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건축의 O. M. 웅어스 스쿨 현상에 관한 연구

        이은영,Yi, Eun-You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16 건축역사연구 Vol.25 No.1

        Classic rationalist architecture cam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odern architectural discourse in the 1970s. But it has declined since the death of its most representative architects Aldo Rossi and O. M. Ungers. However, the phenomenon to be noted is that a new momentum was brought to the German architectural scene through some remarkable achievements by the disciples of Ungers after 2000. This study aims to read this phenomenon on the topography of german architecture and to catch out what potential it has to create balance in the international architectural debate. It is not the aim to analyze a single architect in detail, but to compare some important architects like Hans Kollhoff, Max Dudler, Eun-Young Yi and Uwe $Schr{\ddot{o}}der$. And further the study will try to give an overview of how far this phenomenon can change the topography of the German architectural scene. The buildings that have been examined here are Daimler Chrysler Building, Grimm Zentrum, Stuttgart City Library, and Haus Hundertach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ome architects continue the attitude and the architectural languages of O. M. Ungers and develope their own unique architecture. And this phenomenon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todays architectural debate on a global scale.

      • KCI등재

        大訥 盧相益의 亡命 意義 硏究 ―獨立有功者 指定과 관련하여―

        이은영 동양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This paper studies one of the persons who are treted in my thesis which was for exile Korean confusian intellectuals'general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20th century. So, I make clear that this paper studies based on writings about Sang-Iik Noh(盧相益), pen name: Daenool大訥, (1849~1941) who is one of my thesis' persons. Daenool was in government service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Due to the refusal of a Royal Bounty he has been jailed several times by Japanese government before and after the Gyeongsul Gukchi(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10). He lived under surveillance by Japanese government after released from prison. At the end of the 1911 year Daenool who was more than 60 years old went into exile while avoiding surveillance just for avoiding Japanese people. As leaving many writings, he exposed Anti-Japanese spirit as his best resistance to Japan. After 1919, when his younger brother Sang-Jik Noh(pen name: Sonool小訥, 1855~1931) was imprisoned because of his signature on the Paris Jangseo, Daenool lived a life not free even more than before. Being pointed one who is related to war chest, he waived exile which continued more than 11 years and returned to Korea in 1922. After that, Daenool confined himself at home to cut off the world until to his death. This is one of the methods of resistance too to sever Japanese government. Despite he returned to Korea, his anti-Japanese spirit revealed by many writings, books and papers of Japanese governmen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nother independence movement different from the other actions by Independence patriots. This is why Daenool deserves acknowledge as independence patriot. 이 논문은 본인의 학위논문 이은영, 「20世紀 初 儒敎知識人의 亡命과 漢文學―西間島 亡命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이 20세기 초 망명 유교지식인들의 전반적인 한문학을 대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당시 망명한 유교지식인을 개별적으로 서술하지 못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된 논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학위논문 가운데 연구 대상자 중 한 사람인 大訥 盧相益(1849~1941) 관련 서술을 기저로 연구된 논문임을 앞서 밝혀둔다. 대눌은 구한말 관료 출신으로, 경술국치 전후 은사금 거부 등으로 일제에 의해 수차례 투옥된 일이 있다. 감옥에서 풀려난 후 일제로부터 요주의 인물로 지목되어 감시를 받으며 살던 대눌은 1911년 말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 망명을 떠났다. 대눌이 환갑을 넘긴 나이로 망명을 떠난 이유는 한마디로 일본인을 피해서였다. 자신의 나이에 할 수 있는 일제에 대한 최고의 저항으로 망명을 떠난 대눌은 망명지에서 수많은 저술을 남기면서 항일정신을 드러내었다. 망명지에서도 끊임없이 일제의 감시를 받으며 살던 대눌은 1919년 동생 小訥 盧相稷(1855~1931)이 파리장서에 서명한 일로 구금된 후, 더더욱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았다. 그러던 1922년 군자금 모집 관련 인물로 지목되면서 대눌은 만 11년이 넘는 망명생활을 접고 급히 환국하였다. 그 후 대눌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두문불출하며 세상과 단절하며 살았다. 이는 대눌이 일제와의 단절을 꾀하기 위해 선택한 또 하나의 저항의식인 것이다. 대눌은 중간에 망명생활을 접고 환국하였지만 그가 망명지에서 남긴 수많은 작품과 저술, 그리고 일제의 문건들을 통해서 드러난 대눌의 항일정신은 다른 독립유공자들이 행동으로 보여준 독립운동과는 또 다른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눌 또한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아 마땅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士禍期 한 젊은 사대부의 肖像 - 虛庵 鄭希良論 -

        이은영 동양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This study set out to read the meanings of Jeong Hee-ryang, who's one of the figures illuminated in diverse aspects in Korean history, in relation to the times by taking an approach of "portrait." In his early poems, Jeong strongly believed in the ideas pursued by Confucian scholars and demonstrated an iron-like determination. His close friends too described him as someone who had a solid personality, huge pride, and spirit not to compromise with injustice. However, he's sent into exile being accused of connections with the Muo massacre of scholars. Being an exile, he gradually changed his portrait in his poems. Suffering from a sharp sense of isolation at a remote place, increasingly weakening body, and desperation of an ideal society not realized, he little by little lost his solid mindset and optimistic expectations he had in early days. In face, his poetic sentiment became under the dominant influence of resignation, self-scorn, and sorrow. During his exile, he produced a large number of poems about Taoist hermits with supernatural powers, his pursuit of their world, and his desire to become one. Those works corresponded with his desire to escape and transcend the shackles of reality. Taoist hermits with supernatural powers were described as ideas he "wished to be" beyond his dark reality. Their world was depicted as a place he "wished to reach" leaving the negative reality behind. However, he disappeared leaving his shoes behind at the shore of a river one day. After his abrupt and mysterious disappearance, he returned as a totally new kind of person in folklore. He's like a bangsa(someone that mastered the powers of Taoist hermits) or an old Buddhist priest that left his poems somewhere or handed over his poems to people before disappearing. Those poems talk about the immense universe where the pain and dirt of the secular world are removed and the transcendent beings that are free from all kinds of bondage. They in fact present a poetic world of a different dimension from his works before his sudden disappearance in which he was forced to live with mere yearning and aspiration despite his dream of transcendence. Of course, there is no accurate proof that those were written by Jeong himself. But people must consciously have wanted to see "living Jeong" again since he led such an unfortunate life, his dreams never came true, and his poetic talents were suspended by his early death. They also wanted him to overcome or transcend his frustrations in reality in another world as his body was never recovered. As a result, he's reborn as a transcendent figure free from the interests of the world and the suppression and bondage of reality and a talented poet that wrote poems never to be written by other poets. The diverse portraits of Jeong were the products of the massacre period of the scholars, when the Hungu group stamped on the new generation of illustrious official that strictly followed the Confucian ideas, were driven by their strong determination for revolution, and wanted to fulfill their ideas in politics. And they were also the products of the transitional period where the government tried to build a new framework for Confucian society but failed to discard the old customs of Taoism and Buddhism. 본고는 우리 역사상에서 다양한 얼굴로 조명되는 인물 중의 하나인 정희량을 ‘肖像’이라는 화두로 접근하여 시대와 관련된 의미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초기 시에서 정희량은 儒者的 신념에 투철하고 의지가 굳었던 인물로 나타난다. 그와 절친하게 지냈던 친구들 역시 강직한 성품, 강한 자부심,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기개를 가진 인물로 정희량을 형상화하였다. 그러나 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 길에 오르면서 정희량이 시 속에서 그려내는 자화상은 점차 변모의 양상을 보인다. 특히 홀로 유폐되어 있다는 고립감과 점점 쇠약해져 하는 몸, 이상 사회에 대한 절망적 인식 등은 정희량이 초기에 지녔던 단단한 마음가짐과 낙관적 기대를 차츰 허물어뜨리게 되고 이후 그의 시적 정서는 체념과 자조, 비애로 전이되어 간다. 유배시절에 집중적으로 지어지게 되는 신선을 소재로 한 시, 仙界 지향이나 仙化 욕구를 표출한 시들 역시 현실의 질곡을 벗어나고자 하는 초탈의 욕구와 맞물려 있다. 그가 그려내는 신선은 불우한 현실 너머에 ‘되고 싶은’ 이상으로 존재하며 선계 역시 부정적 현실의 대척선상에서 ‘도달해 보았으면’ 하는 소망의 공간으로 자리한다. 그런가 하면 정희량은 강가에 신을 벗어놓고 사라진 후 설화 속에 다시 등장하면서 완전히 다른 형태의 인물로 탈바꿈한다. 어디엔가 시를 써 놓고, 또는 누구엔가 시를 건네주고 사라지는 方士, 또는 老僧의 형상이다. 그가 남겼다는 시에는 속세의 시름과 티끌을 완전히 털어낸 광대한 우주가 있고 모든 얽매임에서 벗어나 자유자재하는 초월적 존재가 있다. 이때 등장하는 시들은 그가 남긴 선계 취향의 시들이 초월을 꿈꾸었지만 끝내 동경과 지향에 머물 수 밖에 없었던 것과는 다른 차원의 시세계를 보여준다. 물론 이 시들이 정희량의 지었다는 정확한 증거는 없다. 그러나 그의 불우한 삶과 채 펼쳐 보지 못한 꿈, 그리고 일찍 생을 마감함으로써 함께 접어야 했던 시적 재능은 사람들의 의식 속에서 ‘살아있는 정희량’을 염원하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의 시신이 끝내 발견되지 않음으로 인해 현실에서의 좌절을 다른 세계에서 극복, 또는 초월하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바람은 세상의 이욕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의 억압과 굴레를 벗어난 초월적 인물로, 세상 사람 누구도 쓸 수 없는 시를 쓰는 뛰어난 시인으로 정희량을 재형상화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초상은 유교 이념에 투철하고 현실 개혁 의지가 강한 新進士類들이 정계에 진출하여 그들의 이상을 펼쳐보고자 했지만 勳舊勢力들에 의해 뜻이 좌절 될 수 밖에 없었던 士禍期, 국가 차원에서 유교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지만 도교 불교의 유습을 청산하지 못했던 사상적 과도기가 낳은 산물이었다.

      • KCI등재

        무상, 시간, 영원의 관계 ‒ 설일체유부와 유식학파를 중심으로 ‒

        이은영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Sarvāstivādins and Yogācāras understand time and eternity. According to Sarvāstivādins, time is not a substance, but a phenomenon created by saṃskṛta dharmas (有爲 法, conditioned dharmas). They assert that we should escape from saṃskṛta dharmas, if we want to transcend time. They also believe that asaṃskṛta dharmas (無爲法, unconditioned dharmas) are eternal substances. Sarvāstivādins’ theory of time-eternity is one of dualism that acknowledges the impermanence of saṃskṛta dharmas and the eternality of asaṃskṛta dharmas. On the other hand, Yogācāras assert that the world we see is nothing but the manifested phenomena created by our consciousness. Time is a vague concept created by our consciousness, based on the imaginary self and dharma, which comes from our misunderstanding of impermanence. Therefore, to be free from time is not to be free from impermanence, but from wrong thinking. Time and eternity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ense that they are both based on impermanent phenomena, but are not the same in the sense that wisdom perceives eternity, while ignorance perceives time. Time and eternity are neither the same nor different. 불교는 시간을 실체적인 존재가 아니라, 행(行)의 무상(無常)에 의지해서 나타나는 가상적인 것으로 본다. 그런데 행의 무상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불교 내의 견해가 달라진다. 설일체유부는 행의 무상을 실체적인 존재인 유위법의 변화로 해석한다. 시간을 벗어나려면 시간이 의지하고 있는 유위법 자체를 벗어나야 한다. 무위법도 역시 실체적이고 영원한 것으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시간과 영원의 관계는 각각 무상한 유위법의 영역과 무상하지 않은 무위법의 영역에 있는 것으로 나누어지는 이원론적(二元論的)인 것이다. 유식학파는 ‘행의 무상’을 ‘식(識)의 전변’으로 해석한다. 현행과 함께, 그것의 원인인 아뢰야식 내의 종자, 결과인 종자가 모두 현재 한 순간에 공존한다. 원인을 ‘과거’로, 결과를 ‘미래’로 지칭할 수는 있으나, 그러한 지칭에 대응하는 과거와 미래가 실재한다는 생각은 그릇된 시간관념이다. 영원은 이 그릇된 관념을 벗어날 때 얻어지는 것이지 무상한 행 자체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시간과 영원은 그것이 모두 무상한 의타기의 현상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지만,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동일하지도 않다. 따라서 유식학파에서 시간과 영원의 관계는 불일불이론적(不一不異論的)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