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James G. Frazer의 한국 문화에 관한 비교사적 서술 분석

        노용필 ( Yong Pil Noh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6 No.-

        종전에는 James G. Frazer의 The Golden Bough에 한국 문화와 관련한 인용이 있다는 사실, 그것도 전적으로 고대사 분야 가운데서도 부여(扶餘)의 왕권 행사와 관련하여서만 극히 제한적으로 언급되고 있었을 뿐이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하여, 1권에 불과한 영문 초역본(抄譯本)은 물론 13권에 달하는 영문 원문본(原文本)을 샅샅이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영문 초역본에는 초역본에 따라 불과 3-5군데에 불과하지만, 영문 원문본에는 무려 24군데서나 한국의 문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고대사뿐만 아니라 근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기술하고 있음을 밝히고, 그리고 그 원문을 일일이 번역하여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Frazer의 The Golden Bough 속에서 다루어진 한국 문화에 대한 비교사적 서술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세계사 속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바탕으로 삼고자 하였다. 앞으로 이를 통해 세계인들에게 한국 문화의 특징을 올곧게 이해시키는 데에 보탬이 될 것이라 믿는다. 이러한 견지에서, 비교사학의 전범(典範)이라고까지 평가되기도 하는 James G. Frazer의 The Golden Bough에 기술되어 있는 한국 문화의 여러 양상이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장차 전 세계적인 여러 문화 현상들과 비교하여 조망해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앞으로 한국 역사학의 발전에 비교사적 연구에서는 물론이고 사학사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는 진전을 이루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existing studies say on ‘The Golden Bough’ by James G. Frazer that there are only few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limited to the exercise of royal authority in ancient Buyeo Kingdom. In order to examine this, this study did tho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full original English edition of ‘The Golden Bough’ in 13 volumes, in addition to the 1 volume abridged edition of the same book. As the result of analysis, followings were found. First, in the original unabridged edition, there were 24 detail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addition to 3 to 5 references in the abridged edition. This study clarified that there are references on various themes of Korean culture from ancient history to recent and modern history. This study provided with a foundation for future full scale study on ‘The Golden Bough’ by translating and suggesting all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the unabridged edition. Second, this study intended to enhance the awareness on Korean culture in world history by analyzing and suggesting the comparative references on Korean culture in ‘The Golden Bough’ by Fraze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in better understanding of global citizens on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The Golden Bough’ by James G. Frazer is recognized as a classic in comparative study on history. It is believed that the commons and differences of various Korean culture aspects in ‘The Golden Bough’ should be compared with various world cultural phenomena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contribute in the significant advance in comparative study on Korean history and the study on 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韓國) 고대(古代)의 『문선(文選)』 수용(受容)과 그 역사적(歷史的) 의의(意義)

        노용필 ( Yong Pil Noh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8 No.-

        『문선』은 중국 양나라 무제의 아들 소명태자 소통(501-531)이 30권으로 편집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중국의 종합적인 문장 선집으로, 주대에서 양대에 이르기까지 130인의 작가가 쓴 761편의 글이 실려 있다. 여기에는 문학ㆍ사학ㆍ철학을 위시한 인문학의 여러 분야에 관한 지식이 담겨 있으므로, 종합적 인문학 선집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연구하는 문선학이 당대에 이르러 극히 발달함으로써, 『문선』은 병체를 중심으로 문학의 모든 분야에 크게 영향을 끼쳤을 뿐더러 진사과를 위시한 과거제도 전반에도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선』이 한국 고대에도 수용되어 고구려와 신라에서 활용되었음이 입증된다. 고구려에서는 이 책을 가장 좋아하고 소중히 하였을 정도였다. 그리고 신라에서는 강수가 이를 익혀 외교 문서 작성에 활용한 바가 있었다. 더욱이 국학에서 이 책을 교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서삼품를 통해 이에 능통한 자를 관리로 발탁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다른 서적들에 비해 가장 중시되었다. 한편 『문선』을 실제로 활용하여 문장을 작성한 구체적인 사례는 신라의 최치원(,857-?)으로, 그의 대표적인 금석문 자료인 「4산비명」에서 잘 드러난다. 한국에서의 이와 같은 『문선』 수용의 역사적 의의로는 다음의 4가지를 들 수 있겠다. 첫째, 중국의 남조 그것도 양과의 긴밀한 외교 관계에서 이루어져, 새로운 문화의 수용을 통한 문화적 도약에 커다란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문학ㆍ사학ㆍ철학 등의 인문학 전반의 발달에 크게 기여하여, 개인의 전기 및 금석문 저술의 유행으로 역사적 사실 중심의 문학이 진흥되었던 것이다. 셋째, 당시의 한국인들이 특히 중국으로 유학을 갈 때 그 학문적 토대 마련에 『문선』 수용이 기여해주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넷째, 고구려의 경당 및 신라의 국학 등의 교육기관에서 교수 과목으로 채택됨으로써 교육의 내실화에 크게 공헌하였을 뿐더러, 신라의 독서삼품에서 중시됨으로써 인재의 양성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사실이다. The ‘Wenxuan’ (文選, compilation of selected works) is the oldest compilation of selected literary works existing in China. It is composed of 30 volumes edited by the Crown Prince Zhaoming Taizi (昭明太子) Xiao Tong (蕭統, 501-531), who was the son of Emperor Wudi (武帝) in ancient Chinese kingdom Liang (梁). There are 761 writings by 130 authors from Zhou Period (周代) till Liang Period (梁代) in ‘Wenxuan’. Since the writings contain knowledge in various human study fields including literature, historical study and philosophy, ‘Wenxuan’ can be said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human study writings. The ‘Wenxuan Xuey’, which exclusively studied ‘Wenxuan’, was extremely advanced in Tang Period (唐代) and ‘Wenxuan’ had big influence in all literary fields as represented by the ‘pianti’ (騈體, unique writing style during ancient China). In addition, ‘Wenxuan’ had absolutely big weight in the government officer recruiting examination including the ‘jinshike’ (進士科). It has been proved that this ‘Wenxuan’ had been also accommodated and utilized in ancient Korean kingdoms, the Goguryeo and the Shilla. In Goguryeo Kingdom, ‘Wenxuan’ was the most favored and precious literary work of the people; while ‘Wenxuan’ was utilized in preparing diplomatic documents by Gangsu (强首) in Shilla Kingdom. ‘Wenxuan’ was also taught at the ‘gukhak’ (國學),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of Shilla, and the persons who had good knowledge on ‘Wenxuan’ was recruited as government officers. Among the ‘dokseo-sampum’ (讀書三品), ‘Wenxuan’ was the most important work to study. The actual literary work written by utilizing ‘Wenxuan’ at the time is the ‘sasan-bimyeong’ (四山碑銘, the epigraph of 4 mountain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epigraph written by Choi Chi-won (崔致遠,857-?) of Shilla Kingdom. It is possible to find four historical significances in the accommodation of ‘Wenxuan’ by the ancient Korean kingdoms. First, ‘Wenxuan’ was an important and big opportunity for the cultural leap by accommodating the new Chinese culture by way of close diplomatic relation with the ‘Nanchiao’ (南朝) dynasties in China, especially the Liang (梁) dynasty. Second, ‘Wenxuan’ greatly contributed to the advance in overall human studies including literature, historical study and philosophy. ‘Wenxuan’ promoted the advance in the literature focusing on historical facts and it made the publishing of individual biography or the writing of epigraph popular. Third, when Koreans went to China for study, ‘Wenxuan’ enabled them to build academic foundation for studying in China. Fourth, ‘Wenxuan’ greatly contributed to higher education by being taught in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the ‘gyeongdang’ of Goguryeo and the ‘gukhak’ of Shilla. In Shilla, ‘Wenxuan’ greatly contributed to the fostering of talented persons by taking the most important position among the ‘dokseo-sampum’ (讀書三品) of Shilla.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統一新羅期 金石文 專門 博士·學士의 擡頭와 書法·金石學의 風靡

        노용필(Noh, Yong-pil)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8 No.-

        중국에서 夏나라 禹王의 공적을 金石에 새기기 시작한 이래로 쇠와 돌이 일찍이 고대인들의 공적을 새겨 넣었던 소재가 되었으며, 한국에서도 특히 통일신라기에 이와 같이 쇠와 돌에 글을 새겨 사람의 공적을 남기는 문화가 풍미하였다, 당시에 쇠로 만들어진 鍾과 돌로 만들어진 碑가 지금도 꽤 많이 전해지고 있음에서 이러한 면모가 잘 입증되고 있다. 그러므로 통일신라기는 금석문이 종의 鑄造로 조성된 것이든 비에 刻書된 것이든, 그 書法은 물론이려니와 금석학 역시 風靡한 시기였음이 분명하다. 『三國史記』의 기록에 나타난 統一期신라의 博士·學士는 孝昭王부터 景德王까지의 시기에 분화되어 가는 추세를 띠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무엇보다도 외교 문서의 작성을 관장한 通文博士와 거기에서 파생된 翰林學士가 당시 書法과 金石學의 풍미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고 여겨진다. 게다가 이채롭게도 이 시기의 금석문 자료 중에서 발견되는 鑄鍾大博士·次博士는 물론이고 鐫字助博士·成博士역시 鑄鍾 때 그 작업은 물론이고 書法의 선정과 그에 따른 鐫字 및 金石文의 완성 공정에서 그 각자의 職任에 걸맞은 소임을 다함으로써, 당시 書法 및 金石學의 풍미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이다. 「聖德大王神鍾銘」에서 그 敎書와 詔書내용의 撰述을 담당했던 翰林郞 金弼奧, 書寫를 담당했던 翰林臺 書生 金符 및 待詔姚湍등이 모두 그 鍾이 조성된 惠恭王당시의 서법 및 금석학 풍미의 증거자들이라 하겠다. 또한 「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에서 그 敎書의 撰述을 도맡은 姚克一과 그리고 鐫字助博士連全등 이 역시 景文王당시의 그런 인물들이었다. 더욱이 姚克一의 경우는 이외에도 현재 일부라도 전해지는 것만 하더라도 3편이나 되는 碑文을 찬술하였음이 확인될 정도인데다가 『삼국사기』 기록에 국왕의 측근으로서 국왕 문서의 작성을 담당하는 侍書學士를 역임했을 뿐만이 아니라 “그 글씨에 드러난 힘이 굳세었으며, 歐陽詢의 率更法을 터득하였다.”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신라통일기 서법 및 금석학 풍미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 꼽아 손색이 없을 것이다. Since China began to inscribe achievements of Yu the Great in the Xia Dynasty on metals and stones, irons and stones became one of materials to inscribe the achievements of the ancient people, and also Korea saw the prevalence of the culture remembering the merits and achievements of persons by inscribing letters on irons and ston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in particular. This aspect is well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bells made of iron and monuments made of rocks at the tine have been passed down to us. Therefore, the Unified Silla period surely must be an era when the related calligraphy as well as epigraphy prevailed, irrespective of whether epigraph was made by being casting on bells or inscribed on monuments. According to the record of “Samguk Sagi”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masters and academic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seemed to be differentiated during the period from King Hyoso to King Gyeongdeok. Above all amid this tendency, Tongmun Master (Tongmun-baksa) in charge of diplomatic documents and Hallim Academic (Hallim-haksa) derived therefrom might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revalence of calligraphy and epigraphy then. Quite interestingly, not only Jujongdae Master (bell manufacturer), Cha Master (assistant bell manufacturer) as found from materials of epigraph then but Jongjudae Master, Seong Master (inscriber) played their own part in the work of bell manufacturing as well a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calligraphy and completing inscription letters and epigraph, partly contributing to the prevalence of calligraphy and epigraphy then. Hallim-rang Kim Pil-oh in charge of compilation of the address and content of “King Seongdeok Divine Bell Inscription”, Kim Bu-wan student of Hallim-dae in charge of its transcription, official Yodan all were the persons who were the originator and witness of the prevalence of calligraphy and epigraphy during King Hyegong era when the bell was created. Also such contributing persons during King Gyeongmun could include Yo Geuk-il who was fully in charge of the compilation of the address of “Hwangryongsa 9-storied Wooden Tower Inscription” and Assistant Master Yeonjeon. Especially in case of Yo Geuk-il, he was additionally confirmed as having compiled three epitaphs - so far handed down to us even partly. And further according to Samguk Sagi, he worked not only as Siseo-haksa in charge of preparing king’s documents as the king’s inner circle but also “his letters showed strength and mastered the calligraphy of Ouyang Xun”. So, we could fairly name him as a person most typically representing the prevalence of calligraphy and epigraph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 KCI등재

        森谷克己의 植民主義 杜會經齊史學 批判

        盧鏞弼(Noh Yongpil) 한국사학사학회 201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2

        Moritani Katsumi(森谷克己,1904-1964) is one of the scholars in the socio-economic historical-science(materialism economic historical-science) who left substantial academic achievement while serving in the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between 1927 and 1945. Moritani was quite proud of having deeply influenced by Fukuda Tokuzo(福田德三,1874-1930), who had been the great authority in the socio-economic historical-science of Japan. Moritani was a hard-working scholar who authored many books, including translations, with sincere intention to succeed and advance the academic tradition.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in the researches of Moritani. First, he worked very hard to secure the firm theoretical bases. It is quite clear that he obtained such theoretical bases from the publications he had translated. Second, he had deep interest in the present. Therefore, he even interpreted the past facts to match with explanation on the present.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riticize Moritani in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Moritani was quite short of historical knowledge and he was not professional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Second, he attempted to interpret the Asian socie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historical science of Karl Marx and Wittfogel; however, he always and thoroughly regarded Japan as an exception. Third, his academic attitude was not objective and he did not make fair assessments. He made thorough subjectiv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Greater East-Asia Co-prosperity Zone' theory of Japanese Empire. He accepted the theories of Marx and Wittfogel to firmly secure the theoretical bases. Since he had more interest in the present than the past and he interpreted the past facts based on such interest in the present so that the past facts would fit with the explanation on the present. Consequently, his research works contributed in the implementation of 'Greater Area Policy Theory' of the state policy of Japanese Empire during the Pacific War. Therefore, he ended up a representative socio-economic historical-scientist supporting colonialism.

      • KCI등재

        韓國에서의 歷史主義 受容 : 특집기획논문 : 李基白 韓國史學硏究의 礎石

        盧鏞弼(Noh, Yongpil)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3

        이기백은 한국사 연구를 진행해 나가면서, 베른하임ㆍ크로체의 사학사 및 헤겔ㆍ랑케ㆍ마이네케 등의 역사이론서들을 읽고 영향을 받았다. 이들의 저서들을 이기백이 일본유학 시절에 흥미롭게 읽은 이후 내내 소장하고 있으면서 틈틈이 참고하였을 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일부 논문에서 직접 인용하기도 하였음은 물론, 특히 베른하임의 국역본 『역사학입문』의 경우에는 역사학도들에게 읽기를 즐겨 권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역사주의를 적극 수용했을 뿐만 아니라 초석으로 삼음으로써 한국사학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역사학자의 하나로서 이기백을 최우선으로 꼽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이기백은 어떠한 역사이론일지라도 적극 수용하여 그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여겼는데, 이러한 그의 지론은 일본 와세다대학 유학시절에 공부하기 시작하여 지니게 된 역사주의를 위시한 여러 역사이론에 대한 지식과, 그 자신이 간단없이 역사를 연구하면서 지속적으로 해온 깊은 통찰의 산물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그 결과 헤켈과 마이네케의 역사 해석을 종합하여, 그는 역사 자체가 발전하는 것이며, 그 발전과정의 사실들을 시대적 상황 속에서 상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었다. 결국 그의 한국사 발전 사관에는 헤겔의 역사철학에 나타난 발전 사관과 마이네케의 상대적 평가 사관의 영향이 융합되어 깃들었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는 역사주의의 이론을 수용해서 극력 연구함으로써 한국사학을 발전시켰으되, 학자들에 의해 가지각색으로 쓰이고 있으므로 사용을 피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경청하여 학술용어로서는 ‘역사주의’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이 역시 참으로 이기백, 과연 그다운 역사연구 및 서술방식의 일단이었다고 하겠다. Conducting a study of Korean history, Ki-beak Lee read Bernheim and Croce’s books of history of historical studies and Hegel, Ranke and Meinecke’s books of historical theories etc. and was affected by them. Ki-beak Lee not only referred to their books from time to time owning them all the time after reading them interestingly while studying in Japan, but also cited them directly in some of his articles.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ernheim’s Introduction to historical studies translated in Korean he also recommended students studying history to read it. Therefore, in my view it is so natural to regard Ki-beak Lee as one of the typical historians who developed Korean history by laying the foundation stone of historicism as well as accepting it actively. He thought that the foundation had to be laid by accepting it aggressively whatever historical theory it is. It needs hardly to be said that this philosophy of his is a product of his knowledge of a variety of historical theories including historicism which he came to know starting to study it while learning in Waseda University, Japan, and of deep insights which he could obtain keeping studying history for himself. As a result, putting together Hegel and Meinecke’s interpretation of history, he thought that history in itself develops, and fact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should be evaluated relatively in situations of the times. Ultimately, it is unquestionable that in his view of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the influences of a view of developing history reflected in Hegel’s historical philosophy and Meinecke’s view of history of relative evaluation are mixed. However, he developed Korean history by intensively studying theories of historicism accepting them but he never employed ‘historicism’ for a scientific term listening to an opinion that it would be better to avoid using it as it was used by scholars in diverse way.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lso Ki-beak Lee’s own unique way of historical research and narrative style.

      • KCI등재

        안정복 · 이규경의 이마두 《천주실의》 인용 양상 비교 검토

        노용필(Noh, Yong-Pil) 한국교회사연구소 2018 敎會史硏究 Vol.0 No.52

        이마두(Matteo Ricci, 1520~1610)의 《천주실의》를 인용하여 저술한 안정복(1712~1791)과 이규경(1788~1856)의 글에 나타난 그 인용의 양상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이마두의 초기 저술들에 대한 조선 후기 수용의 역사 전반을 심층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안정복은 그의 저술에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직접 인용한 경우도 있지만 다른 저술에서 재인용한 경우도 있었다. 그 가운데 그 자신의 대표적 천주교 비판 저서로 정평이 나 있는 〈천학고〉 자체에서 《천주실의》를 유일하게 직접 거명하고 그 내용을 인용하였으나, 그 내용을 《천주실의》 원문 전체를 전산 입력 후 검색 기능을 통해 일일이 대조해본 결과 적지 않게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가 있었다. 한편 이규경은 〈척사교변증설〉에서 《천주실의》를 인용함에 있어서 그 양상은 3가지이다. 첫째는 중국 명나라 사조제의 《오잡조》를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이수광의 《지봉유설》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음이다. 셋째는 정하상의 취조 내용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재인용하고 있는 게 그것이다. 결국 이렇듯이 이규경은 《천주실의》를 한 번도 직접 인용한 적은 없었다. 비록 그럼에도 《천주실의》의 전체 중에서도 ‘인혼’ 문제의 규명 및 설파에 설정된 제5편 (23)항이 안정복과 이규경의 저술에서 유일하게 공통된 인용 항목이었다. 그리고 이는 특히 그 제3편의 전편에 걸친 핵심 주제가 다름이 아닌 ‘인혼불멸론’이었다는 사실과 직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써 안정복의 〈천학문답〉 등에서 전면적이면서도 정면으로 행해진 천주교 비판에 있어서나, 이규경의 〈척사교변증설〉에서 ‘척사교’의 실상을 자세히 소개함에 있어서나, ‘인혼’의 불멸 문제를 《천주실의》에서 인용해서 화두의 중심으로 삼았음이 확연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spects of quotation in the writings of An Jeong-bok(1712~1791) and Lee Kyu-gyeong(1788-1856) authored by quoting Matteo Ricci’s(1520~1610) T’ien-chu Shih-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By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use the outcomes as part of work illuminating the overall history of how the late Joseon dynasty accommodated Matteo Ricci’s early books. In his writings, An Jeong-bok sometimes directly quoted the content of T’ien-chu Shih-i and in other times he requoted from other writings. Of these, Cheonhakgo - credited as his representing criticism on Catholic Church - directly mentioned T’ien-chu Shih-i uniquely and quoted its content. As a result of one-by-one comparison of the whole text using search function after putting it into the computer, the study found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quotations. On the other hand, three aspects were revealed when the study examined how Lee Kyu-gyeong quoted T’ien-chu Shih-i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First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Fivefold Miscellany of Xie Zhaozhe during the Ming dynasty. Secon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Lee Su-kwang’s Jibong Yuseol. Thir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detail of interrogation of Jeong Ha-sang. As such, Lee Kyu-gyeong never directly quoted T’ien-chu Shih-i. Yet, what was in common uniquely in quotations of the writings of An Jeong-bok and Lee Kyu-gyeong was Part 5 Section (23) out of whole T’ien-chu Shih-i - investigating and elucidating the issue of ‘human soul’. And this was direct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the argument for ‘Human soul never perishes’ was the central theme throughout Part 3 in particular. So, it’s certain that the issue of immortality of human soul was the central theme of the writings of these two scholars by quoting from T’ien-chu Shih-i whether from An Jeong-bok’s all out and straightforward criticism on Catholicism in his Cheonhak Mundap or from Lee Kyu-gyeong’s detailed introduction to the actual state of ‘Cheoksagyo’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