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뇨병이 있는 환자에게 시행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

        강승백(Seung-Baik Kang),조영재(Young-Jae Cho),윤강섭(Kang-Sup Yoon),이지호(Ji Ho Lee),조현철(HyunChul Jo),이재협(Jae-Hyup Lee),한혁수(Hyuk Soo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6

        목적: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시행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TKA)의 임상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3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의 골관절염으로 TKA를 시행 받은 373명 601예 중 당뇨가 있었던 45명(74예)를 대상군으로 하였다. 대상군은 모두 제2형 당뇨에 이환되어 있었다. 평균추시 기간은 49개월(6-108개월)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8.6세(54-83세)였다. 대상군과 대조군의 HSS 점수 및 KSS 점수, 방사선적 해리소견, 표재성 창상문제 및 심부 감염 여부, 내과적 합병증발생 여부를 평가, 비교하였고, 당뇨군에서 수술 전과 추시 시에 혈장 당화혈색소 수치를 검사했다. 결과: 최종 추시 시 KSS 임상점수와 통증 점수는 당뇨군이 비당뇨군에 비해 높았으며(각각 p=0.040, 0.039), HSS 점수와 기능점수는 비당뇨군이 높았다(각각 p=0.021, 0.016). 표재성 창상 합병증은 당뇨군에서 6예(8.1%), 비당뇨군에서 8예(2.4%) 관찰되어 당뇨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32). 심부 감염은 당뇨군에서 2예(2.7%), 비당뇨군에서 3예(0.9%) 관찰되었고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24). 대상군 중 표재성 창상 합병증과 심부 감염이 발생한 환자들의 당화혈색소수치가 감염증이 발생할 당시 평균 8.4% (7.9-8.7%)였고, 이는 대상군 중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의 평균치인 5.7% (4.0-8.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33). 결론: 당뇨병을 동반한 골관절염 환자에서 TKA의 임상 결과는 비당뇨병 환자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지만, 감염 및 창상 합병증에 대하여 철저한 주의가 요구된다. 당화혈색소수치는 TKA와 연관된 창상문제 및 감염예방 을 위한 지표로써 가치가 있다. Purpose: To analyze the result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6 and 2001, 601 TKAs in 373 patients were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From this series, 45 patients (74 knees) were diagnosed as type Il DM and osteoarthritis of the knee. The mean follow-up was 49 months (6-108 months), and the mean age was 68.6 years (54-83 years). The clinical outcome of the diabetic and non diabetic group was compared using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score (HSS) and the Knee society clinical and radiological scoring system. The radiological loosening and peri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The plasma Hemoglobin A1c (HbA1c) level of the diabetes patients was examined pre and postoperatively. Results: The knee and pain scores were higher in the diabetes group postoperatively (p=0.040, p=0.039, respectively), whereas the HSS scores and overall function scores were lower in the diabetes group postoperatively (p=0.021, p=0.016, respectively). The rate of superficial wound problems was greater in the diabetes group (8.1 % versus 2.4%, p=0.032). However the incidence of a deep infection was similar in the diabetic and non diabetic group (2.7% versus 0.9%). The mean HbA1c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iabetic patients with a superficial and deep infection than in the remaining diabetic patients (p=0.033). Conclusion: The HbA1c level might be a valuable predictor of superficial wound complications and deep infection. Although the clinical results were similar in the diabetes and non diabetes groups, special precautions should be taken for diabetic patients undergoing TKA to minimize complication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의 운동학

        강승백 ( Seung Baik Kang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4

        최근의 기술의 발전에 의해, 슬관절 인공관절 치환술에서 삽입물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관절운동범위를 증가시키며, 하지의 정렬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상 슬관절의 굴곡 운동을 재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어가고 있다. 실제로 전치환술 이후의 보행 분석과 방사선 투시를 이용한 분석에 의하면 슬관절 전치환술의 운동 패턴은 여러 인자에 의해 복잡하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상면에서, 정상 슬관절의 굴곡 시 대퇴골은 경골 고평부에서 후방으로 구름과 동시에 또한 미끄러지는 운동을 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이런 슬관절의 운동 양식은 대퇴과와 경골 고평부의 모양뿐만 아니라 후방십자인대의 기능과 긴밀하게 연관이 있다. 이 두 가지 인자에 의해 슬관절 굴곡 시에는 중간 운동 범위에서 내측에 회전 축을 가지는 경골의 내회전을 일으키게 되며 120˚ 이상의 고도 굴곡 시에는 양측 대퇴과 모두 후방으로 전위되게 된다. 슬관절 전치환술시에도 굴곡시에 마찬가지로 대퇴골의 후방전위는 나타나며 캠-포스트를 가지는 후방 십자인대 대치형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이런 대퇴골의 후방전위는 더 일정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대퇴 후과의 오프셋의 회복은 고도 굴곡 시 생기는 대퇴골과 경골의 충돌을 막게 되어 좀 더 증가된 관절운동 범위를 가지게 된다. In the current age of technological advances, reproducing the knee kinematics for minimizing wear and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together with obtaining proper alignment and stability, have become the major goals of total joint replacement. The kinetics o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have a complex influence on its performance, and differing abnormal patterns have been shown after TKA by using gait analysis, fluoroscopy and radiostereometry. In the sagittal plane, it is now understood that the femoral condyles roll and glide simultaneously on the tibial plateau during flexion. The kinematics of the knee and the shape of the condyles and the tibial plateau are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 functions of the cruciate ligaments. The kinematics result from the combined actions of the surface geometry of the joint and the soft tissues attached to it. To a variable extent in the mid-range, these factors cause tibial internal rotation to occur with flexion around a medial axis. From 120_ to full flexion, both condyles roll back onto the posterior horn so that the tibio-femoral joint subluxes. In TKA,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ubstituting a cam-and-post mechanism for the 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shows consistent posterior femoral rollback during flexion. Restoration of the posterior condylar offset is important since it allows a greater degree of flexion before impingement occu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소년기 감염성 고관절염으로 인한 골관절염의 외전근 활주를 이용한 2단계 고관절 전 치환술

        윤강섭 ( Kang Sup Yoon ),강승백 ( Seung Baik Kang ) 대한고관절학회 1998 Hip and Pelvis Vol.10 No.2

        Total hip arthroplasty for adults with the sequelae of pediatric hip infection presents a series of difficult problems because of soft tissue contractures, hypoplasia of acetabulum, distorted femur, suboptimal abductor function, leg-length discrepancy and recurrence of infection. During the past 5 years, two stage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abductor slide has been performed for the twenty one patients with the sequelae of pediatric hip infection and followed up for average 29.1 months. No trochanteric osteotomy was done and the aMuctor was released subperiosteally and aUowed to slide distally over the wing of the ilium. The mean Harris hip score and the Enghs radiographic assessment score were 84.4 and 22.7 respectively. One hip, which showed migration of the acetabular cup, rated as poor and the revision of the acetabular cup seemed to be impending. The frequency of the pain was 19.0% and limping was seen in 47.6%. The average correction of leg length discrepancy was 3.3 cm and there was no sciatic and common peroneal nerve palsy except one case of temporary femoral nerve palsy which recovered completely 4 months after operation. Vascular injury, postoperative dislocation, deep infection were not detected in all cases and heterotopic ossification occurred in 1 1 hips(52.4%). Two stage total hip arthroplasty for adults with the sequelae of pediatric hip infection would be a safe technique, having many advantages such as safe, sufficient correction of leg length discrepancy, avoidance of nerve palsy and trochanteric problem, restoration of abductor function, detection of latent bone infection and measurement of true leg length in the presence of severe joint contracture and so on. Gentle tissue handling to avoid heterotopic ossfication and longer follow-up will be needed to uncover any hidden advantages or disadvantages of this techniqu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차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자가 배액혈 재주입법과 무배액법의 비교

        한혁수 ( Hyuk Soo Han ),강승백 ( Seung Baik Kang ),윤강섭 ( Kang Sup Yoon ),이지호 ( Ji Ho Lee ),이재협 ( Jae Hyup Lee ),조현철 ( Hyun Chul Jo ),이승환 ( Seung Hwan Rhee ),김태우 ( Tae Woo Kim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에 동종 혈액 수혈에 따른 비용 및 감염의 위험 때문에 환자 자신의 배액된 혈액을 재주입하는 자가 수혈 배액기가 사용되어 왔다. 일반 배액기와는 많은 비교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배액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는 비교연구가 적었다. 이에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자가 배액혈 재주입법과 무배액법의 술 후 초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양측을 동시에 시행 받지 않은 자가 배액혈 재주입군과 무배액군 각각 30예를 성별과 연령으로 짝짓기 선정하여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2003년 1월 이후로 치환물 삽입 완료 후, 지혈대의 압력을 제거하고, 세밀한 지혈 후 봉합하였다. 2005년 10월까지는 동의가 있는 경우 자가 수혈 배액기를 사용하였고, 술 후 8시간 이내에 배액된 혈액을 재주입하고도 혈 중 혈색소(hemoglobin)가 10 g/dL 이하인 경우 동종 혈액 수혈을 시행하였다. 2005년 11월 이후에는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술을 시행하고, 배액기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같은 기준으로 수혈을 시행하였다. 술 전 변수로는 나이, 성별, 비만도, 진단명, 수술 및 감염의 기왕력, 항응고제 사용여부, 동반된 내과적 질환을, 술 후 변수로는 혈색소, 혈소판, 헤마토크릿의 변화, 동종 혈액 수혈의 빈도 및 양, 술 후 진통제의 사용량, 술 후 합병증(창상 분비 지연 또는 창상 주위 혈종, 표재성 감염, 급성기 심부 감염, 심부 정맥 혈전증, 관절 강직)의 발생 유무, 술 후 재활의 진행 정도, 외래 추시 중측정한 임상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술 후 동종 혈액 수혈의 양은 무배액군에서 더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술 후 평균 혈색소 수치와 술 후 평균 헤마토크릿 수치는 자가 배액혈 재주입군에서 술 후 2주까지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술 후 2일과 7일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창상 치유 지연, 술 후 감염의 빈도는 무배액군에서 높았다. 결론: 자가 배액혈 재주입법을 사용한 경우, 무배액법에 비하여 동종 혈액 수혈량, 술 후 혈색소 및 헤마토크릿의 회복, 진통제 사용, 재활의 진행, 단기 임상 결과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창상치유와 술 후 감염의 합병증 발생 빈도에 있어 우수하였다. Purpose: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is associated with considerable blood loss, and allergenic blood transfusions are frequently necessary. Because of the cost and risks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s, the autologous drainage blood reinfusion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ransfusion technique. A number of studies have compared the reinfusion techniques with standard suction drainage, but few reports have compared the reinfusion technique with the technique that uses no drain. We analyzed the early results after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using autologous drainage blood reinfusion and no drain.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30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using no drain between November 2005 and March 2006 and they were matched for age and gender with 30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using the autologous drainage blood reinfusion technique between January 2003 and October 2005. All the operations were done under a pneumatic tourniquet and meticulous hemostasis was performed after deflation of the tourniquet. We hav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reoperative data (age, gender, the body mass index, the diagnosis, a history of knee surgery, infection and/or anticoagulant therapy, and the medical cormorbidities) and the postoperative data (the hemoglobin level, the hematocrit and the platelet count during hospitalization, the amount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 and narcotics, the complications, the rehabilitation process and the clinical scores). Results: The amount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 in the autologous drainage blood reinfusion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no drain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hemoglobin level and hematocrit during hospitalization were higher in the autologous drainage blood reinfusion group, which was significant at the postoperative second and seventh days. There was a case of deep infection in the no drain group. Conclusion: The autologous drainage blood reinfusion method when performing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linical benefit over the no-drain method with regards to allogenic blood transfusions, the amount of narcotic used, the rehabilitation processes and the clinical scores. However, the incidences of wound complication and infection were higher in the no drain group.

      • KCI등재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에서 보편적 측방 도달법과 단일 절개 최소 침습적 측방 도달법과의 비교 분석

        김완림 ( Wan Lim Kim ),장작 ( Jak Jang ),강승백 ( Seung Baik Kang ),이지호 ( Ji Ho Lee ),윤강섭 ( Kang Sup Yoon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3

        목적: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시 기존의 직접 측방 절개법(15~20 cm)과 최소 침습적 측방 절개법(<8 cm)으로 시행한 술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직접 측방 접근법으로 시행된 총 80예의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을 대상으로 최소 침습 절개 군과 기존의 절개 군을 40명씩 무작위으로 구분하였으며 기존 절개 군은 Hardinge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최소 침습 절개 군은 대전자부 첨단을 중심으로 전상방에서 후하방으로 8 cm 정도의 피부절개를 하였다. 결과: 피부 절개에서 봉합까지 수술 시간은 최소 침습 군이 짧았으며(p=0.03) 흡입 배액관을 통한 배액량도 최소 침습 군이 적었다(p=0.02). 실혈양, 대퇴 스템 정렬, 비구 컵 경사도, 술 후 통증과 파행, Harris Hip Score, 감염률 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최소 침습 군에서 고관절 아탈구 1예, 비구 골절 1예 등 2예의 합병증(5.0%)이 발생되었고, 1예의 대퇴 스템 내반 삽입이 있었다. 결론: 최소 침습법은 수술 시간과 실혈량의 의미있는 감소와 같은 장점이 있지만 기존 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이 장기 생존률과 안정성에서 이미 검증되었고 최소 침습법은 좁은 수술 시야로 인해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분한 수술 술기의 숙련 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We compared the outcomes of primary consecutive THAs performed via the direct lateral approach through minimally invasive incisions (<8 cm) and through standard incisions (15~20 cm).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rimary consecutive THAs were performed via direct lateral approach through minimally invasive incisions or through standard size incisions. The standard incision is Hardinges direct lateral approach. For the MIS group, an approximately 8 cm long oblique skin incision was made centered at the tip of the greater trochanter and running anterosuperiorly to posteroinferiorly. Results: The surgical time was shorter (p=0.03) and the average amount of Hemovac drainage was smaller (p =0.02) in the MIS group. Alignment of the femoral stem and acetabular cup, post-operative pain and limping, HHS, and infection rate were no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IS group, two complications (5.0%) occurred (one lateral positioning of the acetabular cup, one intra-operative acetabular fracture), and one varus stem insertion occurred. Conclusion: Minimization of the skin incision length for primary THAs performed via the direct lateral approach appears to have benefits with regard to shortening the wound closing time and decreasing the amount of postoperative Hemovac suction drainage. However, the minimally exposed operative field raises technical problems, so sufficient surgical experience and training are required.

      • KCI등재

        단측 도달법과 양측 도달법을 이용한 경피적 척추 성형술에서 골시멘트 분포 및 누출 비교

        이재협 ( Jae Hyup Lee ),윤강섭 ( Kang Sup Yoon ),강승백 ( Seung Baik Kang ),조현철 ( Hyun Chul Jo ),이상기 ( Sang Ki Lee ),장봉순 ( Bong Soon Chang ),이춘기 ( Choon Ki Lee ),이지호 ( Ji Ho Le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척추 성형술에서 단측 도달법과 양측 도달법의 골시멘트 분포양상 및 누출 등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 교실에서 척추 성형술을 시행하고 3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00추체 중 단측 도달법 (1군)을 이용한 55추체와 양측 도달법 (2군)을 이용한 45추체에 수술 시간, 주입한 골시멘트 양, 전방 추체 높이 회복, 후만각, 골시멘트의 추체 단면 분포, 골시멘트 누출 등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1추체 수술 시 1군이 평균 28분, 2군이 평균 29이있다. 주입한 골시멘트 양은 1군이 3.9 cc, 2군이 5.1 cc로 2군이 유의하게 많았다 (p=0.016). 전방 추체 높이비는 1군이 수술 전 71.8%에 비해 수술 후 3개월째 76.1%였고, 2군이 수술 전 78.3%에서 수술 후 3개월째 77.7%였다. 후만각은 1군이 수술 전 10.7도에서 수술 후 3개월에 11.3도였으며 2군은 수술 전 1.5도에서 수술 후 3개월에 3.6도로 양 군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골시멘트 분포는 8개 구역 이상에 분포하는 비율은 2군이 유의하게 (p=0.014) 높았으나 전방 추체 전체나 7개 구역 이상에 분포하는 비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시멘트 누출은 1군이 25추체 (45.5%)였고 2군이 25추체 (55.6%)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단측 도달법을 이용한 경피적 척추 성형술은 양측 도달법에 비해 주입되는 골시멘트양이 적지만 골시멘트의 추체내 분포나 누출이 양측 도달법과 큰 차이가 없으며 3개월 추시상 방사선학적 지표도 유사하여 골다공증성 추체 골절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수술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radiological outcomes of uniportal and biportal vertebroplasty in the point of bone cement distribution and leakag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reviewing the period between May 2002 and January 2006 investigated 100 vertebrae which underwent vertebroplasty and follow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by uniportal approach (55 vertebrae, group 1) and biportal approach (45 vertebrae, group 2). The operative time, the amount of bone cement injected, anterior vertebral height restoration. kyphotic angle, bone cement distribution, and bone cement leakage were evaluated. Results: The amount of injected bone cement of group 1 (3.9 cc) was statistically smaller than that of group 2 (5.1 cc) (p=0.01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rative time, anterior vertebral height reatoration, kyphotic angle in both groups. The rate of bone cement distribution over 8 zon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than in group 1(p=0.014). However, the rate of bone cement distribution over 7 zones and the rate of bone cement distributed on whole anterior vertebral bod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The cement leakage was not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Conclusion: Although the amount of injected bone cement was smaller in uniportal vertebroplasty, the radiological results and cement leakage were similar to biportal vertebroplas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iportal vertebroplasty can be the operative options in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radiological outcomes of uniportal and biportal vertebroplasty in the point of bone cement distribution and leakag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reviewing the period between May 2002 and January 2006 investigated 100 vertebrae which underwent vertebroplasty and follow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by uniportal approach (55 vertebrae, group 1) and biportal approach (45 vertebrae, group 2). The operative time, the amount of bone cement injected, anterior vertebral height restoration. kyphotic angle, bone cement distribution, and bone cement leakage were evaluated. Results: The amount of injected bone cement of group 1 (3.9 cc) was statistically smaller than that of group 2 (5.1 cc) (p=0.01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rative time, anterior vertebral height reatoration, kyphotic angle in both groups. The rate of bone cement distribution over 8 zon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than in group 1 (p=0.014). However, the rate of bone cement distribution over 7 zones and the rate of bone cement distributed on whole anterior vertebral bod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The cement leakage was not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Conclusion: Although the amount of injected bone cement was smaller in uniportal vertebroplasty, the radiological results and cement leakage were similar to biportal vertebroplas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iportal vertebroplasty can be the operative options in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