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온돌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에 관한 시론(試論)

        강재철(Kang Jae-Chul)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일제 강점상황 하에서도 우리 민족성과 민족문화의 상징으로서 우리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온돌문화의 ‘온존설(溫存說)’이 주장된 이래 해방 후에도 온돌문화 담론은 지속되었다. 본고는 온돌문화전통이 한국에서 유교문화전통의 ‘온존’과 지속’의 토대가 되었으나 근대화와 산업화 속에서 온돌문화전통이 변용되었음을 논한 시론(試論)이다. 온돌은 인류역사의 시작에서부터 불의 공유에서 비롯한 것으로 우리 민족은 특히 ‘신화적 인식의 불’의 관념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고 ‘우리 의식’이 강한 민족이었다. 그러한 의식은 자연히 온돌 공간을 통해서 만들어져 계승되어 왔다. 다음은 본고가 논급한 온돌문화전통에 관한 요약이다. 온돌의 온기 전달로 반복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일체감, 연대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온돌공간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동질성이 강한 공동소유의식이 만들어졌다. 또한 온돌생활공간은 작은 공간을 추구한 절제된 생활공간으로서 인류 초기 역사부터 경험한 작은 공간에 대한 ‘원초적 그리움’과 같은 것이었다. 온돌공간은 타인과의 빈번한 접촉의 공간으로서 당연히 질서와 예의가 요구되었기 때문에 교육이 이루어진 공간이었다. ‘동방예의지국’의 기초예절교육은 이와 같은 온돌공간에서 길러졌다. 한국음식문화 가운데 국문화와 탕문화는 온돌문화전통에서 만들어졌다. 취난과 취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었던 온돌문화 속에서 탕문화와 국문화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리고 농경정착문화와 깊은 관련을 갖는 온돌문화는 우리 문화의식 가운데 “계대(繼代)의식”을 만들어냈고 ‘한 방[-室]’은 곧 조상에 대한 숭조(崇祖)와 봉사(奉祀)의 공간이 되었다. 끝으로 온돌문화전통은 우리 민족의 은근과 끈기문화의 ‘태반’이 되었다. 서서히 더워지고 서서히 식어가는 온돌의 속성에서 은근과 끈기의 민족성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온돌문화전통은 일제 강점 상황 하에서 내선일체론의 주창과 함께 ‘온돌부정론’에 의하여 해체 위기에 직면하였으나 해체에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그러한 온돌문화전통은 해방 후 미군정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한국사회의 가치관변화와 함께 변질되어 갔다. 그 변질의 본격화는 1980년대에 들어서 전통온돌가옥이 서구화되고 아파트의 대량 보급에 따라 그 토대가 무너져갔다. 그러나 본고에서 궁극적으로 온돌문화전통의 바람직한 ‘재창조’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의 온돌주거의 양식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지속ㆍ변화되더라도 중요한 우리의 전통 가치관에 다시 한 번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이다. Despite the circumstances, since the initial publication of the theory of preservation of the culture of ondol (underfloor heating), Korea under Japanese rule had witnessed the continuing debate among a group of Korean intellectuals, and even among Japanese people, over the culture of ondol, the symbol of Korea's national sentiment and culture. The theory of preservation of ondol cult ute was based on the tradition of ondol that has been a part of Korean culture. This paper presents a theory of poetry on the acculturation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ondol in the midst of Korea's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le such culture and traditions laid the foundation tor the "preservation" and "persistence" of Korea's Confucianism. The earliest use of ondol began with the use of fire in ancient times. The Korean people firmly believed in the "mythological concept of tire" and had developed a strong sense of "we-ness (togetherness),"or unity. Thi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along with the invention of ondol space. Below is the summary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ondol : Not only did direct heat transfer used in ondol help people establish a sense of community, but it also strengthened their bonds and sense of common ownership of shared ondol space. Ondol had been used as a limited living space and evoked 'nostalgia' for the old small space thar people had experienced since ancient rimes. A small place where people had to snuggle together, an ondol room essentially required order and respect, and functioned as an educational place where people taught themselves to respect one another. Therefore, ondol was one of those factors giving shape to the customs and manners of Korean people as "the courteous people in the east." The cultures of guk (soup) and tang (boiled water) of Korea originated from the ondol culture. Since ondol allowed people to warm themselves up, eat, and sleep in a single space, it helped create the cultures of guk and tang. The ondol culture was deeply related to Korea's agricultural settlement, subsequently forming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of generations." "One room (一室)" became regarded as a space of honoring ancestors and of respectful submission. Last, the ondol culture and traditions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s culture of courtesy and tenacity. Living in the ondol room that required gradual heating and cooling, Korean people learned to be courteous and tenacious. Under the Japanese rule, however,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faced existential threat as the regime advocated the theory of total annexation, although it barely continued to exist. After the liberation,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underwent major changes during the U.S. military army government and Korean War,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values into Korean society. In the 1980s, the traditional ondol houses became westernized and their foundations were broken down with the distribution of apartments. This paper therefor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creation" of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becaus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values that are important to us despite the changes in housing styles.

      • KCI등재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신발관련 사용자 니즈 구축에 관한 연구

        강재철(Kang Jaecheol)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신발 설계에 요구되는 소비자 니즈 모형을 도출하고 도출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다양한 피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평가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 니즈 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성(function 1 function 2) 적합성(fitness) 브랜드 속성(brand attribute) 디자인(design 1 design 2)의 6개의 요인들을 구성하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 모형에 대한 전체적인 타당성 검정에서는 요인분석 방법과 회귀분석 방법의 결합적 형태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다. 초기연구모형보다는 수정모형에 따른 모형을 최종 연구모형으로 도출하였다. 특히 디자인적 요소가 소비자의 신발 구매에 있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단지 소비자 전체의 니즈체계 뿐만 아니라 성별 연령 직업 브랜드 특성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니즈체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특성에 기초하여 차이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특성에 따른 구조 모형을 새롭게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신발 디자이너 및 설계자가 소비자의 니즈를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신발 설계에 있어 디자인의 해석적 측면뿐만 아니라 소비자 지향적 제품 설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draw the customer's needs model for shoes design and to testify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through a questionnaire of various subject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o develop the customer's needs systems six factors are organized such as functions(function 1 function 2) fitness brand attributes and designs(design 1 design 2) which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constructed research models for the customer's needs system which consist of each item of every factor. On the overall validity examination of the customer's needs system model the research model is measur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is the combination of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it a correction model rather than the initial research model is drawn to the final research model. Especially it is showed that the elements of shoes design influence on customers' purchasing shoes the most. Moreover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performed a T-test to offer needs systems which consider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ge and brand attribut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ustomer's needs can be reflected by shoes designer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oth the analytic aspects of shoes design and customer-oriented product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오랑캐(兀良哈)語源說話 硏究

        姜在哲(Kang Jae-chul),이복규(토론자) 비교민속학회 2002 비교민속학 Vol.22 No.-

        This is the treatise that studies the origin, the influenced aspect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ory of Orangkae(오랑캐 : 兀良哈)’s etymology. First of all, this writing looks into Orangkae’s etymology and the hereditary resources of the story in East Asia. Then it investigates the aspects that were influenced in the stories of several tribal ancestors’ birth in East Asia and the principles of how each tribal ancestor in the stories were transformed differently. Finally it examines the Confucian background of that story’s establishment. The following is the principal among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writing. First, in a narrow sense ‘Orankae’ has been used as the name of the tribe, Yeojin(女眞), who had lived in and around Manju(滿洲) and in a broad sense it has been used as the concept of ‘Yi’(夷) against ‘Hwa’(華), including Cheong(淸) and Western countries. The original sense of Orangkae was ‘human’, but it could be used as a insulting word because the sound of ‘kae’ was similar to ‘gae’(dog). Second, this story as Keunpo-Seolwha(廣布說話) of East Asia has the origin in Banho-Seolwha(盤瓠說話) and yaraeza-Seolwha(夜來者說話) that are the stories of the tribal ancestor's birth. In other words, the story of Orangkae’s etymology must be the Korean peculiar story that was seemingly transformed by the influence of Banho-Seolwha and Yaraza-Seolwha. Third, the establishment of the story historically has the background of Orangkae’s frequent invasions and culturally of the cognitive change about the other species(beings except human being), as it were, the cognitive exchange from the Taoism’s and Buddhism’s point of view into the Confucia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knowledge etc.

      • KCI등재

        韓國古典小說과 越南

        강재철(Kang Jae-chul) 비교민속학회 2000 비교민속학 Vol.18 No.-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Korean classical novels are about five hundred. So when it comes to novels which dealt with other countries, many of them were written about China. 4 few of them were written about Japan. Moreover, the novels which dealt with China showed two different aspects. Both good and evil. But the novels that dealt with Japan showed only bad aspects, evil.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focus on Vietnam, which was never mentioned as a subject of the study. For example, there are a couple of novels which dealt with Vietnam. In one novel, a Vietnamese is the main character. In another a Korean is shown to marry a Vietnamese princess. But not too many people know about this. I hope this thesis can help u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as well as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novels. As we can find in the novels, Korea considered Vietnam its brother. The rivalism, self-confidence, egoism, which were described in the novels, were all in reference to Japan and China. These kind of ideas may have come from either less confrontation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or sense of brotherhood. Some said there was not a true sense of brotherhood between Korea and Vietnam, but rather there was simply a tolerance of foreigners. But I think this is also part of brotherhood. Even though these two countried hold grudges against each other, in the novels we can feel a sense of closeness. Along with these classical novels there also are a lot of current Korean novels which have dealt with Vietnam. Among these novels I hope we can find some which show the similarities and friendship between these two countries. I also wonder if there were some classical Vietnamese novels which dealt with Korea. If so, what did they think about Korea, I wonder.

      • KCI등재

        전통적 놀이관의 지속과 변용

        강재철(Kang Jae-Chul)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본고는 활쏘기와 장기바둑에 주안하여 유학자들의 전통적 놀이관을 집중적으로 고찰한 다음, 이를 토대로 개화 이후 놀이관의 변화에 대해 그 동인(動因)을 살펴보고, 결론에서 바람직한 현대 놀이문화에 대해 언급해 본 논문이다. 전통사회의 놀이는 예악사어서수, 즉 유예(六藝)의 예(藝)와 잡기(雜技)의 희(戱)로서 대별할 수 있는 바, 유학자들은 활쏘기를 대표적인 관덕지구(觀德之具)의 하나로 인식하였으며, 장기바둑은 잡기 중 아(雅)한 것으로서 예(藝)와 같은 반열의 관덕지구(觀德之具)는 아니더라도 예(藝)에 대한 전통적 인식에 따라 장기바둑에도 놀이 향유자의 덕(德)이 발현되어야 한다고 인식했다. 즉 향유자의 도(道)의 유무가 배격과 옹호의 중요 잣대가 되었다. 이와 같은 유학자들의 재도적(載道的) 놀이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놀이이론이 될 만한 경전의 몇몇 장구(章句)가 동원되었다. 유어예론(游於藝論), 완물상지론(玩物喪志論), 이장지도론(弛張之道論), 박혁유현론(博奕猶賢論), 격물치지론(格物致知論), 지지호지낙지자론(知之好之樂之者論)이라 필자가 발굴ㆍ명명ㆍ소개해 본 것이 그것으로, 이를 통해 고찰해본 결과 유학자들의 재도적 놀이관은 실학시대를 맞아 서서히 변모를 보인다. 이 시기가 되면서 격물치지의 새로운 인식에 따른 완물상지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종전에 비난받던 완물상지가 격물치지로 격상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격물치지로의 격상은 곧 놀이에서의 도(道)의 추구가 악화되고 지(知)가 중시되는 변화를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변화가 개화 이후에는 서구 과학 문물의 급속한 유입에 따라 약소민족의 개명의 차원에서 지(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면서 그 속도가 가속화된다. 즉 놀이에서의 관덕의 요소가 약화되는 대신에 지능이 중시되면서 승부욕이 지나치게 조장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놀이는 즐기는 것으로서의 경쟁이지 지나치게 승부욕에 집착하게 되면 실덕지구(失德之具)로서 놀이의 즐거움은 감소된다. 인류의 제전(祭典)에 타락하지 않은 원초의 불처럼 타락하지 않은 놀이, 신성한 놀이, 건강한 놀이가 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고에서 다룬 몇 가지 놀이이론은 과문한 탓일지 모르나 동양의 놀이이론으로서는 최초의 체계적인 언급이 될 것임을 부기(附記)해 둔다.

      • KCI등재

        부산광역시의 도시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방향

        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현대사회에서는 국가 간의 경쟁력보다 도시 간의 경쟁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확산됨에 따라 공공디자인은 자연스럽게 주요 트렌드로 등장하게 되었다. 공공디자인은 심미적 접근중심 보다는 도시 브랜드 활성화라는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브랜드 활성화를 통해 부산광역시의 공공디자인 방향을 제언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해외 선진사례와 전략도구를 나열한 후, 부산광역시의 사례에 도입하여 다이어그램으로 구조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부산광역시의 브랜드 활성화를 위해 도시의 개발이나 확장하는 전략보다는, 자연친화적인 하드웨어 전략과 도시전반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부산광역시만의 정체성과 차별성을 바탕으로 브랜드 활성화 핵심요소들은 바다(Ocean), 강(River), 산(Mount), 레저(Leisure), 축제(Festival), 문화 예술(Culture&Art), 디자인(Design), 유비쿼터스(Ubiquitos)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요소들은 부산광역시의 상징화, 자연화, 인간화, 문화특성화라는 공공디자인 방향으로 정리될 수 있다. As a new paradigm that is competitiveness between cities rather than the one between countries is spreaded, public design naturally came to emerge as a major trend. It is necessary to get an approach of revitalization of urban brand rather than focusing on an aesthetic approach for public design.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urban bran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study, it was developed with a method that formed a diagram by introducing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fter listing foreign advanced cases and strategic tools. Rather than a hardware strategy that develops or extends a cit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nature-friendly hardware strategy and a software strategy for overall communication of a city. The key factors of revitalization of brand based on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on its own could be said to be Ocean, River, Mount, Leisure, Festival, Culture & Art, Design and Ubiquitous. These key factors can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which is symbolization, naturalization, humanization and culture specializa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