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의 뉴노멀 담론과 제문제

        고홍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2 No.-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tendencies of the recently published studies related to the new normal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nd aims to set the direction of our art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o organize the problems needed to establish the new normal. Consider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crisis of the climate environment as the factors that cause the new normal discours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as the drivers, the background and discussion of each item are examined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new normal discourse. The overall direction was derived. Based on this, the content of preceding studies publish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was briefly summarized, classified and organized by content, and finally five critical issues were derived. First, the problem of educational gap and inequality, second, the problem of cultivating community spirit and sociality, third, the problem of school art educa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art, concerns about the decline in art capacity due to the weakening of traditional art activities, and finally, ecological value That is the concern about the central art activity. No one can clearly predict what the future will look like, but it is clear that it will be very different from our existing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figuring out what the new normal our art education will build in a rapidly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and what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 needs to be continued. 본 연구는 미술교육 영역에서 최근 발표되었던 뉴노멀 관련 연구들의 내용과 경향성을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여 뉴노멀을 구축해 나가는 데 필요한 여러 문제들을 짚어 보고자 하였다. 뉴노멀 담론을 일으키고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크게 디지털 전환, 코로나19 팬데믹, 그리고 기후 환경의 위기의 세 가지를 살펴보았으며, 각각의 항목에 대한 배경과 논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뉴노멀 담론의 전반적인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미술교육 영역에서 발표된 선행연구의 내용을 간략히 개괄하고 이를 내용별로 구분하여 정리하며 결론적으로 다섯 가지의 문제의식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 격차 및 불평등 해소의 문제, 둘째, 공동체 의식과 사회성 함양의 문제, 셋째, 학교 미술교육과 디지털 미술 적용의 문제, 전통적 미술 활동 약화에 따른 미술 역량 하락에 대한 우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생태적 가치 중심의 미술 활동에 대한 고민이 그것이다. 앞으로 우리에게 닥칠 미래의 모습이 어떠할지는 아무도 명확히 예견할 수 없지만 지금의 우리 사회와 매우 다를 것임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문화적 상황에서 우리 미술교육이 구축할 뉴노멀은 무엇이며 어떠한 이어가야 할 논의의 내용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소통”의 개념으로 본 백남준의 작품 세계와 미술교육에의 적용

        고홍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4 미술과 교육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meanings of “communication” which is the philosophically fundamental concept of Nam June Paik’s works. Paik is a globally well-known contemporary artist, especially as “the founder of video art.” In the field of art, the main focus of Paiks’ works were mostly about the fact that he harnessed video devices in creation of artworks. However, the reason that Paik’s works are meaningful and outstanding to us is because of his aesthetic philosophy, righteous “communication” in the society of highly developed technology. In his perspective,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is basically interactive―not one-directional talks―, which is based upon equitable relationships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Nowadays, in the Korean society, the issue of “communication” is a kind of hot potatoes, and the field of education is not exceptional in this phenomenon. In this sense, Paik’s concept of “communication” provides meaningful messages to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ever, in the curriculum of Korean art education, Paik’s works are mostly introduced in terms of its material characteristics as video art or media art. Most art textbooks that include Paik’s works in them introduces works of Paik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s video, TV, or laser. This research explores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which underpins Paik’s works, its meanings and messages for the contemporary Korean art and society, and its application for the Korean art education. 본 연구는 세계적인 한국의 현대미술가 백남준의 작품세계에서 나타나는 “소통”의 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디오 아트의 창시자”로 잘 알려진 백남준은 일반적으로 그가 작품 제작에 사용하였던 비디오라는 매체적 활동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이야기 되어 왔다. 하지만 백남준의 작품이 위대하다고 평가 받는 이유는 그가 미술 작품에 처음으로 최첨단의 과학기술을 이용했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의 작품이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그가 가졌던 “소통”이라는 개념에 대한 철학과 작품을 통한 표현이 현대 사회의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소통”이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공동체에서 서로 평등한 관계성을 바탕으로 의견을 주고받고 수렴하는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교류의 양식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은 “소통”이 부재한 “불통”의 상태라 할 수 있는데, 백남준은 자신의 작품 활동을 통해 최첨단 과학 기술의 순기능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고 건전한 “소통”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미술교육에서 백남준을 다루는 관점은 매우 제한적으로 그가 작품 제작에 사용했던 비디오와 미디어라는 매체적 특성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어 그의 작품 세계가 현재 우리의 사회에 던져주는 의미 있는 메시지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미술을 비롯한 동시대 사회에서 백남준이 제시하였던 “소통”의 의미와 시사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미술교육을 통해 이를 교육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

        공공미술의 실천과 제문제: 2013년 화성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고홍규,김민경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4

        This study addresses various issues of public arts in practice, focusing on the HwaHwaHwa public arts project in Hwaseong, Gyeonggido in 2013. The Hwaseong City Arts Cooperation was in charge of the project, which was conducted by eleven artist groups across eight local villages in Hwaseong from September 2013 to February 2014. The present researchers were one of the teams of artists and conducted the project titled “Wildflower Village” at Sanggi 2ri. This study focuses on our experiences as art practitioners and educators, and discusses the meaning of public arts and the issues of public art. First of all, this study seeks a transition between the concepts of public art and educational meaning. Additionally, this study briefly introduces the project and raises issues of public arts activity: first, the uncertainty of conceptual frameworks of public arts second, ambiguity of evaluation for achievement of public arts third, the vague identity of public art practitioners and the role of art education and fourth, the agency of public art groups and problems encountered after service. The study also includes discussion about public arts in the art education field, focusing on the educational meanings of public arts. Most of this discussion focuses on finding relevance in numerous educational activities. However, as the study contemplates various issues in practical fields of public arts, the researchers intend to provide practical advice on future expansion of discourse formation and practice in the public arts field. 본 연구는 2013년 경기도 화성시에서 진행되었던 “화(華)화(畵)화(話) 공공미술 프로젝트”를중심으로 공공미술의 실천에 있어 도출되는 문제점들을 고찰하여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화(華)화(畵)화(話) 프로젝트는 화성시 문화재단의 주관으로 화성시 소재의 마을 8곳에서11개의 미술가 그룹의 참여로 진행된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2013년 9월부터 2014년 2월까지진행되었다. 연구자들은 참여 그룹의 한 팀으로서 상기2리에서 “들꽃마을 상기2리”라는 제목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 공공미술의 실천자로서, 그리고 미술교육자로서 경험하고느낀 바를 중심으로 현대 미술에서 공공미술의 의의와 그 실천에 있어 도출되는 문제점들에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는 공공미술의 개념과 그 의미의 변화, 그리고 교육적의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어 화(華)화(畵)화(話)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공공미술의실천에 있어 제기되는 문제점을 첫째로 공공미술 개념 규정의 불확실성, 둘째로 공공미술의성과에 대한 판단의 모호성, 셋째로 공공미술 실천자의 역할과 정체성의 모호함, 그리고 미술교육의 역할, 넷째로 공공미술 활동의 주체와 사후 관리의 문제라는 측면에서 논하였다. 그동안 미술교육 분야에서 공공미술에 관한 논의는 공공미술의 교육적 의의에 초점이 맞추어져대부분의 연구가 다양한 교육활동과의 관련성 찾기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하지만 본연구는 실제 공공미술의 실천적 영역에 있어 고려해야 할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연구하여 봄으로써 앞으로 공공미술에 대한 발전적 담론 형성과 그 실천에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미술적성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미술적성 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고홍규,강병직,김정희,이현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2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questionnaire for art aptitude test for adolesc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researchers, firstly examined credibility and validity of elements of art aptitude based upon preliminary research.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ptitude elements and competencies for art related fields such as architecture, photography, design, fine art, and art criticism were pulled out. And then, analyzed credibility and validity of aptitude elements and competencies by Delphi technique. Through this process, elements of art aptitude were finalized. This research is a part of a big project to develop standardized art aptitude test for adolescent. Next process after this research would be analyzing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temporary questionnaire of the test, and then standardization of it. The final version of the test, which is standardized art aptitude test for adolescent would help middle school students to consider their career development, especially, in relation to Free Semester System activated to nation wide in 2016. 본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표준화 미술적성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 중 미술적성 요인에 대한 신뢰도 조사와 측정문항 도출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미술의 영역과 적성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술적성 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해 건축, 사진, 디자인, 순수미술, 미술비평/이론의 다섯 영역별 직무 능력과 적성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측정문항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어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영역별 전문가들의 미술 적성 요인과 측정문항 초안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모든 영역 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미술 적성 요인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렇게 개발된 미술적성 요인과 측정문항은 이어 그 신뢰 성과 타당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될 것이며, 최종적으로는 표준화 검사를 통해 중학생을 위한 표준화된 미술 적성검사도구 개발의 단계를 거칠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쟁점 분석을 통한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도출

        고홍규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3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쟁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논의들이 미술교과 교육에 가지는 시사점과 의의는 무엇인지, 현장의 미술교사들의 경험과 견해와 비교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자유학기제에 대한 담론들은 크게 진로지도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 학교별 교육프로그램의 편차, 그리고 정규교육과정과 연계의 어려움이라는 쟁점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자유학기제에 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교사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 또한 대부분 공감하고 있는 쟁점임을 확인하였다. 미술교사들은 자유학기제의 시행이 수업 개선과 변화 를 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지적하였는데, 이는 자유학기제를 통해 이끌어 낸 수업 방식의 변화라는 긍정적인 담론과 그 맥을 같이 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고려해야 할 여러 이슈들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진로교육의 비효율성, 기존 미술교과와의 차별성 부재, 그리고 학교별 프로그램 운영의 편차가 그것이다. 본 연구 는 자유학기제에 대한 다양한 담론과 쟁점을 미술교사들의 경험 및 의견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자유학기제 운영 과 미술교과의 역할에 대한 방향성 설정과 구체적인 대안 마련에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implications of “Free Semester Program” on art education through analyzing various discourses of it and experiences and opinions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The discourses about Free Semester Program consists of three parts: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differences among school’s capability to run the system, and the linkage between the regular curriculum and the Free Semester Program. This research found that those discourses are also noticed by middle school art teachers as well. Th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middle school art teachers revealed that they share opinions of positive results of Free Semester Program in that it led improvement of art class. However, they also shared their experience of negative effects of Free Semester Program such as inefficiency of art-related career education, no difference between the Free Semester Program and regular curriculum in art education, and differences among school’s capability to run the system. This research means in that it provides directions of Free Semester Program in future and art education’s roles through analyzing discourses of it and opinions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 KCI등재
      • 『건강도시를 만들기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에 대한 토론문

        고홍규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

        공동체 중심의 건강 증진을 꾀함에 있어 미술교육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논의로 기존의 미술교육 담론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흥미로운 접근과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안혜리 교수 님께서 제시하신 논의와 사례는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 KCI등재

        Implications of Eco-Aesthetics for Art and Education

        고홍규 한국조형교육학회 2012 造形敎育 Vol.0 No.43

        생태학(ecology)은 다양한 생물과 환경의 관계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영역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생태적 가치관에 기반한 하나의 세계관으로 확장되어 가치 철학(axiology)을 비롯하여 사회학, 경제학, 교육학은 물론 미학과 미술의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생태미학은 이러한 생태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미학으로 단순히 환경을 주제로 한 미술작품을 논하는 미학적 관점이라기보다는 생태학적 가치관에 기초하여 미술전반을 이해하려는 미학적 접근이다. 연구자는 생태 담론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 맥락성 (혹은 장소성), 평등성, 조화의 세 가지 가치관이 생태 철학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가치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환경미술이라 불리는 미술작품에 대해 얼마나 맥락적 혹은 장소 특정적인 가치를 담아내고 있는지, 또 얼마나 평등한 관점을 견지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관점에서 조화로움을 추구하고 있는지를 환경미술협회와 바깥미술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더불어 생태미학적 관점이 환경미술 외의 다른 미술 장르에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민중미술의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생태미학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장소기반교육(place-based education), 생태정의교육(eco-justice education), 그리고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 등의 시도를 생태미학이 견지하는 가치를 반영한 교육적 시도의 예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웹 2.0 환경의 구성주의 교육적 함의화 미술교육에의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고홍규(Koh, Hong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Web 2.0 is a term that designates the online environment which has been changed during last several years. Web 2.0, well known for it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UCC (User created contents). 'tagging.' and 'replying.' is today considered as a new way of social networks or communication in modern era as well as a new web-based technolog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eb 2.0, it relates to constructivists' pedagogy in these ways: 0) User-based online communication of web 2.0 and lerner-oriented education of constructivism, (2) directive person to person communication of web 2.0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of constructivism, and (3) limited role of provider in web 2.0 and the role of teacher as facilitator i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how art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can relate to the web 2.0 environment, and presents the basic discourses for the implications of web 2.0 pedagogy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웹 2.0은 최근 몇 년 동안 변화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소통구조를 이해함에 있어 웹 2.0은 단지 웹 테크놀로지를 일컫는 기술적 용어라기보다는 웹 이용자에 의한 콘텐츠 (UCC), ‘태그’ 혹은 댓글 등을 통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소통, 그리고 모든 웹 이용자들에게 열린 개방성 등 현대사회의 중요한 소통 구조를 잘 반영하고 있는 하나의 사회 현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웹 2.0 환경은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 교사의 조언자적 역할, 협동학습을 통한 상호소통 등을 강조하는 구성주의 교육관과 연관성을 가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미술교육 관점과 웹 2.0 환경이 어떠한 측면에서 연관되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미술교육에 있어 웹 2.0 환경의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보는 기초적 논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융합교육으로서 미술 감상 교육 콘텐츠 개발 연구

        고홍규 ( Koh¸ Hongkyu ),박재용 ( Park¸ Jaeyong ),정동훈 ( Jung¸ Donghun ),장현진 ( Jang¸ Hyunjin ),김정임 ( Kim¸ Jeongim ),김현지 ( Kim¸ Hyunji ),채유정 ( Chae¸ Yoojeong ),한경은 ( Han¸ Kyunge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미술 감상 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과학, 사회(역사), 생활과학(실과) 등의 교과를 연계하는 융합교육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융합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된 이래로 융합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와 교육적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우리 교육현장에서 대부분의 융합교육은 STEAM으로 대변되는 과학이나 수학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다. 미술교과는 다양한 영역과 연계하여 학습될 수 있는 융합적 가능성이 많은 교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융합교육에서는 대개 그 융합적 가능성이 적절히 기능하지 못한 채 주변화 된 교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미술교과, 그 중에서도 타 교과 영역과의 연계 가능성이 큰 미술 감상 영역을 중심으로 여러 교육 내용을 연계할 수 있는 융합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여 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련의 연구 과정의 첫 단계로서 융합교육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고구려 고분벽화 <무용총>, 신윤복의 <월하정인>, 김홍도의 <수운엽출>, 조선의 민화 <백동자도>,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 한스 홀바인의 <대사들>,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사관과 웃고 있는 소녀>, 김환기의 <피난열차>, 가야 시대의 <오리모양 토기>, 그리고 조르주 쇠라의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의 총 10점의 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과학, 사회(역사), 생활과학(실과) 등의 교과와 연계할 수 있는 내용들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앞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개발된 융합적 콘텐츠를 바탕으로, 이를 초등교육과정 및 현장에 부합하는 교수·학습과정안 및 교수 방법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실제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이 이우러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links subjects such as science, society (history), and life science (practical arts) based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Sinc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emerge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nd educational attempts on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mos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our educational field was mainly science or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represented by STEAM. Although art subjects have many fusion possibilities that can be learn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fields, in fusion education so far, the fusion possibilities tend to proceed to marginalized subjects without properly functioning.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onvergent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link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centering on the art subject, especially the art appreciation area, which has a high possibility of linking with other subject areas, and reports its effectiveness. I tried to verif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nvergence educationprogram as the first step in a series of research processes.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include Goguryeo tomb murals < Mudyong Chong >, Shin Yun-bok's < Wolha Jungin >, Kim Hong-do's < Sooun Yeopchul >, Joseon's folk painting < Baek Dongjado >, Leonardo da Vinci's < The Last Supper >, Hans Holbein's < The Ambassadors > >, Johannes Vermeer's < The Officer and the Laughing Girl >, Kim Whanki's < The Evacuation Train >, < Duck-shaped Pottery > from the Gaya Period, and Georges Seurat's < Sunday Afternoon on Granjat Island > As a result, contents that can be linked to subjects such as science, society (history), and life science (practical arts) a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llow-up study, we will go further from this study and present more divers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art works, such as the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develop them as teaching/learning curriculum plans and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