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삶의 만족도와 관련요인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한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및 이후 세대 간 비교

        강상경 ( Sang Kyoung Kah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4

        급속한 고령사회로의 진행과 이로 인해 예측되는 다양한 사회적 부담은 베이비부머에 대 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하지만 베이비부머의 특징을 세대 간 비교를 통해서 고찰한 실 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삶의 만족도 및 관련 변수들에 대한 세대 간 비교를 통 해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석한 18세 이상 성인 14,850명으로, 베이비붐 세대(1차년도 기준 43-51세) 2,269명과 비 교집단으로 베이비붐 이후세대(1차년도 18-42세) 6,044명 및 베이비붐 이전세대(1차년도 기 준 52세 이상) 6,537명으로 구성된다. 연구방법은 삶의 만족도 및 관련변수들이 세대간(이 후세대-베이비붐세대-이전세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카이검증 및 F-검증을 통한 이항분 석과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삶의 만족도의 세대 간 차이를 보는 구조방정식을 이 용한 다항분석을 사용하였다. 카이검증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성별, 질병유무에서는 베이비 붐 이후세대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고, 수급여부 및 장애유무에서는 베이비붐 이전세대와 유 사한 분포를 보였다. F-검증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교육, 소득, 가족관계, 건강상태, 외래서 비스 이용 및 입원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베이비붐 이후세대와 베이비붐 이전세대의 중간 정도의 평균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건강검진 서비스 이용은 세대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삶의 만족도의 세대 간 비교 결과는 베이비 붐 세대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 나타내어 연령과 만족도의 관계가 U-형태이고, 베이비붐 세대의 상대적 행복도가 가장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삶의 만족도와 예측요인의 관계에 대한 다집단분석 결과는 베이비붐 세대가 베이비붐 이전세대와 유사한 부분이 많고 베이비붐 이후세대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 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성 및 실천적 함의에 대해서 논하였다. Baby boomers became the center of our attention due to the rapidly aging society and social burdens accompanied by the rapid aging. Few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generation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aby boomers through several generational comparisons. Data include 14,850 adults aged 18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 specifically, 2,269 baby boomers, 6,044 younger people, and 6,537 older people. In order to examine whether baby boomers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both bivariate(e.g., Chi-test and F-test) and multi-variate analyses(e.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 revealed that baby boomers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distributions of gender, chronic illnesses, public assistance, and disability. The results of F-test also showed that baby boom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levels of education, income, family relations, subjective health, and medical service uses. But they did not differ from other generations in the levels of preventive health examination services. Controlling for related factors, the results of SEM showed that the levels of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life satisfaction is U-shaped and that the happiness levels of baby boomers may be the lowest among the three generations. Multi-group SEM revealed that many life satisfaction predictors of baby boomers differ from those of other generations.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WHO QualityRights Tool Kit 국내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거주형 정신재활시설에 대한 예비조사를 중심으로

        강상경(Kahng, Sang Kyoung),김낭희(Kim, Nang Hee),제철웅(Je, Cheol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UN은 2006년 장애인권리협약(CRPD) 채택 이후, CRPD 인권모델 원칙에 기반한 실천 가이드라인을 세계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2012년에 ‘WHO QualityRIght Tool Kit’을 발간하였다. 한국은 CRPD 비준국으로서 인권모델 기반의 정신건강서비스 이행의 책무가 있다. 정신건강복지법, 장애인등급제 폐지 등 거시적 제도개선은 점진적으로 이행되고 있으나, 정신건강서비스 실천현장에서 인권모델의 실현은 매우 제한적이다. 툴킷은 UN CRPD 원칙에 기반한 정신건강 및 사회서비스 시설의 서비스 질과 인권기준 향상 및 사정을 위한 평가도구로, 인권모델 실천의 지향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툴킷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개 정신재활시설을 대상으로 툴킷 실행원칙에 따라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시설은 툴킷 5개 테마에 대해 이용자의 인권을 ‘부분실현(A/P)’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결과는 (1) 단기적으로는 기관의 인권모델 실천의 지표로서 툴킷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2) 장기적으로는 국가 차원의 서비스 평가 및 인권실현 정신건강서비스기관 인증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Following the adoption of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WHO published the QualityRights Tool Kit in 2012 to spread the practice guidelin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CRPD human rights. As a ratifying country of CRPD, Korea is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mental health services based on human rights models suggested by CRPD. Although macro-systems such as the enactment of Mental Health Welfare Act and the abolition of disability rating system have been gradually improved, the actual practice of human-rights models is very limited in the fields of mental health practice. The WHO Quality Rights Tool Kit is a mental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CRPD and specifically presents the direction of improving human-rights based practi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Tool Kit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pilot tests were conducted involving fiv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acilities are evaluated as “Achieved Partially(A/P)” of users’ human rights on the five themes of Tool Ki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the short term, the Tool Kit will be available for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facilities as a standard of human-rights based practice for their own purpose. (2) In the long term, the Tool Kit will be possibly used as a tool for national mental health service evaluation to certify qualified human-rights practice institutions.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재활기관 환경에 대한 인식과 대처행동

        강상경(Sang Kyoung Kah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7 No.-

        Assertitive Community Treatment 등의 지역사회에 기반한 재활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보고되고는 있지만 이러한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나타나는지를 보여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 재활프로그램의 효과성 메커니즘에 대한 기존 문헌의 한계를 일부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지역사회 재활서비스의 성공여부에 중요한 관건 중의 하나인 ``정신장애인의 대처행동``에 초점을 두고, 정신장애인들의 재활기관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자기효능감이 적응행동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스트레스-코핑 모델과 자기 효능감이론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제1가설은 ``정신장애인들의 재활기관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대처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고 제2가설은 ``정신장애인들의 재활기관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대처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미국의 정신건강국(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의 지원을 받아 조사한 지역사회정신보건 재활기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3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재활기관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대처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제2가설만을 지지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처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로서 환경과 효능감에 대한 인지적 재해석(cognitive appraisals)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론적 맥락에서 논의하고, 연구결과가 지역사회 재활기관의 환경적 조건에 주는 실용적 함의 및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While some evidence-based practice models have been identified for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SR) interventions,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they achieve positive outcomes.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examining the influence of PSR treatment environment on self-efficacy and coping behavior among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served in community-based PSR agencies. Following a stress and coping framework and self-efficacy theory, it was hypothesized that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treatment environment would relate to higher levels of withdrawal behavior; and would indirectly influence coping behavior via its influence on self-efficacy. The findings support only the second hypothesis, indicating that perception of the treatment environment has only an indirect influence on coping behavior through its effects on self-effica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강상경 ( Sang Kyoung Kah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0 사회복지연구 Vol.41 No.2

        우울과 자살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기존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통계자료는 우울 유병률은 여성이 높으나 자살률은 남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과 자살태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을 통하여 이러한 성별차이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 우울 및 자살에 대한 성별 및 연령별 차이의 연구에 대한 방향성과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18세 이상 성인 7,396명을 대상으로 우울과 자살태도와의 관계, 우울과 자살태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별 및 연령 차이에 대해서 구조방정식 및 다중집단분석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우울과 자살태도의 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결과는 우울과 자살태도의 관계가 여성집단보다 남성집단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성별차이는 65세 이상의 여성집단에서 우울과 자살태도의 관계가 다른 세 집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 유병율은 여성이 높은데 자살률은 남성이 높은 이유 중의 하나는 우울이 자살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남성집단에서 여성집단보다 강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우울과 자살간의 관계의 성별차이의 주 원인은 65세 이상 여성의 특성이 상당부분 기여하고 있는것을 보여준다.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depression is strongly correlated with suicide, suggesting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re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Statistical data, however, show that depression is more prevalent among females whereas suicidal incidents are much higher among males. Using the 1st Seoul Welfare Panel Dat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itudes and further examine whether there is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Sample consists of 7,396 individuals aged 18 and over. Research questions were answer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group SEM. The results showed that (1) depress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attitudes, replicating the previous findings, (2) the association was much higher among males than females, suggesting that depressed males are more vulnerable to suicide than depressed females, and (3) the gender difference was primarily caused by the group of women aged 65 and over.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외래의료서비스 이용 궤적 및 예측요인

        강상경(Kahng Sang-K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3

        본 연구는 고령사회 준비를 위한 현황이해 차원에서 앤더슨 모형을 이용하여 노년기 외래의료 서비스 이용궤적 및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초기노년기와 후기노년기 간에 궤적이나 예측요인이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복지패널의 1, 2,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궤적 및 예측요인은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고 연령 차이는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60세이상 노인들은 해가 지남에 따라서 외래이용 횟수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는데, 75세 미만의 초기노년기의 노인들이 75세 이상의 후기노년기의 노인들 보다가 이용 횟수를 상대적으로 빨리 증가시켰다. 예측요인에 있어서는 선행요인, 자원요인, 욕구요인들의 상당수가 궤적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는데, 자원요인 보다는 욕구요인들이 의료서비스 이용궤적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측요인에 있어서 초기 및 후기 노년기 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trajectory of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 and examine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trajectory among older adults 60 and over with specific focuses on age variations. Using the first three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the trajectory and predictors were examined through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ge variations were examined through the Multi-group Comparison Analyses.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ders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study participants tend to increase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 with years. Individuals 75 or younger presented a much faster increasing rate of medical service use than those 75 and over. Similar to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ies, most predisposing factors, resource factors, and needs factor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trajectory of outpatient medical service use. Needs factors wer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edical service use trajectory than resource factors. With regard to age variations in predictors, few significant age variations were foun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의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공급구조와 바우처 작동기제에 관한 연구

        강상경(Kahng Sang-Kyoung),신창환(Shin Chang-Hwa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2

        최근 한국의 사회서비스 전달방식의 큰 변화 중의 하나는 바우처 방식의 도입과 확대이지만, 바람직한 바우처형 서비스 전달방식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바우처 공급구조상의 서비스 작동기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바우처 작동기제에 대한 국외의 연구들은 서비스 공급구조가 소비자의 선택기회 증가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바우처 역사가 일천한 상황에서 국내의 연구들은 아직 바우처의 도입가능성, 성공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적ㆍ질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의 바우처형 서비스 공급이 서비스 공급현장에서 실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지역개발형 사업에서 가장 많은 사업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ADHD아동 조기개입서비스 사업의 서비스에 참석하고 있는 전국의 56개 사업의 196개 공급기관으로부터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은 Cave(2001)의 바우처 작동기제 분석틀을 이용하여 (1) 바우처 작동기제가 공급구조를 어떻게 변화시켰으며 (2) 그 결과 소비자 선택의 기회가 증가하였는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1) 서비스 시장에 민간영리기관이 사업에 다수 참여함으로써 서비스 시장에 공급주체의 다양화라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나, (2) 아직 서비스의 질은 수요자의 욕구를 충분히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고 소비자의 선택권도 제한되어 있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A notable recent change in Korean social service delivery is adopting voucher system. A significant portion of foreign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structure of service provision is critical to enhance consumer choice in voucher-based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s domestic research on voucher operation system is very limited, little is known about voucher-based social service provision structure and operating system. Given these limitations in the domestic literat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and effectiveness of voucher-based system with specific focuses on the provision structure of early intervention service for children at the risk of ADHD.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service providers across the nation. Based on Cave's analytic paradigm on voucher operating system, data analyses were done to examine (1) the influence of adopting voucher system on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2) whether consumer choice has been increased or not.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adopting voucher have brought into diversification of service providers, but (2) consumer choice is still limited.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directions for voucher-related policy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장애인 공공후견제도 : 성과와 한계 및 발전방향

        강상경(Kahng, Sang Kyoung),하경희(Ha, Kyunghe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3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공공후견제도의 성과와 한계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방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개의 후견기관과 2개의 피후견기관 전문가 16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집단면담을 하여 이를 주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과, 한계, 발전방향의 세 가지 범주에 8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후견제도의 성과로는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외부의 보호자’, ‘책임의 공유를 통한 인권보장의 안전장치’가 도출되었다. 후견제도의 한계로는 ‘입원제도개편에 따른 갑작스런 시행’, ‘참여기관들의 이해와 협력 부족’, ‘후견업무의 역할과 책임의 모호성’이 도출되었다. 발전방향으로는 ‘시설보호를 넘어선 지역사회 자립지원’, ‘다양한 의사결정지원으로의 확장’, ‘성년후견의 제도적 근거 마련과 확대’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신장애인 후견제도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통하여 향후 개선 및 발전방향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s of public guardianship(PG) for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IPD) and to discuss its future directions. In order to address these purposes, focus group interviews was done with specific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PG services for IPD. A total of 16 professionals from four PG agencie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articipants presented three categories involving achievement,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s with 8 sub-themes. Concerning achievement, they expressed ‘having an external guardian’ and ‘sharing responsibilities.’ Concerning its limitations, they expressed ‘start without preparation and understanding of PG’, ‘lack of corporation mechanisms’, and ‘fuzzy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guardians.’ Concerning future directions, they mentioned ‘establishing community infrastructure’, ‘extension to various self-decision making for various services’, ‘establishing legal foundation of P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guardianship for individuals with P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