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불안정한 양육으로 인해 산만하고 불안한 행동을 보이는 한부모가정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이옥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8 놀이치료연구 Vol.12 No.2

        This study is a play therapy case for emotional stability and family connectedness improvement of children in the single-parent family. The client is a lst grade boy who ha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causing the anxiety about parents. After one month from the his birth, his parents were divorced and he never seen his father. From three to four years ago, he showed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such as hair pulling, bitting his nails and toenails, low-attention, hyper-activity, separation anxiety etc. This case was conducted once a week, 60 minutes, total 28 sessions. One session was composed of play therapy for the client (30~40 minutes) and intervention for his mother(20~30 minutes). During this therapy, I tried to use family's strong points, such as integrity, piety, affection for family, strong will of change. And his family participated in the therapy for improvement family connectedness. As a result, the client had emotional stability and disappeared behavioral difficulties. he didn't pull his hair and didn't bite his nails and toenails anymore. In addition, their family became to be more happy and more intimate. 본 연구는 출생 직후부터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어머니에게서만 양육되어진 초등학교 1학년 남아의 놀이치료 사례이다. 내담 아동은 말 배우는 시기부터 성인 남자만 보면 모두 ‘아빠’라고 부르고, 조금만 친절하게 해주는 남자 성인이 있으면 지속적으로 찾고 다른 사람이 그 곁에 못 가게 하는 등 과도한 집착과 어머니에게 ‘나도 아빠가 필요하다’라는 말을 여러 차례 해왔다. 최근 3~4년 전부터는 자신의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이 계속되어 정수리 부분이 심하게 탈모되어 있었고, 두피손상도 심각한 상태였다. ‘대머리’라고 놀리는 친구들을 ‘죽이고 싶다’며 강한 적대감을 표출하였고, 수시로 손톱과 발톱을 물어뜯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등 주의가 산만하고 불안한 행동을 보였다. 총 28회기의 놀이치료를 통해 내담아동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이혼 사실과 그 과정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형과의 관계가 개선되고, 어머니의 정서와 양육태도가 일관되고 안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에서 자라난 불안하고 산만한 아동에게 어머니 상담과 놀이치료를 병행하여, 아동이 부모의 이혼과정을 수용하고 가족의 유대감과 행복감을 경험하도록 도움으로써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불안하고 산만한 행동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도왔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식민지 조선의 인도 ― 憧憬과 同情의 나라

        이옥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3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representations of colonial India in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between 1920 to 1940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suming that the representation or perception of the other is constructed historically and is a kind of projection, I argue that the society, culture and people of India appeared recurrently in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of Korea at the time as an instrument articulating the vacillating desires and despair of Koreans colonized under the Japanese. In this period, two seemingly contradictory forms of perceptions and receptions of Koreans to Indian society, culture and people were seen in operation. The articles and writings about India written by colonial Koreans at large tended to stress not only the historical analogies between Korea and India as oppressed and weak under colonial domination but also the cultural distances and dissimilarities of India with Korea. Korea's close identification with India made the colonial authority in both countries appear problematic and unnatural, thus implied the illegitimacy of foreign rule. It also availed to construct India in different perspectives, supplementing and subverting in nature to the western views on India. In contrast, Koreans representation of Indian society, culture and people as inferior other or orientalization of India made to burgeon a kind of reproduction of western orientalism and a beginning of Eurocentrism in Korea.

      • KCI등재

        왕양명 ‘양지(良知)’의 도덕교육적 함의

        이옥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는 중국 철학사에 있어서 커다란 한 줄기를 차지하는 왕양명의 양지 심학(良知 心學)이 도덕교육에 있어서 주희 계통의 전통 이학(理學)보다 훨씬 도덕 실천 주체로서 인간의 내면 세계의 본심인 ‘양지’를 강조하는 생명력 있는 실천철학으로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 착안하여 왕양명의 윤리 사상의 핵심에 서있는 양지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의 가장 철학적인 저작으로 주목받는 「전습록」의 내용에 초점을 두어 양명 사상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주자 계통의 이학이 본체론적 기초를 갖도록 해주었으나 도덕 실천의 방면에서는 윤리 원칙의 대부분을 외재적 권위에 의존하게 함으로써 도덕 실천의 주체인 사람의 능동성을 소홀히 한 것은 사실이다. 이런 까닭에 양명 계통의 심학은 이학의 실천론에 반대하여 도덕 주체가 되는 사람의 본심 자체 즉 자각적 존재로서의 양지가 바로 도덕법칙을 결정한다고 생각하여 양지를 윤리설의 근거로 삼아 도덕 실천의 방면에서 주체성 원칙을 극명하게 드러낸 것이다. 양명의 양지 개념은 공맹의 사상을 그대로 심의 본체인 양지로 포섭하면서, 인간을 자율적 ․능동적인 도덕적 주체로 드러나게 해주는 것이다. 이에 양지의 다양한 의미 분석과 양명의 사상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아울러 전습록을 통해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찾아 현대사회에 절실히 요구되는 도덕적 능동성, 자율성, 잃어버린 자신의 참모습을 회복하여 주체적인 나를 키워갈 수 있는 심학의 차별화된 도덕교육론의 함의(含意)를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I am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Innate Knowledge, one of Wang Yang-Ming's main ethic ideas, thinking that, moral education related, Wang's Good(innate) Knowledge and Mind theory could give us much more implication as living practical philosophy than Chu-Tzu's Lihsueh by emphasizing the core of human's inner world, innate knowledge. Also, I intend to clarify some educational meaning of the contents in Wang's well-known philosophical work , <Jun Sueb Rok>. It is the fact that we can understand the ontological basic through Chu-Tzu's Lihsueh, but it is also true that his theory thinks little of the active human subject by mostly concerning the exterior athority of moral principles in the area of moral practice. On this reason, opposing to the Chu-Tzu's practice theory, Wang and his followers deeply highlight that the inner mind, knowledge about self conscious, morally independent human being will decide the moral laws. In other words, we can learn about independenct human subject principle in moral practice based on ethic theory of innate knowledge Which accepts Gong Ming's real idea as it is, showing active, self-ruling, moral human subject. According to this, I found and analyzed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 of distinctive innate knowledge theory that makes human subject get more active, self-ruling, self-recovering, which is essencially needed in modern society when I studied the various meaning analysis and idea changing process of the theory, and the contents of <Jun Sueb R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