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문화 콘텐츠 기반의 디자인 조기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정욱 ( Jung Wook Go ),권지은 ( Ji Eun K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문화적, 감성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통찰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여러 선진 국가에서는 디자인 교육이 창의적인 사고뿐만 아니라 통합적인 사고 능력을 발달시킨다는 관점에서 디자인 조기교육을 일찍부터 시행하여 국민의 창의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디자인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선진 국가의 디자인 조기교육 사례를 토대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 조기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서양과 동양은 서로 다른 문화권을 가지고 있다. 문화는 교육 방법, 사고방식, 인간관 등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미친다. 디자인도 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디자인 조기교육 또한 서양의 문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교육과는 차별화 되는 한국 문화적 정서와 사고에 기반을 둔 디자인 조기교육을 통해 고유한 창의성을 증진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는 국내 한국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조기 교육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한국 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개발한 디자인 조기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안하고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궁극적으로 한국 아동의 창의력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y that cultural and sentimental value is increasing, the significance of cultivation of discerning and creative talents is being magnified. According to the phenomenon, many advanced countries has taken effort for strengthening people`s creativity by conducting early design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that design education develops not only creative thinking but also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Realizing the significance of early design education, early design education targeting children based on the examples of advanced countries is currently carried out in Korea. However,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share different cultures each other. Culture exercises influence on various parts such as educational method, way of thinking and human values. As design grows based on cultu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unique creativity through early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 Korea`s own cultural sentiment and thought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education established based on the western culture. By the necess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irection of early design education for improving Korean children`s creativity, suggest and verity examples of early desig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ased on Korea`s cultural contents, and, ultimately, intent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Korean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조립식 블록완구의 형태 결정 요인

        고정욱 ( Go Jung Wo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놀이와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조립식 조형 창작용 블록 제품을 대상으로 기초 조형학 관점에서 형태와 구조의 형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조립식 블록완구는 조형 창작물 구성을 위한 부품으로서의 기능과 부품 간 연속적 결합 구조를 가져야 하는 조형 규칙성을 바탕으로 하기에 기초 조형원리의 적용 가능성이 높은 제품이다. 이에 연구의 목적은 형태에 의한 기능 구현 패러다임으로서 조립식 블록완구의 보편적인 형태 결정 요인을 제시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조립식 블록완구의 개념, 국내 현황, 창의성과 놀이도구, 기초 조형 개념과 원리를 고찰하였다. 둘째, 현존 조립식 블록완구의 목록과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관련 특허출원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조립식 블록완구는 ‘모듈 제품 자체의 형태와 모듈 제품 간 연결을 위한 형태적 구조를 주요 특성으로 다룬다.’는 점과 ‘차별 우위를 위해 보다 다양한 조형 구현 가능성을 제안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셋째, 특허 출원 청구 내용 키워드와 선행연구의 연결 패러다임을 근거로 친화도법을 활용하여 기존 조립식 블록완구 110종의 형태적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조립식 블록완구에 대한 13개 형태 결정 요인 (소재, 물성, 크기, 모듈 형태, 연출 조형구조, 이음새 여부, 결합 동작 여부, 결합방식, 결합 구조 형식, 결합 가능 면, 결합 방향, 기본 모듈 종류, 구성 품)과 각 요인별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체계를 기존 조립식 블록완구에 적용하여 기초 조형원리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성 증진 효과가 검증된 블록완구의 발전적 연구와 학술 측면에서 기초 조형 활용성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on the aspect of basic formatives, focuses on the form and structure of prefabricated block toys that can serve an amusement and educational purpose. Prefabricated block toy is highly applicable to principles of basic formatives since the toy is based on the formative regularity, which requires the consecutive bond structure between modules. Therefore, there is high potentiality to apply principles of basic formatives on this product. The purpose of the study proposes universal factors determining the form of prefabricated block toys for the paradigm of implementing functions caused by form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ly, it is researched into principles and concepts of basic formatives, concepts, domestic status, creativity and play tools of prefabricated block toys. Secondly, the features of existing prefabricated block toys and relevant patent applications is researched and analyzed. The study should facilitate to i)find out that a prefabricated block toy has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 structure for connecting module products and the form of a module product itself and to ii)suggest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various formatives to have a differential advantage. Thirdly, the formative differentiation of existing 110 kinds of prefabricated block toys is analyzed by utilizing an affinity diagramming on the basics of the connection paradigms and key-words of patent claims. Accordingly, Thirteen universal factors determining the form was drew such as material types, physical properties, size, form of module, from structure to creative, there is a connector or not, jointed motions types. extended connecting types, connecting structure types, possible sides for connecting, connected direction, quantity of basic modules, sets for the goods, and types by each factors was also deduced. The research is applied on the analysis system to existing prefabricated block toys to analyze the capability to utilize principles of basic formative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could be helpful to research the block toys which the effective boosting creativity is verified, and to explore the capability to utilize basic formatives on the academic aspect.

      • KCI등재

        제품디자인 창의성 기초 교육을 위한 형태 발상의 유형화 연구

        고정욱 ( Jung Wook G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5

        제품디자인 학습자는 소비자에서 디자인 전문가로 이양되어지는 과정에 있는 사람으로서 제품 관련 아이디어에 대한 인식의 전환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두되는 여러 제품디자인 전문적 소양 중에 근본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개념적 아이디어에서 실체적 아이디어로 전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제품디자인은 실제 공간상에 존재 가능한 조형을 매체로 하는 분야이기에 제품디자인 학습자에게 조형 발상의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품디자인 초기 아이디어과정을 개념적인 아이디어의 디자인 컨셉 창출 단계와 아이디어 실체화의 시각적 구체화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시각적 구체화의 첫 단계인 스케치과정을 컨셉에 타당한 조형을 탐색하는 형태발상과 표현기법의 상호작용으로 해석하고 형태 발상에서 수평적인 사고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창조성 기법들이 발상의 촉매가 될 수 있는 사고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방법론에 근거하여 제품디자인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특정 형태의 유형을 15가지로 군집화하고, 형태 형성 패러다임으로 활용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제품디자인 기초 학습자가 직접 대입하여 활용하기 용이하며, 형태발상의 창의성과 전문성을 학습하기 위한 교육 콘텐츠를 제안한다. Product design learners are those who are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consumers to design experts and come to be faced with perception change of ideas related to products. It can be said what is required fundamentally among various professional knowledge of product design raised in this situation involves methods to develop from conceptual ideas to substantive ideas. Especially, as product design is an area where forms make media, which are possible to exist in practical space, it is essential for the product design learners to be taught to be equipped with specialty and creativity of the ideas of the form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ivided the early idea process of product design for the product design learners into the design concept making stage of the conceptual idea and visual concretion stage of idea materialization. And interpreting the sketch process which is the first course of visual concretion as interaction of a form idea to explore a proper form for a concept and expressive technique, we paid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Lateral Thinking in the form idea. In this context, we propose educational contents which are easy for basic learners of product design to apply and use in person, and to learn creativity and expertise of the form idea by grouping types of specific forms which are most frequently used in product design into 15 types based on methodology to provide a paradigm of thinking that a number of creative techniques become catalysts of thinking ideas, and finding out a possibility of using as a paradigm of form formation.

      • KCI등재

        제품디자인을 위한 조형사고력 학습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정욱 ( Jung Wook G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제품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많은 학생들이 의도한 콘셉트와 전혀 다른 우발적인 조형 결과물에 이르게 되는 것은 매우 빈번하다. 제품디자인에서 요구되는 조형사고력은 직관적으로 보이는 결과와는 달리 매우 복합적인 사고의 과정이기에 전공 학습자에게 특정의도를 창의적 조형 결과물로써 구체적으로 전개하는 사고력은 매우 기본적이고 전문적으로 학습 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 조형사고력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하여 탐색, 개발, 실행, 검증연구를 진행하였다. 탐색 연구에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제품디자인의 조형과 디자이너의 창의적 조형사고력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제품디자인 조형은 우발적인 창작 행위 조형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기에 디자이너는 계획적, 구체적, 객관적 조형 통제력을 지녀야 한다는 점을 고찰하고 주장 하였다. 개발 연구에서는 2년간 시범 실시한 계획모형제작학습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편적인 기초조형 학습 다음 단계의 우발적인 조형 행위와 구별되는 조형교육으로써 계획적 조형사고력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행연구는 개발한 학습프로그램을 3년간 전공에 입문한 대학 2학년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15주간 실행하였다. 검증연구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 후 무기명 설문조사와 느낀 점을 통하여 학습 프로그램의 기대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제품디자인 입문 학생들이 제품디자인을 학습하는데 토대가 되는 계획적 조형 발상과 단계적 조형 통제의 디자인 조형사고력을 학습하고 디자인 조형계획실행에 대한 막연함과 두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t is quite frequent that many students arrive at accidental formative products completely different from intended concept at a product design site. The formative thinking ability required in product design is very complex thinking process different from the result intuitively seen; therefore, the thinking ability of a design major student to develop specific intention into a creative product is very essential and it should be learned professionally as an expertise. Accordingly, this study did exploration, development, execution and examination with the study purpose on suggesting a product formative thinking ability learning program. In the exploration study, the importance of product design and the creative formative thinking ability of a designer are emphasized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It has been contemplated and suggested that a designer should have planned, detailed and objective formative thinking ability since product design has the features different from accidental creative formation. In the development study, the issues were found from the planned model production, which was done for 2 years as a model case. Then a planned formative thinking ability learning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accidental formation, was developed as an education following the general and basic formation education class. The execution study was the execution of the developed learning program for 15 weeks in a semester with 170 sophomore students, who entered 3-year design major class. The examination study was an unreg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ith study participants and it verified that the learning program has the expected effect. The developed program will help the product design students in learning how to have planned formation inspiration and get formative thinking ability with stepwise formation control as a foundation in learning product design and overcoming the fear and ambiguity on formation plan execution.

      • KCI등재

        감성디자인을 통한 감성마케팅의 실증적 사례 연구 - 마블 프라이팬 사례 조사를 통한 -

        강범규 ( Bum Kyu Kang ),고정욱 ( Jung Wook Go ),예민주 ( Min Ju Ye )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3

        기업 디자인과 마케팅의 새로운 패러다임 중의 하나는 인간의 감성이 기업의 중요한 마케팅의 수단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 분야의 대부분의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증적으로 화장품이나 패션의류 같은 산업을 제외한, 생활용품이나 주방용품 산업에서는 인간의 감성을 소구하는 감성 마케팅과 감성 디자인 전개가 활발하다고는 보기 어렵다. 하지만 점진적으로 기업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마케팅과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감성디자인을 전략적인 도구로 사용한 감성 마케팅 사례를 연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감성디자인과 감성마케팅의 적용사례에 대한 실증적 연구 발표가 적은 주방 용품 산업에서의 실증적인 사례로써 감성디자인을 통한 감성 마케팅을 적용한 마블코팅 프라이팬 제품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감성 마케팅과 감성 디자인을 적용한 실증적 사례가 시장에서 어떠한 반응을 보였는지, 제품의 매출변화와 시장 점유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큰 틀(framework of the research methodology)의 연구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한 감성디자인과 감성마케팅의 정의를 알아보았다. 둘째, 연구자의 5년 동안의 프라이팬 기업의 현장 경험과 인터뷰결과(Empirical research method)에 의한 연구 가설과 연구문제들을 설정하고, 셋째, 기업의 실증적 자료, 기업의 임원 및 매니저와의 인터뷰(Interview), 그리고 제품 사용자의 설문조사(Questionnaire)를 통해 본 연구 목적인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연구문제들``의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넷째, 연구결과에 대한 보안을 하고자 추가적으로 기업에 대한 광고 등의 판촉활동에 대한 관계와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을 위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궁극적인 본 연구 목적은 감성디자인을 통한 전략적 감성 마케팅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가치를 재평가하여, 소비자 입장에서의 감성 마케팅과 디자인의 문제점을 소개하고, 앞으로 감성 디자인과 감성 마케팅의 전략적 차원에서 도입하려는 기업인이나 연구자에게 선행적 사례로 도움을 주는 것에 있다. The human`s emotion has been used as a key factor in the design area and a marketing technique in a company. Therefore, a company is very interesting in human`s emotional factor for the marketing and the design development recently.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carried out on enhancing how to use the emotional design and the emotional marketing in the kitchenware industry. Besides, almost all of the research works, which attempted to encourage how to use emotional factor for the design and the marketing, was carried out in the theory research level rather than a practical research.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oth a qualitative research and a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The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studied what is the emotional design and the emotional marketing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works. second, the researchers set up the hypothesis and research aims through the previous empirical research works from the researchers who are doing this research. Third, as the main body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companies` data, the data come from the interviews by managers, and the data from questionnaire by the users. The results was produced after analyses of the above all the data. As a results, this research has introduced the successful case study which used the emotional design concept and the emotional marketing as a strategic level in the kitchenware industry. This research results would be able to help some one who wants to use the emotional design as a strategic level in order to increase their market share.

      • KCI등재

        1인 가구를 위한 벽걸이타입의 실내분수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전은영 ( Eun Young Jeon ),고정욱 ( Jung Wook Go ),이보배 ( Bo Bae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1인 가구 소비자의 요구와 트랜드를 반영한 공간효율적인 벽걸이타입의 실내분수기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첫째, 실내분수기 제품의 특징과 종류를 조사 분석하고, 특히 기존의 실내분수기 구조를 분석을 통한 새로운 분류를 제안 하였다. 둘째, 실내분수기 1인 가구 사용자 인식 조사를 통해 사용자 특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직접인터뷰 조사를 통하여 1인 가구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실내분수기 제품의 기능과 그 외의 요구사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실내분수기의 기본구조를 변형해 보는 정량구조(Quantified structure) 방법을 통하여 5가지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다섯째, 본 연구에서 분류 되어진 5가지의 실내분수기 구조 중 1인 가구 사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실내분수기의 구조와 기능을 바탕으로 디자인전개를 하였다. 디자인 전개에 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이미지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개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 되어진 실내분수기는 기존 제품에 없는 최초의 벽걸이타입의 구조를 적용한 실내분수기로써 의미와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the aims to put forward design strategies for a space-efficient wall-mounted indoor fountain that reflects the current trend and the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it researches and analyzes the features and types of the existing indoor fountains; in particular, it puts forward a new taxonomy by analyzing the structures of the existing products. Second, indoor fountain consumer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households are identified through consumer awareness research. Third, the needs(including functions) of the single-person households are analyzed through direct interview. Fourth, quantified structure method, which enables changes to the existing indoor fountain structures, is employed in order to put forward the five structures. Fifth, based on the five most preferred structures, this paper develops a wall-mounted design whose function and structure are the most preferred by consumers. The design was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images that users desired. The indoor fountain presented herein is meaningful and valuable in that it is wall-mounted and that it differentiates from the existing ones.

      • KCI등재

        중국 당나라 시대(618년--907년) 조명 기구의 경향에 관한 연구

        섭염(Yan Nie),고정욱(Jung-Wook Go)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세계화 경향 속에서 각 나라와 각 지방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계승 발전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중국의 전통적인 조명 기구는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생산방식에 의한 창작물이기에 그 사람들의 문화적 심미성과 실용성을 유출해 볼 수 있는 주요한 유물이다. 본 연구는 중국 역사에서 가장 부흥한 당나라의 조명 기구를 통하여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민족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당나라 시대의 사회 배경, 종교 사상, 문화적 특징, 조명 기구의 특징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당나라 시대의 조명 기구 발전 경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의 다중요인 비교분석 방법을 통하여 당나라시대 조명 기구가 지니는 7가지(기능, 조형, 연료, 사용 공간, 사용방법, 종교사상, 생활환경) 요인별 특징을 발견하였다. 또한 당나라 시대 조명 기구는 조명 대중화, 조형의 보편적 단순화, 용도 다양화, 불교 영향력 확산”의 4가지 경향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문화적 고유성의 맥락과 계승적인 관점에서 현대 조명디자인에 새로운 모티브를 제공하는 의미를 지닌다. It is important to inherit and develop th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region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e traditional lighting fixtures in China are the main artifacts that can be used to extract the cultural aesthetics and practicality of the people, and are a major relic of the peoples cultural sensitivities and practic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the meaning of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lighting equipment of the most revived Tang Dynasty in Chinese hist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trend of lighting equipment in the Tang Dynasty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background, religious thought,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lighting fixtures in the Tang Dynasty. In this paper, we analyzed seven factors (function, molding, fuel, usage space, usage method, religious thought,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Tang dynasty lighting fixtures through multiple factor analysis method. In addition, the Tang Dynasty period lighting fixtures had four trends: popularization of lighting, universal simplification of molding, diversification of use, and spread of Buddhist influence.” This tendency has a meaning to provide a new motive for modern lighting design in the context of cultural uniqueness and perspectives.

      • KCI등재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위한 표정 부호화 시스템(FACS) 적용성에 대한 연구

        황차오(Chao Huang),고정욱(Jung-Wook Go)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3

        사용자와 감성적인 소통(Emotional Communication)이 중요한 제품 디자인 영역에서 디자이너가 사용자 감성을 보다 명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은 제품 디자인 연구의 매우 핵심적인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과정에 감성측정의 활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행위적 감성 측정 방법인 표정 부호화 시스템(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을 제품디자인 평가에 활용하였다. 표본으로 선정한 감성 제품의 Image Map을 활용하여 긍정적, 부정적, 중성 감성을 유발하는 제품 자극물 총 6개를 선정하여 20대 일반 제품 사용자를 실험 대상으로 FACS 실험을 진행하고 사용자 얼굴 표정을 통하여 자극물에 대한 감성상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표정 부호화 시스템이 제품디자인에 적용 과정에서 “사용자 무의식적인 얼굴 표정을 기록할 수 있다” 등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사용자 반응도 높은 제품 자극물을 선정해야 한다” 등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제품디자인 시안 단계에서 사전 사용자 감성 예측 방법으로 FACS를 활용성 검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With more emphasis on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users in product design field, designers’ clear and prompt grasp of user’s emotion has become the core activity in product design research. To increase the flexibility applying emotion measurement in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 this study has used Facial Action Coding System (FACS) of behavioral emotion measurement method in product design evaluation. To select specimens, it has flexibly used the emotional product Image Map. Then this study has selected six product irritants inducing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s, and conducted FACS experiment with ordinary product users of 20 generations as the experimental subject, and analyzed users’ emotional state in response to the irritants through their facial expressions. It also analyz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FACS in the process of product design, such as “recording users unconscious facial expressions” and puts forward some applicable schemes, such as “choosing a product stimulus with high user response”.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an be helpful to the flexibility of FACS as a method to predict users emotion in advance at the trial stage of product design before launching them to the market.

      • KCI등재

        제품의 포용적 디자인을 위한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방법의 효용성 연구: 전기다리미 평가를 사례 연구로

        장지파(Ji-Fa Zhang),고정욱(Jung-Wook Go)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제품 디자인개발 과정에서 사용성과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한 제품의 사용성과 포용성 평가방법으로 케임브리지 대학 엔지니어링 디자인 센터의 교수인 Simon Keates와 P. John Clarkson에 의해 Exclusion Calculation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제품의 평가에서 Exclusion Calculation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Exclusion Calculation을 사용하여 전기다리미을 평가하는 실험을 사례 연구로 진행하여 결과의 유용성, 정확성 및 평가항목의 직관성 3가지 측면에서 장단점을 평가하여 Exclusion Calculation의 효용성을 고찰하였다. 실험 연구에서, 11명의 디자이너가 Exclusion Calculation으로 제품을 평가한 후 Exclusion Calculation중 14개 평가항목의 직관성을 평가했다. 제품 평가 결과에 따라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결과의 유용성을 판단하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결과의 정확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 첫째, Exclusion Calculation의 평가결과는 디자이너가 제품의 물리적 특징과 관련된 사용성 문제 및 문제의 보편성을 발견하도록 도울 수 있지만, 제품 사용 논리성 측면의 문제를 발견할 수는 없다. 둘째, Exclusion Calculation 평가 척도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평가 결과의 정확성이 낮다. 평가항목은 전체적으로 평가 판단의 난이도가 낮지만, 인지능력과 관련된 평가항목은 직관성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usability and inclusion in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Exclusion Calculation, developed by Simon Keates and P. John Clarkson at Cambridge Universitys Engineering Design Center, assesses the usability and inclusiveness of the product. In context of inadequate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Exclusion Calculation, this study carried out the experimental evaluation of electric iron and discussed the effectiveness of the Exclusion Calculation from usefulness, accuracy of its evaluation results and the intuitiveness of the evaluation items. 11 designers used Exclusion Calculation in product evaluation and estimated the intuitiveness of 14 evaluation items in Exclusion Calculation by questionnaire. Then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results was discussed and the accuracy of the evaluation results was analyzed by standard deviation. From the evaluation results, the research found that Exclusion Calculation could help designers identify the usability problems and the generality of usability problems related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but it can not find the problems from logical aspect of using. In addition, the ambiguity of the evaluation scale in Exclusion Calculation leads to lower accuracy of the evaluation results. Most of evaluation items in Exclusion Calculation were easy to be identified and judged, while evaluation items related to cognitive abilities are less intui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