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행된 키엔벡 병에서의 방형회내근 유경 요골 피판을 이용한 관절성형술의 중장기 결과

        공현식,백구현,이영호,김세훈,조영재,정문상,Gong, Hyun-Sik,Baek, Goo-Hyun,Lee, Young-Ho,Kim, Sae-Hoon,Cho, Young-Jae,Chung, Moon-Sang 대한미세수술학회 2006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id to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of vascularized pronator quadratus-wrapped radial bone flap arthroplasty for symptomatic advanced $Kienb{\ddot{o}}ck's$ disease. Between 1982 and 2000, 41 cases of advanced $Kienb{\ddot{o}}ck's$ disease were treated with vascularized pronator quadratus wrapped radial bone flap arthroplasty. There were 17 men and 24 women, with a mean age of 39 years at the time of operation. According to Lichtman's classification, there were 13 stage IIIb and 28 stage IV patients. The duration of follow-up averaged 6.1 ($3{\sim}22$) years. We assessed the clinical outcome by subjective pain and active range of motion of the wrist, and evaluated the radiologic outcome by using carpal height ratio and radioscaphoid angle. Postoperatively, all patient reported an improvement in their symptoms. The mean active extension and flexion were improved by $9^{\circ}$ and $6^{\circ}$, respectively (p<0.05). The carpal height ratio was decreased from a mean of 0.52 to 0.48, and the radioscahpoid angle was increased from a mean of $61^{\circ}$ to $66^{\circ}$,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Vascularized pronator quadratus-wrapped radial bone flap arthroplasty improves the wrist motion and may prevent serious carpal collapse in advanced $Kienb{\ddot{o}}ck's$ Disease.

      • KCI등재

        중족골두 무혈성 괴사에서 생체흡수성 핀으로 고정한 배측 쐐기 절골술

        공현식,백구현,김지형,정문상,Gong, Hyun-Sik,Baek, Goo-Hyun,Kim, Ji-Hyeong,Chung, Moon-Sa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5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9 No.1

        Purpose: To present the procedure and results of dorsal wedge osteotomy fixated by bioabsorbable polyglycolide pins for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Freiberg'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2002, six patients with Freiberg's disease underwent dorsal wedge osteotomy of the metatarsal neck to bring the healthy plantar part of the metatarsal head into articulation. Bioabsorbable polyglycolide pins were used for the fixation and short-leg walking cast was applied for 4 weeks. Results: All patients returned to full daily activities without pain in three months after the operation. Radiographically, solid healing of the osteotomy was observed at average ten weeks. The active range of motion of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increased by a mean gain of 30 degrees, and no complication such as displacement, osteolysis or sinus formation was observed. Conclusion: Dorsal wedge osteotomy fixated by bioabsorbable pins for patients with symptomatic Freiberg's disease is effective procedure that provides relatively early range of motion exercise and avoids second procedure for implant removal.

      • KCI등재

        원위 요골 골절과 동반된 관절 내 손상

        공현식(Hyun Sik Gong),배기정(Kee Jeong Bae),백구현(Goo Hyun Bae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2

        원위 요골 골절과 동반될 수 있는 관절 내 손상으로 수근 인대의 손상과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의 손상이 대표적이다. 노인에서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골다공증성 골절에 동반되는 경우는 골절에 대한 석고 고정으로 그 치료가 충분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활동적인 연령에서 발생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골절인 경우는 동반된 관절 내 손상이 골절 치유 후에도 계속적인 통증 및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요골 골절을 견고하게 내고정하고 조기에 관절 운동을 도모하는 경향이 생기면서 그동안 오랜 고정으로 자연치유되어 왔던 관절 내 손상의 문제점이 더 뚜렷하게 드러날 수 있다. 방사선 검사와 투시 사진 및 관절경 검사 등을 통하여 수근 인대의 손상을 진단할 수 있으며 골간 인대의 완전 파열이 의심될 때에는 경피적 핀 삽입술로 고정할 수 있다.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 손상에서는 골절에 대하여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고정을 한 후에 원위 요척 관절의 안정성을 평가해야 하며, 불안정성이 있다면 개방적 방법이나 관절경하에서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의 봉합을 시행할 수 있다. 원위 요골 골절 환자에서 동반되는 관절 내 손상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조기에 발견하여 불안정성이 유발될 정도의 완전 손상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Distal radius fractur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intra-articular injuries such as carpal ligament injuries and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FCC) injuries. Such injuries occurring in elderly patients with a low-energy distal radius fracture can be treated successfully with cast immobilization and do not usually lead to clinical problems. However, despite healing of the fracture, some intra-articular injuries, especially in active patients with a high-energy fracture, can result in persistent pain and disability. In addition, the current trend of internal fixation and early use of the wrist may actually increase instability due to inadequate healing of the ligament injuries. Due to a lack of typical symptoms and physical findings in acute fracture settings, detection of these injuries is not easy. Arthroscopic examination, as well as radiographs and intraoperative fluoroscopic findings, are useful in detection of carpal ligament injuries. Complete ruptures of intercarpal interosseous ligaments warrant temporary interosseous fixation using K-wires. In TFCC injuries, distal radioulnar joint (DRUJ) instability should be assessed after anatomical reduction and fixation of a distal radius fracture. Operative treatments such as open or arthroscopic repair of TFCC to the fovea can guarantee greater stability of the DRUJ. For optimal results, early detec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of intra-articular injuries associated with distal radius fractures is critical.

      • KCI등재

        Successful Treatment of Failed Ulnar Osteotomy by Concurrent Radial Osteotomy in a Forearm Malunion

        Hyun Sik Gong(공현식),Seung Joon Lee(이승준),Young Ho Lee(이영호),Goo Hyun Baek(백구현)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전완골 간부 부정유합에서 변형이 심한 쪽만 교정할지 모두 교정할지는 이견이 있다. 저자들은 전완골 부정유합에서 상대적으로 변형이 심한 척골에 대해서만 미용적인 목적으로 절골술을 2차례 받았으나 골 유합이 되지 않아 의뢰된 환자를 보고하고자 한다. 저자들은 척골과 함께 요골에 대해서도 교정 절골술을 하였고 마침내 골 유합이 이루어졌다. 이 증례는 전완골 부정유합에서 요골과 척골중 하나가 변형이 심하지 않더라도 동시에 교정하여야 만족스러운 골 유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present a patient with malunion of the ulna and radius, who experienced 2 consecutive healing failures after osteotomy of the ulnar malunion only. The purpose of the surgery was for cosmetic reasons. Healing was finally obtained when a seemingly minimal malunion of the radius was corrected as well. This case suggests concurrent correction of both bone forearm malunion may be required to ensure satisfactory healing

      • KCI등재
      • 상완 신경총에 발생한 신경초종의 수술적 치료 결과

        이혁진,이영호,공현식,이승환,이준오,노영학,김강욱,백구현,Lee, Hyuk-Jin,Lee, Young-Ho,Gong, Hyun-Sik,Rhee, Seung-Hwan,Lee, Joon-Oh,Roh, Young-Hak,Kim, Kang-Wook,Baek, Goo-Hyun 대한미세수술학회 2010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9 No.1

        Schwannoma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is very rare. There has not been general agreement in terms of surgical outcome from limited number of studies. We analyzed surgical outcomes from 11 cases of schwannomas which occurred in the brachial plexus. From February 2000 to August 2009, 11 patients with schwannomas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were surgically treated by a single surgeo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MRI of our cases, and evaluated the neurologic deficit and the recurrence of tumors after surgery. All the cases were proven histologically as schwannoma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2.6(36~67) years old, 4 of them were male and 7 were female. The tumor was located in the left side in 9 patients, and right in 2.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up was 24.7(6~78) months. Initial presentation was usually painless, palpable mass. The mass was located in various level of the brachial plexus such as root, trunk, cord, or terminal branch level. The size of mass was from $1.5{\times}1.5{\times}0.5$ cm to $11.0{\times}10.0{\times}6.0$ cm. Eight of 11 patients showed no neurologic deficit. Three patients showed postoperative neurologic deficit; two of them had transient sensory deficit, and one of them had weakness of flexor pollicis longus and 2nd flexor digitorum profundus. There were no recurrences. The schwannoma of the brachial plexus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curable lesion with an acceptable surgical risk of injury to neurovascular structures. With precise surgical techniques, these tumors can be removed to improve patient's symptoms with minimal morbidity.

      • KCI등재
      • 원위 대퇴골 골연골종으로 인한 대퇴 정맥 혈전증 - 증례 보고 -

        오주한,김재윤,공현식,김우성,신상익,Oh, Joo-Han,Kim, Jae-Yoon,Gong, Hyun-Sik,Kim, Woo-Sung,Shin, Sang-I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골연골종은 가장 흔한 양성 골 종양으로, 주변 골단판 연골의 골막하 전위에 의한 과증식성 골 병변이며, 대개 골단판이 닫히면서 성장이 끝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골연골종이 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종괴 효과로 주변의 동맥이나 정맥을 눌러 허혈이나 정맥염이 생기거나, 연골모가 골화되면서 생기는 날카로운 말단에 의해 동맥벽의 천공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혈관계 합병증은 대부분 젊은 남자의 동맥에서 발생하며, 정맥에 생기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원위 대퇴골 골연골종으로 인해 심부 정맥 혈전증이 발생한 21세 남자 환자에서 골연골종의 제거 후 정맥 절제술 및 복재 정맥 이식술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Osteochondroma is a hyperplasic bony lesion caused by subperiosteal displacement of physeal cartilages, and the most common benign bone tumor. Osteochondromas rarely cause vascular complications, but when encountered, acute ischemia, phlebitis, and arterial puncture are the most common. They are caused by the mass effect or by the sharp end of the tumor. Deep vein thrombosis may be caused by impaired venous blood flow or a hypercoagulable blood state, but sometimes no predisposing cause can be found. We experienced a patient with deep vein thrombosis caused by the mass effect of an asymptomatic osteochondroma, and treated him successfully by excising the osteochondroma and performing a saphenous vein graft after resecting obstructed vein.

      • KCI등재

        해표지증: 국내 환자들의 임상적 양상, 분류 및 수술적 치료

        백구현(Goo Hyun Baek),정문상(Moon Sang Chung),이영호(Young Ho Lee),공현식(Hyun Sik Gong),이승환(Seung Hwan Rhee),김지영(Ji Yeong Kim),김민범(Min Boem Kim),오원석(Won Seok Oh),전숙하(Suk Ha Jeon),이석재(Suk Jae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목적: 해표지증은 상완골, 요골, 척골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결손되고 수부는 남아 있는 매우 드문 기형이다. 국내에서 해표지증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는 5건의 출생 보고를 제외하고는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이 경험한 해표지증의 임상적 양상 및 분류, 수술적 치료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본 병원에서 상지의 해표지증으로 진단받은 7명의 환자의 9예의 이환된 상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치료는 5명에 대하여 동반된 수부 기형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대상군의 의무기록 및 방사선 영상을 검토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고 기존의 Frantz와 O'Rahilly 분류법 및 Tytherleigh-Strong과 Hooper에 의해 추가된 분류법 및 Goldfarb 등에 의해 제시된 분류법에 따라 각각 분류해보았다.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맞섬 및 집기 기능의 향상 여부를 확인하였고, 부모들의 수술에 대한 만족도를 VAS (visual analog scale)를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다. 결과: 태아기의 문제점이나 유전양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견관절은 1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비정상적이었으며 주관절은 비정상적인 2예를 제외하고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완관절 및 수부도 모든 예에서 기형을 보였으며 무지는 없거나 저형성되어 있었다. 편측이 이환된 경우에 비해 양측이 이환된 경우는 하지를 비롯한 다른 동반 기형을 가지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기존의 Frantz와 O'Rahilly 분류법으로 분류가 가능한 경우는 없었으며 Tytherleigh-Strong과 Hooper에 의한 추가 분류법으로는 type A가 1예, type B가 1예, type C가 7예에 해당되었다. Goldfarb 등에 의한 분류법으로는 proximal radial longitudinal dysplasia가 2예에 해당되었으며 proximal ulnar longitudinal dysplasia가 7예에 해당되었다. 무지화 수술을 시행한 3예에서는 수술 후 맞섬 및 손끝집기가 가능해졌으며, 합지증 분리술을 시행한 2예에서는 모두 수술 후 가쪽집기가 가능해졌다. 수술적 치료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는 수술 후 평균 8.2였다. 결론: 해표지증은 편측 및 양측 이환 여부에 따라서 임상 양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해표지증은 기존의 Frantz와 O'Rahilly의 분류에 의하여 단순 분류하기는 어려우며, 분류상 횡적 개재성 기형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수술적 치료는 팔 길이보다는 수부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지화 수술과 합지증 분리술을 통해 기능적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Phocomelia is an extremely rare congenital anomaly of the upper extremity. There have been no clinical reports about phocomlia in Korea except for five birth reports. We present here the clinical features, classifications and surgical treatments of our phocomelia cas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3 to August 2007, seven patients were diagnosed as having phocomelia in 9 upper extremities at our clinic. Surgical treatments were performed for five patients on their hand anomalie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our cases, and we tried to classify them by the previously suggested systems. We evaluated the functional improvement and measured the VAS scale for parental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ve outcomes. Results: We could not find any problems during the fetal periods or any hereditary features. The bilaterally-affected patients also had deformities of the lower extremity, while the unilaterally-affected patients did not. We couldn't classify our cases according to the Frantz and O'Rahilly system. We found that the classifications suggested by Tytherleigh-Strong and Hooper (2003) and Goldfarb et al. (2005) could be promising alternatives for classification. One upper extremity was classified as type A, one as type B, and 7 as type C by Tytherleigh-Strong and Hooper's system. Using the Goldfarb's system, two upper extremities were classified as proximal radial longitudinal dysplasia, and seven were classified as proximal ulnar longitudinal dysplasia.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pollicization showed opposition and tip pinch. Two patients who underwent syndactyly division could do lateral pinch. The VAS scale for parental satisfaction with the functional improvement averaged 8.2 postoperatively. Conclusion: The bilateral cases had different clinical features from unilateral ones. Phocomelia could not simply be classified by the Frantz and O'Rahilly system, and it may not be a true transverse intercalary deficiency. We could gain functional improvement after operations on the hand anomalies.

      • 동시성 단지성 관절 근접 다발성 연골 육종 -증례 보고-

        오주한,김재윤,공현식,김우성,김태윤,Oh, Joo-Han,Kim, Jae-Yoon,Gong, Hyun-Sik,Kim, Woo-Sung,Kim, Tae-Yune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연골 육종은 가장 흔한 원발성 골육종 중 하나로, 간엽성 연골육종을 제외하면 대체로 저 악성도 병변이며, 다발성 발현이나 원격 전이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발성 내연골종(Ollier's disease)과 Maffucci's 증후군에서 다발성 연골육종이 발생한 례가 드물게 보고되었으며, 아직까지 한 관절을 사이에 두고 그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연골육종이 동시에 발생한 례는 보고된 적이 없었다. 저자들은 30세 남자 환자에서 폐나 내장의 전이를 동반하지 않고, 한쪽 견관절을 사이에 두고 견갑골의 견봉과 상완골에서 동시에 발생한 다발성 연골육종을 경험하였으며, 이를 "동시성 다발성 관절 근접 연골육종"이라 명하였다. 견봉에 위치한 병변은 소파술과 함께 동종 골이식과 시멘트 충전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병변은 설상 절제술과 시멘트 충전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18개월까지 재발의 증거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통증 없이 전 범위 운동이 가능하였다. Chondrosarc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primary bone sarcoma. With the exception of the mesenchymal subtype, chondrosarcomas are usually low-grade lesions and rarely show multicentricity or distant metastasis. Only rare cases of multicentric chondrosarcomas have been reported in association with Ollier's disease and Maffucci's syndrome. To our knowledge, no report has been issued of a synchronous multicentric chondrosarcoma occurrence across a joint. We experienced a 30-year-old man with a synchronous monomelic juxta-articular multicentric chondrosarcoma across a shoulder joint in the absence of pulmonary and visceral metastases. He was treated by curettage and cement filling with allograft in the acromion and wedge resection with cement filling in the proximal humerus. At the 18-month follow-up,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and the patient had full range of motion without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