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재 송병선의 놀이방식과 의의 - 그의 유기를 바탕으로 -

        유영(Young-Bong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8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 1836-1905)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다. 생전에 유림(儒林)의 신임을 얻었고 여러 차례 조정에서 불렀으나 공직을 거부하고 재야에서 정진하고 후학 교육에 평생을 바쳤다.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연재는 고종에게 을사조약의 폐지를 간청하였고 그의 뜻이 이루어지지 못하자 선비의 양심으로 회덕(懷德)에 있는 고택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연재는 사림(士林)의 지도자로서의 의무를 다하면서 국권 회복에 대한 메시지를 왕과 백성, 유림에게 남기고 왕에게 최후의 호소를 보낸 것이다. 이후 1962년 연재는 건국훈장을 받았다. 송병선의 여행은 일생에 걸쳐 이루어졌다. 22개의 길고 짧은 여행기가 남아있다. 소풍은 주로 육지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대부분이 말이나 노새를 탔고 때때로 수레나 가마를 사용했다 또한 그는 때때로 수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일부 여행기에는 내륙 수로와 해로를 이용한 기록이 있으며 조상 유물을 찾아가는 여정의 기록도 있다. 이 과정에서 가문의 계승이라는 사명을 재확인하고 선조들의 찬란한 위업의 일부가 되겠다는 의지도 확인된다. 또한 견학에는 경전 낭독과 성리학 토론이 추가되었으며 그의 여행은 성리학의 세계관을 널리 알리고 확장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그리하여 연재는 선조들이 남긴 존왕양이(尊王攘夷)의 정신을 이어받아 마침내 위정척사(衛正斥邪)의 기치를 높이 올렸다. 그리고 그는 과감하게 나라를 위해 죽음의 길을 떠났다. Yeonjae(淵齋) Song Byeong-seon(宋秉璿, 1836-1905) was the ninth-generation descendant of Uam (尤庵) Song Si-yeol (宋時烈). During his lifetime, he gained the trust of Yu-rim(儒林) and was called to the court several times. However, he eventually refused an official] post and spent his life cultivating his studies in the wild. When the Eulsa Treaty(乙巳條約) was signed on November 17, Yeonjae pleaded with King Gojong about the abolition of the treaty. And on the morning of December 30, Yeon-jae committed suicide at his old house in Hoedeok(懷德). At this time, Yeon-jae sent the final appeal to the king, leaving a message to the king, the people, and Yu-rim about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fulfilling his duties as a leader of Sarim(士林). After that, in 1962, Yeonjae was awarded the Order of Independence Medal of National Founding. Song Byeong-seon"s excursions took place throughout his life. 22 long and short travelogues are existed today. The excursions were mainly done by land, so most of them rode horses or mules. He sometimes used floats or kilns. But he sometimes knew how to use the waterways effectively. This is because in some travel reports, routes using inland waterways and sea routes appear. The journey of the series continues all the way to finding the relics of his ancestors. In this process, it is clear that he reaffirmed its mission of succession to the family and promised to be a part of the brilliant feat of the ancestors. In addition, the reading of the scriptures and Neo-Confucian discussion were added to the excursions. His excursions continued as a means of publicizing and expanding the Neo-Confucian worldview. Thus, Yeonjae inherited the spirit of John Wangyangi(尊王攘夷) left by his ancestors, and finally raised the banner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high. And he resolutely set out on the road to death for the count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江漢 黃景源의 詩世界 – 세 편의 辭와 紀行詩를 중심으로

        유영 우리한문학회 2019 漢文學報 Vol.41 No.-

        To Kang Han(江漢) Hwang Gyeongwon(黃景源; 1709~1787), Oh Won(吳瑗) and Nam Yooyong(南有容) were the good friends of his lifetime. With comparable sentence dexterity, they tasted an era, but again prominent in prose. In contrast, the two friends had remained in verse, and in the aftermath, the strong poet said that it was a pity verse from alive. Strong in this regard, he would have chosen a more liberal GoSi(古詩) style in form and rhetorical to suit his reputation as an advisor, and he would have been reluctant to show his work to others. In this sense, he should have avoided as much as possible the writing of the HwaWoon-poet(和韻詩) and ManSi-poet(挽詩), which focuses on the form of GeunChe-poet(近體詩).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e momentary impact of seeing the beautiful scenery during the trip on a young day was willing to take notice. In summary, Strong prefers the GoSi(古詩) form of notice formally as an adviser. As a figure overflowing with histories, he showed his skill in the creation of his works and consular poems based on history. In addition, based on the literary quickness shown in the two YeonGu-poet(聯句詩), he can be said to have focused on SanSu-poet(山水詩) and GiHaeng-poet(紀行詩) with a long breath in his youth. These are the unique poems of Strong Bay and their unique values. 『朝鮮王朝實錄』에 수록된 江漢 黃景源(1709~1787)의 卒記 가운데 일부를 보면, “또한 답습하는 데에서 큰 잘못이 생겼으며, 詩도 공교하지 못해 식자들이 한스럽게 여겼다.”라고 하여, 칭찬의 말미에서 슬쩍 강한을 깎아내렸다. 그러나 이런 약점에도 강한은 300수 가까운 시들을 문집에 남겼다. 강한은 「도담창화시에 붙인 서문[島潭唱和詩序]」의 앞부분에서“나는 젊었을 적에 海州 吳瑗 伯玉과 宜寧 南有容 德哉 두 사람을 따라 단양군으로부터 도담에 들어가 강가에서 잠을 잔 적이 있다. 두 사람은 문장을 잘하고 산수를 좋아하여, 밤중에 강 한복판으로 배를 끌고 가 띄웠다. …… 이윽고 운을 내어 詩歌를 짓고 서로 唱酬하여 古詩와 絶句ㆍ律詩 도합 20편을 이루었다. 시어의 정밀하고 거칢과 辭의 완만하고 촉급함이 비록 서로 같지 않았으나, 모두 性情의 진실함에서 나온 것이라서 彫琢이나 修飾을 한 것이 아니었다.”라고 하였다. 바로 이 언급에 주목한다면, 강한이 평생에 걸쳐 고시를 위주로 창작한 것은 당연한 귀결이라고 하겠다. 완강한 외형적인 틀 안에 彫琢이나 修飾을 가하는 것이 근체시의 특징인 까닭이다. 아울러 강한은 산수를 노래한 景物詩에 다음과 같이 무게를 얹었다. “예로부터 詩歌는 많고 성대하지 않음이 없었으나, 산수의 즐거움을 다하여 오묘함을 잘 드러낸 작품은 얼마 되지 않는다. 지금 두 사람은 문장으로 사방에 이름이 알려졌고, 산수에 대해서 사랑하지 않는 바가 없다. 그 가운데 도담의 삼봉을 더욱 사랑하였으니, 시가로 표현하여 산수의 오묘함을 형용한 것 역시 훌륭하다. 나 경원은 비록 어리석고 비루하여 두 사람과 비교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나 두 사람이 문장에서 나와 선후를 다투는 것을 즐겨하니, 어찌 聲氣가 感通한 바 있어서가 아니겠는가.” 강한에게 오원과 남유용은 平生의 知己였다. 대등한 문장 솜씨로 이들은 한 시대를 풍미했지만, 역시 산문에서는 강한이 두각을 드러냈다. 이에 비해 두 친구는 운문에서 남음이 있었으니, 그 여파로 강한은 살아서부터 운문이 아쉽다는 평을 들었던 것이다. 이에 강한은 고문가로서의 명성에 걸맞게 형식과 수사적인 부분에서 보다 자유로운 古詩를 선택하였을 것이고, 평소 자신의 작품을 남에게 내보이길 꺼렸으리라 짐작된다. 연유에서 그는 근체시 형식을 위주로 하는 和韻詩나 挽詩의 創作을 가능한 한 기피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젊은 나날에 여행 중의 아름다운 풍광을 보고 느낀 순간적인 충격은 기꺼이 고시의 양식에 담았다고 여겨진다. 요약하면, 강한은 고문가답게 형식적으로는 고시 형식을 선호하였다. 그리하여 ‘史才’ 넘치던 인물답게, 역사를 소재로 삼은 辭와 영사시의 창작에 기량을 드러냈다. 뿐만 아니라 두 편의 聯句詩에서 보여주는 문학적인 순발력을 기반으로, 젊은 시절에 자신의 소신에 따라 긴 호흡으로 山水詩와 紀行詩에 주력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바로 이런 점들이 강한만의 독특한 시세계이자, 강한의 시들이 지닌 고유한 가치라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의 시문(詩文)에 깃든 가족사(家族史)[1]

        유영 우리한문학회 2013 漢文學報 Vol.29 No.-

        김수항(1629~1689년)의 본관은 安東으로, 자는 久之이며, 시호는 文忠이다. 그의 증조부는 新 安東金氏 일문을 일으킨 인물로, 原從功臣에 봉해진 金克孝다. 조부는 정묘호란 때의 대표적인 척화신 金尙憲이다. 그리고 공조참판 金壽增과 영의정 金壽興은 그의 형들이다. 문곡은 조부 김상헌에게 家學을 이어받았다. 그는 1656년(효종 7) 문과중시에 급제하여 正言ㆍ校理 등을 거쳐 吏曹正郞과 大司諫에 올랐으니, 그는 이미 20대에 쉽사리 당상관이 되었다. 33세인 1662년에는 吏曹參判이 되었으며, 이듬해 大提學에 특진하여 노론의 영수로 士論을 이끌었다. 1672년(현종 13) 44세의 나이에 우의정으로 발탁되어 대제학을 겸임하였고, 1674년(현종 15) 좌의정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숙종 즉위 후 尹휴ㆍ許積ㆍ許穆을 배척하고 宗室 福昌君 楨과 福善君 枏 형제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남인의 미움을 받아 전라도 영암에 유배되었다가, 1678년(숙종 4)에 다시 강원도 철원으로 移配되었다. 1680년(숙종 6) 庚申大黜陟이 일어나 領中樞府事로 복귀하여, 4월에 영의정으로서 남인의 옥사를 주도하였다. 그러나 己巳換局으로 남인이 재집권하자, 掌令 金邦杰 등의 탄핵을 받아 진도로 유배되어, 그 해에 賜死되었다. 문곡은 도합 9남1녀를 자식으로 두었는데, 昌集ㆍ昌協ㆍ昌翕ㆍ昌業ㆍ昌緝ㆍ昌立이 모두 문장으로 가문을 빛냈다. 이들은 ‘六昌’으로 일컬어진다. 그런데 그의 문집에는 애절한 思母曲과 심양으로 끌려간 할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어릴 때 자라던 외가의 추억 등을 위시해, 4남1녀를 먼저 저승으로 보내고 지은 슬픈 내용의 詩文들이 상당수 등장한다. 자식들의 사망 순서는 넷째아들 昌燮, 여섯째아들 昌習, 아홉째아들 七龍, 외동딸, 여덟째아들 昌立이다. 본고는 가족사가 담긴 문곡의 시문들을 차례로 다루었다. 완고하게 비쳐지는 노론 핵심세력의 경직된 표정 뒤에 숨은 애잔하고도 서러운 내용의 작품 검토를 통해, 온화하고도 자상한 성품으로 온 집안을 보듬었던 문곡의 다정다감한 인간미를 엿보았다. 그리고 그런 그가 어떤 환경을 거치면서 노론을 이끄는 인물로, 反淸의 主役으로 성장했는지도 부분적으로나마 유추해보았다.

      • KCI등재

        ?溪 兪好仁이 남긴 <續匪懈堂四十八詠>과 몇 편의 ‘謠’에 관해

        유영 우리한문학회 2007 漢文學報 Vol.17 No.-

        Seongjong(成宗) treated one's subordinate, Ho-In Yoo(兪好仁), kindly. He composed a shijo(時調) of farewell for him who leave for a local government post to honor his parent, and took care of his way into government service. One day Seongjong composed "Sogbihaedandsasippalyeong(續匪懈堂四十八詠)" after the pattern of "Bihaedandsasippalyeong(匪懈堂四十八詠)" written by "Anpyeongdaegun(安平大君)". Gwi-Dal Hong(洪貴達) and Su Chae(蔡壽) of Hungu(勳舊派) group as well as Ho-In Yoo and Il-Son Kim(金馹孫) of Sarim(士林派) group took part in the composition. Ho-In Yoo composed a few of "Gyobangyo(敎坊謠)" and "Hyanggyoyo(鄕校謠)" when he was in a government post which was not a song leading people's temper into the right path but also a poetry recompensing Seongjong's favor. Accordingly, "Sogbihaedandsasippalyeong" is a Seongjong's friendship for Ho-In Yoo, and a few of "Hyanggyoyo" written by Ho-In Yoo are a requital for Seongjong's kindness. 朝鮮의 成宗朝는 嶺南 士林派가 대거 등장한 시기이다. 이때 훈구파와 사림파는 정치적인 현안 문제부터 문학적인 색채까지 서로 다른 주장을 내세웠다. 그런데 이들의 대립 속에서, 성종은 적절한 안배와 균형을 통해 세종조의 文化에 뒤지지 않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이 과정에서 성종에게 남다른 사랑을 받았던 인물은 다름 아닌 뇌계이다. 벼슬길에 들어선 이후, 뇌계는 몇 차례 乞養을 이유로 사직을 원하지만, 성종은 그때마다 그를 위해 外職을 배려해준다. 그리고는 해마다 6월과 12월이면 그가 지은 저작들 가운데 좋은 작품들을 가려 뽑아 베낀 다음, 바치도록 명하였다. 「속비해당사십팔영」 또한 성종이 뇌계에게 베푼 優待의 産物이다. 성종은 세종의 셋째 아들이었던 匪懈堂 李瑢이 생전에 集賢殿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남긴 「비해당사십팔영」의 전통을 잇고자 하였다. 이때 선택 받은 인물들은 훈구파의 洪貴達과 蔡壽, 그리고 사림파의 뇌계와 金馹孫이었다. 이들은 훈구파와 사림파를 대표하는 筆陣이었다. 성종의 특별한 인정 속에 안팎의 벼슬길을 드나들었던 뇌계는 외직에 있으면서도 늘 궁 밖의 현실을 임금께 전하고자 노력하였다. 뇌계는 안동과 화산, 영천향교 등 세 곳에 노래를 지어주어 後生의 啓導에 앞장서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 세 곳의 敎坊에서 불리던 노래를 한시로 옮김으로써, 민간의 노래 내용을 그대로 왕에게 전달하고자하였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남은 작품들이 ‘향교요’와 ‘교방요’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