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띄어쓰기 공백’ 인지 양상에 대한 분석 방법 시론(試論)

        강남욱(Kang Nam-w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띄어쓰기 공백(spacing)’이 학습자가 갖고 있는 한국어에 대한 분석적이고 문법적인 언어 인식을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일종의 ‘발현 증거’로 간주해 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어떤 계량 방식을 써볼 수 있는지 시론의 차원에서 제안해 보면서 관련한 연구문제들을 촉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전제 작업으로서 띄어쓰기의 학술적 개념을 살펴보고 구두법 안에서 띄어쓰기 공백이 갖는 위상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실제 띄어쓰기 공백의 사례를 들어 분석해 보았다. 분석 대상으로는 근대 초기에서부터 해방 전후의 한국어 교재 5종에 참고로 북한의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재 1종을, 또 초·중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 각 3인과 참고로 고급 학습자 1인을 설정하였다. 교재 사료와 학습자 자료를 살펴본 결과, 띄어쓰기 공백에 개입하는 다양한 ‘정서법 지식(Orthographic knowledge)’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이루어진 해석들을 바탕으로 띄어쓰기 공백의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기존에 확보된 원자료들을 계량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garding the punctuationspacing of Korean learners in the process of writing as a kind of “evidence of emergence,” revealing the learners’ cognitive and grammatical perception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also suggests what measurement methods could be used to empirically study it and urges further studies. As a prerequisite, I examined the academic and operational concept of spacing and consider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pacing in punctuation. Subsequently, I analyzed the case of actual spaces and spaces. For analysis, I selected five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on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oreigners in North Korea as a reference, and three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 as well as one advanced learner as a refer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xtbook materials and the learner’s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orthographic knowledge” that intervene in the spaces. Based on these interpretations,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on spacing and proposes a methodology that could quantitatively analyze the existing original data.

      • KCI우수등재

        사회 현상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재고와 전망

        강남욱(Kang, Nam-wook)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6

        이 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성장해 온 한국어교육이 한국 사회에 어떠한 현상들을 일으켜 왔으며, 학문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은 이 현상에 조응하여 어떠한 방향과 정체성을 형성해 왔는지를 거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운다는 이미지는 민족주의와 결부되어 다소 편향성을 띤 채 한국 사회에 자리잡아 왔으며, 최근에는 유튜브와 같은 거대 플랫폼에서 ‘외국인 반응’과 같은 콘텐츠의 유형으로 진화하고 있다. 한국어교육 현상 속에서 보이는 편향성과 편견의 위태함은 동시에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며, 한국어교육을 연구하고 교원을 양성하는 대학에도 다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에 대해 한국어교육학의 내적 정체성의 문제와 외적 운영의 문제로 나누어 학술사, 대학의 생태, 제도와 정책 면에서 그 난점을 살펴보았으며, 궁극적으로는 ‘국어-한국어’의 이분법적인 시각을 넘어 ‘자연어’로서 한국어의 의사소통을 살피고 그 역량에 기여하는 학문으로서, 또 한국 사회의 언어다양성에 대해 대응하고 바람직한 길을 모색할 수 있는 학문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이 역할을 할 때 세계 어문학으로서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take a broad view and examine the social phenomen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d grown around the 2000s, an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response to this phenomena. The image of foreigners learning Korean has been somewhat biased in Korean society in conjunction with nationalism, and has recently evolved into a type of content such as “foreigners’ reaction” on mass contents platforms such as YouTube. The risk of bias and prejudice seen in the phenomen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gain closely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also having a huge impact on universities that stud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In this study, I divided the internal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into external operations and the difficulties of diachronic academic field, university ecology, administrative system and policy. Ultimately,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academic discipline have to play a significant role to find implications of communication, to overcome native-nonnative dichotomy, to exploring desirable prospects in language diversity community as a nature of language for Korean speakers.

      • KCI등재

        CEFR에 기반한 ‘매개(mediation)’ 영역의 한국어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강남욱(Nam-wook Kang),신필여(Pil-yeo Shin),김호정(Ho-jung Kim),박민신(Min-sin Par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1

        이 연구에서는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에서 정초한 개념이자 언어사용능력의 한 갈래인 ‘매개(mediation’를 영역별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도출해 본 다음, 한국어교육의 어떤 지점에서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교육 실례를 들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CEFR의 최신 버전에서 다룬 매개 영역의 중범주와 소범주의 능력기술문을 말뭉치로 구축한 다음 텍스트 마이닝으로 경향성을 살펴보며 매개를 구성하는 핵심 개념어들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보면서 특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보았고, 이어 현행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교수-학습 활동 중에서 성찰적으로 음미해야 할 지점들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 한국어교육에서 실천적으로 적용해 볼 만한 B2 단계의 교수 자료의 예시를 구성하면서 ‘매개’의 관점을 반영한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mediation’, a concept that originated from the European Common Reference Standard (CEFR) was analyzed for each scales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ased on this, we tried to give specific educational examples of where this can be used significant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ly, we built a corpus of medium- and small-domain descriptors in the latest CEFR-version and then implemented it as a word clou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omain in detail, focusing on the key conceptual words constituting the mediation. Secondly,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conducted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tion. Based on this, by constructing examples of B2 level teaching material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the field Korean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learner-centered activities reflecting the ‘mediation’ point of view was proposed.

      • KCI등재

        가토의 장관골 골결손 부위에 골막 유래 간엽 줄기세포와 함께 주입한 나노 크기 입자 수산화 인회석의 신생골 형성

        강남욱(Nam Wook Kang),김휘택(Hui Taek Kim),강정한(Jeong Han Kang),이종서(Jong Seo Lee),안태영(Tae Young Ahn),전은숙(Eun Suk Jun),장희경(Hee Kyung Chang),장석필(Seok Pil Jang),이종국(Jong Ko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1

        목적: 가토의 정관골 골 결손에 입자의 크기를 달리한 수산화 인회석 지지체와 함께 줄기세포를 이식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32마리 백색 가토의 경골 간부에 골 결손부를 만든 후 이식한 물질의 종류에 따라 4개의 군(제 1군: 마이크로 크기 수산화 인회석 입자만 이식한 군, 제 2군: 나노 크기 수산화 인회석 입자만 이식한 군, 제 3군: 마이크로 크기 수산화 인회석 입자와 줄기세포를 함께 이식한 군, 제 4군: 나노 크기 수산화 인회석 입자와 줄기세포를 함께 이식한 군)으로 나누었다. 이식한 후 8주에 걸쳐 각 군에서의 골 형성 정도와 지지체의 변화를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생화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마이크로 크기 수산화 인회석 입자를 이식한 군(1, 3군)에 비해 나노 크기 수산화 인회석 입자를 이식한 군(2, 4군)에서 방시선적, 조직학적으로 골 형성이 잘 일어났으며, 줄기세포를 힘께 이식군(4군)에서 자연복구 과정 중 골 형성이 가장 균일하게 일어났다. 결론: 보다 더 우수한 골 형성을 위해서는 수산화 인회석과 같은 순수 무기질 합성물 외에 골의 구조와 더 유사한 유기질-무기질 합성물에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observed new bone formation following the transplantation of allogenic periosteum-derived stem cells and different sizes of hydroxyapatite (HA) scaffold materials into rabbit long-bone defect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white rabbi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ansplanted into their tibial bone defects: group 1 (microscale HA only); group 2 (nanoscale HA only); group 3 (microscale HA plus stem cells); and group 4 (nanoscale HA plus stem cells). Viscosity was controlled by the relative amounts of HA and agar After surgery, radiologic, microscopic, and biochemical observations were performed weekly for 8 weeks. Results: Nanoscale HA (groups 2 and 4) provided better bone formation than microscale HA (groups 1 and 3). The rabbits that had been transplanted with nanoscale HA plus stem cells (group 4) had more homogeneous bone formation during the natural repair process tha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Further study is required using nanoscale HA plus organic substance and stem cells, which are more similar to human bone structure, for better bone formation.

      • KCI등재

        해수담수화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오염에 대한 스케일 억제제 효과 연구

        강남욱(Nam Wook Kang),이석헌(Seock Heon Lee),권지향(Ji Hyang Kweon)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9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 스케일은 주로 산을 주입하거나 혹은 스케일억제제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고분자 형태의 스케일 억제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성상의 스케일 억제제 세개를 선택하여 CaCO₃ 무기질 오염에 대한 제어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가 1.43, 2.5 및 5일 때 Spectra Guard를 사용하여 회수율, 즉 농축계수에 따른 제어능을 비교하였고 농축계수가 2.5일 때 SHMP, Spectra Guard, Flocon 150 N을 사용하여 억제제별 제어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축계수별 제어능 실험은 농축계수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필요로 하였으며, 필요량은 농축계수 5의 범위까지 거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임계값보다 적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주입했을 경우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스케일이 형성 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한 세 종류의 스케일 억제제는 모두 스케일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억제제별로 스케일 제어에 필요한 시간과 적정 주입량 등에 차이를 보였다. Spectra Guard는 주입농도가 0.6 mg/L 이상이면 바로 스케일 제어효과를 나타내었다. SHMP은 적정 농도는 0.4 mg/L로 작았으나 스케일 제어효과가 나타내는 데까지 약 30시간 이상이 걸렸다. Flocon 150 N은 3 mg/L 이상의 주입농도와 30시간 이상의 운전시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적정 농도 및 제어 반응시간의 차이는 억제제 성분에 따른 억제 기작의 차이로 보이며, CaCO₃ 스케일 억제제로 polyacrylate계의 Spectra Guard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es have several operational problems. Fouling by inorganic scale occurs on membrane surface due to increases in concentrations over solubility by retaining ions on feed side of the membrane. Inorganic scales could be controlled by antiscalants or acid addition. In this study, three antiscalant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on efficiency of CaCO₃ scale control. The CaCO₃ scale was inhibited by the antiscalants: 0.4 mg/L for SHMP, 0.6 mg/L for Spectra Guard, and 3 mg/L for Flocon 150 N. Increasing concentration factors of simulated sea water resulted in increases in antiscalant doses for the scale control. The increases in doses were positiv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e factors used in this study. Spectra Guard, one of the polyacrylate type antiscalants, was the most effective to control CaCO₃ scale. The antiscalants with the different scale inhibition time and doses implied the different control mechanisms.

      • KCI등재후보

        온-오프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교육학 개론> 강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사례 연구

        강남욱(Kang, Nam-woo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 case of university level course in which blended learning teaching-learning method was applied. In this study, redevelopment backgrounds, main components and major consideration of designing blended-learning course, authoring tools of producing on-line education contents, whole process of production and management were discussed, and primary feed-backs of learners also introduced. Blended learning is not only a physical mixing some teaching-leaning techniques, but also a integration of on and off line, face-to-face and distance,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Hence this study can contribute various implications and visible assistants to others who work in educational arena. 이 연구는 최근에 교수-학습 전략으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기법을 활용하여 학부생 대상의 '한국어 교육학 개론' 강좌의 구성 및 운영 사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블렌디드 러닝이란 단순히 기존의 여러 교수 방식을 물리적으로 섞는 것이 아니라 대면과 원격, 협동과 자기주도, 이론과 실제를 통합해 나가는 교수법으로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블렌디드 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교과를 개발한 사례를 중심으로, 개발의 배경, 구성 요소와 고려 사항, 개발 시 사용한 저작 도구, 개발 절차를 다루고, 약 2년 동안 이 블렌디드 교과를 운영하면서 얻게 된 학습자들의 반응과 환류, 또 개선 또는 제언이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실제 중심의 사례 연구는 앞으로 이와 같은 수업을 구안하는 연구자, 교육자들에게 가시적이고 명확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