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황정우,오승원 한국목재공학회 2022 목재공학 Vol.50 No.2
Indoor air quality is a very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in modern society. However, air pollutants generated from various interior construction materials significantly affect the human body, including formaldehyde (HCHO)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at threaten public health by deteriorating indoor air quality. Effective in removing these harmful substances are porous materials, such as woodceramics. In this study, charcoal, a porous material, was added to rice husk, an agricultural by-product, and sawdust generated during the sawing process to prepare boards and ceramics at different mixing ratios, and the HCHO deodorization performance and far-infrared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s the mixing ratio of charcoal increased, the deodorization rate of the boards and ceramics tended to increase. Overall, the deodorization rate was measured to be 80% to 90%, indicating that the boards and ceramics prepared with charcoal are suitabl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deodorization. The effect of the material mixing ratio on far-infrared emissivity and emission power was insignificant.
5G 표준화 동향. KT 5G SIG에서 3GPP Release-16 까지
황정우,윤진현 한국어정보학회 2018 한국어정보학 Vol.20 No.2
5G에 대한 산업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표준 규격 개발에도 기존 상용 기술에 대비하여 전 세 계의 다양한 기업 및 연구소의 다양한 인력이 참여하였다. KT도 이러한 흐름이 맞추어 자체적으로 개 발했던 5G 기술을 바탕으로 ITU 및 3GPP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표준개발에 기여하였다. 특히, 제조 사 주도로 표준규격이 개발되었던 과거와는 다르게 이동통신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표준화에 참여하면 서 개발 일정 및 진화규격에 대한 선호도가 과거와는 많이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본 고에서는 2015년부터 시작되었던 5G 표준화에 대한 이력과 함께 최종적으로 5G 기술이 진화하는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軍民협력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군민협력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황정우,이영옥,전은주,심유화,권창호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군사회복지학 Vol.4 No.2
본 연구는 군민 협력으로 진행된 군인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 보다 개선된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육군 00부대에서 실시한 그린캠프에 참가한 정신건강 취약 및 복무 부적응 병사 26명으로서 이들의 사전·사후 변화와 프로그램 만족도 및 부대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병사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자살사고를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이들의 자아존중감, 정신적 안정, 군적응의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는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군과 민의 협력을 통한 프로그램의 운영방안을 제언하였다.
모바일 쇼핑몰의 소비자 제품 구매 의도 및 구매 행동요인 연구
황정우,이재환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TThis study analyzed the product purchase intention process and purchase experience of consumers who use mobile shopping malls in software. Also, it is not easy to find a study related to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usability theory and planned behavior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of purchase behavior in the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consumer decides the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shopping. The research method was for middle aged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over 40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t shopping malls and cafes selling home appliances. After distributing the survey to a total of 200 people, the final number of responses was 127. The survey consisted of a Likert 5-point scale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est your hypothesis based on the collected survey. Then, SPSS Win 12.0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mobile shopping, when purchasing a specific brand or other brand products to consumers, does not relate to the inner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how the products were used while recalling past and present purchase experiences. It’s not that you set the time to identify your purchasing experience and work on research. As explain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umer psychological factors may work to some ext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usability, convenience, and usability, which are factors of purchase experience and purchase intention, cannot be linked to purchase inten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purchasing a product due to individual variation has an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Purchasing satisfaction is an internal factor among consumers’ purchasing factors. In conclusion,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intention of consumer purcha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necessary environment for consumers who can satisfy satisfaction from various viewpoints. In order to actively reflect consumer’s purchasing satisfaction, it should be improved to a system that is human-centered and consistent rather than problem-oriented in customer service approach.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모바일 쇼핑몰을이용하는 소비자의 제품 구매 의도 과정 및 구매 경험에 관하여 조사 분석을 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구매의도, 사용성 이론 및 계획적 행동이론과 관련성 있는연구를 찾기 쉽지 않다. 소비자가 모바일 쇼핑의 구매의도를 결정하기 전후의 과정에서 구매 행태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20~30대, 40 대 이상 중장년층 대상으로 하였다. 쇼핑몰 및 제품가전 판매 관련 카페에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후, 최종 응답수는 127명을 얻었다. 설문지의 구성은 리커트 5점 척도와 인구통계학적 설문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을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한다. 이후, 연구가설이 부합하는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SPSS Win 12.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모바일 쇼핑 시, 소비자에게특정 브랜드 혹은 타 브랜드 제품을 구매해도 과거및 현재의 구매 경험을 떠올리면서 제품을 어떻게 사용했는가에 대한 내면, 심리와 연관을 하지 않는다는것이다. 시간을 정하여 구매 경험을 특정하고 연구에임했다는 것이 아니다. 앞서 이론적 배경에 설명했듯이, 소비자의 심리적인 요인이 어느 정도는 작용할 수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해보면 사용성, 구매 경험과 구매 의도의 영향요인인 유용성 및편의성은 구매 의도로 연결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의 편차에 따른 제품 구매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만족도는소비자의 구매 행동요인 중 내적 요인에 해당한다. 결국, 소비자 구매 의도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으로 만족도를 충족할 수 있는 소비자에게 필요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있도록 고객 서비스 접근의 문제 중심보다 인간 중심방식과 일관성 있는 시스템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육군부대 장병의 우울수준과 자살예방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황정우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군사회복지학 Vol.8 No.1
본 연구는 육군부대 장병의 우울수준은 어떠하며 자살예방교육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강원도 지역의 군인 3,132명으로서 위계적 회귀분석이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군인의 우울수준은 복무기간 초기나 낮은 계급에서 높았다. 둘째, 부대원의 6.0%가 우울 위험군으로 선별되었다. 셋째, 군인의 우울수준이 낮을수록, 계급이 높을수록, 민간 강사로부터의 교육이 반복될수록 자살예방교육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군인의 자살예방교육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is depression level of a soldier and what is the factor which affect on the satisfaction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s 3,132 soldiers in the province of Gang won do.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ldier of short duty period and low grade had higher depression level. Second, 6.0 percent of soldier was selected as serious depression group. Third, satisfaction of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was as higher as lower depression level, higher grade and higher frequency of education. Finally, suggestions for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were discussed.
육군 병사의 복무기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황정우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병사들의 복무기간 중에 나타나는 우울에 대한 대인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는 어떠한지 알아 보고자 진행되었다. 조사 대상자는 강원도 지역의 병사 2,994명으로서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 귀분석이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병사들의 병영 내 대인관계 만족도가 병영 외 대인관계 만족도 보다 낮았다. 둘째, 병사들의 교육정도와 복무기간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병사 들의 대인관계 만족도가 이들의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병사의 복무기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들의 고참관계 및 간부관계 만족도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 를 토대로 병사의 대인관계 증진과 우울 통제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sonal relation-satisfaction has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depression of soldiers along their duty peri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s 2,994 soldiers in the province of Gang won do.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relation-satisfaction within army life was lower than the personal relation-satisfaction beyond army life. The education level and the duty period affected the depression of soldiers. The personal relation-satisfaction affected the depression of soldiers, too. The personal relation-satisfaction with veteran soldiers and the personal relation-satisfaction with officers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depression of soldiers. Finally, suggestions for improving personal relations and controling depression of soldiers were discussed.