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통의 의미화 연구

        병식 ( Byeong-sik Lim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21 철학 실천과 상담 Vol.1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etical basis that can express the humanity of the dying person by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suffering that can be subsided by medical treatment and drug prescription. If the suffering is derived from a verbal-representational cause, the healing must also be resolved by the verbal-representational cause. In order to reduce suffering at the time of death and to deliver reconciliation, forgiveness, and love, and to leave with love, the meaning-making process that they can ‘reasonably understand, express and symbolize their suffering in an appropriate language’ must be activated. Therefore, we intend to explore the language-representation of suffering in the meaning-making process for ‘rational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word representation’. The theoretical basis of meaning-making (language-representation) is Husserl’s ‘reconstruction of consciousness’ and ‘synthesis of time’, and Freud’s ‘Nachträglichkeit’. The basis of these two theories is that all human mental mechanisms using language are always operated with two images (binary signifiers), and the structure is ‘reconstruction of temporal consciousness (past-present-future)’ and ‘integration deferred memory-trac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existentiality of humanity by shifting from body-physical treatment to meaning-volitional value orientation. When this happens, the dying person can reduce suffering by articulating his or her suffering with appropriate verbal representations. In the end, suffering leads to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which are other names for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 맹자의 자연감정에서 인지감정으로의 이행 고찰

        병식 ( Im Boung-si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7 뇌교육연구 Vol.19 No.-

        본 논문은 맹자의 출척지심의 `자연감정`에서 자각(知))과 사유(思)의 과정을 통한 `인지감정`으로의 변환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지감정`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자연감정`을 개인의 자각과 이성을 통해 통제되고 절제된 감정으로 규정된다. 맹자에게 있어서 `출척지심`은 `자연감정` 에 가깝고 `시비지심`은 `인지 감정`에 가깝다. 맹자는 `출척지심`을 자연이나 본능으로 보았지만 또한 사랑(仁)의 기초가 되는 인간의 보편적 감정으로 보았다. 그러나 `출척지심`이 사랑의 기초가 되는 인간의 보편적 감정으로 받아들인다고 해서 곧바로 `출척지심`이 곧바로 항상 사랑으로 발현 되는 것이 아니다. 이 지점에서 맹자의 고민은 깊어진다. 그래서 그가 고안해낸 것이 시비지심이다. 시비지심은 무의식적으로 발생한 자연감정(출척지심)을 인지하고 사려해서 판단하는 마음이다. 논자는 여기에서 맹자의 출척지심과 시비지심이 현대의 감정론에서는 자연감정과 인지감정으로 환원 해석해 낼 수 있는 지점을 발견한다. 출척지심과 시비지심의 연원은 이미 공자의 `충서지도(忠恕之道)`, `추기급인(推己及人)` 등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자기적 반성을 통한 타자와 세계에 대한 보편적 이해이며 공감의 전형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논자는 맹자의 시비지심은 자연감정을 기반으로 한 세계와 자신을 대상으로 한 객관적인 사려(사고)가 개입한 인지감정의 전형이라고 본다. 본 논문은 자연감정에서 인지감정으로의 이행을 맹자의 출척지심을 사례로, 자연감정과 인지 감정이 발현되는 마음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객관화된 감정의 분기(分岐)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into `Cognitive Emotion` through the process of thinking and self-awareness in the `Natural Emotion` of Mencius` (`Astonishment mind` ; do not know what to awe and f ear). `Cognitive Emotions` are defined as `Controlled Emotions` that are controlled through self awareness and reason. For Mencius, `Astonishment mind` is close to the `Natural Emotion`, and the `The Mind that judges right and wrong` is close to the `Cognitive Emotion`. For Mencius, `Astonishment mind` is close to `Natural Emotion` and `The Mind that judges right and wrong` is close to `Cognitive Emotion`. Mencius looked at the `Astonishment mind` as nature or instinct, but also as the universal feeling of the human being as the basis of love. But even if the `Astonishment mind` is accepted as the universal emotion of the human being, which is the basis of love, the natural emotion does not appear directly as love. At this point, the worries of Mencius deepen. So what he devised was `The Mind that judges right and wrong`. `The Mind that judges right and wrong` is a mind to recognize and judge natural emotions that occur unconsciously. Here, I find a point where Mencius `Astonishment mind` and `The Mind that judges right and wrong` can be reduced to `Natural Emotion` and `Cognitive Emotion" in modern emotion theory. The origin of `Astonishment mind` and `The Mind that judges right and wrong` is found in Confucius `The way of honor and forgiveness ` and `Understanding others by reflecting on self`, which is a universal understanding of others and the world through self reflection And is a typical concept of empathy. Therefore, I will argues that Mencius`s `The Mind that judges right and wrong` is based on `Natural Emotion` and `Cognitive Emotion` is a typical of involving objective consideration for the world and oneself.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mind expressing `Natural Emotion` and `Cognitive Emotion` is presen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beginning of the objectified emotion and the flow of the emotion. And the possibility of transition from `Natural Emotion` to `Cognitive Emotion` was examined by taking Mencius` `Astonishment mind` as an example.

      • KCI등재

        사(死)와 사자(死者)에 대한 사회적 성찰

        병식(Byeongsik, Lim)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1 생명, 윤리와 정책 Vol.5 No.2

        이 글의 목적은 ‘사후 시신 기증 및 활용’을 위한 사회적 성찰에 있다. 논자는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첫째, “만약 내가 ‘시신’이라면, 나는 내 몸(장기)이 어떻게 활용되기를 바랄까”라는 명제에서 출발해서, 사(死)와 사자(死者)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입장전회가 사자(死者)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될 뿐만 아니라 시신 기증 및 활용의 대안이 되며 이것이 생명윤리가 지향하는 지점임을 강조한다. 둘째, 한국사회의 건강한 죽음담론을 위해 세 가지 죽음담론의 부류를 제시한다. 건강한 죽음담론은 자칫 인간의 죽음을 신체생물학적인 죽음(死)에 초점을 맞추었던 관점으로부터 의지-의미 추구적 죽음(終)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死)와 사자(死者)에 대한 명예회복뿐만 아니라, 유가족들에게도 의미 있는 장기기증문화 형성에 큰 기반이 됨을 말한다. 이와 같은 논의는 향후 장기기증문화가 사회적 애도로 확장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시신’에 정신적 가치를 재구성함으로써 인간다움을 재부여하는 행위로, 환자와 유족은 슬픔 가운데 존엄한 위로가 될 수 있고, 그 확인과 실천이 자발적이고 배려적인 옵트인 방식의 장기기증환경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며, 이러한 애도방식은 ‘시신’의 활용을 넘어선 인간애적 활용으로 승화될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iscuss social concerns about post-mortem donations and corpses, including exploring how one would want a body or organs to be utilized. Shifting our conception of death and the dead enables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goal of bioethics. The dead should be respected and considered in a humanistic approach to the use of a corpse. These contemplations bring forth the primary research purpose, which is to establish an opt-in environment for body donation and utilization. Second, the author discusses the most salubrious and valid discourse of death among three types. A healthy discourse on death restores the honor of death and the dead while laying a great foundation for a meaningful organ donation culture for the bereaved family by converting structures of our conceptions of human death from a biological death to a willed-meaning-seeking death. Those broader discourses influence the environment so that post-mortem donation and utilization are managed as social mourning in the future and ultimately re-grant humanity by reconstructing the spiritual value of the ‘corpse.’ This method of mourning can be sublimated into a humanistic use beyond the mere utilization of the corpse and further develop the practice of dignity for post-mortem donation and utilization.

      • 동양미학사상에서 본 건강, 생명, 양생, 치유의 의미 -중화와 무위자연을 중심으로-

        병식 ( Byeong Sik Lim ),김유양 ( Sebastian Y Kim )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 2007 임상미술치료학연구 Vol.2 No.2

        서양미학과 달리 동양미학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함에 따라 다양한 미적 체험과 요소를 나타낸다. 미의 대상, 표현, 자율성, 형식, 내용, 체험의 문제를 치유자와 환자의 관계, 인식, 소통, 대화, 신뢰, 치유의 관점에서 보면, 최고의 미적 체험은 치유자와 환자의‘공명(共鳴)’임을 알 수 있다. 동양미학사상의 핵심인‘무위자연(無爲自然)’과‘소요유(逍遙遊)’의 두 개념을 축으로 미적 요소가 어떻게 건강과 생명, 양생과 치유와 연결되는지 그 핵심적 요소를‘중화(中和)’에두고 미와 예술, 건강과 생명, 양생과 치유의 관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러한 제반 미적 범주들이 미술치료에 있어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의료미학의 가능성이 가능한지를 치유자와 환자와의‘공명(共鳴)’을 통해 이루어짐을 제시하였다. (임상미술치료학연구2007;2(2):129-152) Apart from the western aesthetics, in the oriental aesthetics where a variety of methods to achieve the harmony of human being and nature are explored, it is possible to express a great number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elements. In case the issues of subject matter of beauty, expression, autonomy, type, contents, experience are viewed from the aspect of relation between curer and patient, recognition, mutual understanding,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curing, it is apparent that the best aesthetic experience is ‘Resonance’ between curer and patient. In this study, having the cores of oriental aesthetic idea-‘Letting Nature Be’ and ‘Free State of Mind’ as its main axis, how the aesthetic elements relate with health & life, regimen & healing was explored. To do this, such critical element was focused on ‘neutralization’ where the relation between beauty and art, health and life, and regimen and curing was investigated, and further, how such overall aesthetic categories can be applied to the art healing method, and whether the possibility of the medical aesthetics exists or not were suggested through the proof obtained from the ‘resonance’ between curer and patient.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Art Therapy 2007;2(2):129-152)

      • KCI등재

        주자는 어떻게 죽음의 불안을 극복했는가?

        병식(Lim Byeongsik)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3

        본 논문은 최근 학계에 성행하는 ‘죽음학(Thanatology)’의 관점에서 주자의 생사관과 인생관을 조망한 글이다. 주자는 세계와 존재의 본질과 특징으로 성(誠)을 제시하고, 이를 불교의 공리(空理)와 대비시켜 실리(實理)의 유행(流行)으로 규정한다. 이때 실리가 존재하고 그것이 유행한다고 보는 견해는 무엇보다도 세계와 존재들이 실재성(reality)을 절대적으로 긍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 기초한 세계관과 존재론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삶의 가치와 의의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와 긍정으로 이어진다. 그리하여 삶의 구조와 특징을 공공성과 개방성에 기초하여 구성하게 되며 구성원들의 상호 공감과 소통, 그리고 연대 위에서 삶의 가치와 의의를 자리매김한다. 따라서 이러한 세계관과 인생관 안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은 상호 이질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지속을 전제로 한 동질적인 요소로 파악되므로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은 현재의 삶에 대한 충실함과 진정성 안에서 해소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유학에서 삶의 충실함과 진정성을 가늠하는 척도는 무엇보다도 공공성을 전제로 한 공동체의 인륜적 가치와 의의의 구현 여부에 있다. 따라서 인륜성에 토대를 둔 삶은 죽음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삶이며, 이러한 삶을 잘 영위하는 것이 곧 잘 죽어가는 것이다. 이 점에서 유학의 생사관과 인생관의 구도에서는 웰리빙(Well-living)이 곧 웰다잉(Well-dying)이라는 논리가 성립한다. 유학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이러한 생사관과 지혜는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생물심리학과 경제지표를 중심으로 삼아 널리 성행하고 있는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dying)의 열풍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유익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 This paper has taken a view of Zhu Xi’s perspective of life and death,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anatology which is in current trend in academia. Zhu Xi has not only proposed Cheng as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 of world and existence, but also contrasted Cheng with Kongli in Buddhism in order to define it as the Luixing of Shili. The opinion that argues for Shili’s existence and Luixing refers to the fact that the world and the beings ultimately affirmed of reality. Therefore, the view of life and ontology which is based on this kind of perspective is connected to the absolute trust and acknowledgement of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human’s life. For that reason, such a perspective construct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life based on the public concern and openness, and put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life on the solidarity of members of the society. According to such a view of the world and life, the life and death of human is not deemed as mutu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understood as homogeneous factor which presupposes continuum of life; as a result, the fear and anxiety of death are dissolved in faithfulness and sincerity of current life. Especially, in Confucianism, the degree of faithfulness and sincerity of life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ethical community based on public concerns are realized. Therefore, the life based on ethical order is the best life for overcoming the anxiety of death, and to live such a life is to come to death well. In the structure of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Confucianism, in this regard, the logic of well-living equals well-dying is valid. The wisdom and the view of life of death of Confucianism regarding living and dying provide valuable clues to critically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fever of Well-being and Well-dying, based on biological psychology and economic indicator, which are now in trend in our current society.

      • KCI등재

        주희 사생관의 인륜적 함의 고찰

        병식 한국동양철학회 2022 동양철학 Vol.-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ity implied by Zhu Xi’s viewpoint of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This is aimed to create an opportunity where we can find the answers ourselves from various angles to the essential questions such as what makes us human or what humans live by. As for the first process, I will briefly examine how the values ​​and significance of advanced Confucianism views on life and death were passed on to Zhu Xi. Seco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Zhu Xi's perspectives and human nature by connoting them into three areas: a way of realizing life and death, the public nature of life and death, and the humanity as the transcendence and completion of life and death.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e meaning of humanity implied by Zhu Xi’s view of life and death as follows: First, human potential is not based on biological human lifespan, but rather on the realization of one's own nature by continuous humanistic practice based on publicity. Second, this process of practice is a means of fully perceiving the essence of life, an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death. Third, death, like life, is a ge-wu [格物] doctrine to explore. After intense practice of the principle of life in everyday life, it would be possible to perceive the “no-disparity-in-birth-and-death” philosophy. Therefore, living everyday life faithfully results ultimately in dying well. Fourth, dying well does not originate from an emphasis on the fear of the phenomenon of death or the afterlife, but rather from deep reflection and practical completion in terms of humanity and values ​​based on the condition of well-living and the value of commonality. Lastly, only when this philosophy is fully made aware of, will the fear derived from the gate of life and death be dispelled by itself as a reward in return. 본 연구의 목적은 주희의 생사관이 함의하고 있는 인륜성의 의미와 가치를 고찰함에 있다. 이는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가능성과 인간은 무엇으로 살아가는가라는 본질적인 물음에 우리 스스로 다각도로 답해질 수 있는 지점을 열어두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진 유학의 생사관이 지니고 있는 가치와 의의가 어떻게 주희로 전승되었는지를 소략하게 살펴본다. 이후 주희 생사관과 인륜성의 특성을 1) 생사를 자각하는 길, 2) 생사의 공공성, 3) 생사의 초월과 완성으로서의 인륜성 세 영역으로 함축해서 고찰한다. 이런 여정을 통해 주희 생사관이 함의하고 있는 인륜성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인간의 가능성은 신체생물학적인 장단에 있지 않다. 삶의 공공성에 입각하여 부단히 인륜적 실천을 통해 자신의 본성을 인문적으로 실현하는 것에 있다. 2) 이런 실천과정이야말로 생명의 본질을 온전히 파악하는 길이며, 죽음의 가치와 의의를 온전히 파악할 수 있다. 3) 죽음은 삶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도리로서 격물(格物) 공부의 대상이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삶의 도리에 대한 치열한 탐구 끝에 생사일여(生死一如)의 인식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직면하는 일상적인 삶을 시시각각 충실하게 사는 것이 곧 잘 죽어가는 과정이 된다. 4) 따라서 웰-다잉은 죽음의 현상과 사후 세계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에 대한 강조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웰-리빙의 조건과 가치를 공동성을 기반으로 한 인문주의적 조건과 가치의 측면에서 깊게 성찰하고 그것을 실천적으로 완성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5) 이 점을 온전히 자각했을 때에만 그 반대급부로 생사의 관문에서 파생되는 공포와 두려움은 저절로 탈각된다.

      • KCI등재

        화해와 용서의 실천적 시론

        병식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2 생명, 윤리와 정책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평온한 임종에 이르기 위한 방법으로 ‘상흔(상처의 기억)’이 ‘화해와 용서’로 ‘실천’될 수 있는 과정을 고찰함에 있다. 그 실천의 첫 번째 과정으로 상처에 주목한다. 많은 경우 상대방에게서 받은 상처도 내가 끼친 상처도 주관적이다. 그래서 상대방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각자의 ‘인지 도식’과 ‘자기-원인적 인과방식’으로 ‘상처를 재구성’한다. 그 결과 범주계열화의 오류를 범하며 생각과 행위를 자기-원인적 동일성의 한계 내에서 규정해 버린다. 그러나 화해와 용서의 실천을 위해서는 타자의 ‘차이와 다름’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서 일명 가해자의 논리(A)도 피해자의 논리(B)도 아닌, 제3의 논리(C)에서의 탐색이 필요하다. 제3의 입장은 모두를 부정하면서(neither A nor B), 때로는 서로의 입장이 되어서(either A or B), 공백의 자리(C)를 탐색한다. 그 자리는 공집합(nothingness)으로, 공백-틈-무아-자신을 없이 함에 해당한다. 상흔의 주체가 공집합의 자리에 위치하게 되면 ‘마치 아닌 것처럼(as if not)’의 심적 태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자기-원인적 인과방식의 인식체계에서 벗어나 상대방의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하여 결단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공집합의 자리는 이내 ‘화해’를 실천하는 강령이자 주체가 상흔을 의미화하는 위치가 된다. 이렇게 상흔의 ‘의미화’는 자신을 비우는 방식으로 용서가 뒤따르며 상처를 치유해 나간다. 마침내 화해가 이루어질 때 타자를 환대하게 된다.

      • KCI등재

        『예기』에 나타난 생사관 특성 고찰

        병식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 Vol.84 No.-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one characteristic of the view of life-and-death in Yegi(禮記) from the ritual point of view of Thanatology’, which has become in academia recently. Through this, I examine the fundamental worldview and the view of Confucianism on life-and-death and ultimately seek the possibility that this could contribute to our current attitude toward life. In fact, Confucianism’s view on life-and-death, and its wisdom have many implications of modern people’s attitude toward life-and-death. In particular, the basic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s view of life-and-death is that it consistently insists on the identity and unity of life-and-death from the perspective that life and death are correspondingly with each other. These perspectives and views of Confucianism on life-and-death provide useful clues to critically consider the problems of modern biopsychology and economic index-centered well-being and well-dying craze. The view of life-and-death in Yegi(禮記) was formed, based on the tradition of ‘Bo-bon-ban-si(報本反始)’ of the Eun(殷) Dynasty, ‘Cheon-myeon-mi-sang(天命靡常)’ of the Zhou(周) Dynasty, ‘Go- jong-myoung(考終命)’ of Seo-Gyoung(書經), Cheon-myoung-gwan(天命觀) of Confucius, and the Ye-ron(禮論) of Sunja(荀子). They commonly present the virtues of filial piety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view of life-and-death, and the background for the nobleman to pursue it as a lifelong task has a premise for the consciousness of worries over the troubled(憂患意 識) world handed down from Pre-Confucianism and ideological clues on filial piety. In particular, transforming the concept of filial piety actively, Yegi(禮記). newly established the content and scope of life-and death which belonged to the recipient of filial piety into the value of life of subject of filial piety and its meaning. Based on this change in the notion of filial piety, the existing ancestral rites and mourning ceremony enrich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life that are the cultivation of virtue and completion of human relations. Accordingly,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death are also differentiated into the modes of termination and death. This time, termination means the begging and ending of a voluntary and active life centered on the morality and humanity expressed in the character of a Gunja(君子).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Bo-bon-ban-si(報本反始)’ of filial piety in ancestral rites and mourning ceremony penetrating the human view of life from traditional rites for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ancestors, and ghosts in terms of practical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view of life-and-death in Yegi(禮記), make those of us who have suffered loss and death, think about how we should live a life more humane, In particular, in the modern society where death is forbidden, even the feeling of mourning is rejected and distorted. In modern situation where consciousness is gradually replaced with material, and pathological emotions appear everywhere, the healing methods and procedures for how to restore humanity are described in Yegi(禮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