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4면 목간의 ‘代’

        이수훈(Lee, Su-Hun)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본고는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4면 목간(23번)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 23번 목간은 문서목간으로서, 6세기 당시 신라의 지방행정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그 실상을 단편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이 23번 목간의 墨書 가운데 특히 ‘代’라는 용어의 의미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 ‘代’의 의미가 제대로 파악되어야만 중고기 당시의 신라 국가권력이 어떤 형태로 일반 民을 지배하였는지 그 일단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검토한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는 23번 목간의 墨書를 새롭게 판독·해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기왕의 연구에서 기정사실로 받아들인 ‘代法’의 존재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代法’의 실체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뚜렷한 실체도 없는 ‘代法’의 존재를 토대로 하여 23번 목간의 전반적인 상황을 판단하거나, 중고기 사회의 단면을 파악하려는 시도는 곤란함을 알 수가 있었다. 둘째, 그동안 23번 목간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용어인 ‘代’는, ‘작업 일수(날짜)’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곧 ‘代’는 ‘60日代’=‘60日의 작업일수(날짜)’와 ‘30代’=‘30日의 작업 일수(날짜)’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중고기 당시에 ‘작업 일수(날짜)’를 헤아리는 단위로 사용되었다고 짐작된다.‘代’가 단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쓰인 흔적은, 조선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곧 ‘곤장 열 대’나 ‘담배 한 대’, ‘주사 한 대’ 등의 사례를 통해서 확인된다. 특히 현재 경상도지역의 작업현장에서 일용근로자들이 작업 일수(날짜)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몇) 대가리’라는 단어의 語源이, 이 ‘代’로 판단된다. ‘작업 일수(날짜)’의 단위를 나타내는 ‘代(의존명사)’에 ‘가리’(접미사)가 결합한 것이 ‘대가리’(代+가리)라는 용어로 추정된다. 셋째, 23번 목간의 墨書 가운데 가장 판독하기가 힘든 4면의 9번째 글자를 ‘回’로 판독하였다. 이와 같은 판독은 글자의 모양과 運筆의 흐름을 함께 고려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 6세기 당시의 신라사회에 ‘回法’, 곧 ‘일반 民들의 力役 동원 횟수와, 1回(한 번) 동원될 때마다의 작업 일수(날짜)를 규정한 法’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word ‘Dae(代)’ in particular, among ink inscriptions in four-sided wooden tablets (Article 23) excavated from Seongsan Mountain Fortress of Hamman County.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fter investigating the existence of ‘Dae-beop(代法)’ accepted as the established fact in previous researches, it is established that there was no substance of ‘Dae-beop.’ By the same token, some fundamental problems would arise if the whole contents in four-sided wooden tablets were judged on the basis of ‘Dae-beop.’ Secondly, it is confirmed that the word ‘Dae(代)’ in four-sided wooden tablets that has drawn most attention so far was used to refer “a day’s work amount.” Some evidence showing that the word ‘Dae’ was used to denote a unit remained in the Joseon Dynasty and even today. Thirdly, the ninth word that was especially indecipherable among the ink inscriptions in the four-sided wooden tablet is deciphered. As a result, it is proven that ‘Hoe-boep(回法)’ existed in Silla society during the 6th century.

      • KCI등재후보

        城山山城 木簡의 本波와 末那 · 阿那

        이수훈(Lee Su Hun) 효원사학회 2010 역사와 세계 Vol.- No.38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the view that Bonpa shown in Wooden Tablets would be underlying settlements, original fields, or relatively common name in Silla. When viewed through a combined method of Bonpa, administrative villages, and natural villages, clear evidence to support the view was not found. Secondly, based on the results of reviewing Bonpa, I critically examined whether the nature of Malna and Ana could be construed as names of person or place as shown in the existing views. As a result,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location of writing it was difficult to interpret Malna and Ana as names of person or place. Lastly, I examined the nature of Malna and Ana from the viewpoint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es. That is to say, I identified and compared the similar terms and official titles among the epigraphs and literature, which the nature of Bonpa, Malna and Ana could be inferred from. As a result, Bonpa, Malna and Ana can be interpreted as not names of person or place, but goods-dispatching officer as official title. They are identical in nature, but the differences in the hierarchy may be possible.

      • KCI등재

        6세기 新羅 奴人의 성격

        이수훈(Lee, Su-H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2 No.-

        신라의 노인은 일반민과 차별화된 특수한 존재이다. 노인은 6세기 신라사회의 신분질서, 특히 하층민의 존재형태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법적 신분이다. 본고는 6세기 신라 노인의 성격을 검토한 내용이다. 주로 <울진봉평신라비>(524년)와 <성산산성목간>(560년경)의 노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울진봉평신라비>의 별교령을 검토하여, ‘前時 王大敎法’을 기준으로 하여 촌락표기에 일정한 변화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곧 前時에 王이 大敎法을 시행한 결과, 居伐牟羅와 男?只는 이전의 단순한 노인 집단이 아니었다. 지방행정체계 속의 정식 奴人村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성산산성목간>에 보이는 노인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인을 私奴婢로 볼 수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노인 목간에 등장하는 2인의 성격을 물품발송자와 국가적 차원의 輸役에 동원된 운송자(노인)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명칭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분적 속성과 직역을 도출하였다. 그리하여 6세기 신라 노인의 성격은 身良役賤의 처지에 있었던 신분임을 밝혀내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in of Silla in the Uljin-Bongpyeong Monument of Silla and the Wooden Tablets of the Seongsan Mountain Fortress. As a result, several facts were confirmed as follows. First, the Noin of Silla in the sixth century were not private slaves but freemen in terms of the attributes of status, and were placed between the ordinary persons and slaves. Secondly, the name of Noin reflected not the attributes of status but the nature of labor. That is to say, the labor of No was a mean task in terms of the nature of labor by Noin. Thirdly, the Noin of Silla were mainly engaged in the miscellaneous services under the state control, lived in Noin village, and were lent to the ordinary persons.

      • KCI등재

        <浦項中城里新羅碑>의 宮과 本波

        이수훈(Lee, Su-H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2 No.-

        본 논문은 <포항중성리신라비>(501년)의 (豆智沙干支·日夫智)宮과 本波를 새롭게 검토하여, 이 비에 기록된 분쟁의 실체를 밝혀보고자 작성되었다. 그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항중성리신라비>에서 분쟁을 일으킨 주체는 4개 촌락(居伐·蘇豆古利村·那音支村·珎伐)의 유력자들이며, 분쟁의 대상물은 豆智沙干支宮과 日夫智宮이고, 두 宮을 억울하게 빼앗겼다가 처리(판결·집행) 과정을 통해 본래대로 되돌려 받은 쪽은 牟旦伐이었다. 둘째, <포항중성리신라비>의 (豆智沙干支·日夫智)宮은 단순히 집이나 가문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宮에 부속된 토지(田莊)의 관리권을 의미한다. 분쟁이 宮의 소유자인 豆智沙干支와 日夫智가 배제된 채, 제 3자(牟旦伐과 4개 촌락의 유력자들) 사이에 벌어진 만큼, 宮의 소유권을 둘러싼 문제는 아니었다. 어디까지나 宮에 딸린 토지(田莊)의 관리권―토지(田莊) 소유자를 대신하여, 토지(田莊)와 경작자를 직접 관리·감독하거나, 수취를 관장하면서 파생되는 권리―을 차지하기 위한 분쟁이었다. 셋째, <포항중성리신라비>의 本波와 喙을 ‘本波喙’으로 묶고, 이를 신라 6부의 하나인 ‘本彼部’로 볼 근거는 없었다. 실제 6세기 신라의 금석문 중에서, ‘本彼部’를 ‘本波喙’으로 지칭한 사례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는다. 오히려 <포항중성리신라비>의 本波는, <성산산성목간>의 本波(직명)가 ‘檢數’ 작업과 관련된 사례를 참고할 때, ‘檢證人’ 정도로 이해함이 좋을 듯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gung(宮) and bonpa(本波) in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and reveal the reality of the conflicts recorded in the monument.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n the conflicts in the monument, the subject was the heads of four villages, the object was gung in dujisaganji(豆智沙干支) and ilbuji(日夫智), and the victim was modanbeol(牟旦伐). Secondly, gung in the monument don’t simply refer to the house. It means the management right of the land attached to gung. Thirdly, it is difficult to see bonpa in the monument as bonpibu, one of Six Divisions. Rather, it is understood as a ‘verifier’, given the case that the title named bonpa in the monument is related to inspection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