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딥 러닝 기반 자동 변조 식별을 위한 연구

        차대웅(Dae Woong Cha),한동석(Dong Seog Han)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딥러닝 기반 AMC(automatic modulation classification)는 채널 환경에 따라서 성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AMC 기법들은 오프셋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프셋이 존재하는 경우 AMC에 적합한 입력 데이터를 찾기 위하여 IQ(inphase and quadrature) 신호와 스펙트로그램을 입력으로 하여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변조 분류 성능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

        잉크젯 인쇄기술을 이용한 종이 스트레인게이지 개발

        이영태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15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14 No.2

        In this paper, eco-friendly paper strain gauge was fabricated in the way of printing strain gauge on paper substrate, using PEDOT:PSS ink and inkjet printer technology. As a p-type conductive high polymer, PEDOT:PSS is known to be piezoresistive effect. I formed a strain gauge by connecting in parallel 5 lines of 60㎛ width printed with PEDOT:PSS. To minimize surrounding influence such as temperature, I formed wheat-stone bridge by combining 4 strain gauges (quarter-bridge strain gauge) which were made up of PEDOT:PSS 5 lines and measured. In quarter-bridge strain gauge, only two strain gauges, facing each other, arranged in strain and horizontal direction were deformed while the other two strain gauge of vertical direction were not. Therefore, quarter-bridge strain gauge showed the output of half bridge. The fabricated quarter-bridge strain gauge had output sensitivity of 105.6㎶/V·mm and its output linearity was relatively good.

      • KCI등재

        「유구곡」 해석의 다양성과 가능성 — 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의 특성을 고려해서

        이영태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Analyzed in this article is 「Yugu-gok」, and the examination is made in terms of certain characteristics featured by the narrator, the objects that are sung in the narrative, and the places and spaces that seem to be behind the contents of the song. Previous studies of 「Yugu-gok」 for a long time differed in their respective opinions, as they presented different idea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ugu-gok」 and other songs like 「Beolgok-jo」 and 「Pogok-ga」. Some of the scholars considered 「Yugu-gok」 and 「Beolgok-jo」 as the same song, while others did not agree with that assessment, while others went on even beyond that to say that not only 「Ygu-gok」 and 「Beolgok-jo」 but another song named 「Pogok-ga」 as well, were all the same songs. In this article, to widen the range of possible interpret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er(narra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that were sung or told inside the narrativ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either the story or the act of singing itself took place, are all examined. And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birds’ is also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singers(narrators), the unique qualities of the sung objects, and the place of singing which are apparently equipped with not only music but refreshments, are all meant to provide the participants with no other than the ‘pleasure of communication.’ The participants' view of the ‘birds’ show us that they recognized the ‘pigeons’ with a rather negative image(‘unfaithful,’ 不正), with an overlapped image of an ‘unfaithful female’ who appeared in the classical Chinese text 『The Book of Odes(Songs, “Shigyeong”)』, while they identified ‘cuckoos’ with an entirely different image, interestingly the image of a ‘fair male.’From all that, we can see that 「Yugu-gok」 is a song in which an unfaithful female is confessing her love toward a decent male figure.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in which the pigeon is providing a monologue to the audience, shows us that the unfaithful female is not able to or not supposed to directly address the fairly gentle male figure, while the singer of the song itself is also not able to deal with the problem -absence of its lover- aggressively, and only doing so rather passively. This kind of structure as well, must have been planted as a device that would please the audience with yet another round of amusement. 이 글은 속요의 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의 특성을 고려해 「유구곡」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구곡」의 연구사는 「유구곡」=「벌곡조」, 「유구곡」≠「벌곡조」, 「유구곡」=「벌곡조」=「포곡가」의 관계를 증명하는 과정이었다. 해석의 가능성을 위해 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의 특성과 참석자들의 새에 대한 인식을 고려해보았다. 가창자의 출신과 가창물의 특성, 주효 및 음악이 구비된 가창공간은 참석자들에게 ‘소통의 즐거움’을 주기 위한 곳이었다. 가창공간에 참석자들의 새에 대한 인식을 통해 보건대 비둘기는 ‘바르지 못한(不正)’이란 표현과 관련되거나 『시경』에 연원을 둔 바람난 여성의 이미지이고 뻐꾸기는 공평한 남성의 이미지와 관련돼 있기에, 「유구곡」은 부정적 성향의 여성이 긍정적 성향의 남성을 좋아한다고 진술하는 내용인 것이다. 비둘기가 자신의 바람을 독백체 진술에 기댄 이유도 짐작할 수 있는바, 바람난 여성이미지의 화자가 공평 균등의 이미지를 지닌 남성에게 직접화법을 구사하지 못하는 것은 여타의 속요 화자가 스스로 님의 부재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 이 또한 가창공간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소통의 즐거움’을 주기 위한 일련의 장치이기도 하다.

      • KCI등재

        어업노동요에 나타난 복선율과 소통-인천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영태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0 No.29

        인천의 어업노동요의 복선율과 소통에 대하여 재구해 보았다. 「닻감는소리」의 특성과 노동현장을 고려하여 초기형태의 복선율과 그것이 지닌 음악적 특성이 놀이로 기능하면서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는 점을 시론적으로 논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시선배노젓는소리」의 초기형태는 현전하는 것처럼 사설과 곡조가 다채롭지 않았지만 담당층들이 점차 시선배의 운행 공간 등을 감당하면서 복선율의 음악적 특성을 사설과 곡조 쪽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른바 긴장과 이완의 상황을 적절히 이용하며 초기형태를 넘어 사설과 곡조를 다채롭게 만들어 현재의 「시선배노젓는소리」로 정착했다는 것이다. 특히 바람과 물때가 순조로운 이완의 상황에서 초기형태의 복선율이 놀이가 될 수 있었던 계기에 ‘밤’이라는 시간이 자리잡고 있었다. ‘밤’은 청각이 가장 예민한 시간으로 복선율이 놀이로 기능하기에 최적이었다. 갯가에서 부르던 민요를 창자와 청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카타르시스의 효과와 소통의 즐거움에 기대 이해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