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주관절 수술 이후 심부 굴곡회내건막에 의해 발생한 주관 증후군

        곽상호(Sang-Ho Kwak),이승준(Seung-Jun Lee),서정동(Jung-Dong Seo),서근택(Kuen-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3

        주관절 주위에서 척골신경의 압박은 상지에서 두 번째로 흔한 압박 신경병증이다. 그동안 많은 해부학적 구조물들이 척골신경을 누를 수 있다고 기술하였지만, 척수근굴근 아래쪽에서 누를 수 있는 구조물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았다. 본 증례에서는 수술적 치료 이후 발생한 심부 굴곡회내건막 부위에서 척골신경의 포착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Entrapment of the ulnar nerve around the elbow is the second most common compression neuropathy in the upper extremity. Many anatomical regions that possibly compress the ulnar nerve around the elbow joint have been described, however few cases below the flexor carpi ulnaris muscle have been reported. A case with ulnar nerve entrapment at the flexor pronator aponeurosis, secondary to surgery is reported in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다발성 역행성 K 강선을 이용한 중수골 경부 골절의 치료에서 2개의 강선과 3개의 강선 사용군의 비교

        곽상호 ( Sang Ho Kwak ),이영호 ( Young Ho Lee ),서길준 ( Gil Joon Seo ),백구현 ( Goo Hyun Baek ) 대한외상학회 2015 大韓外傷學會誌 Vol.28 No.2

        Purpose: To compar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between two and three Kirschner wire(K-wire) intramedullary fixation for fractures in the neck of the metacarpal bone. Methods: A single institutional retrospective review identified 28 cases of metacarpal fractures between March 2010 and August 2014. Each of the cas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closed, ex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neck of the metacarpal bone. The patient groups were divided by the number of K-wire. Outcomes were compared for range of motion of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radiographic parameters, and period until union. Results: The fractures were treated with either 2 Kirschner wire fixation (n=10) or 3 Kirschner wire fixation (n=18). The active range of motion of metacarpophalangeal joint and radiographic resul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union period was 5.9 weeks. However, four cases suffered distal head perforation in 2 K-wire fixation group and one case in 3 K-wire fixation group. Conclusion: Multiple retrograde intramedullary Kirschner wire fixation is a good treatment of choice for fractures in the neck of the metacarpal bone. To prevent metacarpal head perforation, it is preferred to use three K-wires than two K-wires. [ J Trauma Inj 2015; 28: 55-59 ]

      • 국내.외 우수관거 시설기준 비교 및 분석에 관한 연구

        김정수,곽상호,김성엽,윤세의,Kim. Jung Soo,Kwak. Sang Ho,Kim. Sung Yub,Yoon. Sei Eui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

        최근 들어 빈번히 발생하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내수배제 불량에 따른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의 노후화된 우수관거 교체 및 설치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도시의 경우 우수관거 교체를 위한 예산확보가 부족한 실정이고 우수관거 특성상 시공 후 개선이 어려우므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우수관거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설계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도시에서의 강우유출은 상당부분 우수관거시설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어 도심지 우수관거시설기준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이에 따라 도시지역에서의 홍수피해 저감을 목적으로 우수 관거 시설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설계 기준을 위해 국내 외 우수관거 시설기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국내 외 우수관거 시설기준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문헌으로는 도로배수시설 설계 및 유지관리 지침(2003), 하수도 관거의 계획과 설계계산(2003), 하수도공사 시공관리요령(2006), 하수관거공사 표준시방서(2010), 하수도시설기준(2011), 도시부 도로배수시설 설계 잠정 지침(2012)을 중심으로 시설기준을 분석하였으며 국외 문헌으로는 Drainage and Construction of Urban Stormwater Management Systems(1992), Urban Storm Drainage Criteria Manual(2001), Stormwater Collection Systems Design Handbook(2001), Urban Drainage Design Manual(2005)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수관거 설계를 위한 계획우수량의 경우 국내의 설계기준에서는 최대계획우수유출량의 산정을 합리식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의해서 다양한 우수유출산정 방법들이 사용 가능하다 제시하였으며 국외의 경우 지속강우강도, 우량분포도 및 강우자료의 합성 중 설계자 판단에 따라 사용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빗물받이의 경우, 국내 설계기준은 빗물받이 간격을 도로폭 및 경사별 설치기준을 제시하여 노면배수를 유도하였고, 국외의 경우 속도별, sag별 최소 설계 빈도와 확산정도를 제시하여 수막현상을 방지하며 보행자 및 자전거의 안전에 대하여 유입구 모양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맨홀 설계기준은 관경별 최대간격을 제시하고 접합관경에 따라 합류맨홀의 선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국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관경별 맨홀 간격을 제시하였지만 맨홀의 각도별 손실계수 또한 제시하여 흐름계산시 흐름의 저하를 고려하도록 지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의 설계기준에도 빗물받이의 설계빈도 상향과 수막현상 방지를 위한 유입구 모양 및 간격의 제시가 요구되며 맨홀에서도 흐름저하를 고려한 다방향 합류맨홀의 설계기준 및 손실계수 산정을 통해 도시유역의 원활한 내수배제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 KCI등재

        도로 빗물받이 유입구의 차집유량 산정식

        김정수,곽상호,류택희,윤세의,Kim, Jung Soo,Kwak, Sang Ho,Ryu, Taek Hee,Yoon, Sei Eui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6

        The grate inlets generally were installed to intercept surface runoff on the roads and intercepted flow was drained to the underground sewer system. The equation of interception flow was used to determine the size and spacing of grate inlet on the roa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terception capacity of grate inlet.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can be changed with the longitudinal slopes(2, 4, 6, 8, 10%) of street, the transverse slopes(2, 4, 7, 10%), and the lengths(50, 100, 150cm) of grate inlet was installed for this study. The range of the experimental discharges were calculated with change of road lanes(2, 3, 4) and design frequencies(5, 10, 20, 30year). As the transverse slope increased, it led to the increase of interception capacity at grate inlets. The long lengths of grate inlet with direction of flow increased the interception capacity by the increase of side inflow. On the basis of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results, the empirical equations for calculation of the interception capacity were derived wit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equations, the suggested equation of this study was estimated reasonable one for increased design frequency. Therefore, this study can suggest the basic data for design of drainage facility at road. 일반적으로 쇠살대 빗물받이는 도로 표면유출 흐름을 차집하여 도시배수 시설로 배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빗물받이의 규모 및 설치간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빗물받이 차집유량 산정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쇠살대 빗물받이 유입구의 차집능력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빗물받이의 차집유량 산정을 위해 수리실험모형을 제작하여 72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빗물받이 제원은 현재 대부분의 국도에 설치되는 크기인 $40{\times}50cm$, $40{\times}100cm$ 및 $40{\times}150cm$를 Froude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1/2로 축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측구의 유량은 도로의 차선(2~4차선), 경사(도로 종경사 2~10 %, 측구 횡경사 2~10 %) 및 설계빈도(최대 30년)을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측구의 횡경사가 커질수록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유량은 증가하였으며, 빗물받이 유입부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입부 측면부를 통한 횡유입량을 증가시켜 빗물받이 유입부의 차집효율을 증가시켰다. 실측 차집유량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실시하여 빗물받이 유입구 크기별 차집유입량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기존 경험식과 비교한 결과, 도출된 산정식은 상향된 빈도를 반영한 빗물받이 유입부의 차집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하였으며, 도로 배수시설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들의 피인용 횟수와 연관된 특성(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논문 분석)

        배정연(Jung Yun Bae),곽상호(Sang Ho Kwak),강상우(Sang Woo Kang),우승훈(Seung Hun Woo),안태영(Tae Young Ahn),이상현(Sang Hy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6

        목적: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어떠한 특성의 논문이 보다 많이 인용되는지에 대한 보고는 아직 발표되어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기준이 피인용 횟수와의 연관되었는지 분석하여 어떤 특성이 피인용 횟수와 연관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전체를 대상으로 3명의 저자가 논문의 양식, 대상, 연구 시점, 연구 설계, 임상적 위치, 저자 수, 그리고 증례 수에 따라 분류하고 2020년 1월까지 국내 및 국제 학술지에 인용된 횟수와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640편의 논문 중 724편이 1회 이상 인용되었으며, 평균 1.0회(표준편차 1.9)의 피인용 횟수를 기록하였다. 연도별로는 2009년에 게재된 논문들의 피인용 횟수가 가장 높아서, 평균 1.6회 인용되었다. 논문의 양식에 따라서는 원저, 수술기법 및 종설, 연수 강좌, 증례 보고의 순서대로 평균 피인용 횟수가 높았고(p<0.001), 증례 보고 중에서는 외상 일반에 대한 논문이 가장 피인용 횟수가 높았다(mean=1.5, p=0.006). 원저 중에서는 정형외과 일반에 대한 논문, 임상 논문, 실험 논문 순으로 피인용 횟수가 높았으며, 임상 논문 중에서 위치에 따라서는 척추에 대한 논문(mean=1.7, p<0.001)이, 연구 설계에 따라서는 역학 논문(mean=5.0, p<0.001)이 유의하게 높은 피인용 횟수를 기록하였다. 결론: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정형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증례 보고 중에서는 외상 일반을 다룬 논문이, 원저 중에서는 역학 연구이거나 척추 관절을 대상으로 작성된 논문이 게재 후 피인용 횟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Purpose: No attempt 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characteristics and citation rate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JKOA). This study classified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articles in the JKOA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characteristics and citation rates. Materials and Methods: A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all articles published from February 2001 to December 2015. Three independent reviewers classified the articles according to the article type, material, time of the study, design, clinical categories, number of authors, and number of cases. The citation numbers of each article by other journals were taken in January 2020. Un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each characteristic, and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itation rates. Results: A total of 1,640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2001 to 2015, and 724 articles were cited more than once. The articles published in 2009 had the highest average number of citations. Original articles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surgical techniques and review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and case reports (p<0.001). Among the case reports, articles dealing with general trauma scor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citations (mean=1.5, p=0.006). Among the original articles, articles on general orthopedics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followed in order by clinical articles and experimental articles. Among the clinical articles, epidemiologic studies (mean=5.0, p<0.001) and studies on the spine (mean=1.7, p<0.001)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citation rates than the others. Conclusion: Of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KOA from 2001 to 2015, articles dealing with general trauma had the highest citation rates among case reports. Among the original articles, epidemiologic studies and studies concerning the spine were cited significantly more than others.

      • KCI등재

        중등도 이상의 주관 증후군에서 조기 주관적 증상 호전과 수술적 결과와의 관계

        배정연(Jung Yun Bae),곽상호(Sang Ho Kwak),김석현(Seok Hyeon Kim),신원철(Won Chul Shin),이승준(Seung-Jun Lee),서근택(Kuen-Tak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목적: 주관 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결과는 술 후 6개월 이후 판단하게 되지만, 주관적인 증상 호전은 더 조기에 일어난다. 우리는 조기 증상 호전을 보인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임상적 특성과 수술적 결과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중등도 이상의 주관 증후군 증례 36예(35명) 중 19예는 수술 후 14일 이전의 주관적인 증상 호전을 보였고 17예는 그렇지 않았다. 두 군 사이의 임상적인 특성을 Mann-Whitney 검정 혹은 카이 검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수술 결과는 수술 전, 술 후 3개월, 12개월에 반복 측정, ANOVA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Wilson and Krout 기준에 따라 12개월째의 호전 여부를 파악하였다. 결과: 파지력은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술 후 12개월의 Wilson and Krout 기준(p=0.029) 역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점수와 파악력 및 임상적 특성은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중등도 이상의 주관 증후군을 수술한 후 조기 증상 호전을 보인 군에서는 수술 전 파지력이 의미있게 높았고, 수술 후 12개월까지의 결과도 더 좋았다. Purpose: Moderate to severe cubital tunnel syndrome usually requires surgical treatment. Most surgical outcomes are evaluated 6 months after the procedure; however, subjective symptoms begin to show improvement much earlier. In this study, we explored whether patients who experience early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have differen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than those without early improvemen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2 and February 2015, 36 surgical cases of moderate- to severe-stage cubital tunnel syndrome (modified McGowan grade IIA, IIB, or III) were included. Nineteen patients (15 males and 4 females with a mean age of 54.3±12.0 years) reported subjective symptom improvements within 14 days postoperatively. Seventeen patients (15 males and 2 females with a mean age of 53.4±11.9 years) did not report any early symptom improvements. Clinical characteristics-hand dominance, sex, smoking history, type of surgery, age, symptom duration, elbow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key pinch strength, 2 point discrimination, pain,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modified McGowan grade-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using a Mann-Whitney test or chi square test. Surgical outcomes were measured at postoperative 3 and 12 months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and Wilson and Krout criteri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key pinch strength (p<0.001) between the groups. At postoperative 12 months, Wilson and Krout criteria (p=0.029) were associated with early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The subjects’ quick DASH scores and grip strengths improved over time,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After surgical treatments of moderate to severe cubital tunnel syndrome, patients who presented early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had significantly higher preoperative key pinch strength and better surgical outcomes at postoperative 12 months.

      • KCI등재

        대형 관절에서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재발인자 분석

        한일규(Ilkyu Han),곽상호(Sang-Ho Kwak),김희중(Hee-Jung Kim),이명철(Myung-Chul Lee),이상훈(Sang-Hoon Lee),오주한(Joo-Han Oh),김한수(Han-S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은 관절의 활액낭이나 건막이나 점액낭의 활액막에 발생하는 증식성 질환이다.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은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의 소견을 보이나 임상적으로는 국소 재발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국소 재발과 관련된 임상적 및 조직학적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되고 수지와 족지를 제외한 관절에 발생한 51예의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0예, 여자가 31예였으며 발병 부위는 슬관절 25예, 족근관절 11예, 고관절 7예, 족부 5예, 수근 관절 2예, 주관절 1예였다. 39예가 미만형(diffuse type)이었고 12예가 국소형(localized type)에 해당했다. 치료 방법에 있어서 수술적으로 완전히 절제된 경우가 39예(78%)였고 보조적인 방사건 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은 시행되지 않았다. 진단시 통증이 동반된 경우가 32예(64%)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1년(범위 1-25년)이었다. 결과: 국소 재발이 16예(31%)에서 발생하였으며 국소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24개월(범위 4-96개월)이었다. 국소 재발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인자들은 불완전한 수술적 절제(p<0.001)및 뼈침식(p=0.037)과 종양의 형태 (p=0.049)였다. 결론: 대형 관절에서 발생한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의 재발은 진단시 뼈침식이 있는 경우와 미만형인 경우 재발이 많았으며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완전한 수술적 절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a rare proliferative disorder of the synovium, and this can affect the joints, tendon sheaths or bursae. PVNS is histologically benign, but it has a high propensity for local recur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local recurrence of PVNS.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patients with biopsy-proven PVN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re were 20 men and 31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34 years (range: 12-73).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1 years (range: 1-25 years). All lesions were located in large joints (knee 25, ankle 11, hip 7, foot 5, wrist 2, elbow 1). Of the 51 lesions in the large joints, 39 were the diffuse type and 12 were the localized type. The initial clinical presentation was pain or a painful mass in 32 patients and a painless mass in 19 patients. Complete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was performed in 39 cases, whereas incomplete excision was performed in 12. No adjuvant therapy was given in any cases. Results: Sixteen local recurrences (31%) developed at an average of 24 months (range, 4-96). Factors related to local recurrence in the large joints were incomplete surgical removal (p < 0.001), diffuse type of the lesion (p=0.049) and the presence of bone erosion (p=0.037) Conclusion: In cases of PVNS in large joints, the factors that increased the local recurrence rate were incomplete surgical removal, diffuse type lesion and the presence of bone ero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