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방 십자 인대 손상군과 정상군에서 슬개골 저위증의 비교

        이우석,김성훈,조성진,임지혁,정환용,황철목,Lee, Woo-Suk,Kim, Sung-Hun,Cho, Sung-Jin,Lim, Ji-Hyuk,Chung, Whan-Young,Hwang, Cheol-Mog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손상군과 슬관절의 손상 경력이 없는 정상군에서 슬개골 저위증의 빈도와 그 정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스포츠 손상 후 발생한 전방 십자 인대 파열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1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I 군은 수상 후 3주 이내에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으로, 제 II 군은 3주 이후에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으로, 제 III 군은 정상 대조군으로 하였다. T1 강조 자기 공명영상 정중 시상면에서 Insall-Salvati ratio, Carton index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에서 Insall-Salvati ratio는 $1.02{\pm}0.12$, Carton index는 $1.14{\pm}0.16$,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는 각각 $0.91{\pm}0.12,\;0.89{\pm}0.20$으로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과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의 비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전방 십자 인대 파열군에서 정상 대조군과 비교시 슬개골 저위증의 경향을 보였으며, 따라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슬개골 저위증의 경우, 이식건의 선택에 있어 세심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nsall-Salvati ratio and Carton index between the patients who have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tear and the patients who have no ACL tear.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included 114 patients who had an ACL tear and received arthroscopic reconstruction. The group I was acute ACL tear group, within 3 weeks after injury. The group II was chronic ACL tear group who had MRI was done after 3 weeks from injury. The group III was normal control group. We measured the Insall-Salvati ratio and Carton index on Magnetic Resonance Images (MRI) for all patients. Results: The Insall-Salvati ratio of control group was $1.02{\pm}0.12$ and Carton index of control group was $1.14{\pm}0.16$. The ACL-tear study group was $0.91{\pm}0.12\;and\;0.89{\pm}0.20$ respectively. The Insall-Salvati ratio and Caton index in ACL tear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ng with acute and chronic ACL tear group. Conclusion: Our study show that patella baja has an association with ACL tears, therefore in patients with an ACL tear who had patella baja, ideal graft for reconstruction was seriously considered.

      • KCI등재

        소세포 폐암에서 전이된 척수 수내 전이성 종양

        김상범(Sang-Bum Kim),오병학(Byung-Hak Oh),조성권(Seong-Kwon Cho),황철목(Cheol Mog Hwang),허윤무(Youn-Moo Heo),전택수(Taek-Soo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1

        척수 수내 전이성 종양은 대개 단일 고형 암종에서 기원하여 척수 수내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이며 뇌전이와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결손의 진행이 매우 빨라 곧 완전마비에 이르기도 한다. 저자들은 이전에 병기 IIIA의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되었으나 모든 치료를 거부하고 지내던 환자에서 뇌 및 타장기 전이 없이 척수 원추부 수내에 단독으로 전이되어 하지 근력 약화, 배뇨 및 배변장애 등의 신경 학적 증상을 일으킨 종양에 대해 후궁 절제술을 통한 종양 제거와 후방 기기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은 상당히 호전되어 퇴원하였으나 술 후 3개월째 원발 질환의 악화에 의한 폐렴 및 패혈증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저자들은 폐암환자에서 신경학적 결손을 일으킨 척수 수질내의 종양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뒤 병리학적으로 전이성 소세포성 폐암으로 확진된 비교적 드문 증례를 체험하였기에 척수 수질내 전이성 종양의 진단, 병태 생리 및 치료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ntramedullary spinal cord metastases occurring from any malignant tumor are usually accompanied by frequent metastases in the intracranium. The clinical features of this disease have been described as the rapid progression of neurologic deficit that can lead to complete paraplegia. In this case, the authors treated a 76-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an intramedullary spinal cord metastasis arising from a small cell lung cancer without an invasion of the brain, with decompressive surgery and posterior instrumentation. The patient suffered from weakness of her legs, walking difficulties, and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Her preoperative neurologic symptom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The patient did not want to have further treatment for the primary cancer, and she died from pneumonia caused by aggravation of the underlying disease 3 months after surgery. We report this rare case, which was diagnosed as a metastasis of a small cell lung cancer postoperatively,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대퇴골 전자하부 분쇄 골절의 수술적 치료

        전택수 ( Taek Soo Jeon ),김우식 ( Woo Sik Kim ),김상범 ( Sang Bume Kim ),황철목 ( Cheol Mog Hwang ),김규태 ( Kyu Tae Kim ),김선홍 ( Sun Hong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젊은 연령층에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대퇴골 전자하부 분쇄 골절의 치료로서 관혈적 해부학적 정복술 및 견고한 금속 내고정술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2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대퇴골 전자하부 골절로 내원한 환자 중 60세 미만의 비교적 젊은 연령이면서 분쇄정도가 심한 Seinsheimer 분류상 IV, V의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5예, 여자가 1예였고 평균 연령은 43.5세(31∼54세)였다. 수상의 원인은 추락사고가 8예, 교통사고가 8예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2개월(14∼38개월)이었다. 전 예에서 가능한 한 해부학적 정복을 시도하였고, 금속 내고정물로 압박고나사를 이용하였다.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추가적으로 골편간 나사고정, 강선고정, 전자부 고정화 금속판 등을 이용하였으며, 8예에서는 골 이식술을 병행하였다. 방사선학적 결과 판정을 위해 단순 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골 유합률 및 골 유합 시기, 내반 변형 및 내고정물의 파손 여부 등을 조사하였고, 임상적 결과의 판정을 위해 Harris hip score를 이용하여 통증, 파행, 관절 운동 범위 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방사선 추시 상 전례에서 골 유합을 얻었고 수술 후 평균 골 유합까지의 기간은 24주(20∼32주)였다. 수술 중 금속물과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으며, 정복의 소실이나 내반 변형 및 내고정기 파손, 또는 감염 등의 술 후 합병증도 없었다. 최종 추시 상 임상적 결과로 Harris hip score는 평균 98.9점(97∼100점)으로 운동장애, 파행, 통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없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젊은 연령층에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대퇴골 전자하부 분쇄 골절의 수술시에는 관혈적으로 가능한 해부학적 정복을 하고 견고한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 골유합과 기능 회복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comminuted subtrochanteric fractures caused by high energy trauma at a non-osteoporotic young age. Materials and Methods: Of all cases of subtrochanteric fractures caused by high energy trauma under 60 years old from February 2000 to February 2004, we analyzed 16 patients who had severe comminuted fractures (Seinsheimer classification type IV, V). The mean age is 43.5 (31∼54) years old. Mean follow-up period was 22 (14∼38) months. We tried to reduce anatomically as much as possible and fixed firmly using a compression hip screw in all cases. Additional procedures such as interfragmentary screw fixation, cerclage wiring or lateral stabilization plating were performed in 13 cases. Bone grafting was performed in 8 cases. We evaluated bony union rate, time to union, status of reduction, varus deformity and rate of implant failure using a simple X-ray. We also analyzed the clinical result using the Harris hip score including range of motion, pain and limping gait, so on. Results: In all 16 cases, bony union was achieved and the mean time to union was 24 (20∼32) weeks. There was no intra-operative complica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loss of reduction, varus deformity, implant failure or infection did not occur. Clinically, the Harris hip score was 98.9 (97∼100) points. Conclusion: Optimal open reduction and firm internal fixation with or without additional fixation was thought to be a recommendable method of treatment for comminuted sub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caused by high energy trauma at a young age.

      • KCI등재

        후방 척추기기를 이용한 흉요추부 방출성 골절의 수술적 치료 -신연에 의한 간접 정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

        김상범 ( Sang Bum Kim ),전택수 ( Taek Soo Jeon ),김승환 ( Seung Hwan Kim ),장한 ( Han Chang ),황철목 ( Cheol Mog Hwang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2

        목적: 흉요추부 방출성 골절로 후방기기고정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대신연을 통한 골절의 정복에서 수술 시기와 수술의 방법, 골절의 양상 등이 정복의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2예의 흉요추부 방출성 골절을 대상으로 술 전 및 술 후 국소 후만각, 설상각, 전방 추체 높이, 신경관 협착의 정도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수상 후 수술까지의 시간, 골절 위치, 기기 고정의 범위 및 골절부 나사못 삽입 유무, 신경관 협착의 정도, 후방 인대 복합체의 파열 유무, Denis 분류 등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 후만각, 설상각 및 전방 추체 높이, 신경관의 면적은 모두 술 전에 비해 술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수상 후 3일 이내에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술 후 설상각의 변화가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고, 후방 인대 복합체의 파열 유무는 국소 후만각과 설상각, 신경관 면적에 유의한 차이가 보였으나 골절 위치, 기기 고정의 범위, 골절 추체의 나사못 삽입 유무 등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수상 후 수술을 시행하기까지 걸린 시간, 고정 범위, 골절 추체 내의 나사 삽입 여부는 인대 신연을 통한 간접적인 정복의 정도에 영향을 적게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후방 인대 복합체의 파열은 인대 신연의 방법을 이용한 골절 정복의 정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amount of indirect reduction by ligamentotaxis according to timing of surgery, extent of surgery, and characteristics of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2 cases of thoracolumbar fracture which had been performed posterior instrumentation and fusion using pedicle screw system. We divided patients into each group according to timing of surgery, number of fusion segment, insertion of screw on fractured vertebra, and rupture of posterior ligament complex, and Denis type. We measured changes of kyphotic angle, anterior vertebral height and wedge angle on plain radiographs, and we compared spinal canal area before and after oper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ic scans. Results: Kyphotic angle, anterior vertebral height, wedge angle, and area of spinal canal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ostoperatively. The wedge angle improved significantly operated within 3 days after injury, however, kyphotic angle and anterior vertebral height had no correlation with variable factors except the rupture of posterior ligament complex. The amount of restoration of spinal canal also affected only by rupture of posterior ligament complex. Conclusion: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iming of surgery and canal restoration, so we cannot conclude that prompt operation helps reduction of narrowed spinal canal. Otherwise narrowed spinal canal had much less restored by ligamentotaxis when there were rupture of posterior ligament complex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단일 요천추 신경근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단기 임상 결과 및 효용성

        김상범(Sang-Bum Kim),전택수(Taek-Soo Jeon),박원기(Won-Ki Park),조성권(Sung-Kwun Jo),김용상(Yong-Sang Kim),황철목(Cheol-Mog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추간판 탈출증 또는 추간공 협착증에 의한 단일 요추 신경근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후 단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단일 분절의 추간판 탈출증 또는 추간공 협착증에 의한 편측 하지 방사통으로 경추간공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받은 환자들 중 6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추간판 탈출증 37예를 1군, 추간공 협착증 환자 28예를 2군으로 분류하여 각군에서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이용한 하지 통증의 정도와 주관적인 환자의 만족도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치료 효과를 판정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1개월로 1군은 13.5개월, 2군은 7.6개월이었다. 결과: 총 65명의 환자들의 시술 전 VAS는 평균 7.8에서 1-3회의 신경근 차단술 후 1개월 째 2.9, 3개월 째 3.4로 감소하였다. 1군의 경우 시술 전 VAS는 7.4에서 시술 후 1개월에 3.3, 3개월에 3.7로 통증이 감소하였고, 2군의 경우 VAS는 시술 전 평균 8.3에서 시술 후 1개월 평균 2.3, 3개월 평균 3.0으로 호전되었다. 시술의 효과가 없거나 시술 후 증상이 악화 되어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1군에서 8예(12%), 2군에서 4예(6%)가 있었으며 1개월 추시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3개월 추시에서 악화된 경우는 1군의 경우 3예(8%) 2군의 경우 2예 (7%)를 보였다. 두 군 중 추간공 협착증의 경우가 1개월(p=0.002) 및 3개월(p=0.01) 추시에서 더 나은 치료 결과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요추 추간판 탈출증 또는 추간공 협착증에 의한 단일 신경근증으로 인한 편측성 하지 방사통의 비수술적 치료로서 증상 발현 후 초기 단계에서의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은 매우 효과적이고 안전한 시술이다. 따라서 수술적 치료를 선택하기 이전에 반드시 시행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추간공 협착증의 경우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determine the clinic usefulness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treating lumbosacral radiculopathy that's due to a herniated nucleus pulposus (HNP) or foraminal stenosis (FS) by analyzing the short-term results after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Sixty-five patients were investigated in our research. Sixty-fiv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irty-seven patients of group one were the HNP patients and twenty-eight patients of group two were the FS patients. The effect of SNRB treatment was assessed by the degree of radiating pain in lower legs with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The average overall follow-up period was eleven months: that of the first group was 13.5 months and that of the group was 7.6 months. Results: For the 65 patients, the average VAS was 7.8 before a SNRB procedure and this decreased to 2.9 and 3.4 after one to three SNRB procedures, respectively. For group one, the VAS was 7.4 before the procedure and it decreased to 3.3 at one month and 3.7 at three months after the procedure. For group two, the VAS was 8.3 before the SNRB procedure and this favorably changed to 2.3 at one month and 3.0 at three months after the procedure. An operation was carried out due to no response for 8 patients (12%) and due to aggravation for 4 patients (6%) after the SNRB procedures. Three patients (8%) of group one and two patients (11 %) of group two obtained pain relief at one month and aggravation at three months, respectively. On comparing the two groups, a better treatment effect was observed for the FS group after one month (p=0.002) and three months (p=0.01).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SNRB procedure haaves not been observed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SNRB procedure is a very effective and safe procedure, after the appearance of symptoms, as a non-operative treatment for single lumbosacral radiculopathy due to a herniated nucleus pulposus or foraminal stenosis. This treatment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FS group than for the HNP group and it should be considered before carrying out an operativ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