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가족정책의 계층화

        노혜진 ( Noh Hyej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3

        본 연구는 보육을 둘러싼 갈등이 계속적으로 심화되는 한국사회에서 공보육서비스, 부모휴가급여, 양육수당 등 대표적인 가족정책을 통한 급여가 가구소득, 엄마의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등 계층에 따라 불평등하게 분배되고 있는 양상을 분위회귀분석(quantile analysis)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서비스와 휴가급여 측면에서 모두 가구소득과 여성의 노동시장에서의 지위에 따라 이용률에서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가족정책을 통한 지원금의 수준이 가구소득 4분위, 어머니가 상용직인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1분위를 기준으로 4분위, 맞벌이가구, 어머니가 상용직인 경우, 그리고 미취학 자녀수가 많고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가족정책을 통한 지원금의 수준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위회귀분석을 통해 가족정책 지원금 불평등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업모를 기준으로 상용직이라는 엄마의 안정적인 근로형태가 가족정책 급여의 차이와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족정책이 가진 보편성과 재분배 속성이 구현되기 위한 방안으로서 근로형태에 관계없이 정책 접근 권리에 대한 평등한 보장, 이전소득을 통한 저소득가구에 대하여 최저소득 보장, 정책의 보편적 적용의 보장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unequal distributional effect of threesome of family policy(child benefit, childcare services and parental leave) focusing on family income, mother`s status in labor market in Korea. To measure the unequal distributional effect of family policies, this study used the quantil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hildcare service and parental leave, there is some difference of the rate of use by family income and mother`s status in labor market. Second, total public fund for childcare services, child benefits and parental leave are high in fourth income quintile, and mothers work regularly. Third, public fund is high in fourth income quintile, dual earners, mothers work regularly, the family has many number of child, and is high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Finally, the results of quantile regression show the biggest factors of unequal distribution of family policy are mother`s stable work and it deepens the inequal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article suggests that more equal right to access and use family policy regardless of the type of employment, adequate minimum income through income transfer, and universal application of the policy.

      • KCI등재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 운영구조의 유형화

        노혜진 ( Noh Hyej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4

        본 연구는 전세계 42개 SIB 사업의 운영구조를 검토하고, 주요 단계별 핵심기준을 중심으로 유형화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SIB의 향후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IB의 기획은 중앙정부의 부처가 기획한 경우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투자자 구성은 2-3개 조직이 공동투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는데, 이 때 사회적금융조직이 투자자로 포함된 경우가 54.8%로 가장 많았지만, 민간 투자은행이나 고액 투자자가 참여하는 경우도 33.3%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의 제공은 단일조직에서 수행하는 경우가 전체 분석사례 중 73.8%였고,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서 74%가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셋째, 성과평가는 특정기준에 도달할 경우 성과를 지급하는 방식인 `성과표` 방식이 전체 사례 중 64.3%로 가장 많았지만, 유사한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성과를 평가하는 경우도 23.8%나 존재했다. 넷째, 유형화 분석 결과 세 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첫번째로 도출된 유형은 `중앙정부-사회적 금융 결합형`으로서 중앙정부가 기획하고 사회적 금융조직이 주요한 투자자가 되면서 성과표를 중심으로 성과급을 지급하는 형태이다. 두 번째로 도출된 유형은 `복합참여형`으로서, SIB의 단계별로 참여하는 주체들이 가장 다양할 뿐만 아니라, 성과평가 과정에서도 가장 체계적인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서비스는 주로 단일 기관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비교집단을 통한 유사실험설계를 활용한 성과평가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 유형은 `서비스기관 다수형`으로서, 유형의 고유한 특이점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복수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SIB에 대한 통계적 유형화를 처음으로 시도한 본 연구는 운영구조에 대한 개괄적 설명이나 단순나열식 비교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SIB 관련 연구를 보다 체계화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SIB를 기획하는데 있어 주요 단계별 고려해야 하는 이슈 및 쟁점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지방정부나 민간조직이 SIB를 기획하는 경우에는 투자자 구성이나 참여하는 주체의 만족을 위하여 성과평가 및 관리와 관련된 방안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임을 제안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SIB의 등장 배경인 다양한 주체간 협치와 네트워크가 보다 활발하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기획자나 투자자 구성이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Social Impact Bonds(SIBs) has emerged as a promising way to finance proven social services programs, fund what works, and drive government accountability and has increased fas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and classifies the structure of SIB focusing key criteria of the main steps through two-step cluster analysi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ommissioners of SIB are the ministr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 terms of the stage of invest, there are usually two or three investors mainly consisting of social finance organizations. Second, in terms of target and age of SIB beneficiaries, it focuses on the adolescent and youth. Third, in the outcome evaluation stage, the results show that in most cases outcome payments are determined by a validation of service provider or government administrative data. However, the rate of payments are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program beneficiaries to other comparable groups is 23.8%. Finally, The results of two-step cluster analysis are as; `mix of central government and social finance organization`, `multiple agent including private organization`, and `multiple social provider`. Among three types, `multiple agent including private organization` shows the most active participation between agents and the most systematic outcome measurement and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importance of the method to manage and measure outcome in SIB structure. Moreover, the consist of commissioners or investors is needed to expanded more.

      • KCI등재

        지역재단의 운영실태와 문제점

        노혜진(Hyejin Noh),이현옥(Hyun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지역재단의 활동에 주목하여, 지역재단의 역사가 길지 않은 한국의 현실에서 과연 지역재단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떻게 운영되며,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간과 지자체 지역재단에서 활동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지역재단의 정체성 규정에 있어 설립주체에 따른 구분보다 지역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모금을 지역재단의 중요한 성과로 보았다. 지역재단 운영과정에서 제도적·정치적 환경의 문제, 조직역량의 미흡으로 인한 모금의 어려움, 지역재단 정체성 확립에서의 문제, 지역내 다른 기관들과의 관계 및 주민참여의 문제, 역량부족과 제도적 불안정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재단이 지역문제해결의 중간지원조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정체성 수립과 모델 개발,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기능 강화, 지역재단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행정적·제도적 지원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what i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foundation, how it operates, and what difficulties it fac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5 practitioners working in community found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the participants to identify what their organizations are doing for the community rather than to distinguish them by their legal status. Second, community foundations recognize fundraising as an important achievement regardless of the type. Third, community foundation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raising funds, establishing community foundation identity, relationship with other nonprofit organizations in the area, citizen participation, organizational capacity and institutional instability. Therefore, as a policy alternative for community founda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model of community foundation suited to Korean situation, the enhancement of capacity as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government.

      • KCI등재

        지역사회보장지수 도출에 관한 연구

        노혜진(Hyejin Noh),김윤민(Yunmin Kim)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論集 Vol.52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과 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해결해야하는 문제와 대상의 우선순위를 양적인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지역사회보장지수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인구집단과 사회보장의 주요 영역을 교차하고 지수화 과정을 거쳐 지역별 사회보장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보장을 기초생계, 고용, 주거, 신체건강, 정신건강, 학대, 사회참여, 문화 등 8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인구집단은 아동청소년, 청년, 노인, 여성, 장애인, 다문화 등 6개로 구분하였다. 지역사회보장지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사회보장의 영역과 인구집단이 교차하는 지점마다 최소 1개에서 최대 3개의 지표를 구성하여 총 82개의 2차 자료를 활용하였고, fsQCA를 활용하여 사회보장지수를 0에서 1사이로 지수화하였다. 분석결과, 17개 시도와 8개 영역이 교차한 136개의 지점에서는 서울과 제주의 주거, 광주의 주거, 광주의 기초생계, 제주의 사회참여, 울산의 고용, 대전의 정신건강 순으로 문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17개 시도와 6개 인구집단이 교차한 102개의 지점에서는 세종의 다문화, 부산의 노인, 강원의 아동청소년, 대전의 노인, 전북의 아동청소년 순으로 문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 본 연구에서 활용한 지수화 방식을 적용하여 시, 군, 구 단위로 지역사회보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를 확장한다면 지역 자체적으로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및 사업을 추진 할 때, 중요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추진한 사업의 성과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in order to implement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ojects that can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have a regional social security index that can confirm the priorities of problems and targets that need to be solved by region in quantitative numb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oss the major population groups and major areas of social security, and to derive the regional social security index through the indexing process. To this end, social security was divided into eight areas: basic livelihood, employment, housing,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buse, social participation, and culture. Population group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hildren and adolescents, youth, the elderly, wom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ulti-cultural.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regional social security index, a total of 82 secondary data were used by configuring at least one to a maximum of three indicators at each intersection of the social security and the population group, and fsQCA was used to set the social security index to 0 was indexed between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t 136 points where 17 regions and 8 areas intersect, the level of problem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Seoul, Jeju, and Gwangju housing, Gwangju basic livelihood, Jeju social participation, Ulsan employment, and Daejeon mental health. Next, at 102 points where 17 regions and 6 population groups intersect, the level of problem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multi-cultural in Sejong, the elderly in Busan, children and youth in Gangwon, the elderly in Daejeon,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Jeonbuk. If the evaluation of the regional social security situation is extended to the city, county, and gu units using the indexing method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when implementing welfare projects or establishing a Community Welfare Plan.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s promoted based on this will be improved.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 사례전달에 대한 검토: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노혜진 ( Hyejin Noh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3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공동창출을 강조하는 개념인 CSV는 국내 경영학계와 기업의 사회공헌팀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CSV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달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의 개념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CSV 개념이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2015년 3월까지 CSV를 다룬 종합일간지의 기사 411건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CSV 관련 기사의 양은 전년 대비 2-5배씩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었고, 기사에서 전달하는 사회적 성과는 교육.역량(17.9%), 취.창업(17.6%), 중소기업 지원(13.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사에서 다루는 사회적 성과의 수혜자는 사람이 43.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다음이 지역(28.7%), 조직 및 기업(16.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만병통치약처럼 인식되고 있는 CSV가 보다 발전적으로 확대되기 위해 사회적 가치의 개념과 범위를 보다 구체화하면서 명료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두 가지의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긴장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심층분석을 통하여 사회의 근본문제를 간과한 채 사회적 성과를 확대재생산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것을 제안하였다. CSV that is a means of generating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is rapidly expanding arou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usiness and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oncepts and cases of the CSV emerging as innovative strategies to maintain sustainability. CSV through the literature for this purpose was to review the concept and flow of existing researches when first introduced in Korea. And this study summarized the critical debates that is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ncept and expanding flow of CSV.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411 articles about CSV in newspaper through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icles about CSV had increased to 2-5 fold faster than previous year and 60% of the total articles were dealing with the case. Second, social issues from a CSV articles are education/competencies, employment, SME support. Third, looking at the subject of social value, compared with the CSR is a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children and youth, and it is targeted to community or SME about 40% of the total. As a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value for the developmental expansion of the CSV and that empowerment of NPOs as a subject of active collaboration.

      • KCI등재

        청년니트(NEET) 지원 사업에 대한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경험 : 희망플랜 사업을 중심으로

        노혜진 ( Noh Hyejin ),이봉주 ( Lee Bongjoo ),박미희 ( Park Mihee ),박호준 ( Park Hoj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2

        청년문제에 대한 심각성과 관심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니트청년을 지원한 희망플랜 사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들이 사업에 참여하기 전에 청년, 니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고, 사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경험했던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러한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들은 사업 참여 이전에 청년문제의 심각성에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다수의 사회복지사들은 청년이나 니트문제에 대해 관심도 없고 무지한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니트 청년들과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은 니트 청년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 니트 청년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의 어려움, 청년들이 시간을 내지 않거나 지키지 않는 것의 어려움, 사업에 대한 노하우가 없는 것으로 인한 어려움, 기관 단독으로 운영할 수 없는 것의 어려움, 취업 목적을 달성하는 것의 어려움 등 6가지의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은 니트 청년들이 사업에 참여하도록 적극적으로 찾고 설득하며 지지하였고, 청년에게 시간과 장소, 방법을 맞추었으며, 사업 안에 있는 낙인요소를 제거하고 개별화하여 단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지역주민과 지역기관, 관과 긴밀히 연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사업을 운영하였고, 청년을 취업시키기보다는 일의 경험을 제공하되 장기적으로 성과를 보는 것으로 관점을 바꾸며 대처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회복지사들은 실무자로서 개인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복지 조직과 현장, 지역사회와 지역기관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이 청년 갭이어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청년과 일을 할 때에는 공급자로서 역할을 하기보다 다양한 행위주체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일하며, 무엇보다 사회복지 현장이 청년을 포괄하는 형태로 사업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In the reality that the seriousness and concern about the youth problem is increas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ion plan project supporting the NEET youth in the social welfare fiel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ocial workers recognized the NEET problem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the project, and how they coped with these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ocial workers were saddened by the seriousness of the youth problem before their participation, but they recognized that there was no way to solve it and many social workers were not fully aware of the youth or NEET issues. In this context, in the course of running a project with NEET youth, social work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nature of the NEET youth, difficulty in forming a relationship with NEET youth, and difficulties for young people not to spend time in the program. And social workers also faced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know-how in the project,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enter alone, and difficulty in achieving employment goals. In the process of coping with these difficulties, social workers have actively sought, persuaded and supported the NEET youth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adapted the time, place and method to the youth, and removed the stigmatization element in the project. They also worked closely with local residents, local institutions and municipalities, formed networks, and changed the viewpoint of providing work experience rather than getting young people, but seeing long-term outcome. As a result, social workers have experienced not only individual change but also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ield, community and local institutional chang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should provide various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youth gap year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ocial workers play a role in connecting various actors rather than suppliers when working with young people, and that the social welfare field should expand the scope of project to include youth.

      • KCI등재

        한국사회 빈곤의 여성화의 장기적 변화와 영향요인

        노혜진(Noh, Hyejin),김윤민(Kim, Yun Min) 한국여성연구소 2020 페미니즘 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여성빈곤의 실태 및 추이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을 모두 반영하여 여성빈곤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계동향조사를 활용하여 1990년부터 2018년까지 28년간 2인 이상 여성가구주가구의 빈곤실태와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한국사회 여성빈곤율은 경제위기 이후 급증했다기보다 지난 30여년간 지속적으로 20%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성별빈곤격차는 근로세대에서 최근으로 오면서 더 심화되고 있었다. 둘째, 빈곤한 여성가구주가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빈곤가구와 비빈곤가구 사이에 연령과 교육수준, 상용직 근로비중의 격차가 확대되고 있었다. 셋째, 여성빈곤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미시적 차원에서는 70대 이상이거나 저학력, 모자가구, 상용직이 아닌 경우 빈곤위험이 증가하였다. 거시적 차원에서는 성별임금형평 수준이 높을수록 가구단위 여성 빈곤위험이 감소하지만, 여성파트타임 비율의 증가나 서비스 고용지수의 증가는 오히려 여성의 빈곤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젠더 친화적인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전략으로써 돌봄 크레딧의 신설, 여성노동의 불안정성 문제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써 비정기적 노동에 대한 경력인정과 직업훈련 기회의 다양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ies and trends of women’s poverty in Korean societ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o verify the impact factors of women’s poverty by reflecting both the microscopic and macroscopic dimensions in this process. To this end, the household trend survey was used to analyze the poverty status and factors of female householders of two or more women during the 28 years from 1990 to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women’s poverty rate has remained at the 20% level for the past 30 years, rather than the rapid increase due to the financial crisis or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gender poverty gap has been intensifying in recent years from the working gener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oor women’s households, the gap between the ages, education levels, and the proportion of work in commercial jobs has been expanding between poor and non-poor households in recent yea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women’s poverty, the risk of poverty increased in the 70s or older, low education, and single-parent households. Poverty risk increased when not working full-time wages. On the macro level, as the gender wage gap decreases, women’s poverty risk decreases, but as women’s part-time ratio or service employment index increases, it shows that women’s poverty risk increase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gender-friendly multi-layered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and diversification of career opportunities and vocational training opportunities for irregular workers as a way to improve the instability problem of women’s labor.

      • KCI등재

        한국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

        노혜진 ( Hyejin Noh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가족의 삶과 매우 밀접한 영역인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서비스의 사각지대 실태를 아동가구, 노인가구, 장애가구, 빈곤가구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서비스 수요공급실태조사의 가구용 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대상은 4,038명이다. 분석의 결과 대상의 포괄성 측면에서 사각지대 규모가 가장 큰 서비스는 고용지원서비스와 문화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 유형별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아동가구에서 주거지원 서비스, 노인가구에서 상담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급여의 충분성 측면에서 사각지대 정도가 가장 큰 서비스는 보건의료와 고용지원서비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가구 유형별로 봤을 때는 노인과 장애가구, 빈곤가구 모두 성인돌봄서비스가 서비스의 양적 충분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가구는 지역사회서비스가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건의료와 고용지원 서비스에 대한 확대, 현재 과잉공급되는 것으로 분석된 서비스에 대한 점검, 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사각지대가 큰 것에 대한 민간조직의 집중 개입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blind zone of social services and analyzing the conditions by children,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poor.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of demand/supply of social service and sample size is 4,038.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verage, the biggest blind zones of social service are the employment support and cultural service. These results were similar for all households. But, it is noteworthy that the size and proportion of blind zones of housing support services for children, counseling services for elderly are relatively big. Second, in terms of adequacy, the most serious blind zones of social service are health and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 Especially,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poor are not the most adequate adult care services and children are community service.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expansion of employment support services and health care, monitoring for the services analyzed to be over-supply, and intensive involvement of private sectors about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of a large blind zone.

      • KCI등재

        The efficacy of a 2,4-diaminoquinazoline compound as an intranasal vaccine adjuvant to protect against influenza A virus infection in vivo

        Noh Kyungseob,Jeong Eun Ju,An Timothy,Shin Jin Soo,Kim Hyejin,Han Soo Bong,Kim Meehyein 한국미생물학회 2022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60 No.5

        Adjuvants are substances added to vaccines to enhance antigen- specific immune responses or to protect antigens from rapid elimination. As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Toll-like receptors 7 (TLR7) and 8 (TLR8) activate the innate immune system by sensing endosomal single-stranded RNA of RNA viruses. Here, we investigated if a 2,4-diaminoquinazolinebased TLR7/8 agonist, (S)-3-((2-amino-8-fluoroquinazolin- 4-yl)amino)hexan-1-ol (named compound 31), could be used as an adjuvant to enhance the serological and mucosal immunity of an inactivated influenza A virus vaccine. The compound induce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acrophages. In a dose-response analysis,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1 μg compound 31 together with an inactivated vaccine (0.5 μg) to mice not only enhanced virus-specific IgG and IgA production but also neutralized influenza A viru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Notably, in a virus-challenge model, the combination of the vaccine and compound 31 alleviated viral infection-mediated loss of body weight and increased survival rates by 40% compared with vaccine only-treated mice. We suggest that compound 31 is a promising lead compound for developing mucosal vaccine adjuvants to protect against respiratory RNA viruses such as influenza viruses and potentially coronaviruses.

      • KCI등재

        IL-1 Receptor Antagonist Reduced Chemical-Induced Keratinocyte Apoptosis through Antagonism to IL-1α/IL-1β

        ( Hyejin Lee ),( Kyung Ah Cheong ),( Ji-young Kim ),( Nan-hyung Kim ),( Minsoo Noh ),( Ai-young Lee ) 한국응용약물학회 2018 Biomolecules & Therapeutics(구 응용약물학회지) Vol.26 No.4

        Extracellular interleukin 1 alpha (IL-1α) released from keratinocytes is one of the endpoints for in vitro assessments of skin irritancy. Although cells dying via primary skin irritation undergo apoptosis as well as necrosis, IL-1α is not released in apoptotic cells. On the other hand, active secretion has been identified in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IL-1ra), which was discovered to be a common, upregulated, differentially-expressed gene in a microarray analysis performed with keratinocytes treated using cytotoxic doses of chemical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d how IL-1ra, particularly extracellularly released IL-1ra, was involved in chemically-induced keratinocyte cytotoxicity and skin irritation. Primary cultured normal adult skin keratinocytes were treated with cytotoxic doses of chemicals (hydroquinone, retinoic acid, sodium lauryl sulfate, or urshiol) with or without recombinant IL-1ra treatment. Mouse skin was administered irritant concentrations of hydroquinone or retinoic acid. IL-1ra (mRNA and/or intracellular/ extracellularly released protein) levels increased in the chemically treated cultured keratinocytes with IL-1α and IL-1β mRNAs and in the chemically exposed epidermis of the mouse skin. Recombinant IL-1ra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chemicallyinduced apoptotic death and intracellular/extracellularly released IL-1α and IL-1β in keratinocytes. Collectively, extracellular IL-1ra released from keratinocytes could be a compensatory mechanism to reduce the chemically-induced keratinocyte apoptosis by antagonism to IL-1α and IL-1β, suggesting potential applications to predict skin irr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