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지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한국은 1980년대 후반부터 외국인 이주근로자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고용허가제도와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 방문취업제가 시행되고 있다. 현재 외국인근로자는 고용?산재 및 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법적인 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나, 방문취업제로 입국한 동포는 서비스업 등 규모가 작은 업종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 건강보험 등 기본적인 보장을 못 받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다양하고, 장기간 머무를 수 있으며 한국어를 잘한다는 차이점이 있어, 또 다른 건강문제가 발생하고 의료이용에도 차이가 있어, 이에 대한 정책결정 및 건강증진 방법의 다각적 접근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외국인 이주근로자의 건강과 의료이용 행태를 조사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외국인 이주근로자 20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리 및 건강상태, 의료이용에 관련된 설문을 시행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는 115명, 여자는 8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남자 36.1세, 여자 42.9세로 조사되었다. 중국인의 여성비율과 평균연령이 높고, 여자보다 남자가 건강하다고 생각했으며, 건강보험 가입률이 낮았고, 질환이 있는 경우가 적었다. 여성의 경우, 국적, 연령, 수면시간, 질환유무, 일반정신건강, 삶의 만족도가 건강인식과 관련성이 있었고, 남자는 여자와는 조금 다른 양상으로 한국에서 사용하는 월급대비 금액비율, 한국에서 아픈 경험, 삶의 만족도가 건강인식과 관련성이 있었다. 가족과 따로 거주하는 경우, 월급대비 금액을 많이 소비하는 경우에 건강이 좋지 않았다. 남녀 모두에서 한국에서 의료기관 이용경험과 1년간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건강인식과 관련이 있었고,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렇듯, 건강인식은 남녀에서 차이를 보이고, 2000년대 초반과는 다르게 한국계 동포의 수도 증가하였고, 연령대도 다양해져서 외국인근로자를 하나의 집단으로 보기 보다는 그들의 건강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방법으로 적절한 의료이용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건강관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겠다. 또한 많은 정책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외국인근로자들이 의사소통 문제를 호소하고 있어 전문 통역사의 양성을 위한 교육지원 정책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도시의 모습은 시멘트로 지어진 고층빌딩과 화려하지만 삭막한 분위기로 둘러싸여 있고,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현시대의 상황에 맞추어 이런 모습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도시 속에서 지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급변하는 상황에 애써 적응하며 분주한 삶을 살아가고 여유 없는 각박한 현실에서 치열한 경쟁을 치르며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다. 이러한 도시 환경에서는 현대인의 질병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스트레스가 더욱 더 고조되기 마련인데, 시대의 흐름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경쟁을 치루며 그 과정에서 겪는 여러 혼돈과 복잡한 인간관계로부터 나타나는 부담감 등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여러 스트레스들로 뒤덮인 환경에서 정상적 사고와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치유와 휴식을 취해야하며 이를 위해 도시인들은 보통 같은 일상 속에서 소극적인 방법들을 시도하고 그나마 그것에 만족하며 의지한다. 하지만 건물들로 꽉 막힌 시야, 난잡한 조명과 인공적인 색, 답답한 공기, 불쾌한 소음 등의 도시환경은 오히려 정신을 우울하게하고 심신을 위한 근본적인 휴식과 치유의 시간을 갖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자연의 환경은 도시와 매우 다른 상황이다. 도시 속을 벗어나 자연을 접하였을 때 깊은 호흡을 내쉬게 되고 몸과 마음의 긴장이 이완되는 것을 누구나 한번쯤 경험하였을 것이다. 이는 인간이 본연의 모습으로 자연과 동화될 때 쾌적감과 편안함을 느끼는 것이다. 자연은 예로부터 인간을 보살펴 왔으며 또한 인간이 마지막으로 의존해야 하고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주는 근본이다. 수많은 경쟁 구도에서 생겨난 욕심과 그에 따르는 억압과 스트레스들로 피폐해지고 자신의 주체성을 잃어가고 있는 도시인들을 자연은 말없이 안아준다. 이로써 사람들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휴식과 위안을 받기위하여 치유로서의 자연 공간을 찾는데 여러 자연 공간 중 ‘숲’은 도시인들에게 좀 더 특별한 공간으로 다가온다. 숲은 도시로부터 완전히 차단될 수 있는 자연의 깊숙한 공간으로서 복잡한 감정과 혼란스러웠던 마음을 자연스레 내려놓을 수 있는 고요한 자연의 품 속 이다. 숲속에서 우리는 나무들의 호흡, 지저귀는 새의 소리, 공기의 촉감 등에 집중 할 수 있으며 함께 호흡을 맞추다보면 어느덧 자신의 머릿속과 마음도 숲속과 같이 고요해지고 편안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여러 스트레스들로 자신의 호흡을 느끼지 못하고 주체성을 잃어가는 슬프고 우울한 도시인들에게 숲은 말없이 그들을 위로한다. 또한 자신을 진정한 ‘나’로써 느낄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마련해주어 지친 마음을 위로하고 치유하며 혼돈된 마음을 정리하고 다시 제 호흡을 찾을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고요한 숲의 풍경을 제시하여 도시 속 지친 현대인들에게 자연의 호흡을 느끼도록 하며 이를 통해, 혼란스럽고 복잡한 일상으로부터 잠시 벗어나 순결한 자연의 모습을 보며 건강한 마음을 회복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도시 속 일상에서의 고단함으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근본적 휴식과 치유를 할 수 있는 자연의 의미와, 여러 자연의 공간 중 도시인들에게 좀 더 특별한 공간으로서의 ‘숲’이 주는 휴식과 치유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을 통해 설명한다. 연구자는 도심 속 일상과 상반되는 환경으로서 더욱 더 고요하고 한적한 숲속 공간을 표현하고자 한다. 작품에서의 숲속은 잔잔하고 조용한 아침의 시간대와 계절 중 가장 고요한 겨울의 모습이다. 청각과 시각, 촉각 등의 감각을 자극 시키지 않는 편안한 숲속을 표현하여 관객과 서서히 마주하게 하고 자신을 바라보며 위로와 다짐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자 한다. 또한 직선의 느낌과 곡선의 부드러움이 서로 안정되게 공존하고 있는 조형적 요소로써 숲속 모습을 표현한다. 공존과 조화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자연의 공간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새로운 상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한다. ‘숯’은 연구도구로서 숲속의 나무를 표현하는 재료로 사용된다. 나무의 형태와 결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자연소재인 숯을 사용하여 숲속의 조화를 이루며 수직으로 뻗어 있는 나무들을 표현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위의 내용들을 중심으로 고요하고 순수한 자연의 모습을 마주하게 하고 본래 자신의 호흡으로 스스로를 대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친 몸과 마음을 자연의 품에서 위로하고 치유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여 건강한 마음을 회복하고, 모두가 삶의 진정한 가치를 찾아 자신의 소중한 꿈을 향해 나아가는 것에 연구의 의미를 갖는다. The city that we live in is surrounded by high-rise skyscrapers built with cement and a colorful yet dreary atmosphere, and the situation is changing continuously depending on the ever-changing conditions of the day. Most of the people in the city spend a busy daily life trying to adapt themselves to a hectic life and spend a harsh competition in a rough world. In these urban environments, the stress of modern people's greatest ailments is heightened. Unfortunately, modern people try and compete to keep up with the current trend but in that process, the pressure that emerges from various chaos and complicated relationships causes stress. In order to maintain normal thinking and lifestyle in environments covered with various stresses, regular healing and rest are usually needed but city people usually try to do just passive ways in their daily lives and then they are satisfied with and rely on them. Urban environments such as invisible view by buildings, promiscuous lights, artificial colors, stuffy air and unpleasant noises, etc make the city people rather depressed and interfere with having a fundamental rest and healing time. However, the environment of nature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cities. When you get out of city and feel nature, you've experienced deep breathing and relaxation in your body. As humans are returning to their natural appearance and it comes to being assimilated with nature, human can feel pleasant and comfortable with nature. Nature have cared for humans from ancient times, and nature which mankind has to depend on the last is a foundation for human habitation. Silently, Nature embraces the city people who are losing their identities by greed stemming from greed and stress stemming from many of its competitive origins. As a result, people visit natural space as therapy to relieve stress and relieve relaxation and comfort, and among many natural spaces, " Forest " is a more special place for urban dwellers. The forest is a deep natural area of nature that can be completely shut down from the city, and it is the tranquil heart of nature in which one can naturally forget complex emotions and confusion. In the forest, we can concentrate on the sounds of trees, singing birds, and the sounds of air. When you look at your breathing together, you feel like your head and mind become more relaxed and relaxed like a forest. For the sad and depressed city people who lose their breath and lose their identity, the forest silently console them. It also gives you a sense of space and time to feel as if you can feel a real ' me ', healing your tired mind, organizing your chaotic mind, and finding your breath again. The study aims to portray the nature of the tranquil forests in urban areas, thereby city people can realize a peaceful nature, restore a healthy mind and regain a healthy mind by looking away from the chaotic daily lives. It also puts a purpose to remind the natural meaning of stress and healing for stressed contemporary people amid the exhausting atmosphere in the city.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ai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t and healing given by 'Forest' as a more special space for urban people among various natural spaces. The researcher is trying to express the still more calm and quiet space of the forest as an environment contrary to daily life in the city. The woods in the work are the calm and quiet morning time and the tranquil winter of the season. It expresses a comfortable forest that does not stimulate the sense of hearing, sight, and tactile sensation, so that it will face the audience slowly and give the audience time to look at themselves for the rest and resolution. Also, the stability of the triangular structure, the harmonious harmony of the circle, a strong sense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smoothness of the curve are the formative elements that coexist with each other stably and we want to express the appearance of the forest. The work wants to give a chance to make new imagination with a comfortable mind in a beautiful natural space made up of coexistence and harmony. 'Charcoal' is used as a material to represent trees in the forest as a research tool. The researcher uses charcoal, which is a natural material that has the form and texture of the tree, to express the trees extending vertically in harmony with the forest. The researcher aims to face the tranquil and pure nature around the above contents and to have an opportunity to confront herself with her own breathing. Through this, it has the meaning of research on restoring a healthy mind by having time to comfort our tired bodies and minds in nature and heal them, and to seek the true value of life and to move toward ones precious dream.
교과서 안과 밖의 창작 동화 주제에 따른 인물상 연구 : 초등학교 3, 4학년 학습 독자의 총체적 반응을 중심으로
이지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문학 독자들은 작품 안에서 자신이 경험해 보지 못했거나 앞으로 경험할 다양한 사건들을 헤쳐 나가는 인물들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동일시하며 가치관을 다듬고 문학관과 세계관을 형성한다. 특히 초등학생들은 인물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기억하는 인물 중심 감상을 하는 경우가 많고 작품 속 인물과 쉽게 동일시한다. 그런데 초등학생의 문학 경험은 교과서 안과 밖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며, 교과서 안에서는 국어 교과서 수록 동화를 통해서, 교과서 밖에서는 자유롭게 선택한 동화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과서 안과 밖에서 만나는 인물들을 함께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인물상을 확인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물상은 작품의 주제를 통해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어떤 주제로 구성된 작품인가에 따라 인물이 추구하는 가치는 달라지며 그 주제를 구현하는 인물의 태도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인물에 대한 동일시 및 모델링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독자는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작품의 주제를 통해 확인하고 그 가치를 모범적이거나 시범적으로, 또는 경고하며 보여주는 인물들을 욕망의 중개자로 삼아 가치를 실현하려는 욕망을 추구한다. 이때 인물이 가치를 추구하거나 표현하는 방식에 동의하거나 감흥을 받아야만 그를 욕망의 중개자로 결정하고 모델링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작품의 주제를 살펴보고 이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인물상을 분류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 4학년을 중심으로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 동화와 학생 선호도에 따라 도서관 대출 상위 도서로 선별된 교과서 밖 창작 동화를 대상으로 주제에 따른 인물상 연구를 실시하였다. Ⅰ장에서는 문학교육에 있어서 인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까닭과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Ⅱ장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삼은 작품과 분석 기준에 대해 상세히 논하고,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제시한 기준을 토대로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동화에 나오는 중심인물을 주제의 유형과 표현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도서관 대출 자료 집계 및 분석을 통해 선정한 창작 동화에 나오는 중심인물을 주제의 유형과 표현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또, Ⅲ장과 Ⅳ장 모두에서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통해 그들의 인물상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Ⅲ, Ⅳ장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초등학교 3, 4학년 학습 독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과 면담을 통해 얻어진 반응과 결과를 종합하여 학생들이 접하는 인물상에 대해 고찰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인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 안에는 모든 주제 유형이 고르게 분포되어 나타났으며 표현 방식으로는 이상적인 교훈형 인물상인 ‘모범형 인물’이 50% 이상으로 많이 보였다. 이에 반해 교과서 밖에서는 ‘자아 인식과 자아 존중’ 주제 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표현 방식으로는 현실적이며 모델링하기 좋은 인물상인 ‘시범형 인물’이 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3, 4학년 학습 독자들은 교과서 안과 밖의 인물상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과서 안보다 밖의 이야기를 더 선호하였다. 또, 교과서 안의 이야기는 편집, 수정되어 이야기가 끊기거나 짧아 몰입 독서와 완전한 문학 수용을 방해하며 유익한 인물상이 제시되나 나와는 달라서 온전히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하였다. 이와 달리 교과서 밖의 이야기는 자신이 선택하여 수용할 수 있으며 재미있는 방식으로 주제가 구현되고 자신과 비슷하여 쉽게 동의하고 모델링할 수 있는 인물상이 제시된다고 하였다. 학습 독자들은 교과서 밖의 인물들을 미적, 정서적으로 더 선호하면서도 교과서 안의 인물들이 유익하고 배울 점이 많다고 표현함으로써 윤리적, 당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교과서 안과 밖의 인물상에 대한 이러한 학습 독자들의 인식과 반응을 토대로 총체적 문학 경험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 안과 밖 인물상의 거리를 줄이고 총체적 인물 지도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과서 제재 선정 시 시범형 인물을 통해 주제가 구현되는 작품, 또, 독자가 선호하는 방식으로 주제를 구현한 작품을 선정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문학 인물 지도 시 교과서 밖의 인물을 바탕으로 교과서 안의 인물을 해석하는 활동이나 교과서 안의 인물을 비판적으로 해석하여 나라면 어떻게 행동했을지 바꿔 써보는 활동 등을 통해 교과서 안과 밖의 문학적 경험의 괴리를 줄이고 총체적인 문학 수용 과정을 통해 이상적인 인물상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여러 가지 한계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초등학생들이 교과서 안과 밖에서 접하는 창작 동화 속 인물을 함께 아울러 분석하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첫발을 내딛은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또한 일부이긴 하나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들의 창작 동화 속 인물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바탕으로 한 인물상 고찰을 통해 실제적이고 총체적인 인물 지도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문학 작품의 수용을 통한 인물 지도는 학습 독자들에게 이상적인 인물상을 모델링하도록 하는 가장 훌륭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향후 독자의 욕구와 흥미를 충족하면서도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인물상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서 안과 밖 창작 동화의 주제에 따른 인물상을 연구하고 결합하여 총체적인 인물 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온라인 교육 방안 연구 : NIE를 중심으로
이지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A Study on Online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 Focusing on NIE While the total school-age population estimates in Korea are decreasing due to the declining fertility rate, the number of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constantly on the rise. Statistics 2016 released by Ministry of Education shows tha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as increased by 20 percent from the year before, standing at 99,186, a figure nearing 100,000. Such phenomenon not only signifies the country’s growing population but also calls for an adequate education system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numbers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are highest in the following order: those born on Korean soil with international parents (a Korean and a foreign nationality), those born outside of Korea but with foreign national parents who reside in Korea, and those born on foreign soil with international parents who moved to Korea. Those born in Korea with international parents tend to have a slowe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kills as they spend most of the time with their mothers who cannot speak Korean well, and also are seldom fluent speakers of the other language of their parents. Such linguistic setbacks found in multicultural children result in dropout due to difficulties keeping up with school, social maladjustment, identity crisis, and so o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edicates on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searches for online bilingual education that can be administrated without temporal or spatial constraints. First of all, I conclude from analysing policies in relevant organisations that fund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that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ocuses more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bilingual education itself, and also that it is limited to temporary and transitory service. Subsequently, I suggest that online education can provide a solution to those problems. Therefore, the dissertation conducts a case study on LG Global School’s online programme currently in operation and a survey for online cours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From the survey, I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online bilingual education by reason of its availability without temporal or spatial constraints allows to receive bilingual education children in the non-capital region, and even those whose parents’ mother tongues are not English, Chinese, or Japanese but minority South Eastern languages can receive the education. Second, instead of lecture-based learning, learner-oriented online education has been shown to improve bilingual abilities among the students as it utilizes teaching materials with a lot of visual aids that help students have an interest in learning and achieve a high level of concentration. Third, the online education help children have pride in their parents’ home countries through understanding the cultures, and build their identities as well as improving their bilingual fluency. Multicultural children experience identity crises as they are exposed to their parents’ two different nations and cultures. Therefore, I suggest in this dissertation an online bilingual education plan that applies both Trans-identity Theory in conjunction with multicultural identity in the children, and Newspapers In Education (NIE) which is used as an effective media education method. Multicultural children have a great deal of potential in the global world as they can speak two languages. We as a society should show full support for them to develop such a talent and provide them with policies and environ that can assist to raise multicultural children with an unwavering positive identity.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온라인 교육 방안 연구 : NIE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로 인해 학령인구가 줄어들고 있지만 그에 반해 다문화 학생 수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초중고 다문화 학생 수는 전년대비 20%가 증가하여 총 99,186명으로 거의 10만 명에 가까워졌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단순한 인구 증가를 넘어 다문화 가족 자녀를 위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다문화 학생 수의 유형은 국제결혼 커플이 국내에서 출산한 국내출생,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사이에서 출생한 외국인가정, 국제결혼 커플이 외국에서 출산한 후 귀국한 중도입국 순으로 나타난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국제결혼 커플이 국내에서 출생한 다문화 가족 대부분의 자녀들은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 어머니와 시간을 많이 보내 한국어 발달이 더딘 편이며, 부모 출신국의 모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경우 또한 매우 드물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언어적 문제는 학업의 어려움으로 인한 학업중단, 사회부적응, 정체성 혼란 등의 결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을 토대로,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 온라인 교육을 활용한 이중언어 교육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먼저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 지원에 관한 부처별 정책 분석을 통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이중언어 교육은 실제 이중언어에 대한 교육보다는 다문화 이해 교육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과 일시적이고 한시적인 교육이라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문제점의 보완으로 필자는 온라인 교육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LG와 함께하는 사랑의 다문화학교’ 이중언어 온라인 과정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하였고, 온라인 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을 상대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간과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교육이 가능하여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 거주한 학생들과 영어, 중국어, 일본어와 같은 주류언어가 아닌 동남아 출신 부모의 모국어와 같은 소수언어권 자녀도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시각적 효과가 큰 수업 자료들을 통해 집중도가 높아 이중언어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온라인 교육을 통해 이중언어 뿐 아니라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부모님 국가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며 정체성이 함양되었다. 한편, 다문화가족 자녀는 부모에 의해 두 국가, 두 문화를 가지게 됨으로써 정체성 혼란을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정체성과 연결되는 트랜스 아이덴티티 이론과 미디어교육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NIE(신문활용교육) 수업 방법을 적용하여 이중언어 온라인 교육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족 자녀는 글로벌 사회 속에서 두 개 언어를 사용할 수 있어 성장 가능성이 무한하다. 우리는 함께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다문화가족 자녀가 이러한 재능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지해주고, 흔들리지 않는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며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제도와 환경을 마련해 줘야 할 것이다.
고전소설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춘향전>을 중심으로
이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는 고전소설의 대표작품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춘향전>의 연구 성과를 통해,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점을 좀 더 실제적으로 짚어보고, 거시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실현할 수 있는 대안을 구체적으로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고전소설을 배워야 하는 필요성과 그 목표에 대해 살펴 본 후,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장 유명하고, 교과서에 많이 수록된 <춘향전>을 주요 텍스트로 정하여, <춘향전> 교육 실태를 살펴보고, 좀 더 구체적인 고전소설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교육과정과 교과서 측면에서 <춘향전> 교육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는데, 여기서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춘향전>의 수록양상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새로 집필된 11개 출판사의 『문학』 교과서를 살피어 <춘향전>의 수록 빈도와, 수록영역, 출전 등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였다. 교육현장에서 다루는 고전소설의 텍스트가 다양한 이본 활용이 안 되고 있고, 초창기 연구의 학자가 내놓은 결론만 다뤄진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또한 교과서에 수록된 <춘향전> 수록 장면이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작품 전체를 이해하는 데 있어, 텍스트의 전반적인 연구 없이, 이전의 연구나 성과를 따라서 반복되어오는 교과서 수록문제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였다. 두 번째로는 고전소설을 가르치는 교사의 역량에 대한 자기평가 설문지 분석을 통해 교사 스스로가 고전소설교육에 얼마나 의욕적이고 전문가적인 태도를 갖췄는지 살펴보았다. 설문 결과를 통하여, 고전소설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자신의 역량에 대한 기대치는 큰 반면, 텍스트를 읽지 않고, 강의식 수업 위주로 가르치는 교사의 태도를 살필 수 있었다. 또한 교사 입장에서, 학교현장에서 과연 고전소설을 가르칠 수 있는 좋은 교육환경이 제시되었는지에 대해 점검하였다. 그리고 학교 수업으로 고전소설 수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고전소설교육에도 관심이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5명의 인터뷰를 통해, <춘향전> 수업을 실례로, 고전소설 학습의 어려움과 문제점 및 희망하는 수업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고전소설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와 설문조사, 인터뷰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및 교과 측면으로는 작품 수록양상, 이본교육에 대한 필요성, 기존 연구에 대한 점검 등을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현장의 제반 조건이 열악함을 지적하며, 교사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이에 맞춰 역량 강화를 위한 대안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좋은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학업적 역량을 갖출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도 대해 제시해보았다. 그리고 학생들 스스로도 고전 소설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독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흥미로운 고전소설 교육을 만들어야함을 제시하였다. 고전소설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으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여, 새로운 수업 모형을 보여주거나, 또는 현 교육 체제에 대한 비판을 제시한 연구들은 많다. 하지만 가장 기본이 되어야하는 것은 구체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하게 여겨왔던 교과서 내용에 대한 불편한 진실과 교사들의 부화뇌동하는 태도가 지금의 고전문학교육을 만들었다고 본다. 변하려면, 진실을 직시해야하고, 그에 맞서 움직이며 대안을 모색하는 전문가 교사가 필요하며, 그를 믿고 학생들이 따라주는 모습이 교육현장에서 일어나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problems involving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by referring to the researches into "Choonhyangjeon," a model work of the classical novels and thereupon, suggest some practical, not macro, alternatives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need to learn about the classical novels and the objective of the learning, and thereupon, addressed the problems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by referring to the preceding studies. Thereupon, "Choonhyangjeon" that is most famous and featured in the textbooks was sampled, and thereby, the conditions of the education of "Choonhyangjeon" were examined to address some more specific problems of the education. First of all, the problems involving the education of "Choonhyangjeon" were addressed in term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how "Choonhyangjeon" had been edited in the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based on the 2009 Amend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new literature textbooks edited by 11 publishers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inclusion of the novel, the section of the inclusion and the sourc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exts of the classical novels edited in the textbooks did not much refer to the diverse versions, featuring only the conclusions suggested earlier by the scholars. In addition, the scenes of "Choonhyangjeon" edited in the textbooks were limited. Namely, an overall research into the entire text was omitted, and instead, preceding researches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reflected intact. Second,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teachers to analyze how much they were positive and professional as classical novel educato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teachers' expectation of their awareness and competence was high, they were not reading the texts but only instructing them. Moreove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regard to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was checked from teacher's perspective. Next, the researcher had interviews with 5 grammar school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lassical novel classrooms, being interested in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to survey their perceptions of the difficulty of learning the classical novels and the educational problems thereof as well as their desired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suggest their reform measure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ut forward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First of all, conditions of the work included, need for the education of the diverse versions, and the results from reviewing the preceding studies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poor conditions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an alternative was emphasized to comprehend teachers' difficulties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e. Furthermore, a desirable method was suggested to develop quality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ducate the students on the classical novels more effectively. Besides, a method was suggested to lessen the students' repulsion of the classical novels and encourage them to read the classical novels that would be edited in a more interesting way. There are many preceding studies that address the problems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suggest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guides, showing a new classroom model or criticizing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However, what is deemed essential is to address the specific problems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and explore some practical alternatives. The researcher perceives that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have been attributable to the inconvenient truth of 'the textbook contents not verified' and teachers' acquiescence to the inconvenient truth. For a reform, we need to face the truth on the scene of education, exploring the alternatives positively, while encouraging the students to follow our lead.
이지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착근도와 직무소진의 구성요소별로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직무착근도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이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소진에 직무착근도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조직시민행동에 직무착근도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무착근도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지역에 위치한 국내기업, 외국계기업, 공공기관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336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활용한 척도를 본 연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직무착근도는 적합성, 희생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직무소진은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 개인성취감의 감소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매개변수인 조직시민행동은 OCBO, OCBI의 2가지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착근도 구성요소는 적합성, 희생으로 이들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다. 즉, 직무착근도가 높은 사람은 직무소진이 줄어들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직무착근도의 구성요소 중 적합성이 희생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착근도 구성요소는 적합성, 희생으로 이들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즉, 직무착근도가 높은 사람은 조직시민행동이 높아진다. 세부적으로는 직무착근도의 구성요소 중 적합성이 희생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착근도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은 매개효과를 가진다. 직무착근도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조직시민행동을 통해서 소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는 조직시민행동이 높은 사람은 직무소진이 줄어 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직무착근도가 높아지면 소진을 줄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직무착근도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덧붙여 조직시민행동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함과 동시에 직무착근도, 직무소진, 조직시민행동 각각의 하위요인들이 갖게 되는 의미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omponents of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each affect, and empirically reveal how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The study subjects to achieve such purpose are the following. First, how does job embeddedness affect job burnout? Second, how does job embeddedness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Does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ve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To solve the study subjects stated above, 336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organizational members of domestic corporations, foreign-affiliated companies, and public agencies located in Seoul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First of all, to apply the criteria used in previous studies,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ducted. Job embeddednes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set in 2 subfactors: suitability and sacrifice; job burnout, a dependent variable, in 3 subfactors: emotional burnout,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fulfill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parameter, in 2 subfactors: OCBO and OCBI.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components of job embeddedness, suitability and sacrifice,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job burnou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job embedded, the more the job burnout decreases. Specifically, suitability has larger effect than sacrifice. Second, the components of job embeddedness, suitability and sacrifice,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is, the higher the job embeddedness, the mor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creases. Specifically, suitability has larger effect than sacrifice. Thir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job burnout. The components of job embedded individually affect the burnout, or indirectly affect the burnout throug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ignifies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less job burnout occurs. Such result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as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increase in job embeddedness can decrease the burnout. Als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it empirically revealed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ffects on job burnout,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job embeddedness a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tudied the meanings of each subfactor of job embeddedness, job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detail.
후고 볼프 <뫼리케 가곡집> 분석 연구 : '신화 또는 설화 내용'을 주제로 한 16번, 44번 그리고 48번을 중심으로
이지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논 문 개 요 본 논문은 19세기 문학과 음악이 결합된 ‘예술가곡’(Kunstlied)을 볼프(Hugo Philipp Jacob Wolf, 1860-1903)의 《뫼리케 가곡집》(M?rike Lieder)을 중심에 두고 연구하였다. 볼프는 시와 음악의 결합에 주력하였고, 1888년을 시작으로 약 2년 동안 250곡에 이르는 가곡을 작곡하였다. 그의 대표적인 가곡집 중 본 논문에서 다뤄질 《뫼리케 가곡집》은 비더마이어 문학을 대표하는 서정시인 중 한 사람인 에두아르트 뫼리케(Eduard Friedrich M?rike, 1804-1875)의 시에 볼프가 1년도 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작곡한 곡을 모은 것이다. 본 논문은 《뫼리케 가곡집》에 포함된 53곡 가운데 주제가 ‘신화 또는 설화’를 담고 있는 제16번 ‘요정의 노래’(Elfenlied), 제44번 ‘불의기사’(Der Feuerreiter) 그리고 제48번 ‘황새의 심부름’(Storchenbotschaft)’을 분석하였다. 볼프의 가곡 작곡 경향과 뫼리케의 시 창작 경향을 살펴보았고, 이는 작품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뫼리케 가곡집》에 포함된 53곡 가사의 주제별 분류가 문헌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53곡 가사의 주제별 분류를 비교 하였고,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분석하는 3곡의 선정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작품분석은 시를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던 볼프가 가사와 음악을 어떻게 결합 하였는지 그리고 가사를 충실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회의 견제 기능 사례분석과 개선대안
본 연구는 한국 지방의회의 견제기능이 약한 원인을 분석하고 서울시의회의 경험적 사례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 지방자치는 1949년 지방자치법이 제정된 이후 30여 년간의 단절로 인하여 그 역사는 길지 않다. 1991년 지방의원 선거 부활을 시작으로 1995년 지방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을 동시선거를 실시함에 따라 명실상부 지방자치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하지만 지방정부의 구성 및 운영의 근간을 두고 있는 지방자치법은 ‘강시장-약의회형’의 권력구조에 근거하여 제정되었고 중앙집권적 정부의 역사적 배경은 의회가 더 많은 권한을 부여받는데 걸림돌이 되어오고 있다. 21세기 들어 지방자치시대가 본격화되고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에 대한 주민들의 의사표현 및 참여욕구가 높아지면서, 주민의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고 정책을 실현하는 일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지역주민을 대표하는 의원들로 구성된 지방의회와 지방행정 전체를 총괄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기대치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의 업무의 효율성을 이유로 많은 권한들이 지방의회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부여된 ‘강시장-약의회형’은 주민의 다양한 의사를 전달 및 정책결정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지방의회 약한 견제기능의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분석이 있어 왔다. 제도상의 문제, 지방의원의 역량상의 문제, 지방의회 운영상의 문제 등 현재 지방의회 기능상 문제점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의회가 역량상의 변화를 가져온 계기나 운영의 묘를 살려 지방의회 견제기능을 더욱 공고하게 할 수 있었던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의회의 기능에 대한 회의적인 이유는 근본적으로 제도의 정비가 무엇보다 선행될 때 지방의회의 본질적 기능이 회복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지방의회 견제권의 제도적 한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방의회 권한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행정감시권과 입법권, 심의?의결권 및 통제권이다. 네 가지 권한을 토대로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권의 문제점, 조례입법권의 미비, 예산의결권과 공유재산심의권의 법률상 한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의회사무처 인사권 독립의 필요성과 출석요구권 및 자료요구권의 개정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는 서울시의회 제7대(2006-2010)와 제8대(2010-현재) 의원들의 의정활동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제도의 문제점과 미비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갈수록 발달하고 분화되고 있는 지방자치시대에 민주주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다양한 민의의 반영을 위해선 지방의회의 약한 견제권은 개선되어야 한다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지방의회의 역할과 취지에 맞게 권한이 실행되기 위하여 더 많은 세부 제도들이 보완되어야 하며 미비한 법령은 개선되어야 한다. 지방의회 권한으로 주어진 현행법과 제도가 본 취지에 맞게만 변경되더라도 지방의회 견제기능은 한층 강화되고 지방의회 수준은 상승할 것이다. 또한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대안들이 현실정치에서 바로 실현된다면 지방의회의 견제기능에 대한 비판이 낮아짐과 동시에 진정한 지방자치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지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소설 교육은 학습 독자에게 다양한 소설의 세계를 접하게 함으로써 문학적 감수성을 키우고 삶의 총체적인 모습을 탐구하게 하며 학습 독자들의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정서를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소설 교육을 살펴보면 학습 독자들이 감상의 주체가 되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함양하거나 이를 지속적으로 심화시켜나가는 활동을 하기보다는 소설 지식들을 많이 기억하는 방법만을 터득하는 수동적인 학습자가 되어, 주체로서의 학습 독자를 길러낸다는 소설 교육의 궁극적 목표 달성이 어렵게 되었다. 교육 과정에서도 학습 독자의 활동을 당위적 입장에서 중시할 뿐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소설 수업 모형이나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아 실제 현장에서 학습 목표의 달성 및 수업 방법의 구안 등은 교사의 개인적인 능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교사 중심, 텍스트 중심, 내용 중심의 소설 지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소설 교수·학습의 장에서 학습 독자들이 감상의 주체로 설 수 있는 전략 중심의 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소설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예비 작업으로, 7차 교육 과정에 제시된 소설 교육의 목표와 기존의 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전략 중심의 소설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그 실천 방안을 “도입 - 개괄적 접근 - 분석적 접근 - 종합적 접근 - 체험의 확대 - 내면화”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각 단계의 학습 활동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중학교 1학년 2학기 교과서에 수록된 “소나기”에 실제 적용해 보았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전략 중심 소설 교수·학습 모형의 기대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Novel education should promote to raise literary sensibility, explore the holistic aspects of life, improve thinking ability, and develop readers' emotion abundantly by letting learners experience various types of novel. However, learning readers under current novel education just acquire how to memorize plenty of knowledge of novel as passive learners rather than understand the literary works spontaneously, enhance the ability to appreciate literature, and deepen it continuously as subjects of appreciation.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attain the ultimate objects of novel education, which is to educate learners as subjective readers. In addition, eve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taches importance to the learning readers' activities just in a formal position, but it doesn't suggest any specific novel teaching models or strategies to foster voluntary readers. As a result, designing practical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ultimate learning objectives depends solely upon the individual instructors' ability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ise the strategy-based novel teaching-learning models, which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eacher-centered, text-based, and content-based novel instruction so that students can be voluntary readers. For the sake of this, in chapter Ⅱ, the existing objectives of novel education and the teaching-learning models being used at present in the novel instruction are reviewed as a preliminary process in preparation for the strategies-based novel instruction plans. Chapter Ⅲ presents the strategies-based novel teaching-learning model laying stress on the following factors, and suggested the practice procedure ,which consists in six steps: "introduction - general approaches - analytic approaches - synthetic approaches - extension of experiences - internalization." It also embodies learning activities in each step and applies them to the novel "So-Na-Gi" which is included in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The last chapter discusses expected effect of strategies-based teaching-learning models as a result of this study.
집단괴롭힘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이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본 연구는 집단괴롭힘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우울 인지, 적대적 인지, 사회불안 인지, 신체적위협 인지)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대한 주요한 예측변인인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자동적 사고, 가해행동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괴롭힘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의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 학생 526명이었으며, 이중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있는 418명의 자료를 최종 연구문제의 분석대상으로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있는 학생의 자료만을 추출하여 이를 최종 연구문제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기 위해 집단괴롭힘 피해 및 가해 경험 정도를 빈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경험이 자동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자동적 사고(우울 인지, 적대적 인지, 사회불안 인지, 신체적위협 인지), 가해행동 변인 상호간의 관계를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집단괴롭힘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우울 인지, 적대적 인지, 사회불안 인지, 신체적위협 인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괴롭힘의 피해경험은 가해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피해경험이 많은 아동은 가해행동을 할 수 있는 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괴롭힘의 피해경험은 자동적 사고의 주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은 아동일수록 우울 인지, 적대적 인지, 사회불안 인지, 신체적위협 인지의 자동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자동적 사고의 각 하위 요인, 가해행동 변인 상호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충족시켰다. 넷째, 여아 집단에서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 인지와 적대적 인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남아의 경우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아의 피해경험은 우울 인지, 적대적 인지와 관련된 방향으로 형성될 때 가해행동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며, 남아의 피해경험은 그 자체로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의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밝혀냄으로써, 집단괴롭힘과 관련된 아동의 인지적 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보다 효율적인 상담개입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ediational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hich are brought from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erience of victim of bullying and bullying behavior. The subjects were 526 5th and 6th grade school children in Seoul and Kyonggi. Among them, 418 children who have been victimized of bullying were included as the analyzing subject and analyzed by SAS, one of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xperience of victim of bullying was important factor to predict bullying, which means children who have been frequently victimized of bullying have higher dangerousness to attack other children with bullying behaviors. Second, the experience of victim of bullying was significant predictable factor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other words, children who have had higher experience of victim from bullying have higher negative automatic thoughts such as, depression, hostility, social anxiety, physical threat. Third, the experience of victim of bully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each subordinate elemen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bullying behavior variables. Thus, it satisfied conditions for verifying mediational effects. Lastly, girls showed depressed and hostile cognitive mediational effects about how the experience of victim of bullying influences on bullying behaviors, while boys had no mediational effe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irls' the experience of victim of bullying effects on bullying behaviors more strongly than boys, and boys' the experience of victim of bullying is a significant factor to influence on bullying behaviors. The study's significances, based on results which mentioned above, are to identify the connection how the experience of victim of bullying turns to bullying behaviors and to improve the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cognitive elements to children who are related to bullying by finding mediational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hich influence on above connection. Additio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to set up more efficient devices for couns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