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 미만성 대형 B-세포 림프종에서의 예후인자에 관한 연구

        김삼용,곽승근,박상은,윤환중,조덕연,김진만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미만성 대형 B-세포 림프종은 가장 흔한 악성 림프종의 한 종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전체 비호지킨 림프종의 50%를 차지한다.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병기는 호지킨병과는 달리 예후 인자로서의 유용성이 적다. 따라서 병기만을 예후 인자로서 평가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제예후지표(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가 도입되었다. 특정 환자에서 IPI 점수와 함께 그 환자의 림프종의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한다면 예후 예측에서 정확도가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만성 대형 B-세포 림프종에서 국제예후지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각종 생물학적 지표의 면역화학염색을 통하여 이들을 배세포 중심 아형(germinal center subgroup : 이하 GC양 아형으로 약함)과 활성화 B-세포 아형(post-germinal center subgroup; 이후 pGC양 아형으로 약함)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예후 예측에 대한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분포는 37세에서 69세로 중앙치는 56세이었으며, 남자는 17예(65.4%), 여자가 9예(34.6%)였다. 병기는 Ⅰ, Ⅱ, Ⅲ, Ⅳ기가 각각 2예(7.7%), 11예 (42.3%), 5예(19.2%), 8예(30.8%)였다. 'B'증상은 5예(19.2%)에서 양성이었다. 진단 당시 혈청 LDH치가 상승한 경우가 11예(42.3%)였고, 거대종양(직경이 10㎝이상)을 갖는 경우가 5예(19.2%)이었다. ECOG 수행등급은 0이 2예(7.7%), 1이 18예(69.2%), 2가 5예(19.2%), 3이 1예(3.8%)이었다. 2. 면역조직화학염색 상 bcl-2의 양성은 17예(65.4%), bcl-6의 양성이 20예(76.9%)이었다. CD10이 양성인 경우가 5예(19.2%)이었다. IRF-4가 양성인 경우는 8예(30.8%)였다. 26명의 환자에서 bcl-6, CD10과 IRF-4를 이용하여 GC양 아형과 pGC양 아형으로 분류 하였는데, GC양 아형은 14예(53.8%)이었고, pGC양 아형은 7예(26.9%), 분류가 되지 않는 경우가 5예(19.3%)이었다. 3. 평균 48개월 동안 추적한 결과 중앙생존기간은 44개월이었고 생존기간은 1~100+개월에 분포하였다. Kaplan-Meier법에 의한 5년 누적 생존률은 32%이었다. 4. 병기, 'B' 증상, 혈청 LDH 농도, ECOG 수행등급, 거대종양유무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임상적 예후 인자였다. 5. 면연조직화학염색에서는 bcl-2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다. 6. GC양 아형은 pGC양 아형에 비해 생존기간은 좋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7. 다변량 분석결과 bcl-2 발현과 혈청 LDH치만이 예후에 영향을 미쳤다. Clinical Significanceof Expression of Biomarkers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iffuse large B-cell lymphoma(DLBL) is the most common type of lymphoma in Korea, representing about 50% of non-Hodgkin's Lymphomas. Although DLBL is usually considered as a specific category, the diversity in clinical presentation, morphology, genetic and molecular alterations strongly suggest that these tumors represent a heterogeneous group of neoplasia rather than a single clinicopathological entity. Clinical prognostic system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IPI), although useful to assess overall prognosis, embraces patients with heterogeneous prognoses. It is likely that the prognostic assessment of patients with DLBL might be improved by using biological features. During the last decade, most studies dealing with the heterogeneity of DLBL have focused on individual protein expression and molecular alteration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antigens related to different stages of B-cell differentiation, including CD10, bcl-6, and IRF-4, may help to define groups of tumors with different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prognostic value of individual biomarker expression and the biomarker expression patterns according to germinal center subgroup or post-germinal center subgroup of DLBL as defined by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single antigens, we studied 26 patients with de novo DLBL, whose archival pathology specimen were available for immunohistochemistry studies, at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1992 to December 2000. Archival specimens from each patient were immunostained with respective antibodies for CD10, bcl-6, IRF-4, bcl-2 antigens. Two immunophenotyping profiles we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differentiation; germinal center(GC;CD10/Bcl-6+/IRF-4-) subgroup or postgerminal center (pGC ; CD10/bcl-6/IRF4+) sub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ere ; median age of patients was 56(range ; 37-69). 17 patients(65.4%) were male. 5 patients(l9.2%) had 'B' symptoms. Stages were as follows ; stage Ⅰ2 patients(7.7%), stage Ⅱ 11 patients(42.3%), stage Ⅲ 5 patients(l9.2%), stage Ⅳ 8 patients(30.8%). 11 patients (42.3%) had elevated LDH levels. 25 patients(96.2%) had ECOG performance grade 0-Ⅱ and 1 patient had grade Ⅲ. 5 patients(l9.2%) bad bulky disease. 2) The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study were as follows ; positive bcl-2 staining in 17 patients(65.4%), positive bcl-6 in 20 patients(76.1%), positive CD10 in 5 patients(l9.2%), positive IRF-4 staining in 8 patients (30.8%). 3) After a median follow up duration of 48 months, the median survival duration was 44 months with a range of survival of 1-100+ months.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32% by Kaplan-Meier method. 4) The clinical factors affecting survival were elevated serum LDH level, B symptoms, bulky disease, stage at diagnosis and ECOG performance status 5) Among the biomarkers, only bcl-2 expression affected survival of DLBL patients 6) The germinal center like subgroup had superior survival than post-germinal center like subgroup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7)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bcl-2 and serum LDH level had siginificance on survival Conclusion In addition to the known clinical prognostic factors, immunohistochemically defined characteristics such as bcl-2 expressionin DLBL is important and subgroups(germinal center or post-germinal center subgroup) of DLBL may have importance in predicting prognosis of DLBL patients

      • 폐경기 여성의 운동형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경,이계영,이삼준,심영제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6

        The relationship of bone mineral density and type of physical exercise was studied in 36 Postmenoposal Women(age 48-57). The exercise group consisted of Weight training([ =9), Aerobic dance(N=8), Swimming(N=9)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0 women.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Lumber(L2-L4), Femur neck, Ward's triangle bone density. The results statstically analyzed on these data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umber (L2-L4) bone density, Femoral neck bone density, Ward's triangle bone density in Weight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Swimming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ly, Lumber(L2-L4) bone density, Femoral neck bone density, Ward's triangle bone density in Aerobic danc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Swimming group and control group. Third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round for Lumber(L2-L4) bone density, Femoral neck bone density in Weight training group and Aerobic dance group.

      • KCI등재

        시각장애인 주택의 실태 및 요구도 분석에 관한연구

        김상운,강병근,성기창,박광재,윤영삼,정은영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9 의료·복지 건축 Vol.15 No.1

        Increasing the old and the senile disability, it is increased that the demand of barrier free house for the disabled the senior the pregnant and the young is strongly increasing recently. In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the problems of the house which is used by the Blin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and trie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disability's demend and current design of their house. As well,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some cases of the residential alterations this study verifies what the demand is on each room and their need is committed correctly during the residential alterations. It 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finding the problems through these research and analysi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houses of the Blind and finds out their house type scale and daily Iife through the statisticaI data and documentary survey and also investigates current status of their house. The basic standard for the current status and the demand analysis is researched by the barrier factors which are deducted from the former study.

      • 鑛物性 冷却油의 Coolingability에 관한 硏究

        김옥삼,최은순,정동화 麗水水産大學校産業技術硏究所 1992 産業基術硏究所 論文集 Vol.1 No.-

        The laboratory quench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plunging a silver cylinder heated to 800±1℃ into mineral base oils at given temperature. Experimental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followed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Cooling curves at the boundary of the shape of cylinderical type measured by a silver-alumel thermocouple is recorded throughout the quenching period. Using the cooling curves, the collingability of the quenching oils at a various temperrature were compared and discussed.

      • 직장 Dieulafoy 병변으로 다량의 혈변을 보인 1 예

        김태영;이상헌;김지현;배영환;정은주;김승만;지삼룡;설상영 인제대학교 2011 仁濟醫學 Vol.32 No.-

        Dieulafoy’s lesion is very rare cause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Deiulafoy’s lesion is exposure of non ulcerative, abnormally large tortuous, thick- walled artery in the muscularis mucosa through a small submucosal defect. It is usullay found on stomach antrum and lesser curvature side of the proximal body, and possibly found on any sites throughout whole gastrointestinal tract, but rarely on rectum. The principal of treating Dieulafoy’s lesion was the surgical resection of lesion, but recently remarkable advances in endoscopic technique make endoscopic approach more popular. We report a case of rectal Dieulafoy’s lesion successfully treated with endoscopic hemoclipping in an elderly female patient.

      • 동일한 국제예후지표(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를 나타내는 미만성 대형 B-세포 림프종에서 Bcl-2와 p16의 임상적 중요성

        박상은,박수진,곽승근,박남숙,천재민,윤환중,조덕연,김삼용,김진만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In Korea, malignant lymphoma is a common cancer, comprising about 2.7% of all malignant neoplasm.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is the most common lymphoma, representing about 50% of all Non-Hodgkin's lymphoma.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is usually considered as heterogeneous group of neoplasms rather than a single clinicopathological entity. Clinical prognostic system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IPI), although useful to assess overall prognosis, embrace patients with heterogeneous prognoses. But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scoring system is not sufficiently predict the prognosis. It is likely that the prognostic assessment of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might be improved by using biological features. Bcl-2 protein and p16 protein expression is recognized as useful biologic markers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o determ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prognostic value of bcl-2 and p16 proteins expression patterns, we studied 18 patients with de novo DLBL, whose archival pathology specimen were available for immunohistochemistry studies, at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1992 to December 2000. Archival specimens from each patient were immunostained with respective antibodies for bcl-2, p16.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dian age was 54(rage : 37-69). There were 12 male patients(66.7%) and 6 female patients(33.3%) The 'B' symptom was abscentin all patients. The stages were as follows : Ⅰ, 2 patient(11.1%), Ⅱ, 10 patient(55.6%), Ⅲ, 4patient(22.2%) and Ⅳ, 2patient(11.1%). 3 patients(16.8%) had the elevated LDH level, 14 patients(77.8%) had the normal LDH level and 1 patients(5.6%) was not identified the LDH level. 2 patients(11.1%) had the bulky disease and 16 patients(88.7%) had no bulky diease. The distribution of ECOG status were O, 2 patients(11.1%c), 1, 14patients(77.8%) and 2, 2patients(11.1%). 2) Theimmunohistochemistry results are as follows bcl-2:+,10 patients(55.6%), bcl-2:-, 8patinets(44.4%), p16:+,3 patients(16.7%), p16:-, 15patients(83.3%) 3) After a median follow UP durations of 67 months,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57 months with a rage of 7-100+ months. 5-years overall survival rates was 44% by Kaplan-Meier method. 4) Reduced overall survival was demonstrated in the patients who expressed bcl-2 protein(P=0.0174). 5-year overall survivial rate was 12%(bcl-2 expression) versus 88%(no bcl-2 expression) 5) Among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patients with IPI score 0-1, reduced overall survival was demonstrated with bcl-2 expression(P=0.023).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18%(bcl-2 expression group) versus 100%(no bcl-2 expressiongroup) 6) Median survival durtation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patients negative for p16 expression was 57 months whereas p16 postive patients' median survival duration was not reached(P=0.4478).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patients with identical IPI scores, bcl-2 expression had additional prognostic value.

      • 수입각증후군에 의한 급성 복증 1례

        정은욱,지삼룡,이영태,박지훈,김동기,제인수,채두근,박성재,박은택,이연재,이상혁,설상영,정정명 白中央醫療院 2005 仁濟醫學 Vol.26 No.1

        Afferent loop syndrome is an uncommon complication of a gastrectomy and Billroth Ⅱ reconstruction. It may cause symtoms at any time from the first postoperative day to many years after the gastrectomy. Afferent loop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abdominal pain, vomiting and elevation of serum amylase. Thus,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afferent loop syndrome from other cause of acute pancreatitis. However, the history of gastrectomy can be an important clue for diagnosing afferent loop syndrome. We experienced one case of chronic afferent loop syndrome with acute pancreatitis. After appropriate management, the abdominal pain disappeared and serum amylase level decreased.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