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농기 강우의 화학적 특성 및 부하량 평가

        고병구(Byong-Gu Ko),김민경(Min-Kyeong Kim),이종식(Jong-Sik Lee),김건엽(Gun-Yeob Kim),박성진(Seong-Jin Park),권순익(Soon-Ik Kwon),정구복(Goo-Buk Jung),이덕배(Deog-Bae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5

        수원과 태안에 위치한 농업지역에서 영농기간 중 강우의 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 강우 53점을 채수하여 강우 중의 이온조성, 산성도 및 강우량을 고려한 가중평균 이온농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강우의 조성에서 양이온 구성은 Na? > NH₄? > Ca₂? >H? > Mg₂? > K?의 순이었으며, Na?와 NH₄? 성분이 전체 양이온 조성의 65% 이상을 차지하였다. 음이온은 SO₄<SUP>2-</SUP> >NO₃? > Cl? 순으로 SO₄<SUP>2-</SUP>가 약 61%를 차지하였다. 조사 기간 중 평균 sulfate 함량은 수원 130.2 μeq L<SUP>-1</SUP> 태안 121.3 μeq L<SUP>-1</SUP>이었으며, 이중 비해염 sulfate (NSS-SO₄<SUP>2-</SUP>) 함량이 92%를 차지하여 강우 중에 함유된 sulfate의 대부분이 인위적인 발생원에 기인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우량을 고려한 월별 질소 부하량은 약 1~2 kg ha<SUP>-1</SUP> 정도로 토양에 공급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수원지역의 7월 강우사상별 강우량은 7.3 mm 이상으로 총질소는 6 kg ha<SUP>-1</SUP>로 가장 많이 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영농기인 4~10월 동안 SO₄<SUP>2-</SUP>, Ca₂?, K?, Mg₂?의 부하량은 수원에서 각각 56.0, 7.4, 5.7, 1.4 kg ha<SUP>-1</SUP> 이었고,태안에서 각각 42.8, 4.7, 2.6, 1.4 kg ha<SUP>-1</SUP> 이었다. Acid rain and its problem to environment such as acid precipita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related to the air pollution in East Asia has been emerging. To evaluate the acid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precipitated in western Korea, Suwon and Taean, its pH and ion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during farming season (April to November) in 2009. Also, ion composition and cation-affected neutralization were determine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cations on the acidity of rainwater. 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estimated showed high correlation. The Na? in rainwater was the main cation followed by NH₄? > Ca₂? > H? > Mg₂? > K?. Sum of Na+ and NH₄? contents was over 65% of total cations contents. In the case of anions, the oncentration was in order of SO₄<SUP>2-</SUP> > NO₃? > Cl?. The SO₄<SUP>2-</SUP> among anions in rainwater composed about 61%, which showed on average 130.2 μeq L<SUP>-1</SUP> and 121.3 μeq L<SUP>-1</SUP> during monitoring at Suwon and Taean, respectively. Also, 89.6 and 88.6% of soluble sulfate in rainwater at Suwon and Taean area was NSS-SO₄<SUP>2-</SUP> (Non-Sea Salt sulfate). Especially, NH₄? and Ca₂? contributed greatly in neutralizing the acid rain in dry season. Total nitrogen content flowed into soil from rain was around 1~2 kg ha<SUP>-1</SUP> in each month, but in July at Suwon, it reached 6 kg ha<SUP>-1</SUP> due to heavy rain (over 7.3 mm).

      • KCI등재

        연구보문 : 토양환경 ; 용인시의 토지이용면적과 지표면 온도 변화를 이용한 환경보전 기능변동 계량화

        고병구 ( Byong Gu Ko ),강기경 ( Kee Kyung Kang ),홍석영 ( Suk Young Hong ),이덕배 ( Deog Bae Lee ),김민경 ( Min Kyeong Kim ),서명철 ( Myung Chul Seo ),김건엽 ( Gun Yeob Kim ),박광래 ( Kwang Lai Park ),이정택 ( Jung Taek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09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8 No.1

        도시화로 인하여 농경지가 지속적으로 줄어듦에 따라 농업의 환경적 공익기능도 축소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의 공익기능 관련 실증 분석사례를 제공함으로써 식량안보 및 농업의 공익기능을 유지하고 농지보전 정책 논리를 제공하고자, 용인시를 대상으로 토지이용도를 이용한 연차별 농경지 이용면적과 변화를 분석하고 지표면 온도 추정을 통하여 환경보전 기능을 평가하였다. 최근 10년간 도시화가 현저히 진행된 용인시를 대상으로 세부정밀토양도에 기반한 1999년 토지이용 현황과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농경지 지도와 지적도에 기반한 2006년의 농경지를 중심으로 한 토지이용 현황을 비교해 보면 논, 밭, 과수원 등 농경지와 산림의 분포가 현저히 감소한 반면, 주거·도심지의 면적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처인구에서 농경지 감소와 도심지 확장 현상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토지이용 면적 및 지목별 변화를 보면 1999년 용인시 토지이용 면적은 산림 > 논 > 밭 > 주거·도심지 순으로 나타났으나 2006년의 토지이용 면적은 산림 > 주거·도심지 > 논밭 순으로 바뀌었다. 논과 밭의 면적은 1999년에 비해 2006년에 각각 34%와 41% 감소하였고, 주거·도심지 면적은 245% 증가하였다. 논이 주거·도심지로 전용된 면적이 1,751.1 ha이며, 밭이 주거·도심지로 전용된 면적이 1,242.1ha로 나타나 전용된 면적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의 농경지 면적 변화에 따른 농업의 환경적 기능변화에 대하여 계량화한 결과는 논 면적이 1999년에 8,063.3ha에서 2006년에 5,309.3 ha로 감소한 결과, 농경지의 환경적 공익기능이 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밭 면적이 1999년에 3,572.1 ha에서 2006년 2,112.5 ha로 줄어듦에 따라 환경적 공익기능이 41%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Landsat TM 영상의 열 적외광을 이용하여 용인시의 두 시기별 지표면 온도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1994년 9월에는 20℃ 이하가 대부분이었으나, 농경지 및 산림 감소와 도시 확장 이후인 2006년 9월에는 25℃ 이상 되는 지역의 면적이 현저히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시기별 토지 이용별 지표면 온도분포 비교를 하였을 때 1994년 9월 지표면 온도 영상에서 25℃ 이상인 지역은 전체 면적의 0.3%로 나타났고, 2006년 9월은 11.2%로 넓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9월에 지표면 온도가 25℃ 이상 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주거·도심지의 면적이 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논과 산림의 분포면적 비율이 각각 5.6%와 4%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여름철 고온기에 논과 산림이 주변의 지표면 온도를 낮춰주는 기후순화 기능이 크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assess environmental conservation functions by analyzing the change of land use areas in agricultural fields between 1999 and 2006, and comparing land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between 1994 and 2006 in Yongin city. Land use maps of Yongin city were obtained from soil maps for 1999, Quickbird satellite images(less than 1 m) and parcel map for 2006. The land use area for Yongin city was in the order of forest > paddy field > upland > residence & building in 1999, and forest > residence & building > paddy field > upland in 2006. Decrease of paddy and upland fields reduced 34% and 41% of the capability of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as to environment including flood control, groundwater recharge, and air cooling. Land surface temperature(LST) was derived from Landsat TM thermal infrared band acquired in September of 1994 and 2006 and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The results impplied that green vegetation in agricultural field and forest play an important role to reduce land surface temperature in warm season.

      • KCI등재

        바이오에너지 작물의 에너지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 평가

        고병구(Byong-Gu Ko),강기경(Kee-Kyung Kang),이덕배(Deog-Bae Lee),김건엽(Gun-Yeob Kim),홍석영(Suk-Young Hong),김민경(Min-Kyeong Kim),소규호(Kyu-Ho So),서명철(Myung-Chul Seo),서종호(Jong-Ho Seo)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우리나라 주요 바이오에너지 작물인 밀, 유채, 보리, 옥수수, 고구마를 대상으로 그 에너지화 하는 잠재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생산열량을 조사 분석하였고, 작물재배기간 동안 투입 및 생산요인을 작물간에 분석하였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작물별 조사한 결과와 농림통계연보에 있는 데이타와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작물간 및 품종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작물별 직접 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량, 총생산열량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에 대하여 주요 에너지 이용 부위만 고려할 때 고구마가 가장 많았고, 지상부의 곡류부위를 포함한 총 바이오매스는 옥수수(강다옥)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열량을 비교해 보면 바이오 에탄올의 주 원료가 되는 밀, 옥수수 등은 3,879∼4,317 ㎈ g?¹으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바이오 디젤의 주 원료로 사용되는 유지작물인 유채의 씨(에너지 이용부위)는 6,673∼6,725 ㎈ g?¹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총 생산열량은 총바이오매스가 가장 많은 옥수수의 강다옥이 8,263 ㎉ m?²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의 경우 영농에 필요한 투입이 가장 많았으며 생산량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구마는 투입요소가 전반적으로 보통임에도 불구하고 생산요인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대상작물을 확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좁은 농경지 면적을 감안하여 효율적 이용 측면도 고려하여 적절한 바이오에너지 작물을 선발할 필요가 있다. To evaluate the potential value of the major bioenergy crops which are wheat, canola, barley, corn, and sweet potato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biomass and calorific value of crops, and also compared input and output factors among bioenergy crops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biomass values in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2006) and the one investigated in this experiment, also there was difference in crops and in species. Among the crops investigated, sweet potato(Jinhongmi, Yulmi) was shown the highest amount of biomass production and corn(Gangdaok) was shown the highest amount of the total biomass which is the total aboveground biomass at harvest. Oilseed canola which is presently a major source of bio-diesel had highest calorific value as 6,673~6,725 ㎈ g?¹. Wheat and corn grains which are source of bio-ethanol were in the range of 3,879~4,317 ㎈ g?¹. Gangdaok(Corn) produce the highest total calorific value in unit cultivating area among the crops as 8,263 ㎉ m?². Corn was shown that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were the highest level among bioenergy crops during cultivation period. Sweet potato also was shown that output factor was the highest level though its input factors were average level. It is needed to be investigated more crops for collecting the higher potential value of bioenergy production further considering small land area and its effective utilization in Korea.

      • KCI등재

        골프장 그린에서 토섬별 유기물의 경시적 변화

        허근영,고병구,Huh, Keun-Young,Ko, Byong-Gu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3

        토양 유기물 관리는 골프장 그린 관리 중 핵심적인 요소이다. 골프장 그린의 유기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연구하는 중요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우리는 동일한 근권부 조성과 관리 하에서 유지되고 있는 서로 다른 조성 시기의 그린들에서 토양 유기물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그 토양 미생물 활성, 잔디 분얼경수, 용적밀도, 수분함량, pH, EC, 그리고 총질소를 측정하였다. 토심 0${\sim}$5cm에서 토양 유기물 집적은 그린들 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토심 5cm 이하에서 SOM은 그린들 간에 강한 유의차를 보였고, 경과 연수와 정(+)의 상관을 가졌고 토심과 음(-)의 상관을 가졌다. 토심 5${\sim}$25cm 단층부에서는 시간 경과와 토섬에 따른 SOM의 집적을 예측하기 위해서 회귀 분석한 결과에서 그린의 경과 연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기물 함량이 0.061% year$^{-1}$로 증가하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유기물 함량이 0.079% cm$^{-1}$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과 연도와 토심에 따른 토양 미생물 활성이 탈수소효소 검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결과는 모든 그린들에서 토심에 따라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토심 5cm 이하에서 토양 미생물 활성은 그린툴 간에 유의차가 없음을 보였다. 집적된 토심 5cm 이하의 SOM은 장기적으로 분해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린 조성 후 5년부터 용적밀도는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분함량, Ee, 그리고 총질소는 SOM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pH는 시간이 경과하며 낮아졌는데, 이것은 SOM 집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유기물 집적은 pH 저하, 미생물 활성 감소 토양 유기물의 분해 저항성 증가 등에 주요하게 영향을 받았지만, 수분 함량, EC, 총질소에 의한 영향은 분명하지 않았다. The management of soil organic matter(SOM) is a key component of golf course green maintenance. As part of a major project examin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SOM on golf course greens, the SOM status of different age greens maintained in the same root zone composition and management were compared. Then the microbial activity, tiller number, bulk density, water content, pH, EC, and T-N in the soil were measured. In the 0${\sim}$5cm depth SOM accumul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eens. Below 5cm SOM showed a strong significance between greens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year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th. when regression equations were used to predict SOM accumulation with year and depth, SOM below 5cm tended to increase with a rate of 0.061% . year$^{-1}$ and decrease with a rate of 0.079% . $cm^{-1}$(R2==0.841). Soil 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with age and depth by using a dehydrogenase assay. Results showed a sharp drop with depth in all greens. The soil microbial activity below 5cm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eens. The accumulated SOM below 5cm may be very resistant to decomposition in the long-term. Five years after establishment, the bulk density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water content, EC, and T-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M. The pH decreased with the year, which may influence SOM accumulation. Organic matter accumulation was mainly affected by the pH decrase,low soil microbial activity, and high organic matter resistant to decomposition, but the effects of water content, EC, and T-N were obscure.

      • KCI등재

        Impact of the Rice-Duck Farming System on Regional Agricultural Environment at Hongsung Area

        노기안,김민경,고병구,김건엽,심교문,이덕배,Roh, Kee-An,Kim, Min-Kyeong,Ko, Byong-Gu,Kim, Gun-Yeob,Shim, Kyo-Moon,Jeong, Hyun-Cheol,Lee, Deog-Bae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S2

        우리나라에서 가축 사육밀도가 가장 높고 오리농법을 가장 대규모로 실시하고 있는 충남 홍성군 홍동면, 장곡면의 흥동저수지 유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가 지역 환경과 주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농업의 달성을 위한 올바른 발전방안을 제시코자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가 토양 환경과 주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오리농법 실시 논의 토양화학성은 벼농사를 위한 적정범위 안에 있었지만 일반농법 실시 논보다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이 높아 오리농법 실시 논의 양분투입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추정되어 지속농업의 달성을 위해서는 적정량의 퇴비나 유기질비료의 시용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조사지역 하천수의 수질은 T-N, T-P, COD 값들이 높아 상당히 인근의 하천들이 오염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T-N, T-P, COD 등으로 평가한 수질의 오염도가 논으로부터 비료성분의 유출 가능성과 일치한 결과로 볼 때 이 지역의 하천수가 벼재배에 의해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일정부분 받고 있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었다. 오리농법 실시 논의 표면수 수질은 일반농법 실시 논보다 EC는 135.7%, COD는 220.1%, T-N는 172.0%, T-P는 227.9%가 높았으며 특히, COD와 T-P는 2배 이상이 높았으며 오리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물의 탁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오리농법에 의한 벼 재배는 일반농법에 의한 벼 재배 방법보다 논물유출에 의한 잠재 수질오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오리농법 실시 논은 논물 유출에 의한 주변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물꼬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clarify the impact of the rice-duck farming system on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at Hongdong Reservoir valley of Hongdong-myeon and Janggok-myeo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where the density of livestock grazing is the highest and rice cultivation with the rice-duck farming system is extensively practiced.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ies at paddy fields were compared between two rice cultivation methods of rice-duck farming system and conventional farming system. The organic matters and available phosphate contents in soil of paddy fields where the rice-duck farming system was practiced were higher than those of paddy fields where conventional farming system was practiced. However, the available phosphate content was lower than the optimum for rice cultivation and the mean concentration of paddy soil in Korea. The surface water quality of the paddy field with the rice-duck farming system was practiced had higher EC (137 %), $COD_{Cr}$ (220 %), T-N (172 %), and T-P (226 %) contents than that with the conventional farming system was practiced. Especially, $COD_{Cr}$ and T-P were more than 2 times higher, which tells that the possibility of water pollution by drainage water of paddy field is higher in the paddy fields with the rice-duck farming system practiced than in those with the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d. The higher contents of T-P and $COD_{Cr}$ in surface water at the paddy field of rice-duck farming system practiced were directly caused by soil particles in the muddy water.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manage th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of rice-duck farming system practiced to prevent outflow of surface water from paddy and pollution of surrounding wate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