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계열 여학생의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유형과 예측요인

        곽은주(Kwak, Eun Ju),배상훈(Bae, Sa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계열 여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양상을 유형화하여 몇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별로 교수 및 교우와의 교류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학생 개인 특성과 대학 특성이 각 집단을 구분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국 85개 대학에 재학 중인 공학계열 여학생 4,481명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 및 교우 와의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세 가지 하위 집단이 나타났다. 각 집단에 대해서 ‘낮은수준의 상호작용 집단’, ‘중간 수준의 상호작용 집단’,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전체 표본의 절반 정도가 교수 및 교우와 낮은 교류를 하는 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개인 특성에서는 학년, 전공 만족도, 대학 몰입이, 대학 특성으로는 대학의 소재지가 준거 집단인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집단’과 다른 2개 집단을 구분하는 데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 도권 대학과 비교해서 지방대학 공학계열에 재학하는 여학생일수록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이 낮을 가능성이 더욱 크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different patterns of female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and their peers in the engineering college.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patterns could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individual and the university related variables.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2015 Korean-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K-NSSE). Samples include 4,481 female students in engineering.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to identify different patterns of the interaction with the Faculty members and Peer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redictors to the classification among latent classes. The study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female student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pe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otential classes. They include ‘low-level interaction group’, ‘middle-level interaction group’ and ‘high-level interaction group’. Second, 55.8% of samples were found to belong to the low level interaction group.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students such as grade, satisfaction on the major, and institutional committment were found to be related to group classifi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e location of the institu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group.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female engineering students may feel the ‘chilly climate’ at the university campus in terms of human environments. It may be imperative that local universities need to make more efforts to change campus environments into more female-friendly campus environment.

      • KCI등재

        건축 및 실내디자인 설계과정 적용을 위한 증강현실 앱 특성 조사 및 사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곽은주 ( Kwak Eun Ju ),박민수 ( Park Min Su ),조지영(주저자) ( Cho Ji Young(주저자) ),조지영(교신저자) ( Cho Ji Young(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건축 및 실내디자인 설계과정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AR 애플리케이션 사례 분석을 통해 그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에 출시된 설계 관련된 AR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총 12개를 선정하였다. 둘째, 각 애플리케이션을 증강할 수 있는 대상의 종류와 지원체제에 따라 유형 분류를 하였다. 셋째, 각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사용해보며 제공되는 기능을 살피고 장점과 한계점 등을 분석하였다. 넷째, 각 애플리케이션들을 신뢰성, 유용성, 접근성, 사용성의 4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AR 애플리케이션은 간단한 조작 및 쉬운 데이터 공유, 원격사용으로 인한 커뮤니케이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반면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제한, 증강을 위한 현실공간 인식의 불안정, 한정적인 모델링 및 수정 기능이라는 한계점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디자이너들과 교육자, AR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건축 및 실내디자인 과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Augmented Reality (AR) applications as media to facilitate th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process. We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usability of AR applications. First, through search and trial, 12 AR applications that seem potential in design process were selected. Second, they were categorized in terms of model types augmented and the operating system. Third,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functions, strengths, and weaknesses as a design assistant tool. Fourth, each application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AR technology, usefulness, accessibility, and usability.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AR applications tend to be simple to use, easy to share data,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due to remote use; but they are limited in the amount of database, instability of real space recognition, and limited modeling and rendering functions.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ovide insights for designers, design educators as well as application developers so that AR technology can eventually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for design process.

      • KCI등재후보

        Streptococcus pneumoniae와 Haemophilus influenzae 임상분리주에 대한 Cefditoren의 시험관내 항균력

        이경 ( Yee Gyung Kwak ),은주 ( Eun Ju Choo ),박수진 ( Su Jin Park ),이정은 ( Jeong Eun Lee ),정진용 ( Jin Yong Jeong ),최상호 ( Sang Ho Choi ),김남중 ( Nam Joong Kim ),김양수 ( Yang Soo Kim ),우준희 ( Jun Hee Woo ),류지소 ( Ji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그람양성 및 음성 세균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cefditoren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에서 분리된 S. pneumoniae와 H. influenzae 임상균주를 대상으로 cefditoren의 시험관내 항균력을 흔히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경구용 항균제들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분리된 S. pneumoniae 120균주와 H. influenzae 80 균주를 대상으로 미국임상검사표준화협회의 방법에 따라 cefditoren과 다른 경구용 항균제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S. pneumoniae 균주는 cefditoren 농도 1 μg/mL 이하에서 억제되어 (MIC50/MIC90 0.25/1 μg/mL; range 0.015~1 μg/mL) cefditoren의 감수성 기준을 1 μg/mL로 하였을 때 penicillin에 대한 감수성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균주가 cefditoren에 감수성을 보였다. Penicillin 감수성 균주에서 cefditoren의 MIC (0.015~0.03 μg/mL)는 penicillin 중간 내성 (0.03~0.5 μg/mL) 및 내성 균주 (0.5~1 μg/mL)에 비해 낮았으며, H. influenzae에 대해서는 ampicillin 감수성 및 내성 H. influenzae 모두에서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MIC50/MIC90 0.015/0.03 μg/mL; range <0.008~0.03 μg/mL). 결론: Cefditoren은 penicillin이나 ampicillin에 대한 내성 여부에 상관없이 원외 호흡기 감염증의 흔한 원인 균인 S. pneumoniae와 H. influenzae에 대해 우수한 시험관내 항균력을 보였고 따라서 원외 호흡기 감염증 치료를 위한 경구용 항균제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 vitro activity of cefditoren, an oral third-generation aminothiazolyl cephalosporin,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and Haemophilus influenzae clinical isolates in a tertiary hospital. Methods: We have studied the in vitro activities of cefditoren and other oral antibiotics against 120 S. pneumoniae isolates, including 80 penicillin non-susceptible isolates and 80 H. influenzae isolates from clinical specimens of patients at the Asan Medical Center.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were determin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 Results: All S. pneumoniae strains tested were inhibited by 1 g/mL of cefditoren (MIC50/MIC90 0.25/1 μg/mL; range 0.015~1 μg/mL). The MICs were lower for penicillin-susceptible S. pneumoniae (MIC90 0.015 g/mL) as compared to penicillin-intermediate resistant (MIC90 0.5 g/mL) or penicillin-resistant strains (MIC90 1 μg/mL). Cefditoren was active against all tested H. influenzae strains (MIC50/MIC90 0.015/0.03 μg/mL; range <0.008~0.03 g/mL) and its activity was comparable to levofloxacin and cefixime. Conclusions: Cefditoren had an excellent activity against S. pneumoniae and H. influenzae irrespective of penicillin or ampicillin resistanc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efditoren is a good choice of an antibiotic to use for empirical oral treatment of 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Korean J Med 72:68-73, 2007)

      • KCI등재
      • KCI등재

        프레임을 연결하는 전도체의 구조가 EMI 감소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은광(Eun-Kwang Koh),심민규(Min-Kyu Shim),은주(Eun-Ju Hong),이재열(Jai-Yeol Lee),박승훈(Seung-Hun Park),인구(In-Gu Kwak),나완수(Wansoo Nah) 한국전자파학회 200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들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전도체의 연결에 의한 전자파 장해의 감소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전도체의 연결은 두 프레임 사이의 전류의 귀환 통로의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 전도체 연결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전도체의 연결이 없는 경우와 케이블 하단에 세 가지의 크기가 다른 전도체를 연결해 주었을 때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들로부터 전자파 장해가 측정 주파수 범위인 30 ㎒~1 ㎓에서 약 1~10 ㏈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S 파라미터를, 또 3 m 무반향실에서의 복사성 방사를 측정하였으며, 두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관계를 공진 주파수의 관점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복사성 방사의 측정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였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duction by conductor connection, which was used for fixing and electrical grounding between frames. Conductor connects two frames and then it provides the decrease of return path of signal current. To prove the effect of conductor, we measured/simulated the RE(radiated emission) with/without conductors between the two frames. From the measured/simulated results, we observed that EMI decreased about 1~10 ㏈ at the frequency range of 30 ㎒ to 1 ㎓. VNA(vector network analyzer) was used to measure the S parameters and the RE was measured in a 3 m anechoic chamber. The simulated and measured results are compared and discussed.

      • KCI등재

        여자대학 교육 환경에 대한 재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수도권 A여자대학교 사례

        한송이(Han, Song Ie),곽은주(Kwak, Eun Ju),배상훈(Bae, Sa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여자대학 학생들이 대학이 제공하는 교육 환경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과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아울러 지난 5년 동안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요구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여자대학의 미래 발전 방 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소재 A여자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고, 대학이 제공하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과 학생 지원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묻는 주관식 문항에 대한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1,077명의 자료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대학이 가진 교육적, 인간 집합적, 물리적 환경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일반 교양교육과 함께 여성 특화 교육의 균형적 제공이 필요하고, 여자대학의 인간 환경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다양하고 풍부한 상호작용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보다 안전한 캠퍼스와 여성 친화적인 제도의 도입을 요구하였다. 지난 5년 동안 학생들의 요구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본 결과, 여성 특화 교육 제도 및 프로그램의 확대와 캠퍼스 안전 확보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학생들은 여자대학이 보편적인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책무성을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여성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높이는 교육을 보다 특별하게 수행하는 교육적 정 체성을 갖는 대학이 되길 바라고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what the campus environments means to students in A women’s university and what they needs for better campus life and learning.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ir campus learning environments during the five years (2014-2018). 1,077 students’ open-ended responses from K-NSSE in A women’s university were analyz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ents recognized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al, human aggregated,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university. What they need for better learning and life on campus includes 1) balance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for women, 2) a variety of rich interaction to overcome limitations of human environments of women s university, and 3) a safe campus environment and a woman-friendly university system. Longitudinal analysis on students’ responses found that an ever-increasing demands exist for women-specific education programs and campus safety.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s of women’s university.

      • KCI우수등재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배상훈(sang hoon Bae),곽은주(eun ju Kwak),조성범(sung bum Cho),조은원(eun won Cho),황수정(soo jeong Hwang),한송이(song ie Han)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본 연구는 대학교육 맥락에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론 모델을 구성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론 모델의 통계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전국 4년제 대학 111개교의 대학생 63,391명의 응답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는 4개 요인의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도구 활용 역량(5개 문항)’, ‘데이터 활용 역량(8개 문항)’과 ‘디지털 윤리 역량(5개 문항)’, ‘디지털 활용 학습 역량(5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고, 대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교육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can measur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heoretic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and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theoretical model was verified through a survey. The sample included 63,391 students from 111 universities in Korea,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As a result, the final scale of digital literacy consisted of 23 items of four factors. Specifically, digital tool utilization (5 items), data literacy (8 items), digital ethics (5 items), and digital-based learning experience(5 items) were included. The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t contributes to academic development related to digital literacy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education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 편입생의 학습 참여 분석

        배상훈(Sang-Hoon Bae),윤수경(Soo-Kyung Yoon),한송이(Song-Ie Han),곽은주(Eun-Ju Kwak),이규린(Gyu-Rin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대학 편입생이 신입학 일반 학생과 비교하여 집단 차원에서 차별화되는 인구학적 배경을 확인하고, 두 집단 사이에서 학습 참여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 99개 대학에 재학 중인 26,047명의 학생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 통계 및 교차 분 석(카이제곱 검정), 경향점수매칭,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배경 측면에서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편입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연령이 높고, 고교내 신 등급은 낮으며, 가계소득 수준은 높았다. 또한 편입생은 일반 학생보다 대학 진학 과정에서 대학과 전공 모두를 고려하여 선택한 비율이 높았고, 대학과 전공 모두 원하는 대로 선택하지 못한 비율은 낮 았다. 편입 여부에 따른 학습 참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성별, 고교내신 등급, 가계소득 수준을 공변인으로 하는 경향점수매칭을 실시하였고, 동 변인들에 대하여 등가성을 가진 2,250명의 자료가 최 종적으로 추출되었다. 연구 결과, 편입생은 일반 학생 보다 학습 전략, 교직원 관계, 지원적 대학 환경 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았고,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 교우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고 차원 학습과 반성적․통합적 학습, 다양한 토론, 효과적 교수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fferences exist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udent engagement between transferred students and their non-transferred counterparts. Samples included 26,047 students from 99 four-year colleges. Chi-squared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ropensity score match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transfer by accounting for the covariates that predict transfer of students. Study results showed that transferred students compared to non-transferred peers were older, have lower academic performance at high schools, and higher family income. In addition, transferred students tend to consider more the college reputation and major when they went to college, compared to their peers. Transferred students in comparison with their peers showed higher levels of learning strategies, relationships with the college staff, and perceived supportive college climate, while they showed lower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peer relationship compared to their p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