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행평가의 개념과 양호도

        부재율,양길석 安岩敎育學會 1999 한국교육학연구 Vol.5 No.1ㆍ2

        본 논문은 최근 교육개혁의 차원에서 학교교육에 도입·강조되고 있는 수행평가와 관련하여 그 개념의 명료화를 시도하고, 질 높은 수행평가의 요건 즉, 수행평가의 양호도 평가의 준거를 검토·제시하며, 나아가 수행평가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제언을 덧붙인 것이다. 최근 지식관, 학습관, 학습자관의 변화와 시대·사회적인 요구에 따라 평가의 목적, 기능, 방법 등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수행평가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수행평가는 전혀 새로운 것이라기보다는 이러한 변화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많이 지닌 기존의 평가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과거의 지필식 선다형 평가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아닌 상호 보완적인 평가임을 인식해야 하며, 궁극적으로 학습의 향상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평가의 맥락에서 수행평가를 이해해야 한다. 모든 평가가 좋은 평가가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양호도 조건들은 수행평가에도 적용된다. 수행평가 자체가 그 양호도 조건을 그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질 높은 수행평가, 좋은 수행평가가 될 때 현대의 교육의 변화를 반명하고 시대·사회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수체제개발에서의 구성주의와 교수주의

        최욱,양길석 安岩敎育學會 1998 한국교육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교수체제의 개발의 교수·학습활동 설계에서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교수주의와 구성주의의 주요 논점에 대해 고찰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수·학습 환경의 설정을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논해 보는데 주목적을 가지로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두 학습이론의 대립적인 논쟁을 피하고, 절충적이고 발전적인 통합을 통해 새로운 교수·학습의 패러다임(paradigm)을 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두 학습이론의 수업실제에 관한 논의를 1) 교수 가능성, 2) 수업의 통제, 3) 협동학습, 4) 수업의 조직화, 5) 상황인지 학습, 6) 수업평가와 관련해서 상세히 다루어 보았다.

      • KCI등재

        전문가 판단방법에 따른 문항 간 차등배점의 타당성 연구

        양길석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tial Item Weighting(DIW) assigning different points on items based on expert judg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oints, the degree of agreement among experts on different points,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points and equal points on item, and the reliability of test scores according to different points and same points on items were analysed in the eighth Test Of Proficiency In Korea(TOPIK; Level 2).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report that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item developers between subject matters in item weighting was low, DIW made little difference in examinee' test scores as well as reliabil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cores based on DIW and those based on equal weighting was close to 1. The study shows that DIW based on expert judgement could cause artificial crimination among examinees and the impact of the crimination could be highly significant. Thus, it is necessary that DIW should be made with more caution, especially in high stake testing situation. 이 연구는 검사점수를 구성하는 문항점수와 관련하여, 우리 교육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전문가 판단방법에 따른 차등배점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제8회 한국어능력시험(2급)을 대상으로, 차등배점이 부여된 문항의 특성, 차등배점에 대한 전문가 간 판단의 일치도, 차등배점과 동일배점 방식에 따른 검사점수 간 상관 및 각 방식별 검사신뢰도, 그리고 배점 방식에 따른 과목별 과락 여부 및 2급시험 합격 여부의 일치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 측면에서 높은 배점이 부여된 문항과 낮은 배점이 부여된 문항 간에 일정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며, 출제진에 의한 차등배점과 3명의 한국어교육 전문가에 의한 차등배점 간에 일치도가 높지는 않았다. 문항배점 방식에 따른 검사점수 간 상관이 높고 검사신뢰도도 모두 양호했지만, 검사신뢰도는 차등배점보다 동일배점 방식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문항배점 방식 간 과목별 과락 여부와 최종 합격 여부의 판정결과도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일부 수험자의 경우에는 변동이 있었다. 따라서 전문가 판단에 의한 차등배점 방식은 그 판단 기준이 명료하지 않고 전문가 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다소 임의적이고, 동일배점 방식에 비해 신뢰도를 더 높이지는 않으며, 일부 수험자의 경우 배점방식에 따라 과목별 과락 여부와 최종 합격 여부가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선발시험의 경우 일정한 검사 양호도를 확보하면서도 점수 가지 수를 늘린다는 차등배점의 일반적인 장점을 일부 인정하나, 반대로 수험자를 줄 세울 필요가 없는 자격부여 시험에서는 굳이 차등배점을 적용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미국 NCLB 평가정책의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고찰 :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양길석,성열관 한국교육방법학회 2009 교육방법연구 Vol.21 No.1

        The study compares new Korean plan of achievement tests with NCLB Act in terms of commonality and differences in an effort to obtain implications out of lessons from the U.S.A. Recently Korean educators confront a situation in which the government borrowed nation-wide accountability tests that it is believed to hold schools accountable for results. It is interesting to know such evaluation system in Korea has much common with the core of NCLB Act: No child left untested, Adequate Yearly Progress, School information report system School choice related. On the other hand, educational culture and problems are in the remarkable contrast across two countries so that it should be examined if the introduction of such evaluation system is still valid to guide classroom practice in a educationally desired direction. In addition theoretical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lso made through the view of MDI (measurement-driven instruction), ADI (assessment-driven instruction), and UbD (Understanding by Design). As a result, authors doubt a feasibility of planned policies and try to give an caution to the idea of tests for all students and its release to the public even though it is supposed to present in a ratio of ranks.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 영향 요인에 대한 메타 연구

        양길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대학 강의평가 영향 요인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그동안 연구된 영향 요인들을 추출·분류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종합하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결과 산출을 위해 영향 요인들의 통제 여부 및 방안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함으로써 대학 강의평가의 질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검색을 통하여 강의평가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물 총 24편을 추출·선정한 후, 연구에서 활용된 변인들을 학생, 교수, 강좌 특성의 세 범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메타분석의 고전적 방법인 투표계산법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통합한 후 유의미한 영향 요인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통합 결과 유의미한 변인을 대상으로 통제가능성(통제를 할 수 있는 것인지)과 통제정당성(통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이라는 두 가지 기준에 비추어 각 요인들의 통제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강의평가 영향 요인 변수는 총 28개였고, 그 중 검증된 결과들을 통합했을 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12개였으며, 통제의 가능성과 정당성 평가를 통해 통제적절성을 확보한 변인은 6개로 국한되었다. 끝으로 여러 대학을 대상으로 공통 도구와 변인을 활용한 연구 수행, 학생 특성 관련 변인의 탐색 활성화, 자료의 다층 속성을 반영한 위계선형모형의 활용, 주요 영향 요인을 고려한 결과의 합리적 활용, 교수의 교육역량과 학생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grate individual research findings of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at universities, to explain variation of individual research findings, and review the relevance of controling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24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major academic journal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28 variables(8 class-, 9 professor-, 11 student-related factors) were explored in the previous articles and the 12 variab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ntegrate the results of each research by vote-counting method. Second, the 6 variables were evaluated as good in the view of the appropriateness standard.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가중치를 적용한 강의평가 결과 분석

        양길석,박미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 of applying different weights and the result of applying equal weights to evaluation items and indexe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reasonably the result of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after 31 experts assigned different weights on evaluation items and indexes, this study calculated weighted items and weighted indexes through AHP analysi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eaching at C university during four semester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report that the weight of teaching result in evaluation items is biggest than the others and the weight of teaching preparation is smallest in the evaluation items. The weights between indexes is identified differently. Also there is gap between the raw score and the score of applying equal weights, which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statistics. In addition, there are much changes in ranking of teaching result. Thus, when adjusting number of evaluation indexes, the weight need to be considered. 이 연구의 목적은 강의평가 결과의 합리적 산출을 위해 평가 영역 간, 지표 간 비중을 설정하고, 그 비중을 적용한 결과와 동일 비중을 가진 원래의 결과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31명의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쌍대비교 설문지를 통해 영역 및 지표 간 비교 평정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평정 결과를 토대로 계층화분석법(AHP)에 따른 영역(강의준비, 강의태도, 강의방법, 강의결과) 및 지표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C대학교의 2009년 1학기부터 2010년 2학기까지 4학기 동안의 강좌별 평가 결과 자료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점수를 산출한 다음, 그 결과를 동일 비중을 적용했던 현행의 원점수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영역별로는 강의결과 영역의 가중치가 가장 컸고, 강의준비 영역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문항 간 비중도 상호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와 기존 결과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강좌별 순위의 변화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강의평가의 영역별 문항 수를 조정하거나 재구성할 경우 평가 영역별 비중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평가 영역 및 지표별 비중을 반영하는 점수 산출 방안을 마련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체제(9등급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양길석 안암교육학회 2006 한국교육학연구 Vol.12 No.2

        While current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 reporting includes standardized scores and percentiles as well as K-stanines, Minister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MEHR) announced that only K-stanine score will be reported from 2008 school year CSAT. This study examined some measurement issues of K-stanine score and presented the problems of K-stanine sc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liminary CSATs, K-stanine score distributions are not satisfied with respect to the assumption of normal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proportions of K-stanines don't correspond with those of stanines significantly. Furthermore when one test' scores are negatively distributed and the other test's scores are positively distributed, the comparison of the two test's K-stanines is absurd. Also it is discussed that MEHR's policy will be effective. Since K-stanines scoring system is based on norm-referenced test, the mutual competition of examinees cannot but existed eternally.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s of the policy reducing examinee's pressure and sparing expense of private tutoring will not be held good. 2008 대입 개선안에 따라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는 영역/과목별 등급만 제공하게 된다. 현행 수능에서는 등급 외에 표준점수와 백분위가 함께 제공되어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등급만 제공될 때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학적 측면과 정책 효과 측면에서 수능 9등급제에 대해 그 타당성을 고찰하고 그 개선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수능 점수체제의 변화 과정을 통해 9등급제로 전환되는 배경을 살피고, 9등급제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정규분포 가정의 충족 여부, 등급별 산출비율의 안정성, 점수 비교의 합리성 등의 측정학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정책 효과 측면에서 수험생 부담 및 사교육비 경감 문제를 다루었다. 현 수능 9등급제는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등급별 산출비율도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수 분포가 편포된 경우도 종종 나타날 뿐만 아니라 등급의 동간성을 가정하기 힘들기 때문에, 등급 점수를 합산하거나 선택과목간 등급을 비교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9등급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 측정학적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문항 수 및 점수 가지 수 확대, 선택과목의 통합·조정, 공통 시험으로의 전환 등 시험 체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현행 대입제도 하에서 등급제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황에서는, 상대평가에 의한 9등급제에서 절대평가에 의한 등급제로 전환하는 것이 수능 시험의 교육적 의의를 높이고 수험생 부담을 경감하는 데 더 적절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