중심으로-

        구슬아 ( Koo Seul-ah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59 No.-

        이 글은 서거정이 찬술한 묘도문자 25편 가운데 공신을 대상으로 한 작품을 분석하여 그의 정치의식을 유추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거정은 세조의 치세를 태평성대로 규정하고 있다. 그는 뛰어난 능력을 지닌 인재들을 알아보는 세조의 知人之鑑과 거기에 부응하는 공신들의 정치적 활약상을 묘사하는 일화를 통해 君臣共治의 이상을 형상화하였다. 둘째, 서거정은 정치인들의 원칙적 삶과 ‘청렴’을 중시하는 면모를 드러냈다. 나아가 『필원잡기』에 관련 일화를 재수록함으로써 후대의 정치인들에게 공적ㆍ원칙적 자세를 견지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교육적 효과를 달성하였다. 셋째, 서거정은 관각문인들에 대한 남다른 우호를 드러내며 문장의 정치적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였다. 정치적 업적 대신 이들이 편찬에 관여한 관찬 서명을 열거하여, 이들이 조선의 융성한 문운을 창도한 주인공임을 드러냈다. 이처럼 서거정은 공신을 대상으로 한 묘도문자를 통해 조선의 태평성대를 함께 견인한 동료들과 자신의 정치적 영광을 회고하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inferring his political views through the epitaph written by Seo Geo-Jung for vassal of merits. Among them, the epitaphs created for vassal of merits shows the following three views of politics. First, Seo Geo-Jung defines King Sejo's reign as peaceful reign. He praised King Sejo's eye for recognizing talented people. It also included anecdotes and arguments describing the political activities of vassal of merits who lived up to King Sejo. Second, Seo Geo-Jung repeatedly emphasized that the contributors lived a life of principleism. In particular, he valued ‘integrity.’ And He re-recorded this in his writings Pilone-japgi(筆苑雜記), and achieved the effect of educating future politicians about what they should have as a politician. Third, Seo Geo-Jung showed exceptional friendship among the vassal of merit, especially to the literary person. Instead of their political achievements, he listed the names of the books they compiled, emphasizing that they were the protagonists of Joseon's prosperous literature. Seo Geo-Jung recalls the political glory of himself and his colleagues who have lived in the same period.

      • KCI등재

        김종직(金宗直)의 서적 간행 활동 일고 - 지방관 재임기를 중심으로 -

        구슬아 ( Koo Seul-ah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6 No.1

        본고는 占畢齋 金宗直의 정치적 이력 가운데 가장 중요한 治績을 남긴 것으로 평가되는 지방관 재임기, 그가 嶺南 지역에서 간행한 8종의 서적들을 목록화하고 그 간행 양상과 특징, 목적을 연구한 것이다. 먼저 김종직이 간행에 관여한 서적들이 문장 학습 및 科擧 준비와 일정부분 관련이 있음을 살피고, 그것이 조선전기 영남 지역의 학술사·서지사적 경향과도 일치함을 분석하였다. 김종직은 經書와 문장학습서를 중심으로 지방의 인재를 고무시키고 향촌의 문화를 유교적으로 쇄신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그는 지방의 인재들이 과거를 통해 중앙 조정으로 진출하여 조선의 문명화를 진행할 것을 주문하였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경전의 독서를 가능하게 하는 각종 注解書를 간행하였다. 그것은 유가의 경전에만 머물지 않고, 당송고문을 학습할 수 있는 문장선집, 예서 등에 이르렀다. 특히 주해서는 조선전기의 경전 학습방법을 유추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김종직은 자신이 간행·보급하는 서적들이 지방 인재들의 학습교재이자 조선에 유가 문명을 확산시킬 도구로 활용되기를 바랐다. 이 연구를 통해 교육자로서 김종직의 면모를 재발견하고, 조선전기 문학사의 연구사적 공백을 일정 부분 메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publication patterns of 8 books published by Kim Jong-jik (金宗直) during his reign at the time of provincial office, which is considered to have left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in his political career. First, Kim Jong-jik observed that the books involved in the publication were related to learning sentences and preparin g for examinations(科擧) in part, and analyzed them in line with academic and surgical historic trends in the Yeongnam region of Joseon. Kim Jong-jik wanted to promote local talent and help reform the culture of the home town, focusing on the subject and academic studies. He asked local talents to move on to central government through examinations to promote the civilization of Joseon. Accord ingly, various versions of the book were intended to enable more accurate reading of the Bible. Kim Jong-jik judged that sentences can be refined through accurate reading that can accurat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He also hoped that the books he published and distributed would be used as such teaching materials. Beyond encouragi ng local talents to enter the center, this data can be used to infer the methods of learning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Kim Jong-jik, an educ ator, can be rediscovered and that the research vacuum in Joseon Dynasty can be filled with a certain amount.

      • KCI등재

        서거정(徐居正) 산문(散文)에 대한 새로운 접근 -서문(序文)에 나타난 원(元)·명대(明代) 산문의 활용 양상-

        구슬아 ( Koo Seul-ah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3 No.-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 the aspect of the specific and unique writer Seo Geo-Jung(徐居正) as the power of the Chosun dynasty. Unlike the other writers of early Chosun, he revealed his poverty by using the latest paragraph trends of the Won and Ming Dynasty prose. Through this new discovery, I analyzed the changes of literary trends in the early Chosun and his usage patterns. Seo Geo-Jeong has left traces of reading the literary texts of Won and Ming's personal writers in various places. Most of the 15th century writers show their love to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Tang and Song Dynasty. On the other hand, he read the latest Chinese literature and left a criticism on it, revealing the preference for a hermit's hermit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ceptance and variation patterns of Won and Ming prose, the scope of the preliminary quotation was first extended to other readers. He has taken words and sentences from the works of Won and Ming Dynasty prose. By virtually plagiarizing the works of others, we were able to identify negative cases that failed to develop his own literary achievements. On the other hand, he left a masterpiece by actively reinterpreting the themes and expressions of original prose. Although the literary formulas are few in the preface of the Seo Geo-Jeong, Bu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utilizing the various quotation of the an authentic precedent on the Won and Ming Dynasty prose. This should be newly illuminated as a new aspect of the early Chosun’s literacy trend. In particular, since all the writers of the fifteenth century were not able to read the latest books, his efforts can be seen as a means to solidify his literary reputation as a cultural power of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류성룡(柳成龍)이 재현한 아버지의 일생 -『종천영모록(終天永慕錄)』 수록 「선고행년기(先考行年紀)」의 글쓰기 방법 연구-

        구슬아 ( Koo Seul-ah )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4

        柳成龍은 자신의 아버지 立巖 柳仲郢의 삶을 「先考行年紀」라는 독특한 작품 속에 재현하였다. 「선고행년기」는 류성룡이 형 류운룡과 함께 찬술한 것이다. 류운룡의 주도로 1573년경 「先府君行年紀」의 1차 찬술이 완료되었고, 약 30년 뒤 류성룡은 「선부군행년기」 속 정보의 검증을 통해 아버지의 삶을 총체적으로 재구하였다. 「선고행년기」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류운룡의 작품과 차이가 있다. 첫째, 綱目式 연보의 형식에 품계, 날짜, 성명 등의 새로운 정보를 구체적으로 기록하여 사실성을 강화하였다. 해당 연월에 지은 詩文의 제목이나 내용을 인용하여 作品年譜의 역할을 겸하게끔 하였다. 둘째, 특정 행적 전후의 정치적 정황을 상세히 설명하고 대화체를 삽입하거나 같은 시기에 일어난 사건을 한 데 모아 유기적으로 서술함으로써 서사성을 강화하였다. 추상적 평가를 자제하고 묘사의 진실성을 강조하여 명종대의 정치적 혼란상을 날카롭게 고발하였다. 이러한 글쓰기 방법을 통해 아버지에 대한 류성룡의 존모의식과 정치적 암흑기를 견고하게 살아낸 가문의 중요 인물로서 류중영의 면모가 입증된다. Ryu Sung-Ryong(柳成龍) rebuilt his father Ryu Jung-young's(柳仲郢) life in a unique work called Chronology of Father's life(先考行年紀). Chronology of Father's life is a work created by Ryu Sung-Ryong in collaboration with his brother Ryu Woon-Ryong(柳雲龍). About 1573, the first creation of the Chronology was completed, and about thirty years later, the father's life was clarified through constant checking and verification of information. There are two major differences in the Chronology of Father's life from the works of Ryu Woon-Ryong. First, the facts were reinforced by recording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date. It cited the title and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s written in the corresponding month, and also played a role of the annals of the works. Second, the narrative was strengthened by describing the political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event in detail, inserting dialogue, or organizing events occurring at the same time organically. He refrained from the abstract evaluation and emphasized the truthfulness of the description, accusing the political confusion of King Myeongjong(明宗) sharply. Ryu Sung-Ryong's respect for his father is revealed through such writing methods. In addition, the status of Ryu Jung-young, who survived the political turmoil, has risen.

      • KCI등재

        특집: 비교문화 연구의 현재적 지평 : 1960년대와 진술할 수 없는 진술주체, 그리고 "2의 형식"에 대하여 -이청준의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1969)』을 중심으로-

        구슬아 ( Seul Ah Koo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5

        본 연구는 이청준의 네 번째 장편소설인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이 지니는 위상을 다시 조명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틀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헤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이라는 개별 작품이 속하는 1960년대 소설전반의 성격을 규정한다. 그간의 연구에서 1960년대 소설은 1950년대 전후문학과 1970년대 민중문학의 중간지대에 위치하는 과도기적 문학이거나 전혀 새로운 양식으로서의 모더니즘 문학 중 하나로 분류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 중 후자의 입장을 채택하여 돌출하는 모더니티에 대한 ‘글쓰기 주체’의, 혹은 글쓰기 자체의 대응이 어떠한 소설의 형식을 통해 형상화되었는가를 살핀다.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을 관통하는 화법은 2중적 형식, 양가성, 두 가지 항의 중첩 및 그 사이의 모순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가 지향하는 새로운 문제틀이란 곧 숫자 ‘2’에 결부된 문제로 환원된다. 이를 통해 마지막 장에서는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가장 핵심적인 질문인 글쓰기의 (불)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reilluminating the status of Lee Chung-jun’s fourth novel An Unwritten Autobiography (1969) and figuring out the message of the work with much focus on a new frame of reference.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is devoted to examining -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 the novels in the 1960s during which An Unwritten Autobiography was written. The existing studies have categorized the novels in the 1960s as either “transitional literature” - situated between the after-war literature of the 1950s and the people’s literature in the 1970s - or a genre of “modernism literature” as a completely new literary mode. Taking up the latter pos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sponse of the writing subject,” or “writing” itself, to the projected mode of modernity could be formalized through the pattern of novels. The speech of An Unwritten Autobiography throughout is characterized by the dual form, ambivalence, reiteration of binary elements, and the distortion between the two. The new frame of reference of this study, therefore, boils down to the issue of number “two.” Based on these and other studies, the final chapter of this paper attempts to seek for the (im)possibility of writing - one of the key questions of An Unwritten Autobiography.

      • KCI등재

        김안로(金安老)의 「선부군유행(先府君遺行)」 연구 : -성종(成宗)의 치세(治世)를 살아간 정치인 김흔(金訢)의 삶-

        구슬아 ( Koo Seul-ah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8 No.1

        이 논문은 중종대의 문인이자 정치인 金安老가 아버지 金訢의 일생과 언행을 정리한 작품인 「先府君遺行」을 최초로 전면 분석하고, 일화 선택의 기준 및 표현 방법 등 특징적 국면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에 투사된 김안로의 시대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김안로는 김흔이 사망하고 20여 년이 지난 1513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아버지의 일생 가운데 특기할 만한 일화 43개를 선별하였는데, 이때 아버지의 스승점필재 김종직이 찬술한 『이준록』의 형식과 문제의식을 차용하였다. 「선부군유행」은 뛰어난 학문적 능력을 갖춘 사대부들이 조정에 나아가고 군주와 조정의 선진들로부터 그 능력을 인정받는 조화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김안로는 성종대 치세의 가장 큰 장점으로 사대부들이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갈등과 반목 없이 상호 신의와 문학으로써 교유하던 문화를 꼽았다. 그리하여 정치적 측면에서 상하의 위계질서에 순응하며 凌上을 경계하는 태도에 입각하여 모범적 정치인으로서 김흔의 삶을 묘사하였다. 반면 학문적 측면에서는 김종직과의 관련성을 적극 부각시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김안로는 「선부군유행」의 찬술을 통해 성종의 치세 한 가운데를 살아간 아버지의 삶을 통시적으로 조망하고 이에 대한 계승의지를 드러내는 가운데, 후대에 자신의 아버지를 가장 빛나는 모습으로 전하였으며 나아가 아버지의 시대를 통해 자신이 당면한 시대의 이정표를 찾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the first analysis of the work of Kim Ahn-ro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which summarizes the life and behavior of his father Kim Huen(金訢). It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aspects such as the criteria of the anecdote selection and the way of expression, and examined Kim's awareness of the times. Kim Ahn-ro pick up his father’s poetry at 1513. And he selected 43 special anecdotes in his father's life. In this process, Kim Jong-jik(金宗直) greatly borrowed the form and problem consciousness of IICHUNROK(彛尊錄), which summarized his life and behavior. In Kim Ahn-ro's writings, feelings of sadness or loss of father's absence were weakened, and instead, overall respect for father's life was strengthened. In addition, the emotions of recalling the ‘father's age’ are more important than the Kim Jong-jik. The Word and Behavior of the Father(先府君遺行) i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academic efforts of the gentry(士大夫), together with the age of harmony in which such gentries are recognized by advanced monarchs and a seniors. Kim Ahn-ro recalls the era of Seongjong as the peaceful reign, where the gentry did not conflict with one another but recognized each other through faith and literary works. He described his father 's life on the political side, guarding his attitude to comply with the hierarchy and despise his superior. On the other hand, in the academic aspect, it takes a positive attitude to promote the relationship with Kim Jong-jik. The anecdotes presented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xemplary Confucian scholars.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Kim Ahn-ro's work to arrange his father's remembrance and summarize his father’s Word and Behavior was a good opportunity to prospect the succession of King Seongjong(成宗) and to endure his will to succeed. It is not the intention to assume the father's life as the standard of the gentry, but to confirm the milestone reminding the way to go through the father's time.

      • KCI등재

        왕실의 인물을 바라보는 시선 - 『종반행적(宗班行蹟)』에 담긴 15세기 관각문학의 일면 -

        구슬아(Koo, Seul-Ah)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이 연구는 종반행적(宗班行蹟)에 수록된 15세기 종친들의 묘도문자로부터 관각문학적 특징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종친은 군왕의 부계 친족이자 군신관계에 놓인 특수한 신분이다. 종반행적에는 이러한 종친들의 전기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15세기 종친들의 묘도문자는 서거정, 임사홍, 홍귀달, 남곤 등 유력 관각문인들이 창작하였는데, 작품 대부분이 이들의 문집에 수록되지 않아 자료적 가치가 높다. 종반행적에 수록된 15세기 창작 종친 묘도문자의 관각문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 작품에는 고귀한 왕실의 혈통에 대한 찬양과 존모가 담겨 있다. 특히 종친의 세계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세종과 성종대의 태평성대를 남달리 칭송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15세기의 종친들이 세종과 성종대의 문운 융성기를 함께 견인해 온 관각문인들에게 태평성대를 회상하게 하는 인적 증거로 기능한 결과이다. 둘째, 종친을 대하는 군왕의 내밀한 사적 감정을 거침없이 묘사하고 있다. 특히 부왕 혹은 형제로서 군왕의 가족애를 부각시키는 일화를 삽입하고 생생하게 묘사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사적 일화의 삽입이 만백성의 너그러운 부모로서 군왕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 결과로 보인다. 셋째, 종친들은 독서에 침잠하거나 학문에 대한 열정이 깊고, 예술에 대한 깊은 조예를 타고난 인물들로 형상화된다. 하지만 그와 같은 면모를 드러내는 특수한 일화가 아닌 정형화된 표현을 반복함으로써 왕실의 위계 질서에 순응하며 정치적 안정에 기여하는 규범적 종친상(像)을 독자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15세기의 관각문인들은 종친들의 모범적 삶을 통해 조선의 태평성대를 증명하고 회상한다. 그러나 왕실의 정책에 반발하거나 비판을 하는 등 정치적으로 문제가 된 종친들의 묘도문자 창작은 도외시하거나 역사적 평가 자체를 외면한 아쉬움도 낳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Gwangak literature from the epitaph of the 15th century royal family, which were included in Jongbanhaengjuk(宗班行蹟). The royal family[宗親] is a paternal relative of the king and a special status that is plac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his servant. The epitaph of the royal family in the 15th century were written by influential Gwangak writer such as Seo Geo-jeong(徐居正), Lim Sa-hong(任士洪), Hong Gwi-dal(洪貴達), and Nam Gon(南袞). The epitaph on the 15th century s royal family in Jongbanhaengjuk show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se works include praise and honor for the noble royal lineage. In particular, they tend to praise King Sejong and King Seongjong s political tability. This is the result of the 15th century s royal family functioning as human evidence to remind the to them, who have led the booming period of Sejong and Seongjong, to the Taepyeongseongdae(太平聖代). Second, it describes the king s private feelings toward his family without hesitation. In particular, it features anecdotes that highlight the family love of the king and vividly depict them.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judging that the insertion of personal anecdotes does not undermine the image of the king as generous parents of the people. Third, on the other side of the normative life of the royal family, it shows an anecdote emphasizing that they are people who are immersed in reading and are born with a deep knowledge of art. By repeating the stereotyped expression, the writers present to the reader the image of a normative figure who conforms to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royal family and contributes to political stability. The 15th century Gwangak writer recall the Joseon s peaceful times through the exemplary lives of royal families. However, they did not create the epitaph of the problematic royal family, which opposed or criticized the royal family s policies, and turned a blind eye to its historical assessment. This contrast is in line with other Gwangak literature in the 15th century.

      • KCI등재

        가리어진 문형(文衡) - 어세겸(魚世謙)의 삶과 관각산문 연구 -

        구슬아(Koo Seul-Ah)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동서인문학 Vol.0 No.60

        이 연구는 성종대의 마지막 문형(文衡) 어세겸의 삶과 관각산문의 특징을 최초로 논구한 것이다. 어세겸은 서거정의 전폭적 지지와 그에 대한 계승의식을 바탕으로 서거정의 후임 대제학에 올랐다. 그러나 서거정과 김종직이라는 두 걸출한 문호에게 가리어져 그의 생애와 문학세계에 대한 고찰이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어세겸은 환로(宦路) 초기부터 꾸준히 문장 능력을 인정받아 승문원(承文院) 등 관각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특히 그가 변방과 외교 현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 것은 다른 관각문인들과 변별되는 장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어세겸은 세조대부터 연산군대까지 임금의 명에 따라 각종 외교문서, 응제기문 등을 다수 창작하였다. 어세겸의 관각산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어세겸은 사명(詞命)의 제술에 능했다. 그는 동문선을 비롯한 국내외 관각문학의 전통을 숙지하고 있었다. 특히 교서(敎書)나 표전(表箋)의 표현법, 변려문의 체식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능숙하게 구사하였다. 또한 성종대의 변화된 사대교린의 상황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조선의 국익을 보호하기 위한 현실감각을 작품 속에 반영하였다. 둘째, 어세겸은 서거정의 문예사조를 계승하였다. 즉, 문장이 세교(世敎)를 돕고 문장화국(文章華國)을 긴밀하게 표출하는 도구임을 천명하는 한편, 문장의 우열이 작가의 타고난 기상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또한 서거정이 최초로 사용한 표현법을 자신의 작품에 노출하는 등, 그와의 학문적·정치적 친연성을 드러냈다. 셋째, 어세겸은 명나라에 대한 과도한 사대의식이나 불필요한 비유를 반복하여 의경의 유기적 흐름을 저해하는 등의 한계 역시 노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새로운 연구결과를 도출을 바탕으로 조선전기 관각문학의 구체적 실상이 보다 활발하게 논의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of the Eo Se-Kyum(魚世謙)’s life and characteristics of Gwan-gak(館閣) prose, who was the last DaeJeHak(大提學) of King Seongjong reign. Based on the full support of Seo Geo-jeong(徐居正), Eo Se-Kyum became his successor Daejehak. Since the beginning of his career, he had consistently been recognized for his ability to write and worked in important posts such as Seungmunwon(承文院). In particular, his experience is distinguished from other writers, such as quickly judging the situation and making bold decisions at the border and diplomatic sites. His Gwan-gak prose ha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he accurately understood the formal expressions peculiar to diplomatic documents, the rules of Byeonryomun(騈儷文), and used them skillfully in his works. It also showed a sense of reality to protect the national interests of Joseon in response to the changed diplomatic situation of Seongjong reign. Second, he revealed his academic and political affinity with Seo Geo-jeong. He declared that literature was a tool that helped the king"s edification and expressed the cultural level of Joseon. He also believed that the superiority of sentences depended on the author’s natural energy. Third, Eo Se-kyum also revealed limitations such as excessive respect of the Ming Dynasty, unnecessary repetition of metaphors, and not considering the flow of logic.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covering the concrete reality of Gwan-gak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