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혈관내피세포-U937세포의 부착에 미치는 Eicosapentaenoic Acid의 효과

        김은지,전재은,임현주,차성철,정의룡,조용근,조용근 경북대학교 병원 1998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2 No.1

        연구배경: 역학적연구에서 어류의 섭취가 많은 집단에서 관상동맥질환의 빈도가 낮은 것이 보고되었고, 이것은 어류에 많이 함유된 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특히 eicosapentaenoic acid 때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맥경화증 발생의 초기단계로 여겨지는 단핵구와 혈관내피세포 사이의 adhesion에 미치는 다불포화지방산의 영향을 in vitro system에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제대정맥에서 얻은 혈관내피세포를 배양하여 96 well에 옮기고 25, 50, 100, 200 ㎛ 농도의 eicosapentaenoic acid(EPA)를 6시간 동안 처리한 U937세포를 부착시켜 adhesion assay를 시행하였다. 혈관내피세포를 자극하기 위해서는 lipopolysaccharide(LPS)를 well당 100 ng씩을 투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LPS로 자극하지 않은 혈관내피세포에 EPA처리를 하지 않은 U937세포로 adhesion assay한 성적을 사용했고, 양성대조군으로는 LPS로 자극한 혈관내피세포에 EPA처리를 하지 않은 U937세포로 adhesion assay한 성적을 사용했다. 그리고 EPA(3.3 mM)을 5㎛ CuSO4 및 300 ㎛ asscorbic acid와 혼합하여 섭씨 37도에서 16시간 두어 산화-EPA를 만들어 같은 실험을 반복하였다. 결 과: U937세포에 25, 50, 100, 200 ㎛의 EPA로 6시간 처리하였을 때 U937세포의 생존율은 99% 이상이었다. 혈관내피세포를 LPS로 자극했을 때 adhesion assay에서 혈관내피세포에 붙는 U937세포의 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EPA를 U937세포에 25, 50, 100, 200 ㎛의 농도로 6시간 처리 후에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한 제대정맥 내피세포에 부착(adhesion)시켰을 때 처리한 EPA의 각 농도에 따른 부착된 U937세포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EPA처리가 부착된 U937세포의 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 론: EPA는 U937세포에 영향을 미쳐 혈관내피세포-U937 세포부착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EPA에 의한 혈관내피세포-단핵구 부착 억제 효과는 EPA의 단핵구에 미치는 영향에 의하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나 추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hown correlation between low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high consumption of fish produc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is may be due to the high cont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the n-3 fatty acid group in fish oil. In animal studies eicosapentaenoic and (EPA) inhibited attachment of monocytes to the arterial endothlium. Method : Adhesion assay was performed on the endothelial cells of the human umbilical vein with 25, 50, 100, 200 ㎛ EPA-treated U937 cells. The endothelial cells were activated with lipopoysaccharide (LPS). The adhesion assay was repeated with oxidized EPA. EPA was oxidized with CuSO4 and ascorbic acid. Result : Viability of U937 cells were not afected by concentrations up to 200 ㎛ of EPAand oxidized EPA. LPS treatment of endothelium notably increased the number of U937 cells attached to endothelial cells on the adhesion assay. However, treatment of EPA, native or oxidized, to U937 cells did not afect the number of U937 cells attached to LPS activated endothelial cells. Conclusion : EPA treatment, native or oxidized, of U937 cells did not affect U937 cell-endothlial cell adhesion. This suggests that inhibition of monocyte-endothlial cells ◎attachment by EPA is not due to the effects of EPS on monocytes.(Korean Circulatin J 1998;28(4):606-610)

      • 정량적관상동맥조영술의 정확도 및 재현도

        조용근,황진용,박헌식,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4

        목적 : 정량적관상동맥조영술이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국내외를 막론하고 이의 정확도 및 재현도에 관한 연구가 불충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10명의 환자에서 미국 General Electric사의 Advantx L/C/LP 디지탈혈관찰영기와 미국 USCI사의 좌관상동맥용 Judkins형의 Pro-Flo XT^(TM) 6F 도자를 이용하여 좌관상동맥조영술을 같은 각도에서 3회 실시하고 도자의 외경을 일본 Mitutoyo사의 정밀도 0.01㎜의 micrometer로 측정한 후 측정된 도자의 실제 직경과 정량적관상동맥조영술로 측정된 관상동맥의 직경을 비교하였다. 결 과 : USCI® Pro-Flo XT^(TM) 6F 좌관상동맥용 도자의 실제 외경은 1.91±0.03㎜이었고 정량적관상동맥조영술로 측정 한 도자의 외경은 1.94±0.11㎜이었다. 도자를 5.7F로 calibration했을 매 도자의 외경은 1.87±0.12㎜이었다. 세번 다 다른 화상에서 측정한 경우 근위부관상동맥 직경의 차이는 0.02±0.12㎜이었고 같은 화상에서 3회 측정하였던 경우에는 0.11±0.01㎜이었다. 결론 : 정량적관상동맥조영술의 정확도 및 재현도는 사용에 적합한 정도이나 적지 않은 문제점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During quantitaive coronary angiography(QCA), contrast filled catheter is usually used as a scaling device. However the real diamerer of catheter is almost always smaller than the listed diameter. We measured the real diameter of catheters with precision micrometer(Mitutoyo® Japan). After caliberating the catheter as listed French size and diameter, we did QCA at the same tube position of the diameters of catheter and proximal left coronary artery. All measurements were done 3 times consecutively. The mean real diameter of USCI® Pro-Flo XT^(TM) 6 F left Judkin catheter was 1.91±0.03 ㎜. The mean QCA diamter of the same catheter was 1.94±0.11 ㎜. When we calibrated catheter as 1.91 ㎜. the mean QCA diameter was 1.87±0.12 ㎜. The mean differences of the diameters of the proximal left coronary artery were 0.20±0.12 ㎜ when the measurements were done in three different frames. When the measurements were done in the same frmae, the mean difference decreased to 0.11±0.01 ㎜. We conclude that the precision and reproducibility of QCA are within reasonable range, but more refimement is needed.

      • 순환기 내과로 자문의뢰된 환자의 임상상

        황진용,최지용,손상균,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4

        목적 : 순환기내과 영역은 많은 과로부터 자문의뢰를 받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의 순환기질환의 유형이 변화되고 입원환자가 고령화되면서 동반된 심질환의 유병율도 증가하고있다. 이에 저자들은 타과로 입원하여 순환기내과로 자문의뢰되는 환자의 임상상과 3차병원인 경북대학교병원에서의 순환기내과자문의 유용성 등을 평가하여 향후 순환기질병에 대한 협의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5년 3월부터 순환기내과로 공식자문의뢰된 첫 10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령, 의뢰이유, 최종진단명, 수술과의 관련성 여부, 순환기내과의 최종조치, 타과의 순응도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자문을 의뢰한 환자는 평균 58±16(15-89, 중앙치 61)세였고 60세이상의 환자가 57%로 고령의 환자가 많았다. 2) 내과계열 25%, 외과계열 75%로 외과계열의 자문이 많았고 일반외과가 26%로 가장 많았고 내과의 다른 분과가 12%, 신경외과 12%, 정형외과 11%, 흉부외과 11%, 신경과 11% 등의 순이었다. 외과계열중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58례로 이중 응급수술이 13례였다. 술전 위험도 평가를 위한 자문이 38례에서 있었는데 순환기적인 문제로 수술을 받지 못한 경우는 2례(1례는 허혈성 심질환, 1례는 심낭질환)이었다. 이때 응급수술을 제외한 입원일과 술전 자문일파의 간격은 평균 3±7일(입원일-42일)이고 술전 자문일과 수술일과의 간격은 평균 6±4일(1-16일)이었다. 3) 타과의 의뢰이유는 심전도 이상이 36례, 높게 측정된 혈압이 20례, 순환기질환의 과거력 17례, 환자의 증상 때문인 경우가 10례였고 심전도의 이상중에는 부정맥이 18례, 이상 Q파 6례, ST절 이상이 5례, 각차단이 3례의 순이었다. 순환기과거력 중에는 허혈성 심질환이 6례, 현재 혈압은 정상이나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가 4례 순이었고 환자의 증상은 흉통 6례, 호흡곤란이 3례, 기절이 1례였다. 4) 자문후 최종진단이 가능했던 91례를 진단별(총 97 진단명)로 나누어 보면 고혈압이 28례, 부정맥이 16례, 허혈성 심질환이 14례, 판막질환이 11례, 순환기질환이 아닌경우가 19래였다. 이들중 추적진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57례였으나 순환기내과 외래에 1번이상 추적진료한 경우는 32례(56%)로 환자의 순응도는 낮았다. 결론 : 순환기내과의 자문의뢰는 고령자에게 많았고 수술과 관련된 경우가 많았으며 심전도의 이상이 의뢰이유로 가장 많았으며 진단별로는 고혈압과 부정맥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순환기적인문제로 수술을 받지 못한 경우는 드물었고 자문후 지속적인 추적진료를 위해 환자의 교육이 필요하겠다. Objective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in the general hospital have been changed and prevalance of co-exis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non-cardiac diseases has been increased remarkably as the proportion of elderly patients increased rapidly in Korea. We evaluated clinical features of the patients consulted for cardiological evalu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consultation in the setting of tertiary general hospital,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Method : One hundred patients were studied between January 1995 and January 1996. They were evaluated for the reason of consultation, final diagnosis, final recommendation from cardiologists and its impact on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and compliance of the consulting departments. Results : 1) The ages ranged between 15 and 89 (mean 58±16, median 61) years, 57 patients were male and 43 female. Fifty seven patients were older than 60 years. 2) Consultations from surgical parts were 75 patients. Consultation from general surgery was most frequent (26%), followed by other divisions of internal medicine (12%), neurosurgery (12%) and orthopedic surgery (11%), chest surgery (11%), neurology (11%), obstetrics and gynecology (8%), urology (4%), ophthalmology (2%), dermatology (2%), ENT (1%). Among 75 patients from surgical parts, operation was done on 58 patients, including 13 emergency cases. Preoperative cardiac risk evaluation was the reason of consultation in thirty eight patients, of which operation could not be done in only 2 patients (one had severe ischemic heart disease, the other large pericardial disease). Interval between consultation day and operation day was 6±4 days (1-6 days). 3) Reasons for cardiac consultation were electrocardiographic (ECG) abnormalities in 36 patients, high blood pressure in 20 patients, previous cardiovascular diseases in 17 patients, symptoms of the patients in 10 patients. Among EGG abnormalities, arrhythmias was the reason in 18 patients, abnormal Q waves in 6 patients, ST-T segment abnormalities in 5 patients, bundle branch block in 3 patients. Among previous cardiovascular disease, pres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 was the reason in 6 patients, previous hypertension in 4 patients. Chest pain was the reason of the consultation in 6 patients, dyspnea in 3 patients, syncope in 1 patient. 4) Definite diagnoses could be made in 91 patients with 96 diagnoses which were hypertension and its complications in 28, arrhythmia with underlying disease in 16, ischemic heart disease in 14. valvular heart disease in 11, non-cardiovascular disease in 19. Cardiological follow up was recommended in 57 patients. However, 25 patients (44%) were lost to follow-up. Conclusion : Cardiological consultation was frequent in the elderly patients. Most frequent reason for consultation was EGG abnormalities. Hypertension or arrhythmia was most common final diagnosis. Inoperability due to cardiovascular problems were rare.

      •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베타차단제의 급중단이 임상증상 및 좌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종현,김영태,배용학,임현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1

        목적 :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의 장기투여로 안정상태에 있는 비후형 심근증이나 고혈압성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이들 약제를 갑자기 중단하였을 때 혈역학, 심기능 및 임상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북대학교 병원 순환기내과에서 통원치료중인 비후형 심근중 환자 5명과 심한좌심실비후를 동반한 고혈압 환자 6명(남자 6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장기투여 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를 최소 5일 중단한 후 임상증상, 혈압 및 심박수의 변동, 그리고 투약중지 전후에 도플러 심초음파도를 기록하여 좌심실내경, 벽두께, 좌심실근량, 구혈율 및 승모판혈류속도곡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약물치료 중단 후, 베타차단제의 경우 9명 중 6명에서, 그리고 칼슘길항제 및 디소피라미드를 복용하던 각 1명, 도합 7명의 환자에서 심계항진, 호흡곤란의 악화, 흉통이 관찰되었고, 심계항진을 호소한 1예에서는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2) 혈압, 심박수, 확장말기 및 수축말기 좌심실내경, 심실중격 및 심실후벽 두께, 좌심실근량 및 구혈을 모두는 치료약물 중단 전후에 다소 변화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3) E파 최고속도와 E파 시간속도적분은 약물투여 중단 전후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A파 최고속도와 A파 시간속도적분은 중단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both P<0.01), E/A 최고속도비와 E/A 시간속도적분비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both P<0.01). 한편, E파 감속시간, 등용이완시간 그리고 A-Ar 간격[A파의 최고점에서 A reversal(Ar)파의 최저점간의 시간] 모두는 중단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1 결론 : 비후형 심근증 이나 고혈압성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장기투여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길항제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였을 때 임상중상의 악화와 더불어 확장기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약물치료로 비록 임상적으로 안정상태에 있더라도 치료를 갑자기 중단할 때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hanges in clinical findings, hemodynamics and cardiac function after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blockers and/or calcium channel blockers in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eft ventricular(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Methods : Eleve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n=5)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n=6) were studied. Symptom assessment,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including pulsed Doppler examination were obtained before and at least 5 days after abrupt cessation of beta-blockers and calcium antagonists. Results : 1) Deterioration in symptoms(i.e. palpitation, aggravation of dyspnea and chest pain) was observed in seven patients after abrupt withdrawal.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heart rate, end-systolic and end-diastolic LV dimensions,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LV posterior wall thickness, LV mass, and ejection fraction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3) Doppler time intervals and E wave peak-velocity and time velocity integral(TVI)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But A wave peak-velocity and TVI after abrupt withdraw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both p<0.01), and E/A peak-velocity ratio and TVI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both p<0.01).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mporary omission of beta blockers and calcium channel blockers develops deterioration in symptoms and LV diastolic dysfunction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hysicians should avoid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 blockers in LV hypertrophy.

      • 151종 생약제 추출물이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HBsAg)과 항체(HBsAb)의 결합반응 그리고 HBV DNA polymer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 : 한국산 각종 생약제를 이용한 B형 간염치료제의 개발

        정태호,김정철,김문규,이인선,채성철,김승래,정준모,이인수,김승호,함경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2 慶北醫大誌 Vol.33 No.3

        세계인구 43억명 중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는 2억 1천 5백만명이며 이중 78%인 1억 6천만명 이상이 아시아 대륙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도 B형 바이러스 간염의 침윤지대이다. 본 연구는 B형 바이러스 보균자 혹은 만성간염을 치료할 수 있는 생약제를 탐색할 목적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시판하는 생약제 151종을 구입하여 증류수로 추출하고 여과한 후 냉동건조하여 HBs 항원에 대한 결합능, HBV DNA polymerase억제능, tumor necrosis factor(TNF) 유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galactosamine 유발 간염에 대한간장보호 작용을 조사하였다. 151종의 생약제중 0.16㎍/㎖ 농도에서 간염 vaccine 내에 함유된 HBs 항원과 결합하는 생약제는 지유, 가자, 복분자, 대황, 정향, 빈량, 산수유, 소목, 마황, 쇄양, 후박, 목과, 양강, 오약, 산사, 목단피 등 16종이었다. 이들 생약제중 대황(Rheum palmatum L. 大黃), 가자(Terminalia chebula R. 訶子),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 L. 地楡), 복분자(Rubus coreanus M. 覆盆子)는 HBV DNA polymerase 활성도를 비교적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빈량(Areca catechu L. 빈랑), 정향(Eugenia caryophyllata T. 丁香), 목과(Chaenomeles japonica L. 木瓜),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 山茱萸)는 약하게나마 HBV DNA polymer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HBV DNA polymerase를 억제한 대황, 가자, 지유, 복분자, 빈량, 정향, 마황, 소목, 산수유를 대상으로 TNF 유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소목을 제외한 8종의 생약제 모두가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TNF를 유리시켰다. 그리고 장차 임상에 사용함을 전제로 HBV DNA polymerase를 억제한 대황, 가자, 지유, 복분자, 빈량, 정향, 마황, 소목, 산수유를 galactosamine 유발 간염(백서)에 투여하여 간기능 검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으나 간기능 검사상으로는 특별한 보호작용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생약제 단독 투여로서는 간기능에 대하여 나쁜 영향을 주지 않았다.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s major cause of acute and chrome hepatitis, cirrhosis of liver,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There are over 200 million carriers of hepatitis B virus in the world, nearly 80 % of whom live in the South East Asia, Korea is also highly endemic area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xtracts of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s on hepatitis B virus. 151 traditional herbs were extracted, filtered and lyophilized. Using 151 herbal extracts we tested binding capability to the HBs Ag, inhibition of HBV DNA polymerase, release of tumor necrosis factor (TNF), and protection against galactosamine induced liver damage. Among 151 herbs, 16 herbs (Sanguisorba officinalis L., Terminalia chebula R., rubus coreanus M., Rheum palmatum L., Eugenia caryophyllata T., Areca catechu L., Cornus officinalis S., Caesalpinia sappan L, Ephedra sinica S., Cynomorium songaricum R., Machilus thunbergii S., Chaenomeles japonica L., Alpinia officinarum H., Lindera strychnifolia V., Crataegus pinnatifida B., Paeonia suffruticasa A. ) had binding capability to HBs Ag which contained in the commercial hepatitis vaccine, at 16 ug/㎖ of concentratioa Among the above 16 herbs, Rheum palmatum L., Terminalia chebula R., Sanguisorba officinalis L., Rubus coreanus M. significantly inhibited the HBV DNA polymerase activity, and Areca catechu L., Eugenia caryophyllata T., Ephedra sinica S., Caesalpinia sappan L., Chaenomeles Japonica L., Cornus officinalis S. also inibited the HBV DNA polymerase activity but less effective. All of the herbs, except Caesalpinia sappan L., which inhibited the HBV DNA polymerase activity, actively stimulated the mononuclear cells to release tumor necrosis factor(TNF) in whole blood culture system. The herbs which inhibited the HBV DNA polymerase activity, did not show any protective effect in galactosamine-induced hepatitis in rats, but there was no direct toxic effect when herbs were administered alone.

      • KCI등재

        급성심근경색증의 조기진단에 있어서 Myoglobin의 진단적 의의

        이정헌,김종근,정병천,서강석,박정배,조용근,류재근,전재은,채성철,박의현 大韓應急醫學會 1999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0 No.2

        Background: Exact and early dia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essential for the subsequent routine management of this frequent cardiovascular disease. Currently, AMI has been diagnosed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history, electrocardiogram(ECG), and biochemical markers of myocardial necrosis. At present, many biochemical markers are used to diagnose AMI. In this study, the predictive values of serum myoglobin and creatine kinase-MB(CK-MB) were compar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Fifty-four consecutive patients who presented within 12 hours from onset of chest pain of presumed cardiac origin were enrolled into the study. Patients with trauma or renal failure were excluded. The serial serum myoglobin and CK-MB levels were obtained prospectively at admission and 2, 4, 6, 12, 24 and 48 hours after admission. We compare the levels of serum myoglobin and CK-MB within 2, 4, 6, 8, 10, 12, 24, and 48 hours after symptom onset respectively. And we compar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myoglobin and CK-MB. Results: us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a, 28 AMI patients were identified. Mean time from symptom onset to presentation was 4.1±1.3 hours. The predictive values of serum myoglobin were better than those of CK-MB within 6 hours after symptom onset. But, 6 hours after symptom onset, the predictive values of CK-MB were better than those of serum myoglobin. The false positive cases of serum myoglobin were 3-one was lung cancer with pleural effusion and the others were unstable angina. The false positive cases of CK-MB were 6-one case was viral myocarditis and the ohters were unstable angina. Conclusion: To compare the serum myoglobin and CK-MB in the diagnosis of AMI, serum myoglobin had better predictive values than CK-MB within 6 hours after symptom onset and useful in the early diagnosis of AMI. But, 6 hours after symptom onset, CK-MB had better predictive values than serum myoglobin and useful in following up.

      • 급성하벽심근경색에서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

        정병천,배호상,곽동훈,김영태,배용학,황종현,임현주,류재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전도상 흔히 동반되는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방법 : 심근경색후 24시간에서 48시간에 얻은 심전도를 기준으로 52명의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를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었으며 심도자, 관상동맥조영술, 심초음파도 및 방사성 핵종을 이용한 좌심구혈율 측정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좌심실확장기말압은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있는 경우에서 16.9±5.33mmHg로 없는 경우의 11.0±4.02mmH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운동량 및 좌심구혈을은 흥부 유도상 ST절의 하강이 있는 경우 7.6±3.0 METs 및 53.9±9.1%로 없는 경우의 9.1±2.7 METs 및 54.6±9.5%보다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80, p=0.823). 2) 관상동맥조영술상 전흉부 ST절의 하강이 동반된 군에서는 유의한 좌전하행지나 좌회선지의 협착이 있는 경우가 60.9% 및 57.9%로 ST절의 하강이 없는 군에서의 34.5% 및 7.7%와 비교해 좌관상동맥에 협착이 동반된 경우가 많았다(p=0.050, p=0.001). 3) 관상동맥조영술상 세 혈관질환의 빈도는 흉부유도상 ST절의 하강을 보인 23예에서 10예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29예중 2예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고(P=0.007), 단 혈관질환의 빈도는 ST절의 하강을 보인 군에서 23예중 5예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29예중 17예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0.002). 두 혈관질환의 경우에는 각각 8예와 10예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흉부유도상 ST절 하강의 빈도는 단 혈관질환 22예 중 5예에서, 두 혈관질환 18예중 8예, 세 혈관질환 12예 중 10예에서 관찰되어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가 많을수록 ST절의 하강이 나타나는 빈도가 많음을 보였다(p=0.00308). 그러나 흉부유도상 나타난 ST절의 하강을 모두 합하여 구한 ST절 하강의 합은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5) 심초음파도상 좌심실 하벽의 벽운동은 ST절 하강을 보인 군에서는 akinesia가 83.3%, hypokinesia가 11.1%, 정상 벽운동이 5.6%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군에서의 dyskinesia가 3.6%, akinesia가 39.3%, hypokinesia가 25.0%, 정상 벽운동이 32.1%와 비교하여 ST절의 하강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벽운동의 장애가 빈번함을 보였다(p=0.03891). 그러나 좌심실전벽, 측벽 및 중격부위에서는 유의한 벽운동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의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동반되는 경우 다혈관 질환의 가능성이 높으며 좌심실확장기말압이 상승되었고 운동능력은 감소되어 있었다. 또한 심초음파도상 좌심실하벽의 벽운동장애도 심하였다. 따라서 전흉부 ST절의 하강을 동반한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는 전흉부유도에 ST절 하강이 없는 경우보다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생각되며,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appearing during acute inferior myocardial infarction and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that with angiographic finding. 52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existe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 23 patients with ST segment depression and 29 patients without ST segment depression.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stenosis (≥70%) in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showing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than in patients not showing them (p=0.050) and the result were similar in cases of left circumplex artery (p=0.001). On echocrdiographic examination of left ventricular (LV) wall motion, it showed more severely decreased inferior LV wall motion in patients showing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than in patients not showing them (p=0.03891) even though the other segment of LV wall motion didn't show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The other cardiac parameters such as LVEDP, exercise amount (METs) and ejection fraction were tend to showing bad profile in patients with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From the above results, we could deduce that patients with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have relatively large infarction or concomitant left coronary artery disease, so they need more caution and intensive theraphy.

      • SCIE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