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종일 대구교육대학교 2001 論文集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ociety and constructivism, performance assessment and qualitative method. The research on those relationships has tended to focus on causal explanation; while this study adopts the Weber's elective affinity in the research method. The Weber's elective affinity points the inter-independent variables rather than causal-effect variables. According to McLuhan' communication theory, information society is brought out in electric media period after oral media stage and literate media period. The information society gives peopl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e constructivism is brought out as result of the reaction of negative aspect that information society helps to reduce power of men' thought.
이종일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지금까지 협동학습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협동학습의 절차나 방법 그리고 소집단에 대한 소재에 편중되고 있다. 그 결과 제시된 절차와 방법을 순서대로 따라가면 누구나 협동 수업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했다. 하지만 하나의 협동학습 모형이 성공적으로 실현되는 데는 학습모형과 절차 그리고 그것이 이루어지는 공식적 집단 이외에 여러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작용한다. 특히 협동적 가치를 지지하는 사회 구성원들의 문화적 맥락, 헙동 수업이 개인적 · 경쟁적 수업보다 더 좋은 수업이라고 생각하는 교사의 가치관, 그리고 학습이 이루어지는 기초집단과 비공식적인 집단의 협동적 성격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 연구자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협동학습에서 LT(Learning Together)접근법의 필요성을 살펴보기에 앞서 협동학습 이론 도입에 따른 문화적 저항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밖 집단 문화의 요건, 협동적 기초집단의 요건, 공식적 · 비공식적 집단의 요건, 협동학습 수행을 위한 교사 개인적 자질 요건, 그리고 실제 하나의 수업 진행 과정 속에서 이들이 작용하는 위치를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종일 대구대학교 (한사대학) 사회복지연구소 2004 社會福祉硏究 Vol.26 No.-
과학이란 무엇인가가 이 글이 주제이다. 이 물음은 과학의 개념을 묻는 것일 수도 있고, 과학과 함께 우리가 하는 것이 무엇이냐는 것일 수도 있으며, 과학과 과학 아닌 것이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이것은 과학이 우리의 인생과 공동체에 도대체 어떤 가치가 있는가 라는 과학에 대한 평가적 문제의식의 물음이기도 하다. 과학행위를 하지 아니하고 과학 자체에 대하여 이렇게 묻는 일은 결국 과학철학적 작업이다. 과학철학은 과학이 인생과 공동체에 올바른 것이 되게 하려면 반드시 제기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 글에서 논자는 우선 과학이 종교, 철학, 예술, 기술 등과는 어떻게 다른지 또는 같은지 검톤한다. 그 다음 귀납주의 과학관과 반증주의 과학관과를 대조하고, 과학역사에 대한 탐구에서 솟아난 쿤의 과학관, 과히 아나키즘적인 파이아벤트의 과학관을 일별한다. 그리고 논자는 과학이 정녕 진정한 것이려면 이제 생태세계의 훼손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지혜로 거듭나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사회현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바람직한 사회를 열어 오는 데에 초석이고자 하는 사회과학의 진정한 방법이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이러닝 교과목 이수 지원을 위한 학습활동 기반 피드백 시스템
이종일,손진곤 이러닝학회 2015 이러닝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6 No.1
이러닝 학습자들은 부족하고 불규칙한 학습시간 그리고 학습과제의 제출기한을 넘기는 일로 교과목 이수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바쁜 직장 생활로 기본적인 학습활동을 못하였을 때, 이에 대한 피드백이 없어 교과목 이수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학습 진도의 정상화를 유도하고 중도탈락을 예방하여 교과목 이수를 지원하는 피드백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과목 이수를 위해 계획된 학습단계별 학습활동과 학습자의 실제 학습활동과 비교하여, 계획된 학습활동을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와 학습자의 학습패턴과 어긋날 경우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