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율 조류 바이오매스 반응기에서 조사시간으로 본 Zygnema sterile과 Lepocinclism textra 바이오매스의 질소, 인 이온 생흡착의 비교

        공석기(Surk-Key Kong)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7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22 No.4

        The recent investigation indicates that the kinetic constants for anionic ions were merely the result of ion exchange between the algae cell wall surface and the anionic ion. In this study, Zygnema sterile and Lepocinclism textra, floating flagellate alga as the dominant algae strains, were cultivated using HRABR(High Rate Algae Biomass Reactor) and the cultivation conditions were 24 hrs, and 12 hrs, irradiation and it was studied how this algal biomass acts on the biosorption mechanism of anionic N and P. Results are as follows : 1. Calculating the specific ch1.-a growth rate using Michaelis-Menten model, the one of 24hrs, irradiation was about 55 times higher than the one of 12 hrs, irradiation 2. Calculating the specific ch1.-a growth rate using Kuo model, the one of 24 hrs, irradiation was about 2.26 times higher than the one of 12 hrs, irradiation 3. Langmuir model can apply to the biosorption mechanism of anionic N and P in HRABP. 4. Regarding the chlorophyll-a concentration as unit weight of sorbent, the ion selectivity coefficients for N and P are as follows : (NH?-N)+(NO?-N) in 24 hrs, irradiation ; 44.984 PO₄-P in 24 hrs, irradiation ; 24.237 (NH?-N)+(NO?-N) in 12 hrs, irradiation ; 1432.851 PO₄-P in 12 hrs, irradiation ; 599.076

      • KCI등재

        한국 환경운동의 초국적 동원과정의 동학: 리우에서 요하네스버그까지

        공석기(Sukki Ko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0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4 No.-

        최근 들어 국경을 초월한 초국적 행위자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였고, 특히 국제정치와 사회운동 이론분야에서의 접목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환경운동 경험을 통해 초국적 동원전략이 국제 환경회의의 참가를 통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국제경험이 운동의 조직발전뿐만 아니라 정부정책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운동 역량 강화에 기여하였음을 분석하고 있다. 초국적 공간의 측면을 살펴보고자, 본 논문은 1992년 리우 환경개발회의와 2002년 요하네스버그 회의를 한국의 시민 사회, 정부, 그리고 기업의 삼자관계를 통해 비교하였고, 이러한 비교그림을 기초로 각 영역이 리우 회의 이후 어떻게 조직변화를 이루어서 국제정책결정과정에 개입하고 대응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운동은 변화된 정치기회구조의 활용 및 네트워크와 틀 조정 결함을 통해 초국적 운동단체와 다양한 연대활동을 전개하였다. 동강댐 반대운동과 새만금 간척사업 반대운동은 이러한 초국적 동원 전략의 발전과정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예이다. 물론 정부의 지속적인 저항이 존재하지만, 운동 내외적으로 존재하는 장애물들을 극복하기 위해 환경단체들이 초국적 동원전략을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계발할 것으로 전망된다.<br/>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nternational norms and ideas at different levels, there have been convergences of interest from many disciplines on varying relationships among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national or local movement organizations, government officials, and business groups Using Korean cases, tills paper aims to explore the variation of structure and dynamics between transnational mobilization and the strong state m the local implementation process First, the paper examines how the two World Conferences--the UNCED conference at the Rio de Janeiro in 1992 and Johannesburg in 2002--have influenced both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s and the government with respect to institutional change and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 Next, to explore how effectively local movements mobilize transnational resources into local concerns and at the same time how strategically the government reacts to both international and local demands over the decade, the paper analyzes two environmental campaigns of the late 1990s in Korea: the Tong River Anti-Dam Construction and the Saemangeum Anti-Land Reclamation<br/> These cases highlight the increasing role of transnational mobilization process in confronting the strong state that has effectively prepared for transnational pressure.<br/>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지구시민사회(Global Civil Society)는 가능한가? -초국적 사회운동(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을 중심으로

        공석기(Suk-Ki Kong),임현진(Hyun-Chin Lim) 한국비영리학회 2003 한국비영리연구 Vol.2 No.2

        전지구화에 대한 대항개념으로서 反지구화 혹은 逆지구화 논의가 지구시민사회의 물적토대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대립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정부간 노력에서보다는 국경을 초월한 시민사회의 역동성에서 발견하고, 과연 건강한 지구시민사회는 어떠한 조건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 주목한다 이를 위해 지구시민사회의 행위 수행자로서 초국적 사회운동단체들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핵심 운동 전략을 살펴보고 있다 첫째, 전지구화 과정을 통해 자유롭게 국경을 넘나들며 다충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NGOs간의 연결망은 각국의 시민사회를 연계하는 브로커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둘째, 이 NGOs들은 전지구적 규범의 창출, 확산, 그리고 학습화를 통해 시민사회 성원들이 이른바 전지구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셋째, 풀뿌리 운동단체들이 다양한 물적 자원을 초국적으로 동원하여 지역 사회 안에 효과적으로 접목시킴으로써, 지역운동을 강화시키는 이른바 '초국적 동원전략'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시민사회를 이루는 과정에서 다양한 장애물을 마주하게 되며, 이 장애물들은 국내는 물론 국제수준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면서 종종 상호적으로 초국적 연대활동을 더욱 약화시키고 있다. 예컨대, 지역운동단체들이 지나치게 국내문제에 매몰됨으로써 기존의 연대활동을 지속적인 연결망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 중요한 장애요인이며, 초국적 연대활동 내부에도 남북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풀뿌리 시민사회가 성숙되지 못함으로써 야기되는 불투명하고도 무책임한 연대활동 등이 있다 한국사회 운동 역시 비록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비교적 강한 시민사회를 이루었지만, 지나치게 국내 현안에 매몰됨으로써, 초국적 연대활동을 소홀히 여기고 있다 전지구화와 반지구화 간의 대립이라는 국제맥락에서 한국 시민사회는 국내운동과 초국적 운동을 분리하는 기존의 태도에서 벗어나 국내현안을 국제문제와 효과적으로 접목시키고, 이를 지속적인 연결망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전지구적 차원의 지구시민사회를 형성하는 핵심 브로커로 거듭나야 할 시대적 요청을 맞고 있다 Ironically, both global backlash or rolling back globalization and globalization arguments become resourceful foundations for us to reemphasize the concept of global civil society theoret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This paper intends to find a clue for solving the conflicts between globalization and global backlash not in inter-state's diplomatic efforts but in dynamic cooperation of civil societies beyond national borders What matters is to explore under what conditions global civil society could be robust. Given this, this paper examines three crucial movement strategies of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as a critical body of global civil society. First, NGOs as independent actors who can move beyond, below and around nation states, play a brokerage role in loosely connecting various civil societies. Second, NGOs actively participate in developing global norms, diffusing and socializing them and then contribute to forging global identity based on those globally shared norms. Third, grassroots groups can mobilize transnational resources and frame them into local concerns and then enhance their capacity of influencing government policy-making In the course of transnational activities, however, NGOs have to face various obstacles which prevail at multi-levels. The most significant obstacle is unsustainable networks between transnational and local movement organizations which could weaken the robustness of global civil society. Most local groups seem to be so entangled with local issues that they often separate global issues from local ones Global north-south issue also emerges at transnational level in which western activists are still domina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mong NGOs. Immature local NGOs is still struggling over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ssues in the course of cooperation with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GOs and NGOs. For the Korean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this transnational cooperation or transnational mobilization has been neglected because of their full attention to pro-democracy movements In near future, Korean civil society has no choice but to face the very important task that it has to effectively apply global issues to local ones and develop sustained networks with various international groups and be born again as a crucial broker of vivifying global civil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NGO/NPO 연구의 최근 동향

        임현진(Lim, Hyun-chin),공석기(Kong, Suk-ki) 한국NGO학회 2003 NGO연구 Vol.- No.1

        전지구적 차원의 사회운동이 부상함으로써 국제연대 활동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이론정립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초국적 운동주체에 대한 개념적 합의 없이 다양한 용어와 개념이 혼돈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초국적 운동주체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분석과 이해를 돕고자, 본 논문은 먼저 구미학 계에서 사회운동의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본 후, 지구시민사회를 활성화시킬수 있는 구심체인 초국적사회운동의 형태, 역학 및 장애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환경운동이 추진한 국제연대활동을 초국적사회운동의 관점에서 간략히 살펴보았다. 최근의 지구시민사회 논의는 초국적 운동주체의 급부상을 통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이들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탈중앙화된 지역행 위자들로서 담론과 실천 네트워크를 통해 지구문화의 전파 및 확산을 통해 세계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이러한 초국적 활동이 지속적인 네트워크로 발전하여 지구적 수준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그러나 이들의 활동을 가로막는 다양한 장애물들이 놓여 있다. 지구시민사회의 진정한 주역은 누구인가? 국제 및 지역수준에서 이루어지는 다차원적 연대 활동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유지되는가? NGOs의 남북문제, 정보와 자원을 얼마나 균형 있게 나눌 수 있는가? 국가의 주권 및 안보 이슈, 즉 정책구현체로 서의 국가와 어떻게 전술적으로 협력할 것인가? 한국 환경운동의 경우, 초국 적사회운동 논의는 1992년 리우 세계 환경회의를 분기점으로 살펴보는 것이 타당하다. 동강 댐 반대운동과 새만금 간척사업 반대운동은 지역수준에서 발의된 초국적사회운동 사례이다. 전자가 언술네크워크에 기초한 초국적 옹호망 이었다면, 후자는 지속적인 네트워크와 효과적인 프레임 조정과정에 기초한 초국적사회운동으로 나아가는 초기 모습을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With the upsurge of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on a global scale,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develop analytical concepts and theories about varying activities across national borders.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main issues on current social movement studies, and addresses key characteristics, dynamics, and obstacles of global civil society theory by focusing on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as a crucial body for implementing it. As an example, this paper briefly analyzes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s since 1992. Such a big increase of NGOs at various levels empowers global civil society arguments theoretically as well as substantially. They are decentralized non-state actors across national borders who can contribute to diffusing or expanding global cultures through discourse and networks. Based on sustained networks, they can develop not only global identity but also transnational solidarity supported by social capital on a global scale. Unfortunately, such a fantastic vision has faced many obstacles.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s entered transnational public sphere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UNCED at Rio de Janeiro in 1992. The anti-Tong River Dam and the anti-Saemangeum Land Reclamation campaigns are locally initiated transnational cooperation between transnational and local movements. While the former can be categorized as the level of 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s based on discursive networks, the latter can be the early level of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s based on sustained networks and effective framing.

      • KCI등재

        미래 한국 NGOs의 조직 및 운영 과제 : 운동의 민주화 그리고 전지구화

        임현진(Lim, Hyun-Chin),공석기(Kong, Suk-Ki) 한국NGO학회 2005 NGO연구 Vol.3 No.1

        한국 사회운동의 발전과정을 요약하면 한국사회 민주화를 견인한 갈등 저항의 시기, 국내외 유리한 정치기회 구조 속에서 운동단체의 비약적 성장과 제도화를 경험한 사회운동 전성기, 그리고 운동조직 내부의 민주화 및 전지구화라는 운동의 지속가능성 과제를 마주한 사회운동의 성숙기 등의 세 국면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 세 발전국면이 압축적이면서도 동시적인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운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이 혼재된 위기 상황 속에서 과연 어떻게 운동단체들이 합리적 조직구조와 운영방법을 체득해 갈 것인가를 운동의 민주화 및 전지구화라는 측면에서 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운동 발전 동학의 핵심기제라 할 수 있는 정치기회구조, 자원동원구조, 운동프레임, 그리고 연대성의 확대에 관한 최근의 연구물을 검토하였고, 이 분석을 토대로 한국 NGOs에 접목시킬 수 있는 대안들을 몇 가지 모델로 제시하였다. 그 예로 운동의 지역화, 소규모 단체들의 연합체, 사안 중심의 전문운동단체의 강화, 그리고 온라인/오프라인 운동의 전략적 수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운동조직의 합리적 운영은 곧 운동 조직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제고하는 것이기에, 이를 위해서 미래 NGOs는 운동의 정당성(legitimacy), 책임성(accountability), 그리고 투명성 (transparency)을 확보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앞으로 한국 NGOs가 정부의 정책변화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운동의 전문성(professionalism), 대중적 지지에 기초한 운동의 생동성(vivification), 운동의 예측 가능을 제고하기 위한 운동의 객관성(objectivity) 그리고 운동 전략과 전술의 선진성(novelty) 과 타당성(validity) 등을 겸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힘을 역설하였다. Briefly we could divide the developing processes of Korean social movements into three stages: (1) a resisting and conflicting stage of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SMOs) hauling up political democratization; (2) a rocketed growth and institutionalizing stage of SMOs with favorab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opportunities, (3) a maturing stage of SMOs, facing with two pivotal tasks of democratization within SMOs as well as globalizing social movements. Paradoxically, however, Korean SMOs have experienced such three stages compressively and simultaneously rather than sequentially. This article intends to illuminate how Korean SMOs could overcome such intermingled obstacles standing in achieving and managing a rationally organized structure with reference to two key concepts of democratizing and globalizing social movements. First, by reviewing recent social movement researches which focus on new phenomena including globaliz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nsnationally networked solidarity movements, we intend to apply such significant concepts and mechanism as locality, federation, issue-specific professional groups, and a convergence between online and off-line movements to Korean SMOs. Secondly, the key issue for rationally managing a SMO lies in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of SMOs, which consists of three key indicators: legitimacy,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Finally, promising NGOs in the future should develop and sustain several movement characteristics-professionalism, member s vivifying participation, predictable movements based on objectivity, and novelty and validity in movement strategies-keyed in preceding the government policy-making process.

      • KCI등재

        지구시민사회의 작동원리와 한국 사회운동의 초국적 동원전략

        임현진(Hyun Chin Lim),공석기(Sukki Kong)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2

        본 논문은 전지구화와 민주화의 불완전한 결합현상에 대한 대응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비국가 행위자(non state actors)가 초국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다양한 도전과 저항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협의의 초국적 사회운동 조직들의 초국적 연대활동을 주목하고, 이들의 운동양식을 갈등의 국가간 국제체제, 경쟁의 자본주의 세계경제, 그리고 협력의 지구시민사회라는 세가지 이론적 분석틀에 적용하였다. 초국적 사회운동은 국가간 국제체제 및 자본주의 세계경제 체제에 대한 도전 및 경쟁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동시에 지구시민사회의 토대를 강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논의를 한국의 환경과 인권운동 진영의 초국적 확장과정에 적용하였다. 비록 한국의 초국적 연대활동 노력은 다양한 장애물의 영향으로 아직 성숙한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두 운동진영은 초국적 동원전략 및 초국적 영역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그 운동영역, 전략, 운동프레임 및 대상을 전지구적으로 접목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This article intends to focus on various types of transnational challenges and resistances deployed by ‘Non?state Actors’ involved in the incomplete combining process between democratization and globalization. By narrowing down the actors into ‘transnational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TSMOs) in particular, we try to apply varying transnational and local linkages carried by both transnational and local SMOs to three theoretical frameworks including Inter?State System(ISS), World Capitalist Economy(WCE), and Global Civil Society(GCS). Ideally the frameworks respectively represent conflicting, competitive,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 in world politics. Arguably TSMOs not only take two positions as a challenger or a competitor to the ISS and the WCE regime but also brokering role should be applicable to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Korean social movements. This we chose environment and human rights movement sectors and tried to explore how they understand and carry out their activism along the three roles in terms of transnational mobilization. We find out that both movement sectors recognized a significant necessity of extending transnational activism and participating in transnational public sphere to learn, understand, and apply new issues, tactics, frames and targets, even though each movement sector is still struggling with various obstacles.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에서 개도국 NGO의 역할과 한계: 방글라데시 BRAC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손혁상 ( Hyuk Sang Sohn ),공석기 ( Suk Ki Kong ) 국제지역학회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2

        20세기 후반 이후 개도국 NGO는 조직화, 전문화, 국제화를 거치면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개도국 NGO가 서비스 제공 기능이 강화되면서 정부의 기능과 중첩되고 때로는 정부의 역할을 보완하는 대리인으로 전락하는 위험도 마주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그 대표적사례인 방글라데시 BRAC에 주목하여 그 활동의 역할과 한계를 비교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BRAC은 외부 원조기관의 이해관계에 민감해지면서 조직의 위계성과 투명성 그리고 효율성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그 결과 책무성, 풀뿌리 시민의 동원 및 운동성 그리고 시민역량차원에서는 한계가 발견되었다. 반면에 초국적으로 느슨한 수평적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비아캄페시나는 풀뿌리 소농을 중시하며 아래로부터의 자발적 참여, 시민 감시와 정책 옹호활동을 강조한다. 이 두 단체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개도국 NGO의 향후과제를 도출하였다. 개도국 개발NGO는 단순히 조직 활동의 투명성과 제한된 책무성에 만족하기 보다는 풀뿌리 시민들의 아래로부터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시민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전략상의 변화 없이는 개발NGO의 활동은 개도국의 빈곤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늘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Development NGOs started to rapidly grow since the mid-20th Century. However, by focusing mainly on service programs and putting their emphasis on the system’s sustainability, the boundary between the state and development NGOs has become vague and from time to time they face the danger of deteriorating into the role of supplementing what should be the role of the state. This paper focuses on BRAC, a prominent development NGO in Bangladesh, as a representative case and analyzes the role of their activities and their limitation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s BRAC became susceptible to the interests of foreign aid organizations, they started to excessively focus on the organization’s hierarchy, transparency and effectiveness. The result of this is the limitations on accountability, grassroots mobilization and activism as well as the citizens’ capabilities. By comparing BRAC and Via Campesina, we have found the future tasks for development NGOs working in developing countries. Development NGOs should not be content with just being transparent and having a limited form of accountability but should strive to find a strategy that can encourage the continual participation of grassroots citizens from the bottom and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these citizens. Without these strategic changes, the activities of development NGOs will be limited in fundamentally alleviating poverty in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한국인의 인권인식과 태도, 2005~2011년

        정진성(Chinsung Chung),구정우(Jeong-Woo Koo),공석기(Suk-Ki Kong),유기웅(Kiwoong You)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4 No.-

        본 논문은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이루어진 한국의 인권의식조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인권인식과 태도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살펴보고, 이것이 갖는 인권사회학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2005년부터 2011년의 기간 동안 한국인의인권의식은 크게 확대되었다. 둘째, 인권의식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시민적 정치적 권리와 관련된 현안에 대한 태도는 보다 비판적, 복합적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반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에 조응하는 정책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는 확고하게 인권 친화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 발생한 인권의 확산이란 기존의 확산가설이 논증했던 것보다 훨씬 더 논쟁적으로 전개되었음을 시사한다. 즉, 개인의 인지적 과정에서 관찰되는 인권의 확산은 단선적이고, 자명한 확산이라기보다는, 사회의 특수한 문화적 맥락, 지역적 행위자들과의 부단한 상호작용 속에서 전개되는 논쟁적 확산이었다. 논쟁적 확산은 인권의 정의와 이해를 둘러싼 다양한 논쟁과 토론을 수반하며, 이를 통해 인권에 대한 성찰적 이해 과정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은 인권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 특히 인권사회학에 기여하고자 하며, 향후 인권에 대한 연구의 방향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구성되는 개인의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Korean citizens’ 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 human rights have changed from 2005 to 2011 by analyzing three nationally representative human rights surveys conducted in South Korea.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threefold: (1) Human rights have rapidly infiltrated into Korean citizens’ consciousness; (2) despite the remarkable diffusion of human rights, Korean citizens have become less support of major polices related to civil and political rights; (3) Yet their attitudes toward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oriented polices have become more favorable. While largely supporting the hypothesis of human rights diffusion advocated by world polity theorist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heorization of human rights diffusion needs to be redirected to the contesting nature of human rights dif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