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치행정의 요청과 행정국가의 제문제에 관한 소고

        백혜영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법학연구 Vol.65 No.1

        There is no disagreement on the fact that the ‘Principle of Rule of Law in Administration’ that administrative activities must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law is a key element of the rule of law. However, in modern times, the so-called ‘administrative state trend’ also threatens the realization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law in several aspects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penetration of administrative action into area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in charge of other state agencies,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appeal are actually being widely used and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actually insufficient in control, although it deserves strong control in that it is created by the administration with poor democratic legitimacy through simple procedure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re is anything to be improved in the control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judicial control over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suggests specific measures. Regarding administrative appeal, in order to better utilize them as a control tool to promote the legality of administration,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any improvements in terms of remedy for violation of rights and self-control, and suggested various improvement directions. Next, in today's administrative stat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are being activated in the overall social fiel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administrat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 request of the Rule of Law in Administration,, measures must be prepared to improve the side effects of indiscriminate collection of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data and illegal recruitment of evidenc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should be examined, and if necessary, protection of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through warrantism and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should be promoted, and criminal punishment regulations for non-cooperation in administrative investigations should be deleted, and the establishment of criminal punishment regulations with the same purpose should be avoided. I hope that the discussions and proposals in this paper will help bring the request of the Rule of Law in Administration one step closer. 법치주의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의문의 여지 없이 우리 헌법의 기본원리로 여겨지고 있고, 그와 같은 법치주의가 행정 영역에 적용된 것이 바로 법치행정의 원리이다. 행정활동이 법률에 따라 수행되어야 한다는 ‘법치행정의 요청’ 내지 ‘행정의 합법률성의 요청’이 법치주의의 핵심적 요소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으나, 현대에 있어서 이른바 ‘행정국가화 경향’이 다음과 같이 여러 측면에서 법치행정의 실현을 위협하기도 한다. 우선, 전통적으로 타 국가기관이 담당해 오던 영역에까지 행정작용이 침투한 결과, 행정입법과 행정심판이 실제로 널리 이용되고 증대되고 있는데, 행정입법은 국회의 입법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간소한 절차를 통해 민주적 정당성이 떨어지는 행정부가 만든다는 점에서 강력한 통제를 받아야 마땅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통제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통제 및 사법통제에 있어서 개선할 부분이 없는지 살피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회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행정입법에 대한 규범통제기관을 헌법재판소로 일원화하며, 국회의 통제와 사법통제에만 기댈 것이 아니라 행정부 내부 통제 및 국민의 절차참가에 따른 통제까지 활용하여 행정입법에 대한 충실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행정심판과 관련하여서도 행정의 합법률성을 도모할 수 있는 통제수단으로서 더욱 잘 활용하기 위해서 권리구제와 자기통제의 측면에서 개선할 부분이 없는지 살펴보고, 다양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중에서도 특히 지나치게 복잡한 행정심판기관과 절차 등으로 말미암아 행정심판 청구의 시작 단계에서부터 국민의 권리구제와 행정의 자기통제가 어려운 것은 심각한 문제인바, 행정심판기관을 통합시키겠다는 국민권익위원회의 정책 방향에 찬동한다. 다음으로, 오늘날 행정국가에서 행정의 영역 확대와 더불어 전반적인 사회 분야에서 행정조사가 활성화되고 있는데, 법치행정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행정조사 자료의 무분별한 수집 및 위법한 증거채용의 부작용을 개선할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개별 행정조사 고유의 성격과 특성을 살펴서 그 중에 형사법 대원칙의 적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영장주의 및 진술거부권 등을 통한 조사대상자 보호를 도모하여야 하고, 행정조사 비협조를 이유로 한 형사처벌 규정은 삭제하며, 같은 취지의 형사처벌 규정의 신설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본고의 논의와 제안이 법치행정의 요청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가는 데에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漢和辭典 麻韻字의 字音 規定에 대하여

        白惠英,李京哲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 硏究 Vol.0 No.39

        In this research, I studied on the kana notations of rhyme Ma(麻) in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followings. 1) Sino-Japanese Kan’on is appears as a -a type in all of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but Go’on is appears as a -e type almost and as a -ja type, -a type. And kana notation of Go’on is different in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2) Ka(カ) is a kana notation of Jia(加) in the Kikiman’yo and it is appears as a Ka(カ) also in Go’on because of Go’on effected by kana notation of Kikiman’yo. The kana notation of Kikiman’yo must be contained in Go’on because of kana notation of Kikiman’yo is not classified as a Sino-Japanese in Sino-Japanese dictionaries. 3) A(ア), Kana notation of A(亞) is classified as a Go’on in all of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but Go’on is a E(エ) because it is appears as a E(エ) in Kojiki. 4) Labials of Sino-Japanese Go’on in rhyme Ma(麻) are not consistent in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The kana notations of Go’on in Labial is Ha(把), Ha(覇), Me(馬), Ma(麻). 5) There are mistakes in all of six dictionaries to the notations of Cha(茶). The right kana notations are as that Go’on is Da(ダ), Kan’on is Cha(チャ), To’on is Sa(サ). 6) Dentals in Go’on of rhyme Ma(麻) are appears as a -ja type. 7) Kan’on is appears as a -wa type in all of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but Go’on is appears as a -we type almost and as -wa type in the case of rhymes that contained ‘w’ also. 8) Go’on of the Gwa(寡) is Kwa(クワ)>Ka(カ) because it is appears as a Kwa(クワ) and it is not appears as a Kwe(クヱ) in Go’on data. 9) Go’on of the wa(瓦) is Gwa(グワ)>Ga(ガ) because it is appears as a Gwa(グワ) and it is not appears as a Gwe(グヱ) in Go’on data. 10) Go’on of the Hua(華) is not consistent in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but Go’on of that is Kwe(クヱ)>Ke(ケ) because initial of that is ‘h’.

      • KCI등재

        공익(公益)을 이유로 한 건축허가 거부처분의 적법성 검토 및 건축법상 허가 제한 사유의 입법적 개선방안

        백혜영 연세법학회 2023 연세법학 Vol.42 No.-

        I often see media repor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or facilities.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owner who intends to build a building by exercising his property rights and opposition forces who put the public interest first for various damages caused by the construction are the main. At the end of this conflict over building permission, the Supreme Court ruled, “The building permission holder shall grant a building permission if the application for a building permission does not fall under the restriction prescribed by law, and cannot refuse it for reasons other than the restriction prescribed by law unless it is necessary for serious public interest”. This means that if there is a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 building permission can be refused even if it does not fall under the reason for restrictions prescribed by law. Here, what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 means is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is, I looked at some lawsuit cases about building permission related to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s. However, before examining whether individual elements correspond to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s,’ I first examined whether it is legal in itself to refuse construction permits on the grounds of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s. This is a question of whether ‘reasons not prescribed in the law’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isposition of refusal of construction permits. The theory is divided, and the Supreme Court is in the position that it is possible, but I think it should not be allowed. Because according to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restrictions on basic rights are only possible by law, and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basis for rejecting building permits for other public interest needs not stipulated in the current Building Act. In this case, the judgment under special circumstances could be a solution. Ultimately, however, I believe legislative improvement is needed. If we maintain the legislative form that specifically specifies the reasons for refusal of building permits like the current building law, we can consider additional methods to specify, for example,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disaster prevention, and the right to study. However, even if the grounds for restricting construction permits are additionally specified, it is not possible to stipulate the number of all cases without omission. Therefore, I propose a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 that clearly states the concept of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cessity,” which is the basis of the Supreme Court, as a reason for restricting building permits under the Building Law. 건물이나 시설의 건축과 관련된 언론보도를 자주 보게 된다. 재산권을 행사해서 건물을 짓겠다는 건축주와 그 건축으로 인해 발생할 각종 손해를 이유로 공익을 앞세우는 반대세력의 대립과 갈등이 주종을 이룬다. 이러한 갈등에 대해 대법원은 “건축허가권자는 건축허가신청이 건축법, 도시계획법 등 관계 법규에서 정하는 어떠한 제한에 배치되지 않는 이상 당연히 같은 법조에서 정하는 건축허가를 하여야 하고,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요건을 갖춘 자에 대한 허가를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제한 사유 이외의 사유를 들어 거부할 수는 없다”라고 판시하고 있는데, 이는 달리 말하면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있으면 법령상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도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건축허가 제한의 사유로 기능할 수 있는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가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이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쟁점이 된 건축허가 관련 행정소송 사안을 살펴보았다. 다만, 개별 요소가 ‘중대한 공익상 필요’에 해당하는지를 살피기에 앞서서 과연 ‘중대한 공익상 필요’라는 기준으로 건축허가를 거부하는 것이 그 자체로서 적법한가를 먼저 살펴보았다. 이는 법률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유를 건축허가 거부처분의 근거로 삼아도 무방한지의 문제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학설은 나뉘고 있고, 대법원은 건축허가를 원칙적으로 기속행위로 보면서도 재량성을 인정하는 소위 ‘기속재량 법리’를 채택하여 중대한 공익상 필요를 이유로 건축허가를 거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필자는 법률 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중대한 공익상 필요’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건축허가를 거부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생각한다. 기본권 제한은 법률로써만 가능하다는 헌법 제37조 제2항의 법률유보가 주된 이유이고, 허가권자로 하여금 ‘위락시설 또는 숙박시설’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건축을 허가하고자 하는 경우, 당해 건축물의 건축이 ‘주거환경 또는 교육환경 등 주변환경’에 비추어 부적합하다고 인정하면 건축허가를 하지 아니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현행 건축법 하에서 법에 규정되어 있지 아니한 나머지 공익상 필요를 이유로 건축허가 거부처분을 하는 것은 근거가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행정소송법 제28조의 사정판결 제도가 하나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행 건축법과 같이 건축허가를 하지 아니할 수 있는 사유로서의 공익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입법형태를 유지한다면 가령,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보전, 재해 예방, 교육환경 보호를 통한 학습권 보장 등을 추가로 명시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건축허가 제한 사유를 추가로 명시한다고 해서 모든 경우의 수를 빠짐없이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다가, 입법 디자인상 어떠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정할수록 명문에 규정이 없는 것은 사유로 고려될 수 없다는 식의 해석이 가능해져서 입법취지와는 전혀 다른 방향의 왜곡이나 악용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그리하여 필자는 현재 대법원이 근거로 삼고 있는 ‘중대한 공익상 필요’라는 개념 자체를 건축법상 건축허가 제한 사유로 명시하는 입법개선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백혜영,강현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7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whether the social capital i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fluence their career maturity though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rough a multigroup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 889 elelementary school children (4th - 6th graders) from multicultural or non-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social capital i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ir career maturity through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differences of structural models between the two children groups a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ree paths; the path between the social capital and career maturity; the path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career maturity; and the path between gender and career maturity. The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had a direct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s through multigroup analysis. In that process, self efficacy partially acted as a mediating element. However, since the subjective well-being had no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its mediating effect was not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들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을 통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중인 889명의 다문화 또는 비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집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들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은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다집단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 간에는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주관적 안녕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냈다. 다집단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은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진로성숙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관적 안녕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못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FTA 원산지 사전심사 규정의 입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백혜영 법제처 2022 법제 Vol.699 No.-

        Article 3 of the Agreement on Trade Facilitation stipulates the introduction of an advance rulings for item classification, country of origin, taxable price, tariff reduction, and tariff allocation to improve transparency of regulation. Most of the advance rulings stipulated in Article 3 of the Agreement on Trade Facilitation are already operated by Korea, and one of them, the 'Advance Rulings on Origins' under the Act On Special Cases Of The Customs Act For The Implementation Of Free Trade Agreements is the subject of this paper. Previously, the commissioner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delegated the authority to conduct an advance rulings on origins of the FTA. Due to the recent revision of the law, the commissioner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directly exercised the authority to conduct an advance rulings on origins of the FTA. This amendment is intend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performing both 'Advance Rulings on Origins' and 'Origin Verification' by the commissioner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but it is not believed that work efficiency is achieved simply by unifying the subject of work. The 'Advance Rulings on Origins' are not widely used, and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itself and promote efficient use by revising unclear parts of the regulations. From that point of view, legislative problems of the advance rulings on origins regulations and measures to improve them were presented. In particular, regarding the scope of the advance rulings on origins application, opinions were not unified in practice as to whether 'direct transportation requirements were met'. I revealed the basis for interpreting that 'whether or not the direct transportation requirements are met' is included in the advance rulings on origins of the FTA, and further suggested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legal text without controversy. It is hoped that the purpose and goals of the Agreement on Trade Facilitation will be faithfully achieved by further overhauling this system and widely utilizing it by stakeholders.

      • KCI등재

        국세기본법과 관세법상 중복조사 금지에 관한 비교연구 - 대법원 2015. 2. 26. 선고 2014두12062 판결 및 대법원 2020. 2. 13. 선고 2015두745 판결을 중심으로-

        백혜영 대한변호사협회 202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01

        In principle, dual investigations should be prohibited because they seriously infringe on the freedom of business and legal stability of taxpayers, as well as lead to abuse of tax investigation rights.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the Customs Act explicitly set out regulations on the prohibition of dual investigations. Regarding the prohibition of dual investigations, issue such a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uplication of investigation to which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dual investigation is applied’ is usually raised. In this study, precedents related to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 (Supreme Court 2014du12062 judgment, etc.) and customs law precedent judgments (Supreme Court 2015du745 judgment) were examined in turn on the issue. In particular, the 2015du745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Supreme Court ruling on the prohibition of dual investigations under the Customs Ac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ws in the above issue regarding the judgment of ‘duplication of investiga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wording, such as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using ‘same item of taxes’ and ‘same taxable period’ a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redundancy, and the Customs Act using ‘the relevant case’ as the criterion. At this tim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interpretation in that ‘the relevant case’, which is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redundancy under the Customs Act, is an indeterminate concept open to interpretation. Judging from the meaning of the Taxpayer Protection Ordinance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prohibited overlapping investigation means “re-investigation in the same field of customs and legality and the same period subject to investigation.”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s 2015du745 rulings, the customs authorities chose a different method of determining the tax price in detail in each preceding and trailing investigation, but eventually conducted a “reexamination of the same customs clearance legal field.” Consequently, the conclusion of this judgment, which constitutes an illegal duplicate investigation, is reasonable in light of the above Korea Customs Service ordinance.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relevant case’, which is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overlap of investigations under the Customs Act, a legislative review was also conducted, such as whether the contents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ordinance need to be reflected in the Customs Act. It is important for both taxpayers and tax authorities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attitudes of case law regarding dual investigation. If the taxpayer determines that the investigation by the taxation authority falls under a “dual investigation” in light of the existing precedent attitude, the taxpayer can obtain relief by using the taxpayer protection system or by filing a lawsuit or a trial to cancel the imposition of the imposition. In addition, the tax authorities can judge whether the above taxpayer’s argument is valid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precedent attitudes. 중복조사는 납세자의 영업의 자유나 법적 안정성 등을 심각하게 침해할 뿐만 아니라 세무조사권의 남용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금지되어야 한다. 국세기본법, 관세법은 중복조사 금지에 관한 명시적 규정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의 ‘중복성’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하여 판시하고 있는 국세기본법 관련 판례(대법원 2014두12062 판결 등)와 관세법 관련 판례(대법원 2015두745 판결)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특히, 위 대법원 2015두745 판결의 경우에는 관세법상 금지되는 중복조사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최초의 대법원 판결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편, ‘조사의 중복성’ 판단 기준에 있어서는 국세기본법과 관세법 사이에 차이가 있다. 국세기본법은 ‘같은 세목’과 ‘같은 과세기간’을 중복성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있고, 관세법은 ‘해당 사안’을 그 기준으로 삼고 있는 등 문언상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관세법상 중복성 판단의 기준인 ‘해당 사안’은 해석의 여지가 있는 불확정개념이라는 점에서 그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 관세청 납세자보호 훈령을 통해 그 의미를 유추해보건대, 금지되는 중복조사란 ‘같은 통관적법성분야 및 같은 조사대상기간에 대한 재조사’를 의미한다. 위 대법원 2015두745 판결의 경우를 보면, 관세당국이 선행·후행 각 조사에서 세부적인 과세가격 결정방법을 달리 택하기는 하였으나, 결국 ‘과세가격에 관한 사항’을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같은 통관적법성분야에 대한 재조사’를 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는바, 위법한 중복조사에 해당한다고 본 대상판결의 결론은 위와 같은 관세청 훈령에 비추어 보더라도 타당하다. 한편, 관세법상 ‘해당 사안’의 의미를 명확히 한다는 차원에서 ‘관세청 납세자보호에 관한 훈령’ 및 ‘기업심사 운영에 관한 훈령’의 내용이 관세법령으로 상향 입법될 필요성은 없는지 등의 입법론적 검토도 함께 하였다. 중복조사에 관한 판례의 태도를 숙지하는 것은 납세자 및 과세당국 모두에게 중요하다. 납세자로서는 기존 판례 태도에 비추어 과세당국의 조사가 ‘중복조사’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경우에 납세자보호관 제도를 이용하거나 부과처분 취소 심판 및 소송을 제기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제받을 수 있고, 과세당국으로서는 그와 같은 납세자의 주장이 타당한지 판단함에 있어서 기존 판례의 태도를 참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일본 漢和辞典 古形表記의 연구

        백혜영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9 일본학 Vol.48 No.-

        A learned scholars point out that most SinoJapanese dictionaries have numerous problems. This is because it did not reflect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deductive interpretation of the Phonology Dictionary and the results of a thorough inductive study of all kanji. The old data is so large that scholars use consonantsigning books that they have created when verifying consonants. Labialized yoon(ヰ・ヱ・ヲ) signs in the SinoJapanese dictionaries are confusing, and the old ones are often omitted from the dictionary. Old consonants written in SinoJapanese dictionaries are confused and omitted from the dictionary and there is no consistency. Inner tongue stop ending is right that writing tsu(ツ) in not only Kan’on but also Go’on and only the sounds of fixed chi(チ) to today can be classify Go’on. Inner lip stop ending and Inner lip nasal ending should be checked out from old sources.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漢和辞典은 字音表記의 字音 규정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 검토한 古形表記의 문제점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合拗音 ヰ・ヱ・ヲ는 合口性을 상실하여 서로 혼동되다가 각각 ヰ〉イ・ヱ〉エ・ヲ〉オ로 변하며 사전에서 ヰ・ヱ・ヲ의 古形表記들은 사전 編纂 시 누락되거나 생략된 字音들이 대다수이다. 2) カ合拗音도 ヰ・ヱ・ヲ의 消滅과 동일한 과정을 겪어 왔으며 歴史的仮名遣い와 字音仮名遣い에서는 合拗音 표기를 유지하는데 이는 한자음으로 정착된 것으로 現代仮名遣い에서는 모두 直音形으로 바뀌었다. 合口性을 반영한 표기가 출현하는 字音形은 그 古形에 모두 合口性을 표기해야 할 것이다3) 豪韻 脣音字에 한해 au형은 漢音에서 모두ou형으로 정정해야 하는 것으로 大漢和는 많은 표기의 오류를 보이고 있다. 4) 舌內入聲韻尾의 표기는 吳音자료이건 漢音자료이건 ツ와 チ 두 가지 표기가 공존하다가 室町시대부터는 ツ표기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ツ와 チ라는 표기는 漢音과 吳音을 구별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5) 脣內入聲韻尾字와 脣內鼻音韻尾字는 古文獻을 통해 主母音이 어떤 형태로 출현하는지 일일이 확인해서 그 字音形을 결정해야한다.

      • KCI등재

        漢和辭典 咸攝 1ㆍ2等韻 字音 規定의 문제점

        白惠英,李京哲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고에서는 新常用漢字表에서 咸攝 1・2등운에 속하는 한자에 대해 漢和辭典 6종을 대상으로 그 字音 규정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드러났다. 1) 모든 사전에서 咸攝 제운의 순내입성운미에 대해서는 고형 [フ]를 기재하고 있지만, 순내비음운미에 대해서는 學硏敎育에서만 고형 [ム]를 기재하고 있다. 2) 대부분의 사전에서 순내입성운미의 促音形과 [-ツ]형을 慣用音으로 처리하고 있다. 설내입성운미나 후내입성운미의 促音形은 慣用音으로 분류하지 않으면서 순내입성운미의 促音形만을 慣用音으로 규정할 수 없으며, 또한 [-ツ]형도 ハ行轉呼音에 의해모음 [ウ]로 변화하는 것보다 [ツ]로 표기하는 것이 원음에 가까운 표기이므로 이 역시 慣用音으로 규정할 수 없다. 3) 1등 覃韻의 주모음은 중저위후설모음 ʌ이므로 吳音에서 그 주모음이 a로도 o로도 출현한다. 이로 인해 여러 漢和辭典에서 覃韻의 동일한 한자에 대해 그 주모음을 a와 o 로 다르게 기재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4) 1등 談韻의 주모음은 저위후설모음 ɑ이므로 吳音에서도 漢音과 동형인 -am/-aɸu형으로만 출현하고 있다. 그런데 일부 漢和辭典에서 吳音의 주모음을 o로 기재하고 있는경우가 보인다. 5) 2등 咸韻의 주모음은 중저위전설모음 ɐ이며, 銜韻의 주모음은 저위전설모음 a이므로吳音에서 두 운 모두 그 주모음이 a로도 e로도 출현한다. 이로 인해 여러 漢和辭典에서 咸・銜韻의 동일한 한자에 대해 그 주모음을 a와 e로 다르게 기재하고 있는 경우를볼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the Kana-Notations of characters that belong to first and second rhymes of group Xian(咸) among 2,136 New Usual Sino-Japanese Characters(2010) in the six Sino-Japanese dictionari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Final-P was recorded as a old Kana- notation Fu[フ] in the every dictionaries, but Final-M was recorded as a old Kana notation Mu[ム] in the only dictionary of Gakkenkyoiku. 2) The type of Q[ッ] and Tsu[ツ] of FinalP was provided as a Kan’yo’on in the many dictionaries. But Q[ッ] of Final-P can not be pf Final-P can not be provided as a Kan’yo'on because Tsu[ツ] notation of FinalP is famillia to original sound more than vowel [u] crovided as a Kan’yo’on because Q[ッ] of Final-T and Final-K are not provided as a Kan’yo’on in the all of dictionaries. And Tsu[ツ] ohanged from Fu[フ]. 3) Main vowel of rhyme Tan(覃) appears as a [a] or [o] in Go’on because it is middle low back vowel [ʌ]. And main vowel on same characters of rhyme Tan(覃) recorded different to as a [a] or [o] in the many dictionaries. Therefore, Go’on of rhyme Tan(覃) must be provided after that checked what type appears as a [a] or [o] in old Go’on text. 4) Main vowel of rhyme Xian(銜) and Xian(咸) appears as a [a] or [e] in Go’on text because two rhymes are front vowel [a] and [ɐ]. And main vowel on same character of rhyme Xian(銜) and Xian(咸) recorded different to as a [a] or [e] in the many dictionaries. Therefore, Go’on of rhyme Xian(銜) and Xian(咸) must be provided after that checked what type appears as a [a] or [e] in old Go’on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